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818B1 - Apparatus for supplying wallnu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lying walln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818B1
KR100940818B1 KR1020090108697A KR20090108697A KR100940818B1 KR 100940818 B1 KR100940818 B1 KR 100940818B1 KR 1020090108697 A KR1020090108697 A KR 1020090108697A KR 20090108697 A KR20090108697 A KR 20090108697A KR 100940818 B1 KR100940818 B1 KR 100940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nut
pieces
width
paul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6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영
심재갑
김완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 이 엠
(주)보림로지스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 이 엠, (주)보림로지스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 이 엠
Priority to KR1020090108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8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8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PURPOSE: A walnut feeder is provided, which can supply only walnut pieces with the constant range of size to the mold frame for manufacturing walnut cookies. CONSTITUTION: A walnut feeder comprises a limit switch(140)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mold frame;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vibrator by being delivered with a signal from the limit switch; a vibrat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walnut piece and vibration strength; a bowl for containing the walnut pieces; a first width selection unit in which the height is raised; a walnut falling member which drops walnut pieces to the floor side of the bowl; a walnut exhausting part(130); and a proximity senso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walnut exhausting part.

Description

호두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WALLNUT}Walnut Feeder {APPARATUS FOR SUPPLYING WALLNUT}

본 발명은 호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형틀이 이동하면서 호두과자의 구성물이 공급되면서 형틀에 열을 가하여 호두과자를 제조하는 공정의 일부분인 호두조각을 일정하게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nut feed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he mold is mov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while the composition of the walnut confectionery is supplied while supplying the walnut pieces which are part of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walnut confectionery by applying heat to the mold. It relates to a device to.

호두과자 제조공정과 관련된 중요 기술에는 첫째, 호두공급 자동화 기술, 둘째, 지나치게 크거나 작은 호두조각을 선별하여 호두과자 형틀에 투입하는 기술, 셋째, 호두조각이 미투입되는 실수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 등이 있을 수 있다.Important technologies related to the walnut confectionery manufacturing process include first, walnut supply automation technology, second, technology to select walnut pieces that are too large or too small, and to put them in the walnut cookie mold, and third, to prevent mistakes in walnut pieces. This can be.

본 발명에 따른 호두공급장치는 상기 세 가지의 기술분야와 모두 관련된 발명으로서 일거에 상기 기술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Walnu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ll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technology as one invention related to all three technical fields.

본 발명은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형틀이 이동하면서 호두과자의 구성물이 공급되면서 형틀에 열을 가하여 호두과자를 제조하는 공정의 일부분으로서 일정크기범위내로 선별된 호두조각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ntinuously supplying pieces of walnuts selected within a certain size range as part of a process for manufacturing walnuts by applying heat to the molds while the mold is suppli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ile the mold is moved. .

일반적으로 호두과자 제조과정에서 호두조각의 공급은 수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수작업에 의한 호두공급은 고온인 작업환경에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의 건강상 문제가 야기될 수 있으며 일일이 호두조각을 형틀에 수작업으로 투입하므로 생산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general, the supply of walnut pieces was made by hand during the manufacture of walnut cookies. Supplying walnuts by hand is caused in a high temperature working environment can cause worker health problems, and since the walnut pieces are manually put into the mold by hand, the productivity is very low.

그리고 투입되는 호두조각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 특히 호두과자 내에 들어있는 호두의 크기가 너무 작거나 혹은 호두조각이 미투입 되어 있는 경우 소비자불만 사항이 될 수도 있었고 너무 큰 호두조각을 투입할 경우에는 원가상승의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walnut pieces is not constant, especially if the size of the walnuts in the walnut cake is too small or the walnut pieces are not added, it may be a consumer complaint. There was also a problem with the rise.

상기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삽의 형태를 가진 쇼벨이라는 장치를 모터에 연결시켜 회전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호두조각을 제조 형틀에 투입하는 설비가 개발되었지만 호두공급시 정확히 형틀에 투입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호두를 퍼는 과정에서 호두자체를 파쇄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호두조각이 호두과자내에 투입되었는지 여부가 불분명한 경우도 있었고 또한 호두조각의 크기에 대해 선별장치가 없었다.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a device for automatically inserting walnut pieces into a manufacturing mold was developed by connecting a device called shovel with a shovel shape to a motor and rotating it. There was a problem of shredding the walnut itself during the spreading process, so it was unclear whether the walnut pieces were put into the walnut cake and there was no sorting device for the size of the walnut pieces.

