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113Y1 - 교체가능한 축광형 안전유도 표시구 - Google Patents

교체가능한 축광형 안전유도 표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113Y1
KR200363113Y1 KR20-2004-0005571U KR20040005571U KR200363113Y1 KR 200363113 Y1 KR200363113 Y1 KR 200363113Y1 KR 20040005571 U KR20040005571 U KR 20040005571U KR 200363113 Y1 KR200363113 Y1 KR 200363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space
photoluminescent
protective glass
wal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완
권성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펩티모
김양완
권성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펩티모, 김양완, 권성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펩티모
Priority to KR20-2004-0005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1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1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or orientation or public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도나 지하철역을 비롯한 다중 공동시설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빛 에너지를 받아 축광을 하였다가 정전이나 화재로 인하여 조명이 없는 경우 어두운 상태에서 발광하여 방향, 위치 등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빛 에너지가 없는 어두운 곳에서도 1시간 이상 고휘도로 발광가능하고, 구조적으로도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후성을 가지며, 벽체나 바닥의 훼손없이도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바닥이나 벽체에 매립설치되며 외면에는 이탈방지부(12)가 형성되고 중공의 내면에는 암나사부(14)가 형성된 단관형의 베이스(10); 이 베이스 (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외면에 수나사부(2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24)이 형성되며, 이 수용공간(24)의 상부에는 이 수용공간(24)의 직경보다 작은 개방부(26)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측 하방으로 테이퍼진 플랜지부(28)가 형성되며, 이 플랜지부(28)에는 복수 개의 분해조립용 홈(29)이 형성된 덮개(20); 이 덮개(20)의 수용공간(24)에 차례로 삽입되는 스프링(30)과 몸체(40) 및 보호유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보호유리(50)와 몸체(40)사이에는 축광체(60)가 수용된다.

