KR100943054B1 - 엘리베이터 카용 부력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용 부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054B1
KR100943054B1 KR1020090031381A KR20090031381A KR100943054B1 KR 100943054 B1 KR100943054 B1 KR 100943054B1 KR 1020090031381 A KR1020090031381 A KR 1020090031381A KR 20090031381 A KR20090031381 A KR 20090031381A KR 100943054 B1 KR100943054 B1 KR 100943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buoyancy
pressure
water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이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이재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090031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 natural event, e.g. earthqu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용 부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침수에 따른 승강로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전원 공급이나 별도의 승강수단 없이도 수표면으로의 부상(浮上)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내부 승강로 상에서 권상기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양측에 세로 체대가 구비되고 밑면에 가로 체대가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카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평상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고 있다가 침수에 따른 승강로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그 물의 수표면 상으로 부상될 수 있도록 부력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용 부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카, 물, 수표면, 부력, 부상, 침수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용 부력장치{Elevator car buoyant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용 부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침수에 따른 승강로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전원 공급이나 별도의 승강수단 없이도 수표면으로의 부상(浮上)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카용 부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내부 승강로(100)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카(110)를 권상기에 의해 수직으로 승,하강시키면서 승객이나 물건 등을 층간 이동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편의시설물로서, 근래에 들어서는 지상에 설치되는 구조물 뿐만 아니라 교량과 고수부지 사이에도 원활한 왕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량용 엘리베이터가 구비되고 수상 구조물에도 편의시설물인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에서, 엘리베이터 카(110)는 통상적으로 양측의 세로 체대(112)와 밑면의 가로 체대(114)에 의해 장착 고정되어 권상기에 의해 수직으로 승,하강되어 진다.
이렇게, 다양한 부분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에는 침수에 대비하여 엘리베어 터 카의 밑면에 통상적인 수분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이 수분감지센서에 의해 수분의 감지가 이루어지면 권상기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상부로 상승시켜 침수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상기 교량용 엘리베이터나 수상 구조물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침수에 대비하였다.
아울러, 상기 교량용 엘리베이터나 수상 구조물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설치되는 조건의 특성상 우기나 장마철 등에 급격하게 불어나는 물에 의해 수시로 침수되는 조건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침수가 발생할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의 밑면에 구비된 수분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해 권상기가 구동되면서 엘리베이터 카를 상부로 상승시켜 침수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상부로 상승시킬 수 있는 조건부를 가지는 것으로, 즉 정전이나 침수에 따른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권상기가 작동하지 않아 엘리베이터 카를 상승시키지 못하여 침수됨에 따라 침수로 인한 엘리베어터 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침수 후에는 전반적인 수리와 세척 등을 행해야 함으로써, 재사용하기 위한 조건이 상당히 번거롭고 까다로운 문제점도 초래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침수에 따른 승강로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전원공급이나 별도의 승강수단 없이도 수표면으로의 부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온도 차 등으로 인해 내부에서 생성되는 수분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용 부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관이 수려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조물의 내부 승강로 상에서 권상기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양측에 세로 체대가 구비되고 밑면에 가로 체대가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카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평상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고 있다가 침수에 따른 승강로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그 물의 수표면 상으로 부상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카의 밑면과 가로 체대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부와, 상기 수용공간부에 구비되어 일정 압력이 유지되는 부력부재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면으로 상기 부력부재와 연결되어 일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압력 유지수단으로 구성되는 부력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부력부재는 양 측면이 세로 체대에 고정되고 밑면은 가로 체대에 의해 지지 고정되며 내부의 압력 조절을 위한 압력스위치가 제어부 및 압력 유지수단과 바닥면에 드레인 콕(drain cock)이 구비되어 연결되는 부력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부력부재와 압력 유지수단의 외측에는 엘이베이터 카의 상면과 밑면에서 각각의 커버부재가 덮혀지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침수에 따른 승강로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전원공급이나 별도의 승강수단 없이도 수표면으로의 부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온도 차 등으로 인해 부력수단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수분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침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엘리베이터 카를 수리 등을 하지 않고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침수시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에게도 최대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엘리베이터 카를 부상시키는 조건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삭제