상기와 같이 호두과자 제조공정 중 호두조각을 투입하는 공정과 관련하여 호두가 미투입되거나 투입되더라도 너무 작거나 큰 호두조각이 투입되어 왔음에도, 안정적으로 균일한 크기의 호두조각을 선별하여 호두과자 제조용 형틀에 공급하는 것이 장기간 미해결 과제로 남아 있는 실정이었다.As mentioned above, even if walnut is not added or walnut in the walnut pastry manufacturing process, even if small or large walnut pieces have been put in, walnut pieces are stably selected for the uniform size Supplying the mold remained a long-term unsolved task.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호두과자제조를 위한 형틀에 호두과자 조각이 미투입됨이 없는 안정적인 호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둘째, 호두과자 조각이 특정 크기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를 배제하고 일정크기 범위내의 호두조각만이 투입될 수 있는 호두 공급장치를 제공하며, 셋째, 호두공급시 호두파쇄가 되지 않음으로써 호두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상품성 낮은 호두조각이 호두과자에 투입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호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넷째, 수작업으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나 작업자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제기되지 않는 자동화된 호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to provide a stable walnut feeding device that is not walnut pieces in the mold for manufacturing walnut confectionery and second, the walnut pieces Provides walnut feeding device that can only input walnut pieces within a certain size, except for cases that are larger or smaller than size. Third, walnuts can be hygienically managed because walnuts are not broken during walnut feeding. It is to provide a walnut feeder that can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pieces are put into the walnut, and fourth, to provide an automated walnut feeder that does not fundamentally raise the hygiene problems or worker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han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호두공급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The constitution of the walnut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형틀이 이동하며, 자동적으로 호두과자의 구성물이 상기 형틀에 투입됨으로써 호두과자가 제조되는 공정 중, 호두 조각을 일정시간 내에 공급하는 호두공급장치에 있어서, 호두 공급이 필요한 형틀의 도착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형틀의 일측에 접촉되는 리미트스위치; 상기 리미트스위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바이브레이터를 동작시키며, 낙하하는 호두조각을 감지하는 근접센서의 신호를 받아 바이브레이터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콘트롤러 ;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작동하며 강도 조절이 되며 호두조각 이동속도조절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상기 바이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며, 호두조각들을 담기 위한 바울(bowl);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따라, 담겨진 호두조각을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면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울의 내측벽의 원주를 따라, 스파이럴 (spiral) 형상으로 점진적으로 회전반경이 커짐과 동시에 그 높이가 상승되는 단턱 구조로 형성되어, 일정한 폭 이하의 호두조각만이 이동될 수 있는 제1 폭 선별수단; 상기 바울의 내측벽의 일측에 부착되어, 일정 높이 이상의 호두조각의 일측이 충돌하여 상기 바울의 바닥면으로 다시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호두낙하수단; 상기 바울의 상부면에 올라온 호두가 자유낙하하여, 호두과자 제조 형틀에 투입되기 위한 통로인 호두배출부; 상기 호두배출부를 통해서 자유낙하하는 호두조각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호두배출부의 일측에 부착되는 근접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alnut feeding device for supplying walnut piece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walnut confectionery, the mold is mov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walnut confectionery is automatically put into the mold. A limit switch contacting one side of the mold to detect arrival; A controller which receives a signal from the limit switch to operate a vibrator, and receives a signal of a proximity sensor detecting a falling walnut piece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vibrator; Vibrator is operated by the controller and the strength is adjustable and the movement speed of the walnut pieces; A bowl coupled to the top of the vibrate and containing walnut pieces; In accordance with the vibration of the vibrato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wall of the Paul to move the contained walnut piec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surface, the radius of rotation gradually increases and its height increases in a spiral shape. Is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that is,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that can be moved only walnut pieces of a predetermined width or les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Paul, walnut dropping means for allowing one side of the walnut pieces of a predetermined height or more to fall back to the bottom of the Paul; Walnuts fall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ul free fall, walnut discharge portion which is a passage for input into the walnut mold manufacturing frame; Proximity sensor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walnut discharge portion to detect the walnut pieces falling freely through the walnut discharg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제1 폭 선별수단의 호두조각 안착면의 폭은 투입하고자 하는 호두조각의 최대폭의 1/2 이하로 형성됨으로써 호두조각이 안착면의 두배 이상의 폭인 경우에는 바닥면으로 낙하되도록 하여 호두과자에 투입되지 않도록 한다.The width of the walnut pieces seating surface of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is formed to be 1/2 or less of the maximum width of the walnut pieces to be put, so that when the walnut pieces are more than twice the width of the seating surface, the walnut pieces fall to the bottom surface and are put into the walnut cookies. Do not

상기 제1 폭 선별수단의 스파이럴 형상으로 연속해서 이어진 경로 중, 적어도 한 군데 이상 지점에서 상기 제1폭선별수단 보다 작은 폭을 가진 경로인 제2폭 선별수단이 형성된다. A second width sorting means, which is a path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is formed at at least one or more points among the paths continuously connected in a spiral shape of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상기 호두낙하수단은 일 단부가 부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 폭선별수단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휘어진 형상의 와이어(wire)로 구성되어 일정한 휨강도를 발휘하여 호두와 충돌했을 때 뒤로 밀려나지 않고 호두를 바울의 바닥면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폭 선별수단의 회전방향을 따라 휘어지다가 점점 회전중심부 쪽으로 곡률(曲率)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alnut dropping means is attached to one e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wire of the curved shape (wir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exerts a certain bending strength and does not push back when colliding with the walnut To fall to the bottom of Paul. The wire is ben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ature (曲 率)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상기 호두낙하수단은 상기 제1폭 선별수단과 직교하는 내측벽에 복수개 지점 이상에 형성하여 첫번째 호두낙하수단에 의해 낙하되지 않은 호두조각을 두번째 혹은 그 이후의 제1폭 선별수단에 의해서 걸러내어 바울의 바닥면으로 낙하시키고자 하였다.The walnut dropping means is formed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inner wall orthogonal to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to filter out pieces of walnut not dropped by the first walnut dropping means by the second or later first sorting means. An attempt was made to fal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복수의 호두낙하수단과 그 직하방의 제1폭선별수단의 안착면이 이루는 간격은 바울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여, 더 높은 곳에 부착되는 것일수록 상기 간격을 더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The spacing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plurality of walnut dropping means and the first width selection means directly below the walnut dropping means, it is preferable to form a smaller gap as the attachment to a higher place.

호두조각들을 복수의 호두과자 형틀에 동시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바이브레이터 및 상기 바울, 상기 호두배출부, 상기 근접센서들이 일체를 이루는 세트가 다수개의 세트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경우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In order to supply walnut pieces to a plurality of walnut molds at the same time, the vibrator and the Paul, the walnut discharge portion, the set of the proximity senso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ts, in this case, it can bring productivity.

