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559A -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5559A
KR20080025559A KR1020060090188A KR20060090188A KR20080025559A KR 20080025559 A KR20080025559 A KR 20080025559A KR 1020060090188 A KR1020060090188 A KR 1020060090188A KR 20060090188 A KR20060090188 A KR 20060090188A KR 20080025559 A KR20080025559 A KR 20080025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using
terminal
connection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7111B1 (ko
Inventor
박덕배
이승훈
정광호
임승우
이용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111B1/ko
Priority to US11/857,185 priority patent/US8060158B2/en
Publication of KR2008002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된 제1 접속 단자;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된 제2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제2 접속 단자 사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접철된 때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접촉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하는 때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이격되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개시한다.
단말기, 힌지, 개폐 인식, 접속 부재, 접속 단자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힌지 샤프트가 회전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하우징들을 결합시켜 서로 대면한 상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 type), 플립형(flip type),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바형 단말기는 하나의 본체 하우징(housing)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수화부 모듈이 장착되는 형태로서, 데이터 입력 수단이 되는 키패드(keypad)가 항시 노출되어 있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고,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확보 문제로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플립형 단말기는 본체와, 플립과, 상기 본체와 플립을 연결시키는 힌지(hinge) 장치로 구성되는 형태로서, 상기 본체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수화부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플립이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인 키패드를 덮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나, 플립형 단말기 역시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확보 문제로 인하여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폴더형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폴더가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형태로서, 상기 폴더가 본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통화대기 모드로 설정되어 키패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와 폴더에 송화부와 수화부가 분산 배치되어 통화모드에서는 상기 폴더가 펼쳐져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힌지 장치는 본 출원인에게 특허 허여된 국내 특허등록 제296,038호(2001. 5. 7.;미국 특허 제6,292,980호, 2001. 9. 25.) 등에 개시되고 있다. 개시된 힌지 장치는 각각 산형부와 골형부가 형성된 힌지 캠과 힌지 샤프트, 그리고 상기 힌지 캠과 힌지 샤프트를 밀착시키는 코일 스프링을 힌지 하우징 내에 수용시킴으로써 상기 산형부와 골형부의 곡면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 용하여 폴더 또는 플립을 개폐시키는 원리이다.
한편, 이러한 플립형 또는 폴더형 단말기는 플립 또는 폴더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폐쇄된 때에는 키패드, 송화부, 수화부, 표시 장치 등의 입/출력 장치의 동작을 차단하고, 개방된 때에는 입/출력 장치를 활성화시켜 음성 통화, 무선 인터넷 접속, 데이터 입력 등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플립 또는 폴더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래에는 홀 센서 등을 이용해 왔다. 홀 센서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저항이 변화되는 자기 센서로서 단말기가 개방된 때에는 홀 센서와 자성체가 멀어지게 위치되어 자기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입/출력 장치들의 동작을 차단하거나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플립 또는 폴더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홀 센서와 같은 별도의 감지수단을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내부 회로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자성체, 홀 센서 장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소형화에 제약이 따르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플립 또는 폴더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된 제1 접속 단자;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된 제2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제2 접속 단자 사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접철된 때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접촉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하는 때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이격되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장치(200)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2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200)는 플립형, 폴더형 단말기 모두에 적용이 가능한 구성이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폴더형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함에 유의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102)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 장치(200)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한 상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은 그 일면에 설치된 키패드(111)와 송화부(113)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키패드(111)와 송화부(113)가 개폐된다. 아울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에 상단부에는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115)들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과 대면하는 면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121)와 수화부(123)를 구비하며, 상기 키패드(111), 송화부(113)와 마찬가지로 상기 표시 장치(121)와 수화부(123) 또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동함에 따라 개폐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단에는 센터 힌지 암(125)이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단말기(100)의 힌지축(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힌지축(A)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의 일단에는 힌지홀(127)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 장 치(200)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타단에는 힌지 더미(미도시)가 장착된다. 상기 힌지 장치(200)와 힌지 더미는 각각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들에 결합된다. 결국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은 상기 힌지 장치(200)와 힌지 더미를 통해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일측의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과 상기 센터 힌지 암(125)에는 각각 제1, 제2 접속 단자(261, 263)가 장착되어 있으나 도 1에는 도시되지 않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힌지 장치(20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장치(200)는 상기 제1, 제2 접속 단자(261, 263)와, 상기 제1, 제2 접속 단자(261, 263) 사이에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 부재(204)를 구비한다. 상기 접속 부재(204)는 상기 제2 접속 단자(26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제2 접속 단자(261, 263) 사이에서 직선이동 함으로써 상기 제1 접속 단자(261)와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아울러, 상기 힌지 장치(200)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탄성 부재(205), 힌지 캠(202), 힌지 샤프트(203)를 구비함과 아울러, 힌지 하우징(201)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모듈 형태로 조립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201)은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으로 일단에는 상기 힌지 샤프트(203)의 일부분을 돌출시키는 관통홀(213)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폐쇄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힌지 하우징(201)의 외주면 일 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탄성 부재(205), 접속 부재(204), 힌지 캠(202), 힌지 샤프트(203)를 순차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공간(211)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탄성 부재(205), 접속 부재(204), 힌지 캠(202), 힌지 샤프트(203)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하우징(201)은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의 힌지홀(127) 내에 장착된다.
