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526B1 - 해양구조물 및 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 및 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4526B1 KR101824526B1 KR1020160054443A KR20160054443A KR101824526B1 KR 101824526 B1 KR101824526 B1 KR 101824526B1 KR 1020160054443 A KR1020160054443 A KR 1020160054443A KR 20160054443 A KR20160054443 A KR 20160054443A KR 101824526 B1 KR101824526 B1 KR 1018245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form
- ballast tank
- ballast
- water
- le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
- B63B270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해양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은 플랫폼; 상기 플랫폼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그; 밸러스트수를 이용하여 상기 레그를 승강시키는 제1구동부; 및 상기 레그가 해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밸러스트수를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을 수면에 대해 승강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저의 원유나 가스 등을 시추하는 해양구조물로써 잭업리그(Jack-up rig)가 사용되고 있다.
잭업리그는 시추 작업을 위한 작업설비 등이 형성되는 플랫폼, 플랫폼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레그, 및 플랫폼에 대해 레그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잭업리그는 레그가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하강하여 해저면에 지지되고, 레그에 지지되는 플랫폼이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수면 위로 부상하여 작업해역에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동부는 모터나 유압 등으로 작동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동부는 레그 또는 플랫폼의 승강 과정에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그 또는 플랫폼의 승강 과정에 에너지를 적게 소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랫폼; 상기 플랫폼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그; 밸러스트수를 이용하여 상기 레그를 승강시키는 제1구동부; 및 상기 레그가 해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밸러스트수를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을 수면에 대해 승강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레그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밸러스트탱크; 및 상기 플랫폼에 대한 상기 레그의 승강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플랫폼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밸러스트탱크; 상기 플랫폼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플랫폼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제2밸러스트탱크에 지지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플랫폼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의 승강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이 수면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밸러스트탱크를 상기 플랫폼측으로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제2밸러스트탱크와 연결되어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플랫폼에 지지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양구조물이 작업해역으로 이동하는 (a)단계; 상기 제1구동부가 밸러스트수를 이용하여 상기 레그를 해저면으로 하강시키는 (b)단계; 및 상기 레그가 해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구동부가 밸러스트수를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을 수면 위로 상승시키는 (c)단계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레그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밸러스트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제1밸러스트탱크에 밸러스트수가 유입되고, 상기 레그는 밸러스트수가 유입된 상기 제1밸러스트탱크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플랫폼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밸러스트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제2밸러스트탱크에 밸러스트수가 유입되고, 밸러스트수가 유입된 상기 제2밸러스트탱크가 자중에 의해 상기 플랫폼에 대해 하강하는 (c-1)단계; 및 상기 제2밸러스트탱크에서 밸러스트수가 배출되고, 상기 플랫폼이 밸러스트수가 배출된 상기 제2밸러스트탱크의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상승하는 (c-2)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밸러스트수의 유입과 배출을 이용하여 레그와 플랫폼 사이 상대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레그를 해저로 하강시키거나 플랫폼을 수면 위로 상승시키는 과정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100)은 플랫폼(110), 레그(120),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100)은 해저의 원유나 가스 등을 시추하는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100)은 시추 작업이 수행될 작업해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작업해역에 도착한 후, 레그(120)가 해저면으로 하강하고, 플랫폼(110)이 수면 위로 상승하여 레그(1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시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플랫폼(110)에는 작업자의 거주 또는 시추 작업을 위한 설비가 설치될 수 있다. 플랫폼(110)은 수평단면이 삼각형 또는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랫폼(110)은 해상에 부유하여 작업해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그(120)는 플랫폼(11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레그(120)는 플랫폼(110)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레그(120)는 빔 구조 또는 트러스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레그(12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로 제공되는 레그(120)의 수는 플랫폼(110)의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구동부(130)는 밸러스트수를 이용하여 레그(120)를 승강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동부(130)는 제1밸러스트탱크(131) 및 제1스토퍼(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밸러스트탱크(131)는 레그(1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밸러스트탱크(131)는 레그(120)의 하부 일영역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제1밸러스트탱크는 레그의 하부 일영역에 삽입되는 구조와 같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밸러스트탱크(131)는 밸러스트수의 유입 또는 배출을 통해 레그(1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1밸러스트탱크(131)에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경우, 제1밸러스트탱크(131)는 자중이 증가하고, 레그(120)는 제1밸러스트탱크(131)의 자중에 의해 하강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레그(120)는 하강하여 해저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는, 제1밸러스트탱크(131)에서 밸러스트수가 배출되는 경우, 제1밸러스트탱크(131)는 부력이 증가하고, 레그(120)는 제1밸러스트탱크(131)의 부력에 의해 상승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1밸러스트탱크(131)의 밸러스트수의 양을 조절하면, 플랫폼(110)에 대한 레그(120)의 승강속도 또는 승강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스토퍼(132)는 플랫폼(110)에 대한 레그(120)의 승강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1스토퍼(132)가 레그(120)에 대해 고정동작을 하는 경우, 레그(120)는 승강운동이 중단될 수 있다. 또는, 제1스토퍼(132)가 레그(120)에 대해 고정동작을 해제하는 경우, 레그(120)는 승강운동할 수 있다.