상기 복수개 세트로 구비되는 호두 공급장치는 그 점유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3개가 세트일 경우에는 평면도를 기준으로 하여 삼각형 배치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4개가 세트일 경우에는 사각형배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설치공간에 따라 이를 변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walnut feed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ts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triangular arrangement based on the top view in the case of a set of three so that the occupied area is minimized, it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arrangement in the case of four sets Preferably,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상기 바울의 바닥면으로부터 적어도 1센티미터 이상의 높이 위치에, 제3폭 선별수단인 그물망을 두어, 그 그물의 최대 개방폭을 5밀리미터 이하로 구성하여, 일정크기 이하의 호두 조각이 호두과자 제조 형틀에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At the height of at least one centimeter from the bottom of the Paul, a net of a third width sorting means is placed, and the maximum opening width of the net is 5 mm or less, and pieces of walnuts of a certain size are placed on a walnut cake mold. To prevent supply.

상기 호두배출부 입구에 호두조각이 투입되기 직전의 제1폭선별수단(160) 바닥에는, 소립자호두배출구멍을 다수 형성하여 호두과자 완제품에 투입할 경우 상품성이 떨어질 정도의 작은 호두조각을 분리하도록 한다.At the bottom of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160 immediately before the walnut pieces are introduced into the walnut discharge part, a plurality of small particle walnut discharge holes are formed to separate small pieces of walnut that are less commercially viable when put into the finished product.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기에 제시하였으나 당업자 수준에서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면서도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나 이러한 변형된 형태의 실시라 하더라도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음을 밝혀 둔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present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hile exhibiting the same effects at the level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but even if the modified for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equivalent technical idea, it is found that they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ut it.

본 발명에 따른 호두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Walnut fee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호두과자제조 형틀에 호두과자 조각이 미투입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정확히 호두제조 형틀마다 호두조각을 공급할 수 있으며 둘째, 호두과자 조각이 특정 크기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 이를 호두과자 제조 형틀에 투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일정크기 범위 내의 호두조각만이 투입될 수 있으며 셋째, 호두공급시 호두파쇄가 되지 않음으로써 호두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상품성 낮은 호두조각이 호두과자에 투입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넷째, 자동적으로 호두조각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수작업으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가 없고, 종래 협소한 면적에서 고온을 견디며 호두투입 작업을 해야했던 작업자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ly walnut pieces to each walnut mold without any input of walnut chips into the walnut mold. Second, if walnut pieces are larger or smaller than a certain size, do not put them into the walnut mold. Only walnut pieces within a certain size range can be injected. Third, walnuts can be hygienically managed by walnuts being broken when walnuts are supplied. Fourth, there is no hygiene problem due to manual work, because the walnut pieces can be automatically p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fundamentally eliminated the worker environmental problems that had to endure high temperature in a narrow area conventionally.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호두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다)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nut fee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a) of Figure 1 an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the (c) direction of FIG.

도 4는 도 1의 (나)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울(bowl)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와이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바울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b) of FIG. 1, FIG. 5 is a photograph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Paul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ul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울 내부에서 호두가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호두조각이 바닥면으로 낙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소립자호두배출구멍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바울 바닥면에 그물망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이다.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walnut in the interior of the Pau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falling pieces of walnut to the bottom surface and Figure 9 is a structure of a small particle walnut discharge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and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a mesh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Paul of the present invention. .

즉 본 발명은 호두제조와 관련된 장치 중에서 호두조각을 형틀에 투입하는 공정에 관련된 발명이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related to a step of putting walnut pieces into a mold among apparatuses related to walnut manufacturin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호두과자 제조를 위한 형틀(10)이 이동하며, 자동적으로 호두과자의 구성물이 상기 형틀(10)에 투입됨으로써 호두과자가 제조될 수 있는 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조 공정 중 호두 조각을 형틀에 공급하는 호두공급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1 to 5, the mold 10 for the manufacture of walnut confectionery is mov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a device capable of manufacturing walnut confectionery by automatically putting the composition of the walnut confectionery into the mold 10 Shown is a walnut feeding device 100 for supplying walnut pieces to the mol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호두과자 제조를 위한 형틀(10)은 자동적으로 일정시간마다(바람직하게는 4초 내지 8초 정도의 범위이내) 일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The mold 10 for the production of walnut cookies is assumed to be automatically moved in one direction every predetermined tim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about 4 seconds to 8 seconds).

본 발명에 따른 호두공급장치(100)는, 형틀(10)이 호두조각 투입을 위한 일정위치에 도착 되었음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형틀(10)의 일측에 접촉되는 리미트스위치(140); 상기 리미트스위치 (140)로부터의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배스킷(150a,150b,150c)내부에 형성된 바이브레이터(미도시)를 동작시키는 콘트롤러(180, 도3에 도시); 상기 바이브레이터; 상기 바이브레이터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스킷(150a,150b,150c)내부에 형성된 바울(200, bowl); 호두조각을 상기 바울(200)의 상단부 일측으로부터 낙하시켜 형틀(10)에 공급하는 통로가 되는 호두공급부(130)를 포함한다.Walnut suppl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mit switch 140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mold 10 to detect that the mold 10 has arriv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the walnut pieces; A controller 180 (refer to FIG. 3) for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from the limit switch 140 to operate a vibrator (not shown) formed in the baskets 150a, 150b, and 150c; The vibrator; A bowl (200) coupled to the vibrator and formed in the baskets (150a, 150b, 150c); The walnut pieces fall from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paul 200 includes a walnut supply unit 130 that is a passage for supplying the mold (10).

