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684B1 - 공기강하장치 - Google Patents

공기강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684B1
KR101134684B1 KR1020090072732A KR20090072732A KR101134684B1 KR 101134684 B1 KR101134684 B1 KR 101134684B1 KR 1020090072732 A KR1020090072732 A KR 1020090072732A KR 20090072732 A KR20090072732 A KR 20090072732A KR 101134684 B1 KR101134684 B1 KR 101134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round
propeller
flot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153A (ko
Inventor
이문희
Original Assignee
이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희 filed Critical 이문희
Priority to KR1020090072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68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2Tethered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20Rotorcraft characterised by having shrouded rotors, e.g. fly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3/00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64U50/14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ducted or shro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층부의 공기를 지면(地面)으로 강하시키기 위한 공기강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강하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도록 그 프로펠러에 연결된 구동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펠러 회전시 공중으로 상승되는 부양유니트 및 상기 프로펠러 회전시, 상기 부양유니트가 미리 정해진 고도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양 유니트를 붙잡아 두는 구속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강하, 프로펠러, 모터, 케이블, 권취기

Description

공기강하장치{Machine for pulling down air }
본 발명은 대기 상층부의 공기를 지면(地面)으로 끌어내리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대기 상층부의 공기를 지면으로 하강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체로,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공기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대기 상층부의 공기는 지면의 공기보다 온도가 낮다.
그런데, 지면에 인접한 대기의 온도는 지면에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지면의 온도가 낮아질 경우, 대기 상층부의 공기보다 지면의 공기의 온도가 더 낮아지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안개가 형성되거나, 역전층이 형성되기도 한다.
안개는 지면의 기온이 떨어지면서, 지면에 인접한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 아래로 떨어져,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안개는, 지면의 온도가 낮은 오전에 형성되기 쉽다. 안개가 형성되면 가시거리가 짧아지므로, 차량 또는 항공기와 같은 교통수단의 운행을 어렵게 한다. 특히, 공항에 안개가 발생할 경우, 항공기의 이착륙이 어려워지므로 항공기 운행에 큰 차질이 생기기도 한다.
역전층은 위쪽의 공기보다 아래쪽의 공기의 온도가 더 낮아져서, 상하방향으 로 공기의 유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공기층을 말하며, 이는 지면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서, 지면에 인접한 공기가 대기 상층부의 공기보다 온도가 낮아짐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역전층은 일출전에 지면에서 형성되고, 지면의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서,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역전층에서는 상하방향의 공기의 유동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역전층을 경계로 역전층의 위쪽에 위치한 공기와 역전층의 아래쪽에 위치한 공기는 서로 단절되어 섞이지 않게 된다. 즉, 역전층의 아래쪽에 위치한 공기는 역전층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고립되며, 지상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은 역전층의 아래쪽 공기에 계속 머물게 된다. 역전층이 형성되면, 지면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은 확산되어 퍼지지 못하므로, 지면의 대기오염이 심화된다.
지면 상에 오염물질이 많은 상태에서, 안개와 역전층이 함께 형성되면, 스모그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모그는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등 사람들의 건강을 심각하게 해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기 상층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지면으로 끌어내리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강하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도록 그 프로펠러에 연결된 구동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펠러 회전시 공중으로 상승되는 부양유니트 및 상기 프로펠러 회전시, 상기 부양유니트가 미리 정해진 고도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양유니트를 붙잡아 두는 구속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강하장치에 의하면, 지면에 인접한 공기보다 온도가 낮은 대기 상층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지면으로 끌어내림으로써 지면의 공기의 온도를 국지적으로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국지적으로 지면의 공기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지상의 생활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기 상층부의 공기는 지면의 공기에 비해서 오염도가 낮으므로, 대기 상층부의 공기를 지면으로 강제적으로 끌어내림으로써, 지면의 공기의 오염도를 국지적으로 낮출 수 있다.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면, 지면에 인접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확산되므로, 지면에 인접한 공기의 오염도가 낮아지는 효과도 있 다.
