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463B1 - 조그셔틀 장치 - Google Patents

조그셔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463B1
KR100941463B1 KR1020050125633A KR20050125633A KR100941463B1 KR 100941463 B1 KR100941463 B1 KR 100941463B1 KR 1020050125633 A KR1020050125633 A KR 1020050125633A KR 20050125633 A KR20050125633 A KR 20050125633A KR 100941463 B1 KR100941463 B1 KR 100941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sensor
shuttle device
jog shuttle
dri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4981A (ko
Inventor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050125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463B1/ko
Publication of KR20070064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1Thumb wheel switches
    • H01H19/003Thumb wheel switches having a pushbutton actu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1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with index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24Miscellaneous with inductive switch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조그셔틀 장치가 개시된다.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부재와, 구동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좌우로 연장된 돌출부를 갖는 전달부재와, 전달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마그네트와, 고정부재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고정되며 돌출부와의 접촉에 의해 구동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와,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제1마그네트와 반대로 착자되는 제2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조그셔틀 장치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그셔틀, 압력 센서, 유도전류

Description

조그셔틀 장치{JOG-SHUTT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 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 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패러데이의 유도법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 부호의 설명>
10: 구동부재 11: 걸림부
13: 걸림돌기 15: 회전면
20: 전달부재 21: 돌출부
23: 상부 삽입공 31: 제1코일
33: 제2코일 41: 제1센서
43: 제2센서 50: 제1마그네트
51: 하부 삽입공 60: 제2마그네트
70: 스프링 80: 고정부재
본 발명은 조그셔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그셔틀 장치(JOG-SHUTTLE BUTTON)는 VTR, 휴대 전화기 또는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한 회전에 의해 VCR의 저속/고속 재생 또는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특히, 최근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날로 복잡해짐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그셔틀 장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세대별로 분류할 때, 아날로그 방식(Advanced Mobile Phone Systems)의 1세대, PCS와 셀룰러 서비스인 CDMA가 2세대, IMT-2000을 의미하는 3세대로 구분된다. 이와 함께 각종 통신서비스 업체들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한 하드웨어적 기술들이 휴대용 단말기의 설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컨데, 2.5세대폰으로 통용되는 CDMA2000 1X에서의 경우, 음성 통화는 물론이고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음성 뿐만 아니라 동영상, 컬러 이미지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동기 또는 비동기 방식의 IMT-2000의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 하나로 유무선 환경에서 음성, 데이터, 영상 등을 고속을 주고 받을 수 있고, 세계적인 로밍(global roaming)이 될 뿐만 아니라 384Kbps의 고속, 고품 질의 음성, 인터넷, 영상 등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멀티 미디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키버튼의 설계가 중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는 조그셔틀 장치를 사용하는데, 이와 같은 조그셔틀 장치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97-1111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그셔틀 장치는 조그셔틀이 사용자에 의해 회전된 경우 권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조그셔틀 장치는 권선 스프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뛰어나지 못하여 장시간 사용에 의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구성이 우수한 조그셔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그셔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그셔틀 장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부재와, 구동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좌우로 연장된 돌출부를 갖는 전달부재와, 전달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마그네트와, 고정부재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고정되며 구동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와,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제1마그네트와 반대로 착자되는 제2마그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그셔틀 장치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재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전달부재는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상부 삽입공을 가지며, 제1마그네트는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하부 삽입공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코일 삽입부의 일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센서는 전달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한 쌍의 제1센서와, 걸림돌기와 접하는 제2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그셔틀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부재(10)와, 구동부재(10)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제1센서(41)와 접하는 전달부재(20), 휴대용 단말기에 고정되는 고정부재(80), 고정부재(80)에 고정되는 제1센서(41) 및 제2센서(43), 전달부재(2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마그네트(50), 그리고 상기 제1마그네트(50)와 반대로 착자된 제2마그네트(60)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부재(10) 의 걸림돌기(13)에는 스프링(70)이 삽입되며, 고정부재(80)의 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3)의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가압되는 제2센서(43)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 장치는, 구동부재(10)의 회전에 의해 전달부재(20)가 함께 회전하면서, 전달부재(20)의 돌출부(21)가 제1센서(41)를 가압함으로써 각종 기능이 수행된다. 그리고 구동부재(10), 전달부재(20), 그리고 제1마그네트(5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한 후 외부에서 제공되는 힘이 제거되면, 고정부재(80)에 고정된 제2마그네트(60)와 제1마그네트(50)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구동부재(10), 전달부재(20), 그리고 제1마그네트(5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 장치는 종래의 권선 스프링 대신 제1마그네트(50) 및 제2마그네트(60)에 의한 자기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전달부재(20)의 일면에 돌출된 돌출부(21)는 제2센서(43)를 가압하여 별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 장치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부재(10)는 소정의 중심각을 가지는 부채꼴 형상을 가지고, 중심축(17)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휴대용 단말기(미도시)에 결합된다. 구동부재(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면(15), 구동부재(10)의 하면에 돌출된 걸림부(11) 및 걸림돌기(13)를 구비한다.