제1스토퍼(132)는 도 1과 같이 플랫폼(110)의 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스토퍼(132)는 레그(120)의 외측면에 대해 고정동작을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스토퍼(132)는 대상물에 대해 클램핑 동작하는 통상의 클램프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1구동부(130)는 레그(120)의 수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2구동부(140)는 레그(120)가 해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밸러스트수를 이용하여 플랫폼(110)을 수면에 대해 승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구동부(140)는 제2밸러스트탱크(141), 지지부재(142), 및 제2스토퍼(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밸러스트탱크(141)는 플랫폼(1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밸러스트탱크(141)는 플랫폼(11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밸러스트탱크(141)는 밸러스트수의 유입 또는 배출을 통해 플랫폼(110)을 수면 위로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플랫폼(110)이 부유하여 이동하는 경우, 제2밸러스트탱크(141)에는 플랫폼(110)의 이동 과정에 필요한 밸러스트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밸러스트탱크(141)는 플랫폼(110)이 균형을 이루며 안정된 상태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지지부재(142)는 플랫폼(110)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재(142)는 빔 구조 또는 트러스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지지부재(142)는 플랫폼(11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142)는 일단이 제2밸러스트탱크(141)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42)는 플랫폼(110)에 대해 승강동작하는 제2밸러스트탱크(14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142)는 플랫폼(110)에 대해 승강하는 제2밸러스트탱크(141)와 일체로 승강운동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지지부재(142)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재(142)는 레그(120)의 수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2스토퍼(143)는 플랫폼(110)에 대한 지지부재(142)의 승강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2스토퍼(143)가 지지부재(142)에 대한 고정동작을 하는 경우, 지지부재(142)는 플랫폼(110)에 대한 승강운동이 중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밸러스트탱크(141)는 플랫폼(110)에 대한 승강운동이 중단될 수 있다. 또는, 제2스토퍼(143)가 지지부재(142)에 대한 고정동작을 해제하는 경우, 지지부재(142)는 플랫폼(110)에 대해 승강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밸러스트탱크(141)는 플랫폼(110)에 대해 승강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스토퍼(143)는 도 1과 같이 플랫폼(110)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스토퍼(143)는 지지부재(142)의 외측면에 대해 고정동작을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2스토퍼(143)는 대상물에 대해 클램핑 동작하는 통상의 클램프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2스토퍼(143)는 지지부재(142)의 수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100)은 제3구동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구동부(150)는 플랫폼(110)이 수면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밸러스트탱크(141)를 플랫폼(110)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2밸러스트탱크(141)는 플랫폼(110)을 수면 위로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플랫폼(110)에 대해 이격된 상태로 수면에 부유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랫폼(110)은 수면에 부유하는 제2밸러스트탱크(141)를 통해 파도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제2밸러스트탱크(141)를 플랫폼(110)측으로 이동시켜 수면 위로 상승시킴으로써, 작업 중 플랫폼(110)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제3구동부(150)는 와이어(151)와 윈치(152)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51)는 일단이 제2밸러스트탱크(141)와 연결되어 연장될 수 있다. 와이어(151)의 타단은 윈치(152)에 연결될 수 있다.
윈치(152)는 플랫폼(110)에 지지될 수 있다. 윈치(152)는 와이어(151)를 감거나 푸는 동작으로 제2밸러스트탱크(14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윈치(152)는 제2밸러스트탱크(141)를 플랫폼(110)측으로 이동시킬 때, 와이어(151)를 감는 동작을 할 수 있다. 또는 윈치(152)는 제2밸러스트탱크(141)가 플랫폼(110)에서 멀어질 때, 와이어(151)를 푸는 동작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구동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호이스트와 같이 제2밸러스트탱크를 플랫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100)은 제1밸러스트탱크(131) 및 제2밸러스트탱크(141)에 대한 밸러스트수의 유입 또는 배출을 위한 펌프(미도시) 및 배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100)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100)은 작업해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S100).
이때, 플랫폼(110)은 도 1과 같이 해상에서 부유하여 이동할 수 있다.
레그(120)는 도 1과 같이 플랫폼(110)에 대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고, 제1스토퍼(132)는 레그(120)에 대해 고정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레그(120)는 해양구조물(100)의 이동 과정에 해저면과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2밸러스트탱크(141)는 도 1과 같이 플랫폼(110)의 하단과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42)는 제2밸러스트탱크(141)를 지지하며 플랫폼(110)에 대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고, 제2스토퍼(143)는 지지부재(142)에 대해 고정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1밸러스트탱크(131) 및 제2밸러스트탱크(141)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해양구조물(100)의 이동 과정에 필요한 밸러스트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후,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100)이 작업해역에 도착한 경우, 제1구동부(130)는 밸러스트수를 이용하여 레그(120)를 해저면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S200).