지면에 안개가 형성된 경우, 지면에 인접한 공기의 온도가 대기 상층부의 공기보다 온도가 낮고, 지면에 인접한 공기의 온도는 이슬점 이하가 된다. 이때, 지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대기 상층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지면으로 유동시키면, 지면에 인접한 공기가 이슬점 이상의 온도로 상승되어 국지적으로 안개가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공기강하장치를 공항에 설치할 경우, 공항 부근의 안개를 제거함으로써, 항공기의 원활한 운행에 큰 도움이 된다.
대기에 역전층이 형성되어,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공기강하장치를 사용하여 역전층의 위쪽의 공기를 끌어내리도록 하면, 역전층의 위쪽의 공기와 역전층의 아랫쪽의 공기가 서로 섞이게 된다. 따라서, 역전층의 발생에 의한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역전층과 안개가 동시에 형성되어 발생하는 스모그도 마찬가지로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2는 도1의 공기강하장치의 권취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공기강하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IV부분의 셀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는 도1의 공기강하장치가 도크에 수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는 부양유니트(10,20,30)와 구속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부양유니트(10,20,30)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배치되는 제1부양유니트(10), 제2부양유니트(20) 및 제3부양유니트(30)로 이루어져 있다. 각 부양유니트(10,20,30)는 프레임(100), 프로펠러(200) 및 구동원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1)는 구동원으로써, 모터(3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복수의 셀(110)이 평면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복수의 부양유니트(10,20,30) 중에서 아래에 위치한 것일수록, 부양유니트(10,20,30)의 프레임(100)은 많은 셀(110)을 포함한다. 즉, 제1부양유니트(10)의 프레임(100)이 가장 적은 수의 셀(110)로 이루어져 있고, 제3부양유니트(30)의 프레임(100)이 가장 많은 수의 셀(110)로 이루어져 있다. 각 셀(110)의 크기는 동일하므로, 프레임(100)의 크기도 제1부양유니트(10), 제2부양유니트(20), 제3부양유니트(30)의 순으로 커진다. 프레임(100)은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소재,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탄소섬유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110)은 프레임(100)을 이루는 단위요소로써, 상하로 연통되는 연통구(118)를 구비하며, 연통구(118)의 내부 공간은 6각형의 단면을 가진다. 셀(110)의 연통구(118)의 윗면에는 모터(300)가 고정 설치되도록 모터안착부(112)가 마련되며, 모터안착부(112)는 지지부재(114)에 의해 셀(110)에 고정된다.
셀(110)의 연통구(118)의 둘레에는 케이블(400)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구(116)가 형성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셀(110)은 제2부양유니트(20)의 프레 임(100)에 형성된 셀(110)이며, 제1부양유니트(10)에서 내려오는 케이블(400)이 이 셀(110)의 복수의 관통구(116) 중의 하나를 관통하여 지면(50)과 연결된다.
각 셀(110)에는 프로펠러(200)와 상기 프로펠러(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300)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모터(300)는 연통구(118)의 윗면의 모터안착부(112)에 고정되며, 모터(300)의 회전축에는 프로펠러(20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프로펠러(200)는 각 셀(110)의 연통구(118) 내에 설치되며, 모터(300)의 회전축의 단부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각 셀(110)당 하나의 프로펠러(200)가 설치되므로, 프레임(100)에는 복수 개의 프로펠러(200)가 설치되고, 각 프로펠러(200)의 회전중심선(210)은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다.
부양유니트(10,20,30)에 설치된 복수 개의 프로펠러(200)가 회전하면, 프로펠러(200)는 양력을 받게 되고, 공기를 하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프로펠러(200)는 부양유니트(10,20,30)의 중량보다 큰 양력을 발생시키도록 충분한 회전속도를 가지며, 부양유니트(10,20,30)를 위쪽으로 상승시킨다. 이 과정에서, 부양유니트(10,20,30)는 그 위쪽에 위치한 공기를 빨아들여 지면(50) 쪽으로 밀어낸다.
