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044B1 -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 - Google Patents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044B1
KR100942044B1 KR1020080045379A KR20080045379A KR100942044B1 KR 100942044 B1 KR100942044 B1 KR 100942044B1 KR 1020080045379 A KR1020080045379 A KR 1020080045379A KR 20080045379 A KR20080045379 A KR 20080045379A KR 100942044 B1 KR100942044 B1 KR 100942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groove
cutlery
length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379A (ko
Inventor
김옥자
Original Assignee
김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자 filed Critical 김옥자
Priority to KR1020080045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04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7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dehumidifying, dewatering or d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저와 젖가락을 보관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되, 상기 케이스몸체에는 장치된 수저와 젖가락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파지홈부와, 물기/습기가 있는 수저나 젖가락이 장치될 경우 물기/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배출구멍을 형성하고, 케이스 바닥면에는 미끄럼방지수단을 상부면에는 오목홈을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몸체를 여러층으로 적층시킬 경우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이 상기 오목홈에 삽설되어 서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스 내부를 용이하게 건조시켜 줌으로써 위생적으로 수저와 젖가락을 보관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수저, 젖가락, 보관케이스, 수저받침대, 젖가락받침대

Description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The Case of Spoon and Chopsticks}
본 발명은 수저와 젖가락을 보관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스 내에 장치된 수저와 젖가락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물기/습기가 있는 수저나 젖가락이 장치될 경우 물기/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케이스 내부를 용이하게 건조시켜 줌으로써 위생적으로 수저와 젖가락을 보관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케이스몸체를 여러층으로 쌓을 경우 서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수저와 젖가락을 보관하는 케이스로는 주로 학생들이 도시락 지참시 함께 휴대하는 휴대용케이스와, 일반 생산업체나 판매업체 등에서 수저와 젖가락을 한세트 이상 보관하여 판매 유통되는 유통용케이스로 대별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유통용케이스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에는 수저(51)와 젖가락(52)을 수납할 수 있는 수저보관홈(53)과 젖가락보관홈(54)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저(51)와 젖가락(52)을 거치하여 지지할 수 있는 거치대(55)가 구비된 몸체(50)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몸체(50)를 케이스에 수납하여 보관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저보관홈(53)은 수저의 둥근 부분이 수납되도록 수저의 둥근형상과 동일하게 되면서 그 크기는 수저(51)를 충분히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거치대(55)에는 상기 수저(51)와 젖가락(52)의 손잡이 부분이 삽설되어 고정되는 끼움홈(56)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통용케이스는 상기 수저보관홈(53)과 거치대(55)의 끼움홈(56)을 이용하여 수저(51)를 장치하고, 상기 젖가락보관홈(54)과 거치대(55)의 끼움홈(56)을 이용하여 젖가락(52)을 장치한 다음 케이스에 수납하여 보관 관리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수저와 젖가락은 케이스 내부에 보관된 상기 몸체에서 이들을 꺼내(탈거)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통용케이스는 케이스 뚜껑을 열고 상기 몸체(50)에 장치되어 있는 수저와 젖가락을 탈거하여 사용하면 되는데, 이때 상기 수저(51)와 젖가락(52)을 상기 거치대(55)의 끼움홈(56)에서 분리하여 빼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고, 이 경우 상기 몸체(50)는 앞·뒤 높이가 서로 달라 여러 층으로 쌓아 보관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물기나 습기가 묻어 있는 수저와 젖가락을 보관하는 경우 케이스 내부에 습기가 발생되어 위생적으로 매우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관케이스 내부에 수저와 젖가락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파지홈을 구비하고, 보관케이스의 바닥면에 미끄럼 방지수단을 구비하여 적층된 케이스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물기 배출구멍을 형성하여 케이스의 내부 건조가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스몸체를 다수층으로 적층시켜 좁은 공간에다량으로 많은 양을 보관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저(11)와 젖가락(12)을 장치(藏置)하는 케이스몸체(13)와, 상기 케이스몸체(13)에 장치된 상기 수저(11)와 젖가락(12)을 보호하는 몸체뚜껑(14)으로 구성되되;
상기 케이스몸체(13)의 상부면에는 상기 수저(11)를 장치하는 둥근홈부(110)와 길이홈부(111), 상기 젖가락(12)을 장치하는 길이홈부(121) 및 상기 몸체뚜껑(14)의 돌기부(20)가 삽설되는 뚜껑고정홈(19)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몸체(13)의 하부면에는 적층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수단(18)이 구비되며,