상기 힌지 캠(202)은 일면에 한 쌍의 산형부(221)들이 상기 힌지축(A)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게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가이드 돌기(223; 도 3에 도시됨)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 캠(202)은 상기 힌지 하우징(201) 내에서 상기 힌지축(A)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 하우징(201)의 내주면에는 상기 힌지축(A)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홈(2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기(223)가 상기 가이드 홈(215) 내에 수용되어 직선 이동함으로써 상기 힌지 캠(202)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201)이 상기 센터 힌지 암(125)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동하면 상기 힌지 하우징(201)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며, 상기 힌지 캠(202) 또한 상기 힌지 하우징(201)에 구속된 상태이므로 상기 힌지 하우징(201)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힌지 샤프트(203)는 상기 힌지 하우징(20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그의 일단에는 힌지 돌기(233)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 돌기(233)는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201)의 관통홀(213)을 통해 상기 힌지 하우징(20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힌지 하우징(201)이 상기 센터 힌 지 암(125)에 장착되면, 상기 힌지 돌기(233)는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의 일단으로 돌출되어 일측의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하여 상기 힌지 샤프트(203)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201)과 힌지 캠(202)은 상기 제2 하우징(102)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 샤프트(203)의 타단에는 상기 힌지 캠(202)의 산형부(221)에 상응하는 한 쌍의 골형부(231)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산형부(221)들과 골형부(231)들이 서로 맞물린 때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은 접철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 부재(205)는 일단이 상기 힌지 하우징(201)의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힌지 캠(202)에 지지되어 상기 힌지 캠(202)을 상기 힌지 샤프트(203)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산형부(221)와 골형부(231)가 서로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 캠(202)은 상기 탄성 부재(20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힌지 샤프트(203)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샤프트(203)는 상기 힌지 하우징(201) 내에서 상기 골형부(231)가 상기 산형부(221)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산형부(221)의 최고점이 상기 골형부(231)의 경사면들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캠(202)은 상기 힌지 샤프트(203)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힌지 샤프트(203)는 상기 골형부(231)의 최저점이 상기 산형부(221)의 최고점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제2 접속 단자(261, 263)는 각각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에 장착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201)의 양단에 대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접속 단자(261)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사이드 힌지 암(115) 내에 장착되어 상기 힌지 돌기(233)의 단부에 대면하고 있고, 상기 제2 접속 단자(263)는 상기 센터 힌지 암(125) 내에 장착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201)의 단부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제1, 제2 접속 단자(261, 263)에는 각각 상기 힌지 돌기(233)와 힌지 하우징(20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 돌기(265, 26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접속 단자(261, 263)는 각각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 내의 회로 장치들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접속 부재(204)는 지지판(241)과, 상기 지지판(241)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봉(2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241)은 상기 힌지 캠(202)의 타단에 지지되어 상기 탄성 부재(205)와 힌지 캠(202)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봉(243)은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힌지 캠(202)과 힌지 샤프트(203)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241)이 상기 힌지 캠(202)의 타단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힌지 캠(202)이 상기 힌지 하우징(201) 내에서 직선이동하면, 상기 지지판(241)과 연결봉(243) 또한 상기 힌지 하우징(201) 내에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봉(243)의 단부는 상기 제1 접속 단자(261)와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힌지 캠(202)이 직선이동함에 따라 상기 힌지 돌기(233)의 단부로 출몰하면서 상기 제1 접속 단자(261),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접속 단자(261)의 접촉 돌기(265)와 선택적 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1 접속 단자(261)와 연결봉(243)의 단부, 상기 제2 접속 단자(263)와 힌지 하우징(201)의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상기 접촉 돌기(265, 267)들을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상기 접속 부재(204)가 상기 제2 접속 단자(26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 하우징(201)과 탄성 부재(205)는 도전성 재질로 제작된다. 