상기 구속수단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4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블(400)은 부양유니트(10,20,30)와 지면(50)을 연결하며, 프로펠러(200)의 회전시, 부양유니트(10,20,30)가 미리 정해진 고도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부양유니트(10,20,30)를 붙잡아 두는 역할을 한다. 또한, 케이블(400)은 모터(3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미도시)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모터(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은 지면(50)에 위치한 전원부(미도시)에 연결된다.
케이블(400)의 일측은 부양유니트(10,20,30)에 연결되고, 타측은 지면(50)에 설치된 권취기(500)에 연결된다. 제1부양유니트(10)에 연결된 케이블(400)은 제2부양유니트(20)에 형성된 관통구(116)와 제3부양유니트(30)에 형성된 관통구(116)를 통과하여, 권취기(500)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2부양유니트(20)에 연결된 케이블(400)도 제3부양유니트(30)에 형성된 관통구(116)를 통과하여, 권취기(500)에 연결된다.
케이블(400)은 도크(60)에 설치된 권취기(500)에 연결됨으로써, 부양유니트(10,20,30)와 지면(50)을 연결한다. 도크(60)는 지면(50)에 옴폭하게 형성되므로, 도크 바닥면(62)은 지면(50)보다 낮게 된다. 권취기(500)는 도크 바닥면(62)에 설치된다.
권취기(500)의 위쪽에는 부양유니트(10,20,30)가 안착되는 안착대(64)가 설치되어 있다. 안착대(64)는 도크(60)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부양유니트(10,20,30)와 권취기(500)에 연결된 케이블(400)이 통과하는 관통구(6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권취기(500)는 케이블(400)을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부양유니트(10,20,30)의 고도를 조절한다. 권취기(500)는 케이블(400)이 감기는 릴(510)과, 릴(510)을 회전시키는 권취모터(540)를 구비한다. 릴(510)은 릴지지대(512)에 의해서 도크 바닥면(62)에 고정되며, 릴(510)의 회전축상에는 웜기어(520)가 설치되어 있다. 권취모터(540)는 권취모터 지지대(542)에 의해서, 도크 바닥면(62)에 고정되 고, 권취모터(540)의 모터축에는 웜(530)이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웜(530)은 웜기어(520)와 결합되며, 웜(530)에 의해서 웜기어(520)가 회전된다. 따라서, 웜(530)이 회전되면, 릴(510)에 케이블(400)이 감기거나 풀어지게 된다. 웜(530)이 정지하면, 웜기어(520)도 정지하므로, 릴(510)의 회전이 멈추어 진다. 웜(530)이 일단 정지되면, 케이블(500)에 장력 걸리더라도, 웜기어(520)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릴(510)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1)는 유동안내부재(600)를 구비한다. 유동안내부재(600)는 제1 내지 제3부양유니트(10,20,30)에 각각 아래쪽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아래쪽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부양유니트(10,20,30)가 공중에 떠 있는 경우, 유동안내부재(200)는 복수의 케이블(400)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설치되며, 케이블(500)에 의해서 지지됨으로써, 원통형의 형태가 유지된다. 유동안내부재(200)는 프로펠러(200)에 의해 밀려난 공기가 지면(50)쪽으로 유동되도록,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한편, 부양유니트(10,20,30)가 도크(60)에 수납될 때, 유동안내부재(200)가 접혀질 수 있도록, 유동안내부재(200)는 천과 같이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동안내부재(200)는 필요에 따라 부양유니트(10,20,30)에 설치 및 분리될 수 있도록, 부양유니트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1)의 작동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5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1)는 작동하지 않을 때에, 부양유니트(10,20,30)는 도크(60)에 수납된다.
공기강하장치(1)를 도1에 도시된 형태로 부양유니트(10,20,30)를 공중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먼저 제1부양유니트(10)에 설치된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여 프로펠러(200)를 회전시킨다. 프로펠러(200)가 회전하면, 양력에 의해서, 제1부양유니트(10)는 공중으로 떠오르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권취기(500)의 권취모터(540)을 동작시켜, 릴(510)을 회전시킴으로써 케이블(400)을 서서히 풀어준다.