Description

교체가능한 축광형 안전유도 표시구 {A Changeable light storage type safety guide sign fixture}
본 고안은 교체가능한 축광형 안전유도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 지하도나 지하철역을 비롯한 다중 공동시설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빛 에너지를 받아 축광을 하였다가 정전이나 화재로 인하여 조명이 없는 경우 어두운 상태에서 발광하여 방향이나 위치 등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빛 에너지가 없는 어두운 곳에서도 1시간 이상 고휘도로 발광가능하고, 구조적으로도 내마모성·내충격성 및 내후성을 가지며, 파손시 벽체나 바닥의 훼손없이도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유도 표시물은 축광안료와 폴리프로필렌, 염화비닐 등의 수지와 혼합한 시트형태, 축광안료 잉크를 플라스틱이나 기타 재질의 표면에 일정한 도형이나 문자 형태로 전사 코팅한 형태, 축광안료와 도자기 소성용 유약을 혼합한 후 고온소성처리하여 세라믹 재질의 기판 위에 무기바인더를 사용하여 도포하는 형태, 장애인용 점자블록 표면 전체를 축광안료와 수지를 혼합하여 도포하는 형태 등으로 만들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안전유도 표시물은 수지와 혼합 사용하여 성형하는 경우 수지 자체가 열에 약하고 물리적인 마찰이나 충격과 대기노출에 의한 수지의 노화현상에 의하여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여 축광안료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으며, 축광안료와 도자기용 안료를 혼합 소성처리하여 사용하는 경우 축광안료의 구성성분에 따라 소성온도가 500℃이상에서 발광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거나 대기중의 산화성 가스성분인 NOX,SOX등과 반응하여 축광안료의 수명이 단축되는 경우가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내삽(매립)형태의 안전유도 표시물도 대부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이으며, 신규 설치와 교체시 주변의 블록이나 바닥 부분을 부분적으로 훼손하거나 교체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안전유도 표시물의 주요 기능이 암소에서의 발광기능은 축광안료의 구성성분에 따라서 차이가 많이 나며, 대부분 장광시간이 1시간 이내인 황화아연, 황화카드뮴, 탄산칼슘 등을 모체로 한 축광안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첫째, 잔광시간이 1시간 이상이며 빛에너지를 모두 제거한 후 암소에서 1시간후의 광도가 10mcd인 스트론튬알루미네이트를 모체로 하고 여기에 희토류원소를 부활제로 포함시킨 축광안료를 사용하고, 자체의 휘도를 보다 더 높게 하기 위하여형광증백제를 혼합사용한 축광체를 안전유도 표시구에 적용하였으며, 둘째, 축광안료의 발광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주변환경요소 이를테면 산화성가스, 물리적인 마찰이나 충격 등에 의한 축광안료 코팅접착표면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광체를 내마모성, 내충격성을 갖는 경질유리의 하부에 배치하였고, 셋째, 설치와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에 내삽되었을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덮개에 분해조립용 홈을 형성하여 파손시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빛이 없는 암소에서 정확하게 위치와 방향을 쉽게 인식하여 축광체가 발광하는 시간동안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교체가능한 축광형 안전유도 표시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유도 표시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유도 표시구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유도 표시구의 분해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유도 표시구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유도 표시구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몸체부만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12 : 이탈방지부
14 : 암나사부 20 : 덮개
22 : 수나사부 24 : 수용공간
26 : 개방부 28 : 플랜지부
29 : 분해조립용 홈 30 : 스프링
40 : 몸체 42 : 코팅홈
50 : 보호유리 60 : 축광체
70 : 바닥(벽체)
이하, 본 고안을 한전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유도 표시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유도 표시구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유도 표시구의 분해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유도 표시구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전유도 표시구는 바닥이나 벽체(70)에 매립설치되며 외면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홈 또는 돌기 형태의 이탈방지부(12)가 형성되고 중공의 내면에는 암나사부(14)가 형성된 단관형의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외면에 수나사부(2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24)이 형성되며, 이 수용공간(24)의 상부에는 이 수용공간(24)의 직경보다 작은 개방부(26)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측 하방으로 테이퍼진 플랜지부(28)가 형성되며, 이 플랜지부(28)에는 복수 개의 분해조립용 홈(29)이 형성된 덮개(20)와; 이 덮개(20)의 수용공간(24)에 차례로 삽입되는 스프링(30)과 몸체(40) 및 보호유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보호유리 (50)와 몸체(40)사이에는 축광체(60)가 수용된 것이다.
상기 베이스(10)와 덮개(20)는 세라믹이나 금속재질 등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베이스(10)의 외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부(12)는 바닥이나 벽체(70)에 매립된 경우 모르타르나 기타 접착제 등이 홈 형태의 이탈방지부(12)에 유입되거나 바닥이나 벽체용 모르타르 등에 매립되어 베이스(10)가 견고하게 박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12)는 베이스(10)의 외면 둘레에 불연속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덮개(20)의 교체시 받게 되는 회전력에 대해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덮개(20)는 외부로 노출되어 내부의 몸체(40)와 베이스(10)를 보호하게 되며, 이 덮개(2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보호유리(50)는 그 하부의 축광체 (60)를 덮어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30)은 덮개(20)내부의 수용공간(24)에 삽입된 몸체(40)를 상부로 밀어 올리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스프링(30)에 의해 상부이 몸체(40)와 이 몸체(40)위의 보호유리(50)를 받쳐주고 있어 보호유리(50)가 외부의 압력에 의해 눌릴 경우나 기타 충격을 받게 될 경우 스프링(30)의 압축력에 의해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되며, 이 스프링(30)은 베이스(10)와 덮개(20)와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데도 도움을 주게 된다.
상기 보호유리(50)는 충격에 강한 경질유리를 사용하여 볼록렌즈형태로 제작하며, 내부의 축광체(60)를 외부의 물리·화학적인 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물리·화학적인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내마모성을 갖도록 한 것으로, 이 보호유리(50)는 이와 같은 기능 외에도 평상시 외부의 빛 에너지를 반사하여 보행자에게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부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바닥에 설치된 경우 시각장애인들에게 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축광체(60)는 520nm의 파장에서 녹색으로 발광하며 암소에서 잔광시간이 1시간 이상 유지되고 시간 이후의 밝기가 10mcd정도 되는 Eu, Dy를 포함하는 희토류 원소를 부활제로 함유한 스트론튬알루미네이트(SrAl2O4)를 주재로 하고, 여기에 녹색 유기 형광증백제와 난연성 투명수지를 혼합한 것으로, 바람직하기로는 그 혼합비를 상기 순서대로 각각 70 : 30 : 10중량부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축광체(60)를 보호유리(50)의 저면에 직접 코팅한 것이며, 보호유리(50)가 강한 충격에 의해 파손될 경우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베이스(10)로부터 덮개(20)를 분리시킨 후 덮개(20)내부의 파손된 보호유리(50)와 축광체(60)를 새것으로 끼워 넣고 다시 덮개(20)를 베이스(10)에 재결합시키면 이의 보수가 완료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몸체부만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축광체(60)를 보호유리(50)의 저면이 아닌 몸체(40)의 상부에 직접 코팅한 것으로, 이때에는 몸체(40)의 상부에 약 3mm정도 깊이의 코팅홈(42)을 형성한 후 축광체(60)를 코팅함으로써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첫번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보수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하철 역구내나 지하도 등의 다중 공동시설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외부의 조명에 의한 반사효과로 인하여 보행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고, 바닥에 설치된 경우 보호유리가 돌출되어 있어 시각장애인에게 방향을 유도할 수 있으며, 정전이나 화재시에는 어두움 암소에서 장시간 발광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위치와 방향을 알려 줄 수 있으므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바닥이나 벽체(70)에 매립설치되며 외면에는 이탈방지부(12)가 형성되고 중공의 내면에는 암나사부(14)가 형성된 단관형의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외면에 수나사부(2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24)이 형성되며, 이 수용공간(24)의 상부에는 이 수용공간(24)의 직경보다 작은 개방부(26)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측 하방으로 테이퍼진 플랜지부(28)가 형성되며, 이 플랜지부(28)에는 복수 개의 분해조립용 홈(29)이 형성된 덮개(20);
    상기 덮개(20)의 수용공간(24)에 차례로 삽입되는 스프링(30)과 몸체(40)및 보호유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유리(50)와 몸체(40)사이에는 축광안료와 형광증백제가 수지와 혼합되어 이루어진 축광체(60)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축광형 안전유도 표시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광체(60)는 상기 보호유리(50)의 저면에 직접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축광형 안전유도 표시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광체(60)는 상기 몸체(40)의 상면에 직접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축광형 안전유도 표시구.
  4. 삭제
  5. 삭제
KR20-2004-0005571U 2004-03-03 2004-03-03 교체가능한 축광형 안전유도 표시구 KR200363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571U KR200363113Y1 (ko) 2004-03-03 2004-03-03 교체가능한 축광형 안전유도 표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571U KR200363113Y1 (ko) 2004-03-03 2004-03-03 교체가능한 축광형 안전유도 표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113Y1 true KR200363113Y1 (ko) 2004-09-22

