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916B1 - 철도 승강장 기초파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도 승강장 기초파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916B1
KR100939916B1 KR1020090063801A KR20090063801A KR100939916B1 KR 100939916 B1 KR100939916 B1 KR 100939916B1 KR 1020090063801 A KR1020090063801 A KR 1020090063801A KR 20090063801 A KR20090063801 A KR 20090063801A KR 100939916 B1 KR100939916 B1 KR 10093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ing
soil
construction
hoist
comple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석주
Original Assignee
나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석주 filed Critical 나석주
Priority to KR1020090063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1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in the borehole
    • E21B33/13Methods or devices for cementing, for plugging holes, crevic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차선단전 및 선로차단을 하지 않고 승강장 기초파일 공사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철도 승강장 기초파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대구경 말뚝 주변을 소형 천공장비로 천공하여 S.G.R 그라우팅하고 차수벽을 만들어 지하수위를 차단하는 제1단계와; 철거한 승강장바닥 하부에 호이스트가 이동할 때 구조적으로 안전하도록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단계와; 대구경 말뚝 터파기시 토사가 붕괴되지 않도록 굴착공간에 철제거푸집을 설치하고 중간에 안전을 위해 6미터 간격으로 원형빔을 설치하고, 3미터마다 유공판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3단계와; 소정의 깊이까지 굴착하면 소형 포크레인 버킷에 토사를 담은 다음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토사를 상부로 인양하고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토사를 외부로 반출하는 제4단계와; 일정의 깊이에 도달하면 공간이 밀폐됨에 따라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하여 환기팬을 설치하고 유해가스 및 장비매연을 배출함과 동시에 지하수위 아래 작업시 양수기를 비치하여 물을 상부로 펌핑하는 제5단계와; 굴착공간에 철제거푸집을 설치하면서 터파기 작업이 완료되면 주간에 안전발판을 이용하여 철근배근을 완료하는 제6단계와; 철근배근이 완료되면 선로 외부에 펌프카를 설치하고 선로 하부에 압송배관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기초파일, 철도, 승강장, 터파기, 시공방법

Description

철도 승강장 기초파일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TRAIN PLATFORM BASE PILE}
본 발명은 전차선단전 및 선로차단을 하지 않고 승강장 기초파일 공사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철도 승강장 기초파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철도 승강장 기초 파일은 마이크로 공법으로 시공하고 있으나 마이크로 시공법은 기둥 1 본당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약 2000톤으로 대형 복합건물의 중량을 지지하는데 한계가 있어, 복합건물의 축조시에는 약 4000톤 정도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대구경 말뚝을 시공해야 한다.
그러나 대구경 말뚝의 시공시에는 대형 크레인이 필요한데 이러한 대형장비를 철도 구내로 진입할 경우 넓은 설치면적을 차지하고, 전차선 높이에 저촉되어 열차운행에 지장되므로 철도 운행이 없는 야간에 전차선단전 및 선로차단 후 한정 된 3~4시간 내에 공사를 시행함에 따라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공사기간이 장기화로 공사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별도로 맞춤 제작된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기초파일을 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대형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전차선단전 및 선로차단 하지 않고 승강장 기초파일 공사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철도승강장 기초파일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구경 말뚝 주변을 소형 천공장비로 천공하여 S.G.R 그라우팅하고 차수벽을 만들어 지하수위를 차단하는 제1단계와; 대구경 말뚝 터파기시 토사가 붕괴되지 않도록 굴착공간에 철제거푸집을 설치하고 중간에 안전을 위하여 6미터 간격으로 원형빔을 설치함에 아울러 3미터마다 유공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소정의 깊이까지 굴착하면 소형 포크레인 버킷에 토사를 담은 다음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토사를 상부로 인양하고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토사를 외부로 반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구경 말뚝 주변을 소형 천공장비로 천공하여 S.G.R 그라우팅하고 차수벽을 만들어 지하수위를 차단하는 제1단계와; 철거한 승강장바닥 하부에 호이스트가 이동할 때 구조적으로 안전하도록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단계와; 