케이블(400)이 풀리면서, 제1부양유니트(10)는 공중으로 떠오르게 된다. 제1부양유니트(10)는 미리 정해진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권취모터(540)의 동작을 정지하여, 제1부양유니트(10)가 공중에 머물도록 한다. 제1부양유니트(10)가 공중으로 떠오르면서, 제1부양유니트(10)에 설치된 유동안내부재(600)는 펴지게 된다.
제1부양유니트(10)는 공중에 머물면서 제1부양유니트(10)의 위쪽에 위치한 공기를 빨아들여, 하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제1부양유니트(10)가 공중에 머물고 있는 상태에서, 제2부양유니트(20)의 프로펠러(200)를 회전시키고, 제2부양유니트(20)에 연결된 케이블(400)을 서서히 풀어주면서, 제2부양유니트(20)도 공중에 띄워둔다. 제2부양유니트(20)를 공중에 띄워둔 상태에서, 제3부양유니트(30)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공중에 띄운다.
부양유니트(10,20,30)간의 상하 간격은 제1부양유니트(10)가 빨아들인 대기 상층부의 공기가, 제2부양유니트(20)와 제3부양유니트(30)를 거쳐서, 지면(50)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적절히 조정된다. 한편, 부양유니트(10,20,30)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난 공기는 아래로 이동하면서 수평방향으로 퍼지게 되는데, 아래쪽에 위치한 부양유니트를 더 크게 함으로써, 공기가 하강하면서 수평적으로 퍼지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지상으로 끌어내릴 수 있다.
제1 내지 제3부양유니트(10,20,30)의 상승 고도는 대기의 상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정해지며,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1)를 사용하여, 대기 상층부의 차가운 공기를 지상으로 끌어내리고자 할 경우, 지상의 공기보다 충분히 차가운 공기가 있는 높이까지 제1부양유니트(10)를 위치시키고, 그 아래쪽으로 제2 및 제3부양유니트(20,30)를 위치시켜 제1부양유니트(10)가 끌어내린 공기가 지면(50)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부양유니트(10,20,30)가 케이블(400)에 의해 구속되며, 공중에 머물고 있는 상태에서, 프로펠러(200)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 부양유니트(10,20,30)는 하방으로 공기를 더욱 세게 밀어내게 되어, 대기 상층부의 공기를 더욱 세게 지면(50)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부양유니트(10,20,30)는 더 큰 상승력을 받으므로 수평방향의 움직임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대기 상층부의 공기를 지면(50)으로 하강시키게 되면, 대기 상층부의 공기는 온도가 낮으므로, 지면(50)의 공기의 기온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으며, 국지적으로 공기의 상하 흐름을 만들어주게 되므로, 대기 상층부와 지면(50)의 공기가 서로 섞이게 되면서, 지면(50)에 인접한 공기의 오염물질이 확산된다. 따라서, 지면(50)의 공기의 오염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대기에 역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지면(50)의 공기와 역전층의 위쪽의 대기가 서로 격리되어, 지면(50)에 인접한 공기의 오염이 심각해지는 경우 가 많은데,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1)가 역전층의 위쪽의 공기를 끌어내릴 수 있도록, 부양유니트(10,20,30)를 역전층의 위쪽에서부터 지면(50)쪽으로 차례로 배치시키면, 역전층의 위쪽의 공기와 지면(50)에 인접한 공기를 섞어 줌으로써, 지면(50)에 인접한 대기의 오염을 국지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역전층은 지면(50)에서 형성된 이후에, 점차적으로 상승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1)에 의하면, 역전층이 상승함에 따라서, 부양유니트(10,20,30)를 함께 상승시킴으로써, 역전층이 상승하더라도, 역전층 위쪽의 대기를 지면쪽으로 끌어내릴 수 있다.
