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932B1 -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 - Google Patents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932B1
KR100940932B1 KR1020080012948A KR20080012948A KR100940932B1 KR 100940932 B1 KR100940932 B1 KR 100940932B1 KR 1020080012948 A KR1020080012948 A KR 1020080012948A KR 20080012948 A KR20080012948 A KR 20080012948A KR 100940932 B1 KR100940932 B1 KR 10094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iezoelectric ceramic
unit
rechargeable battery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7609A (ko
Inventor
김승진
Original Assignee
김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진 filed Critical 김승진
Priority to KR1020080012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932B1/ko
Publication of KR20090087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8Paving elements having direction indic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21W2111/023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for pedestrian walkw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햇빛이 들지 않는 실내에 설치되되 다수의 압전세라믹을 구비하여 오고가는 행인이 가압함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발생하여 충전시킨 후, 화재 또는 정전 등 비상 상황 시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비상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발광유닛을 점등시켜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으며,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기판을 통해 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한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하부본체와, 상기 결합돌기 내에 설치되는 압전세라믹유닛과, 상기 공간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압전세라믹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지와, 상기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 내에 점멸가능하게 설치되는 발광유닛과, 상기 공간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지 및 발광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발광유닛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하부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되, 상부면의 일측에는 상기 압전세라믹유닛이 돌출 위치되도록 관통슬릿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발광유닛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표시창이 관통 형성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관통슬릿에 기밀적으로 결합되고, 그 하부면이 상기 압전세라믹유닛의 상부면과 면접하게 배치되는 가압돌기판과, 상기 표시창에 기밀적으로 결합되는 강화유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전세라믹, 발광블럭, 상부본체, 하부본체, 충전지, 발광유닛, 제어부, 가압돌기판, 강화유리부재