구동부재(10)의 중심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중심각은 90ㅀ일 수 있고, 이 경우 구동부재(10)는 원주 둘레를 따라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각은 120ㅀ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구동부재(10)는 원주 둘레를 따라 3개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회전면(15)에는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구동부재(1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힘 및 구동부재(10)를 하향 가압하는 힘이 작용된다. 회전면(15)의 상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화살표가 구비되고 중앙에는 재생 등을 의미하는 삼각형(▷) 표시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11)는 구동부재(10)의 하면 중앙에서 하향 돌출되며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걸림부(11)의 일면에는 걸림돌기(13)가 하향 돌출되어 있으며, 걸림돌기(13)에는 스프링(70)이 삽입되어 걸림부(11)와 전달부재(20) 사이에 개재된다. 걸림부(11)는 전달부재(20)의 걸림턱(25) 사이에 끼워 맞춤되는데, 이로 인해 구동부재(10)의 회전력이 전달부재(20)에 전달될 수 있다.
걸림돌기(13)는 걸림부(11)의 일면에서 하향 돌출되며 실린더 형상을 갖는다. 걸림돌기(13)는 전달부재(20)의 상부 삽입공(23) 및 제1마그네트(50)의 하부 삽입공(51)에 각각 삽입되어, 구동부재(10)의 회전력을 전달부재(20) 및 제1마그네트(50)에 전달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구동부재(1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전달부재(20) 및 제1마그네트(50)는 이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중심축(17)은 구동부재(10)와 고정부재(80)를 연결하며, 구동부재(10)가 일 정한 각도로 회전하게 한다. 중심축(17)은 또한 일정한 탄성력을 가져, 회전면(15)의 중심이 가압되는 경우 구동부재(10)가 일정 길이 만큼 하향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구동부재(10)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3)가 제2센서(43)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전달부재(20)는 상기 구동부재(10)와 결합되어 구동부재(10) 및 제1마그네트(50)와 함께 회전한다. 전달부재(20)는 좌우 양측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돌출부(21)를 갖는데, 상기 돌출부(21)가 제1센서(41)를 가압하면서 일정한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다. 전달부재(20)는 상기 걸림부(11)가 삽입되는 한 쌍의 걸림턱(25) 및 상기 걸림턱(25)에서 좌우로 연장된 돌출부(21)를 갖는다. 그리고 중앙에는 걸림돌기(13)가 끼워 맞춤될 수 있는 상부 삽입공(23)이 구비되어 있다.
걸림턱(25)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으며, 한 쌍의 걸림턱(25)에는 상기 걸림부(11)가 걸림되거나 끼워 맞춤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재(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걸림부(11)는 걸림턱(25)에 걸림되거나 또는, 걸림턱(25)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걸림턱(25) 사이에는 제1마그네트(50)가 걸림되거나 끼워 맞춤되는데, 이로 인해 전달부재(20)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마그네트(50)도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돌출부(21)는 상기 걸림턱(25)에서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이다. 돌출부(21)는 전달부재(20)의 회전에 의해 제1센서(41)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돌출부(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그셔틀 장치가 회전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1센서(41)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제1센서(41) 사이에 위치한다.