Family

ID=49438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571U KR200363113Y1 (ko) 2004-03-03 2004-03-03 교체가능한 축광형 안전유도 표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1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7302A (ko) * 2005-01-28 2006-08-02 안병천 피난 유도용 발광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7302A (ko) * 2005-01-28 2006-08-02 안병천 피난 유도용 발광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29479T1 (de) Lichtemittierendes bauelement mit einem eu(ii)- aktivierten leuchtstoff
KR20110132059A (ko) 비접촉식 전원 공급 방식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US20060228973A1 (en) LED Light Strings
ATE395391T1 (de) Beleuchtungssystem mit einer strahlungsquelle und einem fluoreszierenden material
WO2008096545A1 (ja) 白色発光ランプと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DK170317B1 (da) Lysende plade
JP5568839B2 (ja) 蓄光性蛍光体、蛍光ランプ、蓄光性表示体、及び蓄光性成型品
KR20100115205A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맨홀뚜껑
KR200363113Y1 (ko) 교체가능한 축광형 안전유도 표시구
KR20060122398A (ko)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
ATE449426T1 (de) Weisses licht emittierendes beleuchtungssystem
KR200385948Y1 (ko) 방향 유도용 매립형 축광 세라믹스
JP2008047376A (ja) 携帯用照明装置
KR100684643B1 (ko) 축광표시체
KR100977087B1 (ko) 발광다이오드 램프와 이를 이용한 계단용 논스립
JP2651898B2 (ja) 蛍光・蓄光塗膜を有する煉瓦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346024A (ja) 発光性ボルト及び発光性製品
KR200317152Y1 (ko) 발광유도블록
KR101122037B1 (ko) 비접촉식 전원 공급 방식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CN214897475U (zh) 一种稀土陶瓷自发光安全标识牌
CN112555692B (zh) 一种基于特定的长余辉发光材料的应急照明指示装置
KR200370075Y1 (ko) 보도블럭형자기발광구난유도표시소자
KR200314488Y1 (ko) 축광특성을 갖는 안내표시구
KR200343079Y1 (ko) 방향 표시 블록
JP5322246B2 (ja) 発光装置、及び発光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