이때, 제1밸러스트탱크(131)에는 밸러스트수가 유입되고, 제1스토퍼(132)는 레그(120)에 대해 고정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레그(120)는 도 2와 같이, 밸러스트수가 유입된 제1밸러스트탱크(131)의 자중에 의해 해상에 부유한 상태의 플랫폼(110)에 대해 하강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레그(120)는 해저면을 향해 이동하여, 해저면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레그(120)가 해저면에 지지되는 경우, 제1스토퍼(132)는 레그(120)에 대해 고정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레그(120)와 플랫폼(110) 사이 상대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후, 도 3 내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레그(120)가 해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2구동부(140)는 밸러스트수를 유입 또는 배출시켜 플랫폼(110)을 수면 위로 상승시킬 수 있다(S300).
이하, 플랫폼(110)이 수면 위로 상승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제2밸러스트탱크(141)에는 밸러스트수가 유입되고, 밸러스트수가 유입된 제2밸러스트탱크(141)는 자중에 의해 플랫폼(110)에 대해 하강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스토퍼(143)는 지지부재(142)에 대해 고정동작을 해제하고, 지지부재(142)는 제2밸러스트탱크(141)와 함께 플랫폼(110)에 대해 하강동작할 수 있다.
제2밸러스트탱크(141)가 플랫폼(110)에 대해 목적하는 위치로 하강한 경우, 제2스토퍼(143)는 지지부재(142)에 대해 고정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42)는 플랫폼(110)에 대한 하강동작이 중단되고, 제2밸러스트탱크(141)는 지지부재(142)에 지지되어 하강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이후, 도 4를 참조하면, 제2밸러스트탱크(141)는 플랫폼(110)에 대해 이격된 상태에서 밸러스트수를 배출하고, 플랫폼(110)은 밸러스트수가 배출된 제2밸러스트탱크(141)의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상승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밸러스트탱크(141)에 제공된 부력은 제2밸러스트탱크(14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42)를 통해 플랫폼(110)을 상승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밸러스트탱크(141)는 제2밸러스트탱크(141)에 제공되는 부력에 의해 플랫폼(110)에 대해 상승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승하는 제2밸러스트탱크(141)는 지지부재(142)를 통해 지지되는 플랫폼(11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스토퍼(143)는 지지부재(142)에 대해 고정동작을 유지하고, 제1스토퍼(132)는 레그(120)에 대해 고정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랫폼(110)은 도 4와 같이, 레그(120)가 해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2밸러스트탱크(141)에 제공된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상승할 수 있다.
플랫폼(110)이 수면에 대해 시추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높이로 상승한 경우, 제1스토퍼(132)는 레그(120)에 대해 고정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랫폼(110)은 수면 위로 상승한 상태에서 레그(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후, 도 5를 참조하면, 제3구동부(150)는 플랫폼(110)이 수면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밸러스트탱크(141)를 플랫폼(110)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밸러스트탱크(141)는 도 5와 같이 플랫폼(110)의 하단에 접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2밸러스트탱크(141)가 제3구동부(150)에 의해 플랫폼(110)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스토퍼(143)는 제2밸러스트탱크(141)가 이동하는 동안 지지부재(142)에 대해 고정동작을 해제하고, 제2밸러스트탱크(141)가 플랫폼(110)의 하단에 접한 경우 지지부재(142)에 대해 고정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밸러스트탱크(141)가 플랫폼(110)측으로 이동한 경우, 플랫폼(110)은 작업 중 파도 등에 의한 영향에도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100)은, 밸러스트수의 유입과 배출을 이용하여 레그(120)와 플랫폼(110) 사이 상대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레그(120)를 해저로 하강시키거나 플랫폼(110)을 수면 위로 상승시키는 과정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해양구조물
110: 플랫폼
120: 레그
130: 제1구동부
131: 제1밸러스트탱크
132: 제1스토퍼
140: 제2구동부
141: 제2밸러스트탱크
142: 지지부재
143: 제2스토퍼
150: 제3구동부
151: 와이어
152: 윈치
110: 플랫폼
120: 레그
130: 제1구동부
131: 제1밸러스트탱크
132: 제1스토퍼
140: 제2구동부
141: 제2밸러스트탱크
142: 지지부재
143: 제2스토퍼
150: 제3구동부
151: 와이어
152: 윈치
Claims (7)
- 플랫폼;
상기 플랫폼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그;
밸러스트수를 이용하여 상기 레그를 승강시키는 제1구동부; 및
상기 레그가 해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밸러스트수를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을 수면에 대해 승강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레그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밸러스트탱크; 및
상기 레그의 외측면에 대해 고정동작을 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플랫폼에 대한 상기 레그의 승강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플랫폼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밸러스트탱크;