상부 삽입공(23)은 전달부재(20)의 중앙에 천공된 구멍으로서, 상기 삽입공(23)에는 구동부재(10)의 걸림돌기(13)가 삽입되거나 끼워 맞춤된다. 따라서 상부 삽입공(23)에 삽입된 걸림돌기(13)에 의해 구동부재(10)와 전달부재(2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부 삽입공(23)은 제1마그네트(50)의 일면에 형성된 하부 삽입공(51)의 위치에 대응한다.
센서는 상기 전달부재(20)의 돌출부(21)와 접하는 제1센서(41) 및 상기 구동부재(10)의 걸림부(11)에 의해 가압되는 제2센서(43)로 이루어진다.
제1센서(41)는 고정부재(80) 상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으며, 걸림부(11)의 이동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구동부재(10) 및 전달부재(20)의 회전을 감지한다. 제1센서(41)는 한 쌍의 압력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센서(41)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좌측에 배치된 제1센서(41)가 가압되는 경우 동영상의 돼감기, 우측에 배치된 제1센서(41)의 경우에는 동영상의 빨리 감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2센서(43)는 고정부재(80) 상에 고정되며, 구동부재(10)의 걸림돌기(13)에 의해 가압되어 일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센서(43)가 가압되는 경우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센서(43)는 걸림돌기(13)이 가압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등일 수 있다.
제1마그네트(50)는 하부 삽입공(51)을 가지며, 상기 하부 삽입공(51)에는 걸림돌기(13)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제1마그네트(50)는 구동부재(10) 및 전달부재(20)와 함께 회전한다. 제2마그네트(60)는 고정부재(80)의 아래 위치하며, 제1마그 네트(50)와 반대로 착자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마그네트(50)가 N극을 가지고 제2마그네트(60)가 S극을 가지고 착자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동부재(10), 전달부재(20) 및 제1마그네트(50)가 회전하는 경우, 제2마그네트(60)와 제1마그네트(50)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구동부재(10), 전달부재(20) 및 제1마그네트(5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한 후 외력이 제거되면, 제1마그네트(50)와 제2마그네트(60)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스프링(70)은 걸림돌기(13)에 삽입되어, 구동부재(10)의 걸림부(11)와 전달부재(20)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70)은 회전면(15)에 작용한 힘에 제거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13) 및 구동부재(1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한다.
고정부재(80)는 휴대용 단말기에 고정되며, 그 상면에는 구동부재(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심축(17), 전달부재(20)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센서(43) 및 제1센서(41)가 위치한다. 그리고 고정부재(80)의 아래에는 제2마그네트(60)가 위치하는데, 이는 제1마그네트(50)와 제2마그네트(60)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각각의 마그네트가 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 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미도시)는, 예를 들면 동영상의 빨리 감기를 하고자 하는 경우, 구동부재(10)의 회전면(15)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하게 한다. 이때, 구동부재(10) 및 이에 연동하여 전달부재(20)와 제1마그네트(50)가 동시에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전달부재(20)의 돌출부(21)는 우측에 위치한 제1센서(41)를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 동영상의 빨리 감기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제거되면, 제1마그네트(50)와 제2마그네트(60) 사에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구동부재(10), 전달부재(20) 및 제1마그네트(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 사용자가 구동부재(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도 위와 같은 방식에 의해 작동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예를 들면 동영상의 재생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회전면(15)의 중앙 부분을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 걸림부(11)가 제2센서(43)를 가압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구동부재(10) 및 걸림돌기(13)는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 이동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부재(10)와, 구동부재(10)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유도전류를 생성하는 전달부재(20), 휴대용 단말기에 고정되는 고정부재(80), 고정부재(80)에 고정되는 제1센서(41) 및 제2센서(43), 전달부재(2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마그네트(50), 상기 제1마그네트(50)와 반대로 착자된 제2마그네트(60), 그리고 상기 전달부재(20)의 양 단부에 삽입되는 제1코일(31) 및 제2코일(33)을 포함한다. 