한편, 지면(50)의 온도가 내려가면, 지면(50)에 인접한 공기의 온도도 내려가는데, 그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그 공기가 포함하고 있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안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지면(50)의 공기의 온도에 비해서 대기 상층부의 온도가 더 높아지기도 한다. 이때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1)를 이용하여, 안개가 형성된 공기층 위쪽의 공기를 지면(50)으로 끌어내리면, 지면(50)의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어, 안개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1)를 공항주변에 설치하면, 공항에 안개가 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공항 항공기가 안전하고 원활하게 운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대기 상층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지면(50)으로 이동하고 있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1)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 또는 악천후로 인해서 본 실시예 에 따른 공기강하장치(1)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부양유니트(10,20,30)를 서서히 하강시켜 도크(60)에 수납시킨다. 이때, 먼저 제3부양유니트(30)를 서서히 하강시켜 도크(60)의 안착대(64)에 안착시킨 후, 제2부양유니트(20), 제1부양유니트(10)의 순으로 도크(60)로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1)를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부양유니트(10,20,30)를 도크(60)에 수납하여 둔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1)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2)는 부양유니트(12)의 둘레에 튜브(700)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블(400)이 부양유니트(12)와 지면(50)을 경사지게 연결하되, 지면(50)으로 벌어지면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양유니트(12)도 프로펠러(200), 모터(300)가 각각 설치된 복수의 셀(110)로 이루어진 프레임(100)으로 이루어져 있다. 프로펠러(200)가 회전중심선(21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에 따라서, 부양유니트(12)가 공중으로 뜨게 된다.
부양유니트(12)에 둘레에 설치된 튜브(700)의 내부공간(710)에는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가 채워져 있어서, 부양유니트(12)가 더욱 쉽게 뜰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부양유니트(12)를 띄우기 위하여 모터(30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2)의 각 부양유니트(12)에는 케이블(400)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케이블(400)은 부양유니트(12)와 지상(50)에 설치된 권취기(500)를 연결하며, 부양유니트(12)에서 지상으로 내려갈수록,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블의 설치구조는 바람에 의해서 부양유니트(12)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감소시키므로, 부양유니트(12)가 더욱 안정적으로 공중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강하장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2)와 같이, 각 부양유니트(12)의 크기가 동일할 수도 있고, 도크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프로펠러(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써, 모터(300)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프로펠러(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써, 엔진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엔진이 사용될 경우, 엔진을 구동시키기 위한 연료는 연료공급관을 통해서 지상으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고, 부양유니트(10,20,30,12)에 연료탱크가 직접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구속수단으로써, 케이블(400)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속수단은 다단으로 접철되어 연장 및 단축이 가능한 폴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강하장치(1,2)는 부양유니트를 복수 개 구비하고 있으나, 낮은 고도에 위치한 공기를 지면(50)으로 끌어내리고자 하는 경우 등에는 하나의 부양유니트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부양유니트(10,20,30,12)의 셀(110)은 6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셀(110)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강하장치(1,2)의 모터(300)는 각 셀(110)의 연통구(118)의 위쪽에 설치되고, 프로펠러(200)가 모터(300)의 아래쪽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모터(300)가 각 셀(110)의 연통구(118)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프로펠러(200)가 모터(300)의 위쪽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공기강하장치의 권취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공기강하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IV부분의 셀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도1의 공기강하장치가 도크에 수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공기강하장치 10,20,30 ... 부양유니트
50 ... 지면 60 ... 도크
100 ... 프레임 110 ... 셀
200 ... 프로펠러 300 ... 모터
400 ... 케이블 500 ... 권취기
600 ... 유동안내부재

Claims (7)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도록 그 프로펠러에 연결된 구동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펠러 회전시 공중으로 상승되는 부양유니트 및
    상기 프로펠러 회전시, 상기 부양유니트가 미리 정해진 고도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양유니트를 붙잡아 두는 구속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은,
    평면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셀을 구비하되, 상기 각 셀은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고 그 연통되는 공간의 단면이 6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의 각각은,
    상기 각 셀의 상기 연통 공간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의 회전중심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강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부양유니트와 지면(地面)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강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유니트의 고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강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유니트는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각 부양유니트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강하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은 상기 각 프로펠러에 대응되도록 상기 각 셀의 연통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강하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시, 그 프로펠러에 의해 밀려난 공기가 하방으로 유동되는 것이 안내되도록, 상기 부양유니트에 설치된 유동안내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강하장치.