상기 플랫폼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플랫폼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제2밸러스트탱크에 지지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에 대해 고정동작을 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플랫폼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의 승강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수면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밸러스트탱크를 상기 플랫폼측으로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제2밸러스트탱크와 연결되어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플랫폼에 지지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 제1항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양구조물이 작업해역으로 이동하는 (a)단계;
상기 제1구동부가 밸러스트수를 이용하여 상기 레그를 해저면으로 하강시키는 (b)단계; 및
상기 레그가 해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구동부가 밸러스트수를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을 수면 위로 상승시키는 (c)단계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제1밸러스트탱크에 밸러스트수가 유입되고, 상기 레그는 밸러스트수가 유입된 상기 제1밸러스트탱크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제2밸러스트탱크에 밸러스트수가 유입되고, 밸러스트수가 유입된 상기 제2밸러스트탱크가 자중에 의해 상기 플랫폼에 대해 하강하는 (c-1)단계; 및
상기 제2밸러스트탱크에서 밸러스트수가 배출되고, 상기 플랫폼이 밸러스트수가 배출된 상기 제2밸러스트탱크의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상승하는 (c-2)단계를 더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4443A KR101824526B1 (ko) | 2016-05-03 | 2016-05-03 | 해양구조물 및 이의 설치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4443A KR101824526B1 (ko) | 2016-05-03 | 2016-05-03 | 해양구조물 및 이의 설치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4721A KR20170124721A (ko) | 2017-11-13 |
KR101824526B1 true KR101824526B1 (ko) | 2018-02-01 |
Family
ID=6038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4443A KR101824526B1 (ko) | 2016-05-03 | 2016-05-03 | 해양구조물 및 이의 설치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452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5338B1 (ko) * | 2023-06-07 | 2024-03-08 | 롯데건설 주식회사 | 해저공간 플랫폼 승강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296873A1 (en) * | 2009-05-19 | 2010-11-25 | Gva Consultants Ab | Method for installing a topside module on an offshore support structure |
KR101459649B1 (ko) * | 2013-05-10 | 2014-11-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해상 지지구조물 설치를 위한 이중 부유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 시공 방법 |
-
2016
- 2016-05-03 KR KR1020160054443A patent/KR1018245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296873A1 (en) * | 2009-05-19 | 2010-11-25 | Gva Consultants Ab | Method for installing a topside module on an offshore support structure |
KR101459649B1 (ko) * | 2013-05-10 | 2014-11-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해상 지지구조물 설치를 위한 이중 부유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 시공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4721A (ko) | 2017-1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NL2005755C2 (en) | Floating marine structure. | |
KR102033794B1 (ko) | 해상 풍력 터빈용 토대, 그 해상 풍력 터빈 및 그 설치 방법 | |
KR101713850B1 (ko) | 길이조정이 가능한 레그를 갖는 잭업 리그 | |
KR101324602B1 (ko) | 스러스터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JP5119346B2 (ja) | 昇降式スラスタ装置 | |
KR101693231B1 (ko) | 가변 스퍼드 캔 | |
WO2013045640A1 (en) | A structure for offshore operation and a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floating structure | |
KR101864149B1 (ko) | 해양구조물 설치장비 | |
KR101665329B1 (ko) | 해양 작업 설치선의 레그 시스템 | |
JP2557740B2 (ja) | 鉛直係留式洋上浮遊プラットホームのテンドン緊張力導入方法 | |
KR101824526B1 (ko) | 해양구조물 및 이의 설치방법 | |
JP2020117067A (ja) | 船舶用の架台昇降装置 | |
CN106043607A (zh) | 固定码头自适应登船舷梯 | |
KR102037740B1 (ko) | 비상탈출용 구조대의 리트랙터블 플래폼을 구비한 잭업 리그 | |
KR20160112502A (ko) |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 |
KR101215590B1 (ko) | 풍력 발전기 설치작업 선박 | |
KR102006909B1 (ko) | 부유식 구조물의 크레인 시스템 | |
KR20130117171A (ko) | 탑 사이드 데크 콘 구조물 설치 방법 | |
KR20200137622A (ko) | 잭업 레그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 |
JP5321945B2 (ja) | 浮屋根式貯槽の改造方法 | |
KR102006923B1 (ko) | 스퍼드캔 플랫폼 유닛 및 이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 |
KR101683154B1 (ko) | 해양 구조물의 제작 방법 | |
KR101616837B1 (ko) | 계류장치 | |
JP5053181B2 (ja) | 脚付構造物の撤去方法 | |
KR101463756B1 (ko) | 잭업 바지의 승하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