상기 둥근홈부(110)의 바닥에는 상기 케이스몸체(13)의 측면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둥근홈부(110)에서 생성된 물이나 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된 물/습기 배출구멍(1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젖가락(12)을 장치하는 상기 길이홈부(121)의 한쪽 끝단에는 상기 케이스몸체(13)의 측면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길이홈부(121)에서 생성된 물이나 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된 물/습기 배출구멍(16)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홈부(111,121)에는 상기 수저(11)와 젖가락(12)을 파지하여 꺼낼 수 있도록 상기 길이홈부(111,121)와는 직각되게 형성되되 깊이가 더욱 깊게 형성된 파지홈부(17)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는 케이스몸체에 파지홈부를 형성하면서 물기/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배출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케이스 바닥면에는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수저와 젖가락을 용이하게 케이 스로부터 탈거할 수 있고, 케이스를 다층으로 적층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 좁은 공간에 많은 양을 쌓을 수 있으며 또 케이스 내부를 용이하게 건조시켜 줌으로써 매우 위생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보관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의 사시상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케이스에 수저와 젖가락이 보관된 케이스몸체를 여러 단으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케이스에 수저와 젖가락이 보관된 케이스몸체에 뚜껑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케이스에 수저와 젖가락이 보관된 케이스몸체를 2단으로 적층된 상태의 측면도와<5a> 뚜껑이 구비된 상태의 측면도<5b>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저(11)와 젖가락(12)을 장치(藏置)하는 케이스몸체(13)와 상기 케이스몸체(13)에 장치된 상기 수저(11)와 젖가락(12)을 보호하는 몸체뚜껑(14)으로 구성되되;
상기 케이스몸체(13)에는 상기 수저(11)를 장치하는 둥근홈부(110)와 길이홈부(111) 및 상기 젖가락(12)을 장치하는 길이홈부(12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저(11)를 장치하는 상기 둥근홈부(110)의 바닥에는 상기 수저(11)를 세척하여 장치하는 경우 물기/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보관케이스(10) 내부를 신속하게 건조시켜 유해 미생물 등이 번식하지 못하도록 하여 위생적인 관리기 가능하게 하는 물/습기 배출구멍(15)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배출구멍(15)은 상기 둥근홈부(110)에서부터 상기 케이스몸체(13)의 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둥근홈부(110)에서 생성된 물이나 습기가 외부로 자연스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젖가락(12)을 장치하는 상기 길이홈부(121)의 한쪽 끝단에도 물/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멍(16)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멍(16) 또한 상기 둥근홈부(110)에 형성된 상기 물/습기 배출구멍(15)과 같이 상기 케이스몸체(13)의 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젖가락(12)의 길이홈부(121)에서 생성된 물이나 습기가 외부로 자연스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길이홈부(111,121)는 한쪽 끝단에서 상기 각 배출구멍(15,16)이 형성된 쪽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각 길이홈부(111,121)에서 생성된 물이나 습기 또한 자연스럽게 상기 각 물/습기 배출구멍(15,16)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길이홈부(111,121)에는 상기 수저(11)와 젖가락(12)이 장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수저(11)와 젖가락(12)을 파지하여 꺼낼 수 있도록 파지홈부(1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홈부(17)는 상기 각 길이홈부(111,121)와는 직각되게 형성되되 깊이가 상기 길이홈부(111,121)보다 더욱 깊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몸체(13)의 바닥면의 각 모서리부에는 상기 케이스몸체(13)를 여러단으로 적층시킬 경우 서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방지수단(18)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몸체(13)의 상부면의 각 모서리부에는 상기 몸체뚜껑(14)을 견고하게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미끄럼방지수단(18)을 삽설하여 상기 케이스몸체(13)를 여러층으로 적층시킬 경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줄 수 있도록 하는 오목홈(19)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뚜껑(14)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몸체(13)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오목홈(19)에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된 돌기부(2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멍(15,16)은 물기/습기가 소량씩 생성될 경우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배출구멍(15,16)의 끝단에서부터 상기 케이스몸체(13)의 측면부를 따라 물/습기 배출유도홈(151,161)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멍(15,16)은 상기 케이스몸체(13)의 측면으로 구성하지 않고 똑바로 상기 케이스몸체(13)의 바닥면으로 수직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케이스몸체(13)는 종이나 스티로폼 또는 목재, 맥반석, 게르마늄, 황토 등의 매우 다양한 재질로 만들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은나노코팅이나 이산화티탄 코팅 등으로 표면처리를 하여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몸체(13)에 생성되는 물이나 습기를 배출하는 상기 각 배출구멍(15,16)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수저(11)를 장치하는 상기 둥근홈부(110)와 길이홈부(111)에 물/습기 배출홈(112)을 구비하되, 상기 물/습기 배출홈(112)은 상기 둥근홈부(110)의 기저부에서부터 상기 길이홈부(111)를 따라 상기 파지홈부(17)까지 점점 깊어지는 경사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둥근홈부(110)에 생성된 물/습기가 상기 배출홈(112)을 따라 흘러 상기 파지홈부(17)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젖가락(12)을 장치하는 상기 길이홈부(121)에도 물/습기 배출홈(122)을 구비하되, 상기 물/습기 배출홈(122)은 상기 길이홈부(121)의 한쪽 끝단부에서 상기 파지홈부(17)까지 점점 깊어지는 경사홈으로 되어 상기 길이홈부(121)의 한쪽 끝단부로 모여진 물/습기가 상기 물/습기 배출홈(122)을 따라 흘러 상기 파지홈부(17)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수저(11)와 젖가락(12)을 동시에 장치하지 않고 이들을 각각 별개로 장치하는 보관케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는바, 이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젖가락(12)만을 보관 관리할 수 있는 젖가락 보관케이스를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는 상기 케이스몸체(13)에 형성된 상기 둥근홈부(110)와 길이홈부(111)에 수저(11)를, 상기 길이홈부(121)에 젖가락(12)을 각각 장치하고 상기 뚜껑고정홈(19)에 상기 돌기부(20)를 끼워 넣으면서 상기 몸체뚜껑(14)을 덮어 주면 된다.