KR1020090072732A 2009-08-07 2009-08-07 공기강하장치 KR101134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732A KR101134684B1 (ko) 2009-08-07 2009-08-07 공기강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732A KR101134684B1 (ko) 2009-08-07 2009-08-07 공기강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153A KR20110015153A (ko) 2011-02-15
KR101134684B1 true KR101134684B1 (ko) 2012-04-09

Family

ID=4377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732A KR101134684B1 (ko) 2009-08-07 2009-08-07 공기강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6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118B1 (ko) * 2014-03-21 2014-12-11 이문희 공기 정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245B1 (ko) * 2015-05-20 2023-05-02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드론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38809A1 (ja) 2015-09-04 2017-03-09 株式会社プロドローン 滞空位置制御装置
CN109606611B (zh) * 2018-12-12 2021-11-30 江苏翔龙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可缠绕电线的机臂缩入式无人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857Y1 (en) 1997-11-28 2000-01-15 Lg Electronics Inc Mounting unit of fan motor in air conditioner
JP2002205693A (ja) * 2001-01-12 2002-07-23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定点係留飛行船
JP2003212191A (ja) 2002-01-25 2003-07-30 Kazuhiro Toida 水陸両用多回転翼式航空機
US20060226281A1 (en) * 2004-11-17 2006-10-12 Walton Joh-Paul C Ducted fa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857Y1 (en) 1997-11-28 2000-01-15 Lg Electronics Inc Mounting unit of fan motor in air conditioner
JP2002205693A (ja) * 2001-01-12 2002-07-23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定点係留飛行船
JP2003212191A (ja) 2002-01-25 2003-07-30 Kazuhiro Toida 水陸両用多回転翼式航空機
US20060226281A1 (en) * 2004-11-17 2006-10-12 Walton Joh-Paul C Ducted fa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118B1 (ko) * 2014-03-21 2014-12-11 이문희 공기 정화 장치
CN104923009A (zh) * 2014-03-21 2015-09-23 李文熙 空气净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153A (ko) 201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684B1 (ko) 공기강하장치
BRPI0609162A2 (pt) balão cativo móvel em uma torre
KR101496962B1 (ko) 풍력발전기 유지보수용 플랫폼
US20050139141A1 (en) Self-adjusting watercraft canopy
JP2008510909A (ja) 展望タワー
EP2761175B1 (en) Wind generator comprising a floating support platform
KR101616385B1 (ko) 풍력발전기의 유지보수용 작업대
KR20150000170A (ko)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
JP5723369B2 (ja) 保守が容易な液圧式のタービンエンジン
KR20170107629A (ko) 해양구조물 설치장비
CN106139432B (zh) 高空救生装置
CN211667690U (zh) 一种便于安装与维护的路灯安装装置
KR100711860B1 (ko) 가스 저장탱크 내부 정비 방법 및 그 장치
KR101645986B1 (ko)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
WO2018176916A1 (zh) 一种自升式海上休闲度假平台
FR2697227A1 (fr) Ascenseur à ballon.
KR101471118B1 (ko) 공기 정화 장치
KR101587184B1 (ko) 승강식 조명타워
KR100909904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케이지
CN217980684U (zh) 一种升降水箱
KR100517326B1 (ko) 상 하향 수직구동식 현수막 게시 장치
KR101284855B1 (ko) 가변수심수영장
CN218001311U (zh) 一种升降式高杆灯
KR101349992B1 (ko) 수중 관람 및 체험용 잠수정의 추진장치
CN2264225Y (zh) 具有透明泳池的组合游泳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