또한, 구동부재(10)의 걸림돌기(13)에는 스프링(70)이 삽입되며, 고정부재(80)의 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3) 의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가압되는 제2센서(43)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 장치는 전달부재(20)의 중앙에서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21)가 각각 N극 및 S극을 갖고, 상기 돌출부(21)에는 제1센서(41) 및 제2센서(43)가 삽입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앞서 본 실시예와 그 구성이 동일하거나 대응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구성 중 앞서 본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달부재(20)는 좌우로 연장된 돌출부(21)를 구비하는데, 상기 돌출부(21)는 N극 및 S극을 갖는다. 그리고 돌출부(21)에는 제1코일(31) 및 제2코일(33)이 각각 삽입되며, 상기 제1코일(31) 및 제2코일(33)은 제1센서(41)와 접한다. 따라서 제1코일(31) 및 제2코일(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제1센서(41)와 접하고 타단부는 전달부재(20)와 접하고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10)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달부재(20)가 회전하면, 자성을 가지는 돌출부(21)가 제1코일(31) 또는 제2코일(33) 내부를 통과하면서 패러데이의 유도법칙에 의해 제1코일(3) 또는 제2코일(33)을 흐르는 유도전류를 생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C)의 양 끝에 검류계(G)를 연결하고 자석(M)을 코일(C)에 가까이 했다 멀리 했다 하면 검류계(G)의 바늘이 흔들리게 되는데, 이는 자석(M)의 이동에 의해 코일(C)에 전류가 유도되기 때문이다. 전류의 크기는 자석을 움직이는 속도가 빠를수록 크고, 전류의 방향은 가까이 할 때와 멀리 할 때 반대가 되며, 또 N극과 S극에서도 반대가 된다. 이처럼 자계의 변화에 의해 도체에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을 패러데이 자기유도라고 하며, 이 기전력을 유도기전력, 흐르는 전류를 유도전류라고 한다.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아래 식과 같다.
Figure 112005074299415-pat00001
위 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도기전력(e)의 크기는 코일을 통과하는 단위 시간당 자속의 변화율(ΔФ/Δt)에 비례한다.
따라서 자성을 띄는 돌출부(21)의 회전에 의해 제1코일(31) 또는 제2코일(33)에는 유도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유도전류는 제1코일(31) 또는 제2코일(33)을 통해 제1센서(41)에 인가된다. 그리고 제1센서(41)는 이러한 유도전류의 발생을 인식함으로써 별도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제1코일(31) 및 제2코일(33)은 일정한 탄성계수(spring constant)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코일(31) 및 제2코일(33)은 탄성력을 전달부재(2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재(10), 전달부재(20) 및 제1마그네트(50)는 회전한 후 외력이 제거된 경우, 제1마그네트(50)와 제2마그네트(60)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과 함께 제1코일(31) 및 제2코일(33)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미도시)는, 예를 들면 동영상의 빨리 감기를 하고자 하는 경우, 구동부재(10)의 회전면(15)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구동부재(10) 및 이에 연동하여 전달부재(20)와 제1마그네트(50)가 동시에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전달부재(20)의 돌출부(21)는 제1코일(31)의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제1코일(31)을 흐르는 유도전류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발생한 유도전류를 제1센서(41)가 감지하여 특정한 기능이 수행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제거되면, 제1마그네트(50)와 제2마그네트(60) 사에에 작용하는 인력 및 제1코일(31)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부재(10), 전달부재(20) 및 제1마그네트(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 사용자가 구동부재(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도 위와 같은 방식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사용자는, 예를 들면 동영상의 재생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회전면(15)의 중앙 부분을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 걸림부(11)가 제2센서(43)를 가압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구동부재(10) 및 걸림돌기(13)는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 이동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예와 수정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내구성이 우수한 조그셔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그셔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좌우로 연장된 돌출부를 갖는 전달부재와;
    상기 전달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마그네트와;
    상기 고정부재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고정되며 상기 구동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와 반대로 착자되는 제2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조그셔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상부 삽입공을 가지며,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하부 삽입공을 구비하는 조그셔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코일 삽입부의 일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 센서인 조그셔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전달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한 쌍의 제1센서와, 걸림돌기와 접하는 제2센서를 구비하는 조그셔틀 장치.