또한 상기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의 상기 케이스몸체를 다층으로 적치할 경우, 상기 미끄럼방지수단(18)을 상기 오목홈(19)에 삽설하여 줌으로써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상기 케이스몸체가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막아줌은 물론 좁은 공간에 많은 양의 케이스몸체를 적층시킬 수 있어 공간 활용능력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뚜껑(14)을 열고 상기 파지홈부(17)를 통해 상기 수저(11)와 젖가락(12)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또한 세척한 수저(11)와 젖가락(12)을 장치할 경우 물기나 습기가 상기 배출구멍(15,16)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의 내부가 신속하게 건조하게 되어 매우 위생적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의 사시상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케이스에 수저와 젖가락이 보관된 케이스몸체를 여러 단으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케이스에 수저와 젖가락이 보관된 케이스몸체에 뚜껑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의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케이스에 수저와 젖가락이 보관된 케이스몸체를 2단으로 적층된 상태의 측면도와<5a>, 뚜껑이 구비된 상태의 측면도<5b>,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의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젖가락 보관케이스의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9은 종래의 수저와 젖가락 받침대의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보관케이스 11:수저 12:젖가락 13:케이스몸체 14:몸체뚜껑
15,16:배출구멍 17:파지홈부 18:미끄럼방지수단 19:오목홈
20:돌기부 110:둥근홈부 111:길이홈부 121:길이홈부
50:몸체 51:수저 52:젖가락 53:수저보관홈 54:젖가락보관홈
55:거치대 56:끼움홈

Claims (6)

  1. 수저와 젖가락을 내부에 장치(藏置)하여 보관하는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에 있어서,
    수저(11)와 젖가락(12)을 장치(藏置)하는 케이스몸체(13)에는 상부면에 상기 수저(11)를 장치하는 둥근홈부(110)와 길이홈부(111), 상기 젖가락(12)을 장치하는 길이홈부(121), 및 오목홈(19)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몸체(13)의 하부면에는 적층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수단(18)이 구비되되,
    상기 둥근홈부(110)의 바닥에는 상기 케이스몸체(13)의 측면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둥근홈부(110)에서 생성된 물이나 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된 물/습기 배출구멍(15)이 구비되고,
    상기 젖가락(12)을 장치하는 상기 길이홈부(121)의 한쪽 끝단에는 상기 케이스몸체(13)의 측면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길이홈부(121)에서 생성된 물이나 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된 물/습기 배출구멍(16)이 구비되며,
    상기 길이홈부(111,121)에는 상기 수저(11)와 젖가락(12)을 파지하여 꺼낼 수 있도록 상기 길이홈부(111,121)와는 직각되게 형성되되 깊이가 상기 길이홈부(111,121)보다 깊게 형성된 파지홈부(17)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홈부(111,121)는 한쪽 끝단에서 상기 각 배출구멍(15,16)이 형성된 쪽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멍(15,16)은 물기/습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끝단에서부터 상기 케이스몸체(13)의 측면부를 따라 물/습기 배출유도홈(151,161)을 형성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멍(15,16)은 상기 케이스몸체(13)의 바닥면으로 수직되게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13)에는 상기 수저(11)와 젖가락(12)을 보호하는 몸체뚜껑(14)이 구비되되, 상기 몸체뚜껑(14)에는 상기 케이스몸체(13)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오목홈(19)에 삽설되는 돌기부(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
  5. 수저와 젖가락을 내부에 장치(藏置)하여 보관하는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에 있어서,
    수저(11)와 젖가락(12)을 장치(藏置)하는 케이스몸체(13)에는 상부면에 상기 수저(11)를 장치하는 둥근홈부(110)와 길이홈부(111), 상기 젖가락(12)을 장치하는 길이홈부(121), 및 오목홈(19)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몸체(13)의 하부면에는 적층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수단(18)이 구비되되,
    상기 길이홈부(111,121)에는 상기 수저(11)와 젖가락(12)을 파지하여 꺼낼 수 있도록 상기 길이홈부(111,121)와는 직각되게 형성되되 깊이가 상기 길이홈부(111,121)보다 깊게 형성된 파지홈부(17)가 구비되고,