Description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LIGHT EMITTING BLOCK USING PIEZOELECTRIC CERAMICS}
본 발명은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햇빛이 들지 않는 실내에 설치되되 다수의 압전세라믹을 구비하여 오고가는 행인이 가압함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발생하여 충전시킨 후, 화재 또는 정전 등 비상 상황 시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비상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발광유닛을 점등시켜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으며,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기판을 통해 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도 또는 건물의 내부에는 비상시 대피할 수 있는 비상구를 안내하는 비상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비상등은 조명기구의 전원이 인가되면 함께 점등되거나 비상 상황시 별도의 전력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조명기구와 함께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경우, 화재 또는 정전시 전원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비상등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상상황을 대비할 수 있는 전원이 준비되어 있는 경우 이를 별도로 관리 및 유지해야 할 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시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될 경우 물적 인적 피해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햇빛이 들지 않는 실내에 설치되되 다수의 압전세라믹을 구비하여 오고가는 행인이 가압함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발생하여 충전시킨 후, 화재 또는 정전 등 비상 상황 시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비상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발광유닛을 점등시켜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으며,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기판을 통해 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압전세라믹유닛이 구비되어 사람들의 보행에 따른 가압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상기 본체 내에는 충전지가 구비되어 상기 압전세라믹유닛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며, 상기 본체에는 발광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충전지로부터의 전원공급에 의해 발광되는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전술한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하부본체와, 상기 결합돌기 내에 설치되는 압전세라믹유닛과, 상기 공간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압전세라믹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지와, 상기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 내에 점멸가능하게 설치되는 발광유닛과, 상기 공간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지 및 발광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발광유닛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하부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되, 상부면의 일측에는 상기 압전세라믹유닛이 돌출 위치되도록 관통슬릿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발광유닛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표시창이 관통 형성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관통슬릿에 기밀적으로 결합되고, 그 하부면이 상기 압전세라믹유닛의 상부면과 면접하게 배치되는 가압돌기판과, 상기 표시창에 기밀적으로 결합되는 강화유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가압돌기판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가압돌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본체의 바닥면에 면접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가압돌기판은 가압력을 상기 압전세라믹유닛에 전달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 또는 세라믹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표시창은 비상시 대피가능한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화살표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햇빛이 들지 않는 실내에 설치되되 다수의 압전세라믹을 구비하여 오고가는 행인이 가압함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발생하여 충전시킨 후, 화재 또는 정전 등 비상 상황 시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비상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발광유닛을 점등시켜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고,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기판을 통해 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유도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구비를 요하지 않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의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1)은 본체(10,60)에 압전세라믹유닛(20)이 구비되어 사람들의 보행에 따른 가압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상기 본체(10,60) 내에는 충전지(30)가 구비되어 상기 압전세라믹유닛(20)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며, 상기 본체(10,60)에는 발광유닛(40)이 구비되어 상기 충전지(30)로부터의 전원공급에 의해 발광되는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1)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1)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결합돌기(12)가 구비되는 하부본체(10)와, 결합돌기(12) 내에 설치되는 압전세라믹유닛(20)과, 공간부(11) 내에 설치되고 압전세라믹유닛(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지(30)와, 충전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간부(11) 내에 점멸가능하게 설치되는 발광유닛(40)과, 공간부(11) 내에 설치되고 충전지(30) 및 발광유닛(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발광유닛(40)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50)와, 하부본체(10)의 상측에 결합되되, 상부면의 일측에는 압전세라믹유닛(20)이 돌출 위치되도록 관통슬릿(6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발광유닛(40)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표시창(62)이 관통 형성되는 상부본체(60)와, 관통슬릿(61)에 기밀적으로 결합되고, 그 하부면이 압전세라믹유닛(20)의 상부면과 면접하게 배치되는 가압돌기판(70)과, 표시창(62)에 기밀적으로 결합되는 강화유리부재(8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본체(10)는,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가 내설되며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1)이 설치될 지면에 고정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결합돌기(12)가 구비된다.
이러한 하부본체(10)는 사각함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형상은 당업자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금속재, 석재, 목재 및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결합돌기(12)는 추후에 설명될 압전세라믹유닛(20)이 하부본체(10) 내에서 그 위치가 이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수의 압전세라믹유닛(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하부본체(10)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에 이르기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결합돌기(12) 내에는 압전세라믹유닛(20)이 설치되는데, 이 압 전세라믹유닛(20)은 가압되는 힘을 전기에너지의 형태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압전세라믹유닛(20)은, 종래기술에 따른 압전세라믹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압전세라믹유닛(20)이 설치되는 하부본체(10)의 공간부(11) 내에는 충전지(30)가 설치되는데, 이 충전지(30)는 압전세라믹유닛(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전세라믹유닛(20)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충전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충전지(30)가 구비되는 하부본체(10)의 공간부(11) 내에는 발광유닛(40)이 점멸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발광유닛(40)은 충전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비상상황 발생시 충전지(3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발광유닛(40)은 휘도가 높고 수명이 긴 엘이디(LED) 램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발광유닛(40)이 구비되는 하부본체(10)의 공간부(11) 내에는 제어부(50)가 설치되는데, 이 제어부(50)는 전술한 충전지(30) 및 발광유닛(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유닛(40)의 점멸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50)는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1)이 설치되는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는 화재, 연기, 정전 등을 감지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비상상황시 이로부터 해당 신호를 수신받아 발광유닛(40)이 점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50) 내에 화재, 연기 및 정전을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센서 (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비상상황 하에서 점등된 발광유닛(40)은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소등될 수도 있으며,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1)이 설치되는 공간 또는 제어부(50) 내에 설치될 수 있는 센서(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상황이 종료됨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받아 소등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제어부(50)가 설치되는 하부본체(10)의 상측에는 상부본체(60)가 결합되는데, 이 상부본체(60)는 내부에 구성부재가 내설되는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1)을 마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본체(60)는 하부본체(10) 상측에 결합되되, 하부본체(10)의 외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결합부위에는 별도의 고무패킹(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상부본체(60) 상부면의 일측에는 압전세라믹유닛(20)이 돌출 위치되도록 관통슬릿(6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발광유닛(40)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표시창(62)이 관통 형성된다.
전술한 관통슬릿(61)은 결합돌기(12) 내에 결합되는 압전세라믹유닛(2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전술한 표시창(62)은 비상시 대피가능한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화살표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관통슬릿(61)에는 가압돌기판(70)이 기밀적으로 결합되는데, 이 가압돌기판(70)은 그 하부면이 전술한 압전세라믹유닛(20)의 상부면과 면접하게 밀착 배치되어 가압되는 힘을 압전세라믹유닛(20)에 전달함과 동시에 압전세라믹유 닛(2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동시에, 전술한 가압돌기판(70)은 관통슬릿(61)을 통해 상부본체(60) 상으로 돌출 위치됨에 따라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가압돌기판(70)의 가장자리에는 가압시 가압돌기판(7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본체(10)의 바닥면에 면접되는 탄성부재(71)가 구비된다.
전술한 탄성부재(71)는 탄성력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가압시 그 힘을 압전세라믹유닛(20)에 전달하되 그 가장자리 측이 하부본체(10)의 바닥면에 직접 접촉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가압돌기판(70)은 압전세라믹유닛(20)에 가압력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 또는 세라믹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표시창(62)의 하부에는 강화유리부재(80)가 기밀적으로 결합되는데, 이 강화유리부재(80)는 전술한 발광유닛(40)을 보호하고 점등시 발광유닛(40)의 빛을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강화유리부재(80)는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되되 붉은색 또는 녹색으로 형성되어 비상상황시에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1)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1)은 지하도 또는 백화점과 같이 햇빛 이 들지 않는 실내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오고 가는 사람들이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1)의 가압돌기판(70)을 밟음으로써 가압돌기판(70)과 면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압전세라믹유닛(20)은 가압되는 힘을 전기에너지의 형태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충전지(30)에 충전된다.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1)이 설치된 공간 또는 제어부(50)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화재, 연기 또는 정전을 감지하면 이를 수신받은 제어부(50)가 충전지(30)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을 발광유닛(40)에 인가하여 발광시키게 되며, 발광유닛(40)의 상측에 위치되고 화살표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시창(62)이 비상구의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동시에, 상부본체(60) 상에는 다수의 가압돌기판(70)이 돌출 위치되어 있어,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유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
10 : 하부본체
11 : 공간부
12 : 결합돌기
20 : 압전세라믹유닛
30 : 충전지
40 : 발광유닛
50 : 제어부
60 : 상부본체
61 : 관통슬릿
62 : 표시창
70 : 가압돌기판
71 : 탄성부재
80 : 강화유리부재