즉, 상기 지지판(241)은 상기 탄성 부재(205)와 힌지 하우징(201)을 통해 상기 제2 접속 단자(26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접속 단자(261)와 접속 부재(204)가 선택적으로 접속되게 하기 위하여, 적어도 상기 힌지 샤프트(203)는 절연성 물질인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 샤프트(203)가 절연성 물질로 제작됨으로써, 상기 제1 접속 단자(261)는 상기 힌지 하우징(201)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은 상기 힌지 장치(200)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힌지 장치(200)의 힌지 샤프트(203)가 회전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아울러, 도 3은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접철된 때 상기 힌지 장치(200)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45도, 90도, 150도만큼 개방된 때 상기 힌지 장치(200)의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서로 접철된 때, 상기 힌지 캠(202)은 상기 힌지 샤프트(203)에 밀착된다. 즉 상기 산형부(221)와 골형 부(231)가 서로 완전히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속 부재(204)는 상기 힌지 샤프트(203) 방향으로 전진된 상태로서, 상기 연결봉(243)의 단부는 상기 힌지 돌기(233)의 단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접속 단자(261)에 접촉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제2 접속 단자(261, 263)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접철된 상태임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접속 부재(204)는 상기 힌지 캠(202)과 함께 상기 힌지 샤프트(20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 샤프트(203)는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힌지 하우징(201)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접속 부재(204)가 상기 힌지 샤프트(203)로부터 점차 멀어지게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결봉(243)의 단부 또한 상기 힌지 샤프트(203)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접속 단자(261)와 이격되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1, 제2 접속 단자(261, 263)의 전기적 접속 상태가 단절되며,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개방된 상태임을 감지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90도만큼 개방되면, 상기 산형부(221)의 최고점은 상기 골형부(231)들 사이의 최고점에 이르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된 상태로부터 90도 미만의 범위에서 회전하면, 상기 산형부(221)의 최고점은 상기 골형 부(231)의 최저점과 상기 골형부(231)들 사이의 최고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힌지 장치(200)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다시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90도를 초과한 위치까지 회동하면, 상기 산형부(221)의 최고점은 다른 골형부(231)의 최저점과 상기 골형부(231)들 사이의 최고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힌지 장치(200)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과의 간섭에 의해 150도까지만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90도를 초과하여 150도까지 회동하는 동안 상기 접지 부재는 상기 제1 접지 단자에 접속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150도만큼만 개방되고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봉(243)의 단부는 상기 힌지 돌기(233)의 단부로 돌출되지 못한다. 이로써,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감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장치(200)는 제2 하우징(102)이 45도만큼 개방되기 전에 이미 상기 연결봉(243)과 제1 접속 단자(261)의 접속이 단절되어 상기 단말기(100)는 개방된 상태를 감지하게 되는 구성이지만, 상기 연결봉(243)의 길이를 더 길게하여 상기 힌지 돌기(233)의 단부로 돌출된 길이를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접속 단자(261)가 상기 힌지 돌기(233)의 단부에 밀착되는 탄성력을 축적할 수 있는 탄성편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개방된 상태임을 인지하는 시점은 45도 이상 개방된 이후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연결봉(243)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한다면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도 상기 연결봉(243)의 단부가 상기 힌지 돌기(233)의 단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상기 연결봉(243)과 제1 접속 단자(261)의 접속이 단절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완전히 개방된 시점에서는 상기 연결봉(243)의 단부가 상기 힌지 돌기(233)의 단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접속 단자(261)에 접속되지 않도록 그 길이가 제한되어야 함에 유의한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힌지 하우징(201)이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상기 힌지 샤프트(203)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각각 고정된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제품에 따라서는 제1 하우징에 상기 힌지 하우징(201)을 장착하고, 제2 하우징에 상기 힌지 샤프트(203)를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는 한 쌍의 하우징들 각각에 접속 단자를 설치하고, 상기 접속 단자들 사이에서 직선 이동하는 접속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단자들을 선택적으로 접속시킴으로써, 폴더형 단말기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하였다. 이로써, 별도의 홀 센서 등을 설치하지 않고도 폴더형 단말기의 개폐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회로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부품의 실장공간을 절감함으로써 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하게 되었다.