KR1020050125633A 2005-12-19 2005-12-19 조그셔틀 장치 KR100941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633A KR100941463B1 (ko) 2005-12-19 2005-12-19 조그셔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633A KR100941463B1 (ko) 2005-12-19 2005-12-19 조그셔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981A KR20070064981A (ko) 2007-06-22
KR100941463B1 true KR100941463B1 (ko) 2010-02-11

Family

ID=3836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633A KR100941463B1 (ko) 2005-12-19 2005-12-19 조그셔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46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052B1 (ko) 2006-08-21 2013-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발생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전자기기
KR101274177B1 (ko) * 2011-04-08 2013-06-13 이영훈 대용량 수산기 발생장치
KR20190011144A (ko) * 2017-07-24 2019-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US10732666B2 (en) 2017-02-17 2020-08-04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for cook top
US10732665B2 (en) 2017-07-26 2020-08-04 Lg Electronics Inc. Joint and knob assembly and appliance having joint and knob assembly
US10890330B2 (en) 2017-02-22 2021-01-12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with display device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knob assembly
US10908631B2 (en) 2017-02-17 2021-02-02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a knob assembly
US11340648B2 (en) 2017-02-17 2022-05-24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for cook top
US11635782B2 (en) 2017-02-17 2023-04-25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for cook to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578A (ko) * 2003-04-24 2004-11-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그셔틀 키 조립체
KR20050089515A (ko) * 2004-03-05 2005-09-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578A (ko) * 2003-04-24 2004-11-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그셔틀 키 조립체
KR20050089515A (ko) * 2004-03-05 2005-09-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지털 카메라 줌 조절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052B1 (ko) 2006-08-21 2013-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발생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전자기기
KR101274177B1 (ko) * 2011-04-08 2013-06-13 이영훈 대용량 수산기 발생장치
US10908631B2 (en) 2017-02-17 2021-02-02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a knob assembly
US11635782B2 (en) 2017-02-17 2023-04-25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for cook top
US10732666B2 (en) 2017-02-17 2020-08-04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for cook top
US11340648B2 (en) 2017-02-17 2022-05-24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for cook top
US11262078B2 (en) 2017-02-22 2022-03-01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with display device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knob assembly
US10890330B2 (en) 2017-02-22 2021-01-12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with display device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knob assembly
KR102101415B1 (ko) 2017-07-24 2020-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US10767868B2 (en) 2017-07-24 2020-09-08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and appliance having knob assembly
KR20190011144A (ko) * 2017-07-24 2019-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US11674690B2 (en) 2017-07-24 2023-06-13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and appliance having knob assembly
US10732665B2 (en) 2017-07-26 2020-08-04 Lg Electronics Inc. Joint and knob assembly and appliance having joint and knob assembly
US11392161B2 (en) 2017-07-26 2022-07-19 Lg Electronics Inc. Joint and knob assembly and appliance having joint and knob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981A (ko) 200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463B1 (ko) 조그셔틀 장치
TW201205143A (en) Electromagnetic driving apparatus for lens
US6229300B1 (en) Wiegand tilt sensor
JP5859763B2 (ja) 発電入力装置および前記発電入力装置を使用した電子機器
EP1184740A3 (en)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1551505B (zh) 透镜驱动装置
EP1188943A3 (en) Magnetic levitation rotating machine
US20190346653A1 (en) Camera for electronic device
US20080204002A1 (en) Inclination sensor
US20050237314A1 (en) Permanent magnet for retarding haptic applications using pulsed friction braking
EP1981050B1 (en) Component for input operation
WO2009128600A1 (en) A shutter device for camera
JP5598720B2 (ja) 携帯装置における状態検出装置および方法
JP2006058897A (ja) 光学ズーム装置とそれを用いる携帯通信装置
JP2000161989A (ja) 回転センサ
KR20000069868A (ko) 데이터 입력 장치
KR10068611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
JP2004177398A (ja) 磁気式リニアポジションセンサ
JP6243549B2 (ja) 発電入力装置
TW202411820A (zh) 滑鼠裝置
US4589787A (en) Printer with rotatable print band
CN115118019A (zh) 充电装置
KR20080025559A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CN113014757A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JP2006300789A (ja) 傾斜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