또한, 엘리베이터의 상면과 밑면에 설치되는 부력수단을 커버부재에 의해 덮혀지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으로 인한 미관을 해치지 않고 미관 또한 수려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엘리베이터 카에 적용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측면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엘리베이터 카가 침수되기 전을 나타낸 요부도이며, 도 2b는 엘리베이터 카가 물에 의해 부상되는 상태의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용 엘리베이터나 수상 구조물 등과 같이 각종 구조물의 내부 승강로(100) 상에서 권상기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양측에 세로 체대(112)가 구비되고 밑면에 가로 체대(114)가 구비되는 통상적인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카(110)에 있어서,
본 발명은, 침수에 따른 승강로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전원공급이나 별도의 승강수단 없이도 수표면으로의 부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에 평상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고 있다가 침수에 따른 승강로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그 물의 수표면 상으로 부상될 수 있도록 부력수단(1)이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원 공급 등이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승강수단 등도 필요없이 승강로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그 물의 수표면 상으로의 부상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가 침수되지 않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엘리베이터 카가 침수되지 않은 조건으로 인해 침수시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자가 탑승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부력수단(1)은, 엘리베이터 카(110)의 밑면과 가로 체대(114)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부(10)와, 상기 수용공간부(10)에 구비되어 일정 압력이 유지되는 부력부재(20)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면으로 통상적인 브래킷이나 프레임 등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부력부재와 통상적인 굴곡성을 갖는 관 등으로 연결되어 일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통상의 에어 콤프레셔 등과 같은 에어를 공급하는 압력 유지수단(3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압력 유지수단은 전원이 공급되는 시점에서는 전원 공급에 의해 작동되며,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압력 유지수단에 구비되는 통상의 축전기 등에 의해 작동되어 진다.
그에 따라 상기 부력수단은 압력 유지수단에 의해 평상시 부력부재에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에어를 공급함에 따라 상기 부력수단은 항시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이 일정 압력을 유지하고 있는 부력부재에 의해 승강로에 물이 유입될 경우 엘리베이터 카를 부상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부력수단은 에어에 의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형태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카를 부상시킬 수 있는 형태의 통상적인 부력체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와 측면 등에 그 엘리베이터 카를 부상시킬 수 있는 정도의 통상적인 부력체를 구비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 부력부재(20)는 양 측면이 세로 체대(112)에 통상적인 브래킷 등에 의해 고정되고 밑면은 가로 체대(114)에 의해 통상적인 연결구나 브래킷 등에 의해 지지 고정되며 내부의 압력 조절을 위한 통상의 압력스위치(22)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및 압력 유지수단(30)과 연결되는 부력탱크(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압력스위치는 부력탱크 내의 압력에 따라 압력 유지수단에 의해 에어를 부력탱크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일정 압력 이상이 될 경우에 제어부에 의해 압력 유지수단의 작동을 정지시켜 에어의 공급을 중단하거나 또는 일정 압력 이하 일 경우에는 다시 압력 유지수단을 작동시켜 항시 일정한 압력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부력탱크의 내부 압력을 항시 엘리베이터 카를 부상시킬 수 있는 상태의 압력을 유지하고 있는 관계로, 승강로에 유입되는 물에 의해서 엘이베이터 카를 원활하게 부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력탱크(25)의 바닥면에는 통상적인 드레인 콕(25a)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부력탱크 내부에서 온도 차 등에 의해 수분이 발생할 경우에 그 발생된 수분을 상기 부력탱크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력탱크가 부상될 수 있는 최상의 조건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력부재(20)와 압력 유지수단(30)의 외측에는 엘이베이터 카(110)의 상면과 밑면에서 통상적인 브래킷이나 스크류나 용접 등에 의해 각각의 커버부재(40)(40A)가 덮혀지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면과 밑면에 구비되는 압력 유지수단(30) 과 부력부재(20)에 의해 미관이 수려하지 못한 문제점을 상기 커버부재(40A)(40)에 의해 외관 또한 수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노출 형태로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외관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수려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부력수단에 의해 승강로에 유입되는 물에 의해 부상되었던 엘리베이터 카는 물이 빠지는 과정에서 부력수단에 의하여 물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낮아짐에 따라 그 물의 수위와 같이 점점 하강하면서 부상되기 이전의 위치로 원활하게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력수단인 부력부재(20)와 압력 유지수단(30) 등에 의하여 별도의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나 별도의 승강수단 없이도 평상시에는 도 2a에서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10)에 구비되어 있다가 침수시에는 도 2b에서와 같이 승강로(100)에 유입되는 물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110)가 침수되지 않고 부상되도록 함으로써, 침수로 인한 엘리베이터 카의 손상 등을 방지함과 아울러 물이 빠진 후 재사용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건 뿐만 아니라 탑승자에게는 안전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조건 또한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엘리베이터 카에 적용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측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엘리베이터 카가 침수되기 전을 나타낸 요부도.