Claims (14)

  1.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된 제1 접속 단자;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된 제2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제2 접속 단자 사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접철된 때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접촉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하는 때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이격되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접속 부재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 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는 힌지 하우징;
    상기 힌지 하우징 내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힌지 캠; 및
    상기 힌지 캠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힌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힌지 샤프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힌지 캠의 일단에 지지되어 상기 힌지 캠과 함께 직선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샤프트는,
    그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의 일단으로 돌출되는 힌지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힌지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대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일단이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접속 부재에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힌지 캠을 상기 힌지 샤프트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힌지 캠의 일단에 지지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봉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봉은 상기 힌지 캠과 힌지 샤프트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그 단부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인접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일단이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판에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탄성 부재와 힌지 하우징을 통해 상기 제2 접속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힌지 캠이 직선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봉은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힌지 샤프트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결봉의 단부가 상기 접촉 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힌지 캠의 일면에 형성되는 산형부; 및
    상기 힌지 샤프트의 타면에 형성되는 골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하우징이 접철된 때 상기 산형부와 골형부가 서로 맞물려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회동하면 상기 산형부가 상기 골형부로부터 이탈하면서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제1 접속 단자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일단이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접속 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힌지 캠을 상기 힌지 샤프트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힌지 캠이 상기 힌지 샤프트 방향으로 직선이동함에 따라 상기 힌지 샤프트는 상기 골형부가 상기 산형부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1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홈; 및
    상기 힌지 캠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는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 내에서 직선이동함으로써 상기 힌지 캠의 직선이동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12.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부재의 일면에 돌출된 접촉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촉 돌기가 상기 힌지 하우징의 단부에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접속 단자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힌지 하우징;
    일단이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접속 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접속 부재를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14.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힌지 캠의 일단에 지지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봉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봉의 단부는 상기 힌지 하우징의 일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인접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20060090188A 2006-09-18 2006-09-18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827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188A KR100827111B1 (ko) 2006-09-18 2006-09-18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11/857,185 US8060158B2 (en) 2006-09-18 2007-09-18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188A KR100827111B1 (ko) 2006-09-18 2006-09-18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559A true KR20080025559A (ko) 2008-03-21
KR100827111B1 KR100827111B1 (ko) 2008-05-02

Family

ID=3918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188A KR100827111B1 (ko) 2006-09-18 2006-09-18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60158B2 (ko)
KR (1) KR100827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8749A (ko) * 2015-11-19 2017-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0571A1 (en) * 2007-12-31 2009-07-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flip-open assist of ultra thin clam communication devices
JP2009302827A (ja) * 2008-06-12 2009-12-24 Fujitsu Ltd 折り畳み型の電子機器およびヒンジのガタ抑制装置
US9651995B2 (en) * 2014-12-30 2017-05-16 Tronxyz Technology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8993A (en) * 1991-02-01 1994-01-11 Motorola, Inc. Integral spring loaded hinge and switch for portable radio device
US6256481B1 (en) * 1997-04-26 2001-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DE69921885T2 (de) * 1998-05-26 2006-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Gelenkmechanismus für ein tragbares Telefon
KR100359078B1 (ko) * 2000-12-22 2002-10-31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 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0593984B1 (ko) * 2002-01-18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스프링을 이용한 안테나 장치
KR100969747B1 (ko) * 2003-01-06 201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이용한 그라운드 접속 장치를 구비하는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60068492A (ko) * 2004-12-16 2006-06-21 주식회사 팬택 가변저항을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6186501A (ja) 2004-12-27 2006-07-13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型携帯通信機の開閉検知構造及びこれを備える折り畳み型携帯通信機
KR100698650B1 (ko) * 2004-12-28 2007-03-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8749A (ko) * 2015-11-19 2017-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70643A1 (en) 2008-03-20
US8060158B2 (en) 2011-11-15
KR100827111B1 (ko) 200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35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10051301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1006514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US752294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790175B1 (ko)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 방법
KR10065149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7450979B2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US7334296B2 (en) Hing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82711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90058614A (ko) 회전 힌지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0849318B1 (ko)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893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59401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101009933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장치
JP2852266B2 (ja) 開閉検出構造
KR100790103B1 (ko) 휴대형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100678058B1 (ko) 힌지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96572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2006013327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80022011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40045582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50114388A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50045708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70077933A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