도 1에서는 프레임(110)으로 가려져 상기 바울(200)이나 배스킷(150a,150b,150c), 바이브레이터, 콘트롤러(180) 등이 도시되지 않고 있으며, 단지 호두공급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스위치 (120a,120b,120c), 호두조각들을 바울(200)에 한꺼번에 넣어둘 때 열게 되는 뚜껑(115) 및 리미트스위치(140)만이 도시되고 있다. 한편 형틀(10)은 레일(20)위에 얹혀져서 가열을 위해 뒤집어 질 수 있는 구조이며, 자세한 구조는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In FIG. 1, the frame 200 is not covered, and thus, the Paul 200, the baskets 150a, 150b, 150c, the vibrator, the controller 180, and the like are not shown, and only an operation switch 120a for operating the walnut feeding device is illustrated. 120b and 120c, only the lid 115 and the limit switch 140, which are opened when the walnut pieces are put together in the Paul 200, are shown. On the other hand, the mold 10 is a structure that can be overturned for heating by being mounted on the rail 20, the detailed structure is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울(200)과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한 구조를 통상 바울 피더(bowl feeder)라고 칭하는데 이러한 바울 피더는 분말 혹은 볼트와 같은 작은 물체를 진동에 의해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The structure including the Paul 200 and the vibrat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bowl feeder, which functions to move small objects such as powder or bolt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vibration.

호두공급장치(100)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조작스위치(120)는 각각 프레임(110) 내부에 있는 세개의 바이브레이터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이다. 리미트스위치(140)에 형틀(10)이 부딪히면 프레임(110) 내부에 있는 호두공급장치의 콘트롤러(180)는 바이브레이터를 작동시키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walnut supply device 100 schematically, the operation switch 120 is a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of the three vibrator in the frame 110, respectively. When the mold 10 hits the limit switch 140, the controller 180 of the walnut feeding device in the frame 110 operates the vibrator.

이러한 진동은 바이브레이터 상부에 구비된 바울(200)과 바울(200)에 담긴 호두조각들을 연달아 진동시키게 되고, 호두조각들은 도 5에 도시된 스파이럴 (spiral) 형상이면서 계단 형상의 제1폭선별수단의 안착면(163) 위를 점진적으로 이동하면서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차츰 상승하게 된다. 결국 호두조각은 도 5의 J지점과 호두배출구(130)를 통해서 형틀(10)로 자유낙하하게 된다. This vibration is to vibrate the walnut pieces contained in the Paul (200) and the Paul 200 provided on the upper vibrator in succession, the walnut pieces are of the spiral (spiral) shown in Figure 5 of the step-shaped first width selection means It gradually ris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7 while gradually moving on the seating surface 163. Eventually, the walnut pieces fall freely into the mold 10 through the J point and the walnut outlet 130 of FIG.

이러한 낙하순간에는 이를 감지한 근접센서(155)에서는 일정한 전기신호가 발생되어 콘트롤러(180)에 전해지게 되고 콘트롤러(180)는 바이브레이터 동작을 멈추도록 한다. In this dropping moment, the proximity sensor 155 that detects this generates a constant electric signal an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80 and the controller 180 stops the vibrator operation.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진동강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호두조각들의 진행속도등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한다. The vibrator is provided to be able to adjust the vibration strength, so as to adjust the traveling speed of the walnut pieces.

도 2와 도 4에서는 각각 도 1의 (가)(나)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배스킷(150a,150b,150c)과 근접센서(155)의 위치 및 호두공급부(130) 등을 도시하고 있다.2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viewed from the direction (a) and (b) of FIG. 1, respectively, illustrating the positions of the baskets 150a, 150b and 150c, the proximity sensor 155, the walnut supply unit 130, and the like. .

상기 바울(200) 내부에는 일정한 크기 범위 내의 호두조각만을 상기 형틀(10)에 투입하기 위한 이하 설명되는 구성들을 더 포함한다.The Paul 200 further includes the components described below for introducing only the walnut pieces within the predetermined size range into the mold 10.

도 3은 도 1의 (다)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인데 바울(200)은 세개가 도시되어 있고 일편에 콘트롤러(180)가 위치하고 있고 호두공급을 위해서 바울(200)들의 일측은 모두, 호두공급부(130)를 향하여 이어져 있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direction (C) of FIG. 1, the Paul 200 is shown three and the controller 180 is located on one side and one side of the Paul (200) for walnut supply, all of the walnut supply 130 To the side.

도 5에서는 상기 바울 중에서 도면부호 200a의 바울의 입체사진이 도시되고 있는데 바이브레이터(미도시)가 진동하면 바울(200) 내부에 담겨진 호두조각(미도시)은 A,B,C 지점과 같은 바닥면(161)으로부터 D,E,F,G,H,I를 거쳐 바울 내의 가장 높은 위치인 상부면(J위치)까지 이동되어진다.In FIG. 5, a three-dimensional photograph of Paul having a reference numeral 200a is shown in the Paul. When the vibrator (not shown) vibrates, the walnut pieces (not shown) contained in the inside of the Paul 200 are the same as the A, B, and C points. From 161 through D, E, F, G, H, I is moved to the upper surface (J position) which is the highest position in Paul.

바울(200) 내부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terior of Paul (200) is as follows.

상기 바울(200)의 내측벽(162)의 원주를 따라, 제1폭 선별수단(160)이 스파이럴 (spiral) 형상으로 점진적으로 회전반경이 커짐과 동시에 그 높이가 상승되는 계단 단턱 구조로 형성된다. 제1폭 선별수단이라는 명칭은 호두조각의 크기가 큰 것을 선별할 수 있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명명되었다. 호두조각이 놓여지는 안착면(163)은 호두제조에 투입될 호두조각의 크기를 고려하여 정해진다.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wall 162 of the Paul 200,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160 is formed in a spiral shape in a stepped step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on radius is gradually increased and its height is increased. .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was named because it functions to sort out large walnut pieces. The seating surface 163 on which the walnut pieces are placed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walnut pieces to be put into walnut manufacturing.