대구경 말뚝 터파기시 토사가 붕괴되지 않도록 굴착공간에 철제거푸집을 설치하고 중 간에 안전을 위해 6미터 간격으로 원형빔을 설치하고, 3미터마다 유공판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3단계와; 소정의 깊이까지 굴착하면 소형 포크레인 버킷에 토사를 담은 다음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토사를 상부로 인양하고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토사를 외부로 반출하는 제4단계와; 일정의 깊이에 도달하면 공간이 밀폐됨에 따라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하여 환기팬을 설치하고 유해가스 및 장비매연을 배출함과 동시에 지하수위 아래 작업시 양수기를 비치하여 물을 상부로 펌핑하는 제5단계와; 굴착공간에 철제거푸집을 설치하면서 터파기 작업이 완료되면 주간에 안전발판을 이용하여 철근배근을 완료하는 제6단계와; 철근배근이 완료되면 선로 외부에 펌프카를 설치하고 선로 하부에 압송배관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계 내지 제7단계의 공정이 끝나면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가 구비된 호이스트를 다른 공사지역으로 이동하여 제1단계 내지 제7단계를 반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승강장 기초파일 시공방법은 기초파일 시공이 요구되는 승강장에 적합한 호이스트를 맞춤 제작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대형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작업 공정을 수행할 수 있고, 주간에도 전차선단전 및 선로차단을 하지 않고 열차운행 선상에서 안전하게 공사할 수 있으며, 종래의 야간 공사에 비해 공사기간을 단축하여 시공경비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대구경 말뚝 주변을 소형 천공장비로 천공하여 S.G.R 그라우팅하고 차수벽을 만들어 지하수위를 차단하는 제1단계와; 대구경 말뚝 터파기시 토사가 붕괴되지 않도록 굴착공간에 철제거푸집을 설치하고 중간에 안전을 위하여 6미터 간격으로 원형빔을 설치함에 아울러 3미터마다 유공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소정의 깊이까지 굴착하면 소형 포크레인 버킷에 토사를 담은 다음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토사를 상부로 인양하고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토사를 외부로 반출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구경 말뚝 주변을 소형 천공장비로 천공하여 S.G.R 그라우팅하고 차수벽을 만들어 지하수위를 차단하는 제1단계와; 철거한 승강장바닥 하부에 호이스트가 이동할 때 구조적으로 안전하도록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단계와; 대구경 말뚝 터파기시 토사가 붕괴되지 않도록 굴착공간에 철제거푸집을 설치하고 중간에 안전을 위해 6미터 간격으로 원형빔을 설치하고, 3미터마다 유공판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3단계와; 소정의 깊이까지 굴착하면 소형 포크레인 버킷에 토사를 담은 다음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토사를 상부로 인양하고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토사를 외부로 반출하는 제4단계와; 일정의 깊이에 도달하면 공간이 밀폐됨에 따라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하여 환기팬을 설치하고 유해가스 및 장비매연을 배출함과 동시에 지하수위 아래 작업시 양수기를 비치하여 물을 상부로 펌핑하는 제5단계와; 굴착공간에 철제거푸집을 설치하면서 터파기 작업이 완료되면 주간에 안전발판을 이용하여 철근배근을 완료하는 제6단계와; 철근배근이 완료되면 선로 외부에 펌프카를 설치 하고 선로 하부에 압송배관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계 내지 제7단계의 공정이 끝나면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가 구비된 호이스트를 다른 공사지역으로 이동하여 제1단계 내지 제7단계를 반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계별 시공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승강장 기초파일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제1단계: 지하수위 차단
먼저, 현장 타설 말뚝 중심측량 및 작업에 방해되는 지장물을 조사하고 배수로 및 침사조를 설치하여 작업준비를 완료한다.
작업준비가 완료되면, 도 1, 2와 같이 대구경 말뚝 주변을 소형장비로 천공하여 S.G.R 그라우팅(Space Grouting Rocket System grouting)하고 차수벽을 만들어 지하수위를 차단한다.
이때, 공사지역에 파이프 펜스를 설치하여 주변에 공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SGR(Space Grouting Rocket System)공법은, ø40.5mm의 이중관 주입 로 드로 소정의 깊이까지 천공한 후 급결 주입재와 완결 주입재를 복합 주입하여 지반내 공극을 충진하는 공법으로 기타의 주입공법에 비해 양호한 차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급결 주입재는 지반내 대공극을 충진하여 다음 단계에 주입되는 완결주입재가 목적범위 밖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완결 주입재가 겔화 되기 전까지 액상을 유지하여 미충진 미세공극으로 침투된다.
특수한 선단장치(Rocket)에 의해 주입관 선단에 공간을 만들고 이 공간을 통해 저압으로 이중관 복합주입을 하며, 차수벽, 연약지반개량, 기초보강 등에 적용할 수 있다.
(2) 제2단계: 바닥 콘크리트 타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거한 승강장바닥 하부에 호이스트(hoist)와 같은 인양장비가 이동할 때 구조적으로 안전하도록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3) 제3단계: 원형빔 설치 및 유공판 거푸집 설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구경 말뚝