도 2b는 엘리베이터 카가 물에 의해 부상되는 상태의 요부도.
도 3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하 부호의 설명
1 : 부력수단 10 : 수용공간부
20 : 부력부재 22 : 압력스위치
25 : 부력탱크 25a : 드레인 콕
30 : 압력 유지수단 40,40A : 커버부재
100 : 승강로 110 : 엘리베이터 카
112 : 세로 체대 114 : 가로 체대

Claims (5)

  1. 삭제
  2. 구조물의 내부 승강로 상에서 권상기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양측에 세로 체대가 구비되고 밑면에 가로 체대가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카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에 평상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고 있다가 침수에 따른 승강로(100)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그 물의 수표면 상으로 부상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카(110)의 밑면과 가로 체대(114)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부(10)와, 상기 수용공간부에 구비되어 일정 압력이 유지되는 부력부재(20)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면으로 상기 부력부재와 연결되어 일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압력 유지수단(30)으로 구성되는 부력수단(1)을 구비하되, 상기 부력부재(20)는 양 측면이 세로 체대(112)에 고정되고 밑면은 가로 체대(114)에 의해 지지 고정되며 내부의 압력 조절을 위한 압력스위치(22)가 제어부 및 압력 유지수단(30)과 바닥면에 드레인 콕(25a)이 구비되어 연결되는 부력탱크(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용 부력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재(20)와 압력 유지수단(30)의 외측에는 엘이베이터 카의 상면과 밑면에서 각각의 커버부재(40)(40A)가 덮혀지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용 부력장치.
KR1020090031381A 2009-04-10 2009-04-10 엘리베이터 카용 부력장치 KR100943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381A KR100943054B1 (ko) 2009-04-10 2009-04-10 엘리베이터 카용 부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381A KR100943054B1 (ko) 2009-04-10 2009-04-10 엘리베이터 카용 부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054B1 true KR100943054B1 (ko) 2010-02-18

Family

ID=4208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381A KR100943054B1 (ko) 2009-04-10 2009-04-10 엘리베이터 카용 부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0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7046A (ko) 1973-12-27 1975-08-01
JPH09203230A (ja) * 1996-01-29 1997-08-05 Hazama Gumi Ltd ピット式駐車場
JP2004018168A (ja) * 2002-06-14 2004-01-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7204178A (ja) * 2006-01-31 2007-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乗か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7046A (ko) 1973-12-27 1975-08-01
JPH09203230A (ja) * 1996-01-29 1997-08-05 Hazama Gumi Ltd ピット式駐車場
JP2004018168A (ja) * 2002-06-14 2004-01-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7204178A (ja) * 2006-01-31 2007-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乗か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66974B (zh) 风力涡轮机叶片的保持系统、运输系统和用其运输风力涡轮机叶片的方法
CN107237526A (zh) 用于防止水灾淹车用驻车装置
CN102515054B (zh) 一种浮力式自动升降平台
JP6449652B2 (ja) 水域用の昇降床
JP2008254825A (ja) 車両用リフト装置
KR100943054B1 (ko) 엘리베이터 카용 부력장치
JP4412548B2 (ja) マンホールポンプ場
JP2010090624A (ja) ピット多段昇降式駐車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102397317B1 (ko) 핵 시설 풀 정화 장치
KR101134684B1 (ko) 공기강하장치
WO2008153323A4 (en) Device for pulling out a ship
JP2007204178A (ja) エレベータの乗かご
KR20170033944A (ko) 진공터널을 이용한 전동차 운행 시스템
KR20160112502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2018831B1 (ko) 해상 구조물 유지보수용 작업선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JP2011143400A (ja) 昇降式曝気循環装置
CN206569864U (zh) 一种漂浮式底坑检修装置
KR20110030134A (ko) 요트 인양 크레인
JP4068586B2 (ja) 曝気槽における散気体の昇降装置
JP2014043747A (ja) 昇降体着床検知制御装置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設備
CN207377220U (zh) 用于防止水灾淹车用驻车装置
JP2007138431A (ja) 立体駐車装置のリフト冠水防止方法及び装置
CN202346693U (zh) 一种浮力式自动升降平台
KR100721710B1 (ko) 옥상 거치식 포터블 크레인
KR101824526B1 (ko) 해양구조물 및 이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