제1폭 선별수단(160)은 상기 안착면(163)과 내측벽(162)를 포함한 스파이럴 계단 모양의 구조물 자체를 지칭한다.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160 refers to a spiral staircase structure itself including the seating surface 163 and the inner wall 162.

상기 제1 폭 선별수단(160)의 호두조각 안착면(163)의 폭은 투입하고자 하는 호두조각의 최대폭(w, 도 8)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두과자 제조에 투입되기를 희망하는 최대 크기(w)를 가진 호두조각이 w를 넘게 되면 중력에 의해 바닥면(161)으로 낙하하게 된다. 진동에 의해 호두조각은 회전운동도 하게 되므로 일정 크기 이상을 가진 호두조각들은 안착면(163)을 따라 올라가는 도중에 거의 바닥면(161)으로 낙하되므로 호두과자 완제품에 투입될 가능성은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The width of the walnut pieces seating surface 163 of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160 is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1/2 of the maximum width (w, Figure 8) of the walnut pieces to be put. As shown in FIG. 8 (a), when the walnut slice having the maximum size w desired to be put into walnut pastry exceeds w, it falls to the bottom surface 161 by gravity. Since the walnut slices are also rotated by vibration, the walnut slic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fall to the bottom surface 161 on the way up along the seating surface 163, so that the possibility of being put into the finished walnut cake becomes significantly lower.

상기와 같이, 일정한 폭 이하의 호두조각만이 안착면(163)을 따라 계속적으 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1 폭 선별수단(160)이 마련되며 상기 바울(200)의 내측벽(162)의 일측에 부착되어, 일정 높이 이상의 호두조각이 점진적으로 진동에 의해 진행하다가 호두낙하수단(170)에 충돌하면 바닥면(161)으로 원래 출발했던 위치로 원복되며, 이러한 키가 큰(또는 폭이 큰) 호두는 제1폭 선별수단에 의해 호두제조를 위한 형틀(10)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 도 8의 (b)에서 상기 낙하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160 is provided to allow only walnut pieces of a predetermined width or less to be continuously moved along the seating surface 163 and the inner wall 162 of the paul 200. Attached to one side of the walnut pieces of a predetermined height or more progressively vibrates and then hits the walnut dropping means 17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to the bottom surface 161, such a tall (or wide Large) walnut is blocked from being supplied to the mold 10 for walnut manufacturing by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The fall situation is illustrated in FIG. 8B.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두낙하수단 (170)은 일 단부가 부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 폭선별수단(16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휘어진 형상의 와이어(wire)인 것이 바람직하나 절곡된 판재 등 다른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형시켜서 설치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ure 5, the walnut dropping means 170 is attached to one end, the other end is preferably bent wire (wire) of the shape bent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width selection means (160) It can also be easily changed into other shapes, such as a plate | board material, and installed.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폭 선별수단(160)의 회전방향을 따라 휘어지다가 점점 회전중심부 쪽으로 곡률(曲率)이 증가되도록 구성되어 일정한 크기의 호두조각을 바닥면(161)으로 떨어뜨리도록 한다.The wire is bent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160 and is configured to gradually increase the curvature (점점)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so as to drop a piece of walnut of a predetermined size to the bottom surface 161.

상기 와이어의 직경은 적어도 1.0밀리미터 이상으로 구비되어 호두와 충돌시 휘어지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져야 하며 필요한 경우 직경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휨 강성이 갖춰진 요건하에서는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wire should be at least 1.0 millimeter or more to have a rigidity that does not bend when colliding with the walnut and may increase the diameter if necessary, and various materials can be used under the requirements provided with bending rigidity.

한편 상기 호두낙하수단(170)인 와이어는 상기 내측벽(162)에 2개 지점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목적은 하방측에 있는 170a 의 낙하수단에서 미처 선별되어 낙하되지 않은 큰 호두조각이 계속 전달되어 온 경우를 대비하여 한번더 낙하수단을 사용하여 바닥면(161)으로 떨어뜨리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wire which is the walnut dropping means 17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two or more points on the inner wall 162. The purpose is that the large walnut pieces that are not dropped by being dropped from the dropping means of 170a on the lower side continue. This is to drop to the bottom surface 161 using the falling means once again in case it has been delivered.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복수의 호두낙하수단(170)과 그 직하방의 제1폭선별수단(160)의 안착면이 이루는 간격(h1, h2)은 바울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여, 더 높은 곳에 부착되는 와이어(170b)일수록 상기 간격이 더 작은 것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바울(200) 바닥면(161)에 호두조각을 수북히 쌓은 후 호두공급장치를 작동시킬 경우, 수북히 쌓여진 상태에서는 크기가 작은 호두조각이라도 호두낙하수단(170)인 와이어에 걸려 자꾸 낙하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어, 낮은 곳에 구비된 도면부호 170a 인 와이어는 본래의 호두조각크기선별 기능이 다소 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 6, the intervals h1 and h2 formed by the seating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walnut dropping means 170 and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160 directly below are based on the bottom surface of Paul.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ing is smaller as the wire 170b is attached. The reason is that when the walnut feeding device is operated after stacking walnut pieces on the bottom surface 161 of Paul (200), even if small pieces of walnut are stacked on the wire, the walnut dropping means 170 keeps falling. This may occur, because the wire 170a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riginal walnut size selection function will be somewhat reduced.

