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332B1 -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 - Google Patents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332B1
KR100942332B1 KR1020070104627A KR20070104627A KR100942332B1 KR 100942332 B1 KR100942332 B1 KR 100942332B1 KR 1020070104627 A KR1020070104627 A KR 1020070104627A KR 20070104627 A KR20070104627 A KR 20070104627A KR 100942332 B1 KR100942332 B1 KR 100942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sidence
ship
residenti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9153A (ko
Inventor
김영근
김병준
진민종
이덕중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4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332B1/ko
Publication of KR20090039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18Detachable decks
    • B63B25/20Detachable decks for motor vehi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2Galle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를 복층의 대형 단일블록으로 제작하여 선박의 뒤편에 배치함으로써 대형 크레인으로 한번에 전체블록을 운반하여 본선탑재가 가능한 거주구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에 있어서, 거주구의 고유 기능 및 선원의 등급에 따라 거주구 블록(10)을 구비하며, 상기 거주구 블록(10)은 복층의 대형 단일블록으로 제작하여 선박의 뒤편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주구 블록이 복층이어서 블록 제작을 필요한 공간이 작게 요구되었으며, 블록의 본선 탑재시 단일블록으로 인하여 적은 인력 및 장비가 가능하여 선박건조 공정이 단축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이 단일화되어 조립에 따른 블록품질이 향상되었으며, 거주구 블록에 바람의 영향을 안받는 관계로 선속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자동차 운반선, 거주구 블록, 복층

Description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Accommodation block of car carrier ships}
본 발명은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를 복층의 대형 단일블록으로 제작하여 선박의 뒤편에 배치함으로써 대형 크레인으로 한번에 전체블록을 운반하여 본선탑재가 가능한 거주구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전용 운반선은 다층계의 차량갑판을 가지며, 각 층계의 차량갑판 상에 다수의 자동차를 적재하게 된다. 이러한 운반선 중에는 8천대 정도의 자동차를 적재할 수 있는 것도 있다.
현재 대부분의 자동차전용 운반선은 선원들이 거주할 수 있는 거주구가 단층으로 배치되어 선박 건조시 몇 개의 소조립블록으로 제작하여 최종 본선 탑재시 여러 번의 조각탑재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 조각블록간의 변형, 제작치수 차이 등으로 인해 최종 탑 재시 블록연결이 정확치 않고 여러 블록탑재의 번거로움이 있어 선박조립에 많은 시간과 장비가 필요하여 선박건조가격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운반선은 갑판상의 거주구 블록(1)이 단층구조로 되어 있으며, 전 승무원이 거주하는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넓은 단층의 단일 블록으로 제작할 수 밖에 없었다.
이때, 상기 거주구 블록(1)에는 사관급 선원실과 일반 선원실로 구분되는 선실; 식당과 사무실 및 식량보관실로 구분되는 공공거주구; 및 전체 거주구로 나뉘어져 있다.
상기 선실의 사관급 선원실은 거주구 전반부에 배치되고, 일반 선원실은 선원실 후반부에 배치되었다. 상기 공공거주구의 식당은 거주구 중앙부나 제한적 측면에 배치되었으며, 사무실은 식당을 제외한 공간에 배치되었으며, 식량보관실은 거주구 중앙부에 배치되었다. 상기 전체 거주구는 단층의 여러 블록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거주구 블록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거주구 블록이 단층이어서 블록 제작을 위한 넓은 공간확보가 필요하였다.
둘째, 블록의 본선 탑재시 여러 블록으로 인하여 많은 인력 및 장비가 필요하여 선박건조 공정이 많이 소요되었다.
셋째, 블록조립시 블록간 틈새 및 단차가 발생하여 블록품질이 떨어지게 되 었다.
넷째, 거주구 블록과 대항하는 바람의 영향으로 선속 저하의 원인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를 복층의 대형 단일블록으로 제작하여 선박의 뒤편에 배치함으로써 대형 크레인으로 한번에 전체블록을 운반하여 본선탑재가 가능하도록 하여 선가절감 및 탑재 정도를 향상시키는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에 있어서, 거주구의 고유 기능 및 선원의 등급에 따라 선실이 구분되는 거주구 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거주구 블록은 복층의 대형 단일블록으로 제작하여 선미부에서 화물창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한 갑판 영역까지 점유하는 공간에 걸쳐 배치하고, 상기 거주구 블록의 최상부는 갑판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을 제시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해당 거주구를 기 능 및 선원의 등급에 따라 구분하여 복층의 대형 단일블록으로 제작하여 선박의 뒤편에 배치함으로써 거주구 블록이 복층이어서 블록 제작을 필요한 공간이 작게 요구되었으며, 블록의 본선 탑재시 단일블록으로 인하여 적은 인력 및 장비가 가능하여 선박건조 공정이 단축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이 단일화되어 조립에 따른 블록품질이 향상되었으며, 거주구 블록에 바람의 영향을 안 받는 관계로 선속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거주구 블록(10)을 거주구의 고유 기능 및 선원의 등급에 따라 적절히 구분하여 복층의 대형 단일블록으로 제작하여 선체의 선미부에서 차량을 적재하는 공간에 해당하는 화물창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한 갑판 영역에 이르기까지 점유하는 공간에 걸쳐 배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거주구 블록(10)의 최상부 높이는 갑판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대형 크레인을 이용하여 한번에 상기 거주구 블록(10) 전체를 운반하여 본선탑재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거주구 블록(10)은 선박에서 선원들이 거주하는 장소로서 선체의 선미부에 위치하면서 최상부의 높이가 갑판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관계로 선박 진행시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연료를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거주구 블록(10)은 선체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선박의 정면에서 투영되는 정면적을 감소시켜 운항중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켜 선박의 속도 증가 내지 연료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거주구 블록(10)의 구조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종 래의 거주구 블록(1)과는 위치 변동의 차이가 있다.
즉, 상기 거주구 블록(10)은 사관급 선원실과 일반 선원실로 구분되는 선실; 식당과 사무실 및 식량보관실로 구분되는 공공거주구; 및 전체 거주구로 나뉘어져 있으며, 해당 거주구의 기능 및 선원의 등급에 따라 위치가 구분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에서는 상기 거주구 블록(10)의 상세 위치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와 같이 거주구의 고유 기능 및 선원의 등급에 따라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선실의 사관급 선원실은 거주구 최상층에 배치되고, 일반 선원실은 거주구 하위층에 배치되었다. 상기 공공거주구의 식당은 선원실 하부에 배치되었으며, 사무실은 선실과 식당을 제외한 공간에 배치되었으며, 식량보관실은 거주구 중앙부에 배치되었다. 상기 전체 거주구는 복층의 단일 블록으로 제작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거주구 블록(10) 구조를 선체의 선미부에서 차량의 적재를 위한 화물창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한 갑판 영역까지 점유하는 공간에 걸쳐 배치하며, 복층의 대형 단일블록으로 제작함으로써 선가 절감 및 탑재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거주구 블록(10)이 복층의 대형 단일블록으로 제작됨에 따라, 본선의 탑재시 대형 크레인 설비를 이용하여 한번에 옮길 수 있으므로 선박의 제조공정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블록이 단일화되어 조립됨에 따라 블록의 품질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 거주구 블록