    상기 둥근홈부(110)의 기저부에서부터 상기 길이홈부(111)를 따라 상기 파지홈부(17)까지 점점 깊어지는 경사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둥근홈부(110)에 생성되는 물/습기를 상기 파지홈부(17)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물/습기 배출홈(112)이 구비되며,
    상기 길이홈부(121)의 한쪽 끝단부에서 상기 파지홈부(17)까지 점점 깊어지는 경사홈으로 되어 상기 길이홈부(121)의 한쪽 끝단부로 모여진 물/습기가 상기 파지홈부(17)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물/습기 배출홈(12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
  6. 젖가락을 내부에 장치(藏置)하여 보관하는 젖가락 보관케이스에 있어서,
    젖가락(12)을 장치(藏置)하는 케이스몸체(13)에는 상부면에 상기 젖가락(12) 을 장치하는 길이홈부(121)와, 오목홈(19)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몸체(13)의 하부면에는 적층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수단(18)이 구비되되,
    상기 젖가락(12)을 장치하는 상기 길이홈부(121)의 한쪽 끝단에는 상기 케이스몸체(13)의 측면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길이홈부(121)에서 생성된 물이나 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된 물/습기 배출구멍(16)이 구비되며,
    상기 길이홈부(121)에는 상기 젖가락(12)을 파지하여 꺼낼 수 있도록 상기 길이홈부(121)와는 직각되게 형성되되 깊이가 상기 길이홈부(121)보다 깊게 형성된 파지홈부(17)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가락 보관케이스.
KR1020080045379A 2008-05-16 2008-05-16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 KR100942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379A KR100942044B1 (ko) 2008-05-16 2008-05-16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379A KR100942044B1 (ko) 2008-05-16 2008-05-16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379A KR20090119379A (ko) 2009-11-19
KR100942044B1 true KR100942044B1 (ko) 2010-02-11

Family

ID=4160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379A KR100942044B1 (ko) 2008-05-16 2008-05-16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654A (ko) 2017-02-03 2018-08-13 정성원 식탁 부착용 합성수지제 수저 및 냅킨보관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0429B (zh) * 2017-06-23 2018-07-03 钦州学院 采用弹簧稳固的筷垫
KR102527264B1 (ko) * 2022-08-05 2023-05-02 주식회사 에코아미가 빨대 디스펜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6373U (ja) 1983-09-28 1985-04-19 池田 吉康 箸収容具
KR20020091859A (ko) * 2001-05-30 2002-12-11 문경태 수저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6373U (ja) 1983-09-28 1985-04-19 池田 吉康 箸収容具
KR20020091859A (ko) * 2001-05-30 2002-12-11 문경태 수저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654A (ko) 2017-02-03 2018-08-13 정성원 식탁 부착용 합성수지제 수저 및 냅킨보관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379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05506A2 (en) Inserts for an assortment box
KR100942044B1 (ko) 수저와 젖가락 보관케이스
RU222515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салфеток
KR101696317B1 (ko) 도마가 내장된 싱크대
US8534632B1 (en) Bucket stabilizing tackle box system
KR20110005715U (ko) 손잡이가 삽입된 판형 계란판
RU2362951C2 (ru) Подставка для яиц
US4401215A (en) Protective brush holder
US6785999B1 (en) Fish containment device
KR20120003918U (ko) 도마용 수납세트
KR101717124B1 (ko)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
KR20210002325U (ko) 위생 수저통
KR200386822Y1 (ko) 구획판이 구비된 수저통
JP3156035U (ja) 箸箱
JP3138949U (ja) 茶道具用収納箱
US20240164361A1 (en) Fishing tackle storage system and method
KR200493897Y1 (ko) 위생 수저통
JP5256703B2 (ja) キャビネット
KR200451445Y1 (ko) 칼 보관함
WO2024112446A1 (en) Fishing tackle storage system and method
KR20210104243A (ko) 탈부착 습기 제거용품
JP2022169411A (ja) 包丁収納器
JP5431565B2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整理用グッズ
JP3633599B2 (ja) 引出し用包丁差し
KR200235481Y1 (ko) 낚시용 미끼투척기 보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