다만 호두조각의 크기선별이라는 기술적 효과발휘라는 목적을 달성한다는 전제하에서는, 그 외에도 h1과 h2 상대적으로 다양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However, under the premise of achieving the technical effect of size selection of walnut pieces, it is obvious that h1 and h2 can be formed at relatively various heigh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바울(200)의 바닥면(161)으로 다시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호두낙하수단(170);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walnut dropping means 170 for falling back to the bottom surface 161 of the Paul 2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에서는 바울 피더(bowl feeder)를 발명의 일 구성요소로서 채택하되, 호두과자 공급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일정크기 범위 내의 호두조각을 선별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dopting a Paul feeder (bowl feeder) as one component of the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articularity of the supply of walnuts to walnut pieces within a certain size range.

즉 최초 선별과정에서 미처 선별되지 않은 크기의 호두조각을 다시 원위치로 낙하시켜서 결국 원하는 크기범위내의 호두조각만을 호두과자 상품에 투입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적 사상이다. That is, the main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rop walnut pieces of the size not selected in the initial screening process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eventually only walnut pieces within a desired size range into the walnut confectionery product.

한편 상기 제1 폭 선별수단(160)의 스파이럴 형상으로 연속해서 이어진 경로 중, 적어도 한 군데 이상 지점에서 상기 제1폭선별수단(160) 보다 작은 폭을 가진 경로인 제2폭 선별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width sorting means which is a path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160 is formed at at least one point among the paths continuously connected in a spiral shape of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160. It is characterized by.

즉 도 5의 폭 a로 표시된 부분(I 지점)을 제2폭 선별수단이라 칭한다.That is, the part (point I) shown by the width a of FIG. 5 is called 2nd width sorting means.

상기 I 지점은 도 5의 H 지점의 폭(b) 보다 줄어들게 형성한다. 그 목적은 크기가 큰 호두조각을 효과적으로 선별해 내기 위함이다. 즉 호두조각의 크기가, 호두과자제조 형틀(10)에 투입되기에 적당하지 않을 정도로 큰 것이 지속적으로 운반되어 올 경우 이를 다시 바닥면(161)에 낙하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도 8(c)에서는 I 지점에서 낙하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The point I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b of the point H of FIG. The purpose is to effectively screen large pieces of walnut. That is, when the size of the walnut pieces, which are not large enough to be introduced into the walnut pastry mold 10 have been transported continuously, they are formed to fall back to the bottom surface 161. FIG. 8C shows a situation of falling at point I. FIG.

도 7에서는 호두조각의 낙하되는 여러 상황을 한꺼번에 도시하고 있는데, 화살표 방향으로 원주형상의 진행경로를 취하다가 f1,f2,f3와 같이 낙하될 수 있다. 이때 f1은 낮은 위치에 있는 와이어에 의해, f2는 높은 위치에 있는 와이어에 의해, f3는 폭이 줄어드는 I 지점에서의 낙하경로를 도시하고 있다.In Figure 7, there are several situations in which the falling of the walnut pieces at once, while taking the circumferential progression path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an fall as f1, f2, f3. Where f1 is the low position wire, f2 is the high position wire, and f3 is the fall path at point I where the width decreases.

호두조각들을 복수의 호두과자 형틀(10)에 동시에 공급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바, 상기 바이브레이터 및 상기 바울(200), 상기 호두배출부(130), 상기 근접센서(155)들이 일체를 이루는 세트가 다수개의 세트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면에는 세개의 바울이 한 세트를 이루어 동시에 세개의 배출구로 호두조각이 공급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4개,5개 등등 그 개수를 달리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The walnut pieces can be simultaneously supplied to a plurality of walnut molds 10 to improve productivity. The vibrator and the Paul 200, the walnut discharge unit 130, and the proximity sensor 155 are integrally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t to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et of three Paul can be supplied at the same time three pieces of walnut pieces at the outlet, but not limited to this, may be configured by varying the number of four, five and so on.

이때 상기 복수개 세트로 구비되는 호두 공급장치는 그 점유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3개가 세트일 경우에는 평면도를 기준으로 하여 삼각형배치로, 4개가 세트일 경우에는 사각형배치로 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은 세개의 바울의 중심부를 연결하면 삼각형이 되는데 정삼각형에 가까울 수록 점유면적은 줄어들 것이다. 다만 상황에 맞게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바울 등을 배치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alnut feeder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sets may have a triangular arrangement based on a plan view in the case of three sets so that the occupied area can be minimized, and a square arrangement in the case of four sets. In other words, when three Paul's centers as shown in FIG. 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triangle becomes a triangle. The closer to the equilateral triangle, the smaller the occupied area. However, Paul and others can be arranged in various geometric shap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기술요지는 지나치게 작은 호두조각을 배출하는 부분을 구비하여 이를 호두제조 형틀에 투입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Figure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ortion for discharging pieces of walnut that is too small to avoid putting them into the walnut manufacturing mold.

호두조각이 지나치게 작으면 고객불만사항이 되며,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작은 호두조각도 상품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If the pieces of walnuts are too small, it becomes a customer complaint, and since the merchandise is inferior, it is necessary to prevent small pieces of walnuts from being put into the products.

호두배출부(130) 입구에 호두조각이 투입되기 직전의 제1폭선별수단(160) 바 닥에, 소립자호두배출구멍(190)이 다수 구비되어 호두과자에 투입할 수 없을 정도의 작은 호두조각을 자유낙하시켜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At the bottom of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160 immediately before the walnut pieces 130 are introduced into the walnut discharge unit 130, a plurality of small particle walnut discharge holes 190 are provided so that small pieces of walnut cannot be introduced into the walnut sweets. Free fall to allow separation.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기술요지는 상기 도 9에서의 작은 호두조각 선별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상기 바울의 바닥면(161)으로부터 적어도 1센티미터 이상의 높이 위치에, 제3폭 선별수단인 그물망(168)을 두고, 그물의 최대 개방폭을 5밀리미터 이하로 구성하여, 일정크기 이하의 호두 조각이 호두과자 제조 형틀(10)에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FIG. 10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ubject matter of which is at least one centimeter above the bottom surface 161 of Paul in order to exert the small walnut sorting function of FIG. With a net 168 as the third width sorting means, the maximum opening width of the net is configured to 5 mm or less, to prevent the walnut pieces of a certain size or less from being supplied to the walnut cookie mold 10.