Claims (5)

  1. 본체에 압전세라믹유닛이 구비되어 사람들의 보행에 따른 가압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상기 본체 내에는 충전지가 구비되어 상기 압전세라믹유닛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며, 상기 본체에는 발광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충전지로부터의 전원공급에 의해 발광되는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
  2.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하부본체;
    상기 결합돌기 내에 설치되는 압전세라믹유닛;
    상기 공간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압전세라믹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지;
    상기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 내에 점멸가능하게 설치되는 발광유닛;
    상기 공간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지 및 발광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발광유닛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하부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되, 상부면의 일측에는 상기 압전세라믹유닛이 돌출 위치되도록 관통슬릿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발광유닛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표시창이 관통 형성되는 상부본체;
    상기 관통슬릿에 기밀적으로 결합되고, 그 하부면이 상기 압전세라믹유닛의 상부면과 면접하게 배치되는 가압돌기판; 및
    상기 표시창에 기밀적으로 결합되는 강화유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판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가압돌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본체의 바닥면에 면접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판은 가압력을 상기 압전세라믹유닛에 전달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 또는 세라믹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비상시 대피가능한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화살표 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
KR1020080012948A 2008-02-13 2008-02-13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 KR100940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948A KR100940932B1 (ko) 2008-02-13 2008-02-13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948A KR100940932B1 (ko) 2008-02-13 2008-02-13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609A KR20090087609A (ko) 2009-08-18
KR100940932B1 true KR100940932B1 (ko) 2010-02-08

Family

ID=41206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948A KR100940932B1 (ko) 2008-02-13 2008-02-13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9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517B1 (ko) * 2013-05-22 2015-03-31 손제욱 압전 장치를 이용한 멜로디 점자 블록
KR20200031237A (ko) * 2018-09-14 2020-03-24 (주)대명솔루션 태양광매립등 및 태양광매립등이 매입된 보도블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976B1 (ko) * 2012-11-02 2014-04-04 주식회사 오토닉스 발광기능을 갖춘 피에조 부저
KR101988791B1 (ko) * 2018-02-20 2019-06-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난 유도 장치 및 시스템
CN108505416A (zh) * 2018-05-29 2018-09-07 慈溪市双伟道路设施有限公司 一种道路铺设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808A (ko) * 2005-02-02 2006-08-07 가부시키가이샤 닛토 축광 세라믹스 및 축광 세라믹스의 제조 방법
KR200426648Y1 (ko) 2006-06-26 2006-09-18 이종헌 축광성 타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808A (ko) * 2005-02-02 2006-08-07 가부시키가이샤 닛토 축광 세라믹스 및 축광 세라믹스의 제조 방법
KR200426648Y1 (ko) 2006-06-26 2006-09-18 이종헌 축광성 타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517B1 (ko) * 2013-05-22 2015-03-31 손제욱 압전 장치를 이용한 멜로디 점자 블록
KR20200031237A (ko) * 2018-09-14 2020-03-24 (주)대명솔루션 태양광매립등 및 태양광매립등이 매입된 보도블럭
KR102148174B1 (ko) * 2018-09-14 2020-08-26 (주)대명솔루션 태양광매립등 및 태양광매립등이 매입된 보도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609A (ko) 200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932B1 (ko)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
US20100013658A1 (en) Dynamic emergency escape indicator
TWI434004B (zh) Multi-purpose lighting device
JP5982443B2 (ja) 発光装置
TWM498273U (zh) 可充氣太陽能燈
CN204561090U (zh) 一种可控闪光鞋
JP3191699U (ja) 非常用照明装置
JP5635883B2 (ja) 非常用照明器具
KR100908073B1 (ko) 피난문 손잡이 유도조명장치
US9366400B2 (en) Illumination lamp with integrated switch and alarm
KR200447623Y1 (ko) 솔라셀을 이용한 발광블럭
KR20150002983U (ko) 비상유도 등
CN207796861U (zh) 一种能连接市电的安全电压标志灯
CN216358472U (zh) 一种便携式发光复合板
CN104566127A (zh) 一种可拆卸led消防灯
JP6726876B2 (ja) 照明器具
JP6436382B2 (ja) 照明装置
KR101451077B1 (ko) 비상시 휴대가 용이한 조명기구
KR20150087920A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계단용 조명기구
CN216145390U (zh) 一种用于应急标志灯的保护装置
CN211007467U (zh) 一种发光地砖及走廊地砖照明系统
AU2008100663A4 (en) Compact down light with single light-emitting diode (LED) and light output of more than 400 Lumens
KR20110082287A (ko) 비접촉 스위치를 구비한 방수형 작업등
KR200363113Y1 (ko) 교체가능한 축광형 안전유도 표시구
KR200314488Y1 (ko) 축광특성을 갖는 안내표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