Claims (2)

  1.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에 있어서,
    거주구의 고유 기능 및 선원의 등급에 따라 선실이 구분되는 거주구 블록(10)을 구비하며, 상기 거주구 블록(10)은 복층의 대형 단일블록으로 제작하여 선미부에서 화물창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한 갑판 영역까지 점유하는 공간에 걸쳐 배치하고, 상기 거주구 블록(10)의 최상부는 갑판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 블록(10)은 선실의 사관급 선원실은 거주구 최상층에 배치되고, 일반 선원실은 거주구 하위층에 배치되며; 공공거주구의 식당은 상기 선원실 하부에 배치되고, 사무실은 선실과 식당을 제외한 공간에 배치되며, 식량보관실은 거주구 중앙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
KR1020070104627A 2007-10-17 2007-10-17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 KR100942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627A KR100942332B1 (ko) 2007-10-17 2007-10-17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627A KR100942332B1 (ko) 2007-10-17 2007-10-17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153A KR20090039153A (ko) 2009-04-22
KR100942332B1 true KR100942332B1 (ko) 2010-02-12

Family

ID=4076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627A KR100942332B1 (ko) 2007-10-17 2007-10-17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3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5525A (en) * 1995-10-04 2000-08-22 Rapeli; Pekka Unit cargo ship
JP2002037180A (ja) 2000-07-28 2002-02-06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運搬船
KR20050041858A (ko) * 2003-10-31 2005-05-04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선박
US20050193937A1 (en) 2004-03-03 2005-09-08 Freelund Avrum A. Multi-mode ship for transporting vehi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5525A (en) * 1995-10-04 2000-08-22 Rapeli; Pekka Unit cargo ship
JP2002037180A (ja) 2000-07-28 2002-02-06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運搬船
KR20050041858A (ko) * 2003-10-31 2005-05-04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선박
US20050193937A1 (en) 2004-03-03 2005-09-08 Freelund Avrum A. Multi-mode ship for transporting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153A (ko)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1663B (zh) 船舶上层建筑
JP5323918B2 (ja) クルーズ船のための船室組み立て構成体
JPH0431918B2 (ko)
CN101263049B (zh) 用于安装较大飞行器窗户的窗户结构
KR20120002537U (ko) 선박의 거주구 구조
KR101283799B1 (ko) 부유 구조물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건조체
KR100942332B1 (ko) 자동차전용 운반선의 거주구 블록
JP5670348B2 (ja) 浮体構造物または船舶等
WO2017090357A1 (ja) 海洋構造物における居住区構造体、海洋構造物、海洋構造物における居住区構造体の建造方法、海洋構造物の建造方法、海洋構造物における居住区構造体の設計方法、及び、海洋構造物の設計方法
KR20120037588A (ko) 선박의 모듈형 거주구
KR101956673B1 (ko) 드릴쉽의 구명보트용 배치 및 탑승 영역 배치 구조
KR20130117317A (ko) Vsat 안테나 설치를 위한 선박의 탑 데크 구조
KR101271137B1 (ko) 선박의 데크하우스 배치구조
JP5314694B2 (ja) クルーズ船上で改善した船客快適設備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202828019U (zh) 用于船舶上的游泳室
KR20120109129A (ko) 선박의 모듈러 캐빈 탑재방법
KR20180063653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
FR2609443A1 (fr) Structure d&#39;agencement de cabines de passagers, et son procede de realisation
KR102027209B1 (ko) 구조물 설치용 선박
KR20160089908A (ko) 보이드 스페이스에 데크 탱크를 구비한 엘피지선
CN203832701U (zh) 一种船舶上的环形大厅
CN116985987A (zh) 一种大开口货舱二氧化碳系统布置设计方案
JP4469220B2 (ja) 板状住宅
CN104802943B (zh) 一种大型餐饮趸船
WO2024086225A1 (en) Modular ship cab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