도 1은 본 발명의 호두공급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nut fee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가)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FIG. 2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a)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다)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direction (C) of FIG.

도 4는 도 1의 (나)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b) of FIG.

도 5는 바울(bowl)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Figure 5 is a photograph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bowl).

도 6은 와이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바울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ul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wires.

도 7은 바울 내부에서 호두가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walnut inside Paul.

도 8은 호두조각이 바닥면으로 낙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walnut pieces fall to the bottom surface.

도 9는 본 발명의 소립자호두배출구멍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small particle walnut discharge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바울 바닥면에 그물망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a mesh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Pau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부에 대한 부호설명><Description of Code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형틀 130: 호두배출부; 10: mold 130: walnut discharge portion;

140: 리미트스위치 155: 근접센서 140: limit switch 155: proximity sensor

160: 제1 폭 선별수단 162: 내측벽 160: first width sorting means 162: inner wall

161:바닥면 163: 안착면161: bottom 163: seating surface

165: 제2폭 선별수단 168: 그물망165: second width sorting means 168: netting

170:호두낙하수단 180:콘트롤러;170: walnut dropping means 180: controller;

190: 소립자호두배출구멍 200:바울 190: Small particle walnut outlet hole 200: Paul

J: 상부면 최대폭:wJ: maximum width of the upper surface: w

Claims (11)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호두과자 제조를 위한 형틀(10)이 이동하며, 자동적으로 호두과자의 구성물이 상기 형틀(10)에 투입됨으로써 호두과자가 제조되는 공정 중, 호두 조각을 일정시간 내에 확실히 공급하는 호두공급장치에 있어서,The mold 10 for the manufacture of walnut confectionery is mov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composition of the walnut confectionery is automatically introduced into the mold 10 so that the walnut pieces are reliably suppli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alnut confectionery. In the walnut feeding device, 형틀(10)이 호두조각 투입을 위한 일정위치에 도착 되었음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형틀(10)의 일측에 접촉되는 리미트스위치(140);Limit switch 140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mold 10 to detect that the mold 10 has arriv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the walnut pieces; 상기 리미트스위치(14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바이브레이터를 동작시키며, 호두조각을 감지하는 근접센서(155)의 신호를 받아 바이브레이터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콘트롤러 (180);A controller 180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limit switch 140 to operate a vibrator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vibrator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proximity sensor 155 that detects a piece of walnut; 상기 콘트롤러(180)에 의해 작동하며 진동강도 조절 및 호두조각 속도조절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A vibrator operated by the controller 180 and capable of adjusting vibration intensity and adjusting walnut speed; 상기 바이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며, 호두조각들을 담기 위한 바울 (200, bowl);Paul (200, bowl)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ibrate, for holding walnut pieces;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따라, 담겨진 호두조각을 바닥면(161)으로부터 상부면(J)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울(200)의 내측벽(162)의 원주를 따라, 스파이럴 (spiral) 형상으로 점진적으로 회전반경이 커짐과 동시에 그 높이가 상승되는 단턱 구조로 형성되어, 일정한 폭 이하의 호두조각만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폭 선별수단(160);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vibrato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wall 162 of the Paul 200, in a spiral shape to move the contained walnut pieces from the bottom surface 161 to the upper surface (J). A first width sorting means 160 formed of a stepped structure in which a radius of rotation is gradually increased and its height is increased so that only walnut piece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r less can be moved; 상기 바울(200) 내측벽(162)의 일측에 부착되어, 일정 높이 이상의 호두조각 의 일측이 충돌하여 상기 바울(200)의 바닥면(161)으로 다시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호두낙하수단(170);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ner wall 162 of the Paul (200), walnut dropping means 170 for colliding with one side of the walnut pieces more than a predetermined height to fall back to the bottom surface (161) of the Paul (200); 상기 바울의 상부면(J)에 올라온 호두가 자유낙하하여, 형틀(10)로 투입되기 위한 통로인 호두배출부(130); A walnu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ul (J) falls freely, walnut discharge portion 130 which is a passage for input into the mold (10); 상기 호두배출부(130)를 통해서 자유낙하하는 호두조각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호두배출부(130)의 일측에 부착되는 근접센서(155);A proximity sensor 155 attached to one side of the walnut discharge unit 130 in order to detect the walnut pieces falling freely through the walnut discharge unit 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 공급장치.Walnut feeder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폭 선별수단(160)의 호두조각 안착면(163)의 폭은 투입하고자 하는 호두조각의 최대폭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 공급장치.The width of the walnut pieces seating surface (163) of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160 is walnut supp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1/2 of the maximum width of the walnut pieces to be put.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폭 선별수단(160)의 스파이럴 형상으로 연속해서 이어진 경로 중, 적어도 한 군데 이상 지점에서 상기 제1폭선별수단(160) 보다 작은 폭을 가진 경로인 제2폭 선별수단(16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 공급장치. Among the paths continuously connected in a spiral shape of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160, the second width sorting means 165 is a path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160 at at least one point. Walnut feed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호두낙하수단(170)은 일 단부가 부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 폭선별수단(16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휘어진 와이어(wire) 또는 절곡된 판재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호두공급 장치.The walnut dropping means 170 is attached to one end, the other end is a walnut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bent wire) or bent plat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width selection means (160).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와이어의 직경은 적어도 1.0밀리미터 이상으로 구비되어 호두와 충돌시 휘어지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공급장치.The diameter of the wire is at least 1.0 millimeters or more provided with a walnut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igidity not to bend when colliding with the walnut.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호두낙하수단(170)은 상기 제1폭 선별수단(160)과 직교하는 내측벽(162)에 다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공급장치.The walnut dropping means 17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lnut supp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inner wall 162 orthogonal to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160.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복수의 호두낙하수단(170)과 그 직하방의 제1폭선별수단(160)의 안착면이 이루는 간격(h1, h2)은 바울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여, 더 높은 곳에 부착되는 것일수록 상기 간격이 더 작은 것임 특징으로 하는 호두공급장치.The intervals h1 and h2 formed by the seating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walnut dropping means 170 and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160 directly below are based on the bottom surface of Paul, Walnut feeder characterized by a smaller gap.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호두조각들을 복수의 형틀(10)에 동시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바이브레이터 및 상기 바울(200), 상기 호두배출부(130), 상기 근접센서(155)들이 일체로 된 세트가 다수개 구비되어, 동일한 호두공급장치 내에 형성되는 호두 공급장치.In order to simultaneously supply walnut pieces to the plurality of molds 10, a plurality of sets of the vibrator and the Paul 200, the walnut discharge unit 130, and the proximity sensor 155 are provided in a plurality, Walnut feeder formed in the walnut feeder.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다수개 세트로 구비되는 호두 공급장치는, 그 점유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3개가 세트일 경우에는 평면도를 기준으로 하여 삼각형배치로, 4개가 세트일 경우에는 사각형배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 공급장치.The walnut feed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ts, in the case of three sets, so that the occupied area is minimized in a triangular arrangement on the basis of the plan view, four sets a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ctangular arrangement Walnut Feede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바울의 바닥면(161)으로부터 적어도 1센티미터 이상의 높이 위치에, 제3폭 선별수단인 그물망(168)을 두어, 그 그물의 최대 개방폭을 5밀리미터 이하로 구성하여, 일정크기 이하의 호두 조각이, 형틀(1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 공급장치.At least one centimeter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Paul 161, the net 168 as the third width sorting means is placed, and the maximum opening width of the net is 5 mm or less, and pieces of walnut of a certain size or less Walnut supp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ly to the mold (10) is prevent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호두배출부 입구에 호두조각이 투입되기 직전의 제1폭선별수단(160) 바닥에는, 소립자호두배출구멍(190)이 다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 공급장치.Walnut supp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mall particle walnut discharge hole 190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width sorting means (160) just before the walnut pieces are introduced into the walnut discharge portion.
KR1020090108697A 2009-11-11 2009-11-11 Apparatus for supplying wallnut KR1009408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697A KR100940818B1 (en) 2009-11-11 2009-11-11 Apparatus for supplying walln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697A KR100940818B1 (en) 2009-11-11 2009-11-11 Apparatus for supplying walln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818B1 true KR100940818B1 (en) 2010-02-04

Family

ID=4208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697A KR100940818B1 (en) 2009-11-11 2009-11-11 Apparatus for supplying walln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81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605B1 (en) * 2011-07-25 2012-03-27 박동우 Walnut supply apparatus
KR101547778B1 (en) 2014-12-31 2015-08-26 강달중 Apparatus for supplying wallnut
CN116491529A (en) * 2023-05-17 2023-07-28 武汉市美泰乐餐饮管理有限公司 Segmented frying device for preventing adhesion of meat bal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372A (en) * 1998-05-16 1999-12-06 최재준 Pellet sort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372A (en) * 1998-05-16 1999-12-06 최재준 Pellet sorting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605B1 (en) * 2011-07-25 2012-03-27 박동우 Walnut supply apparatus
WO2013015530A2 (en) * 2011-07-25 2013-01-31 Park Dong-Woo Walnut supplying device
WO2013015530A3 (en) * 2011-07-25 2013-04-04 Park Dong-Woo Walnut supplying device
CN103747684A (en) * 2011-07-25 2014-04-23 朴桐佑 Walnut supplying device
KR101547778B1 (en) 2014-12-31 2015-08-26 강달중 Apparatus for supplying wallnut
CN116491529A (en) * 2023-05-17 2023-07-28 武汉市美泰乐餐饮管理有限公司 Segmented frying device for preventing adhesion of meat bal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818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wallnut
JP52087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US10801880B2 (en) Combination weighing device with hoppers and discharge chutes having complementary surfaces
US20190072425A1 (en) Combination weighing device
EP0074826A1 (en) Distribution table for controlling feed rate of articles
JP5844041B2 (en) Collective chute support structure and combination weighing device
JP6529828B2 (en) Dispersion tray and combination balance provided with the same
JP6465760B2 (en) Combination scale
KR101740822B1 (en) Snack Transfer Apparatus
JP6208037B2 (en) Molded plate
US11261033B2 (en) Combination weighing device
EP2094589B1 (en) Product transport surface comprising grooves
MX2012000688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selective classification of particles according to the size thereof.
JP6631967B2 (en) Transfer width control device for combination weigher
JP7212986B2 (en) Trough for straight feeder and combination weigher equipped with the same
JP2018052740A (en) Gathering chute and combined weighing equipment provided with the same
AU2018272932B2 (en) A food processing system and a food processing method
EP1898730A1 (en) Food breading apparatus
CN210175804U (en) Food discharging machine
JP6189796B2 (en) Powdering machine
EP1300080B1 (en) Granular product feeding group for filled cookie manufacturing installations
CN113100457B (en) Vegetable cutting system
JP2004125800A (en) Automatic weighing device
CN108996190A (en) Conveying device and cleaning equipment with the device
JP2005065534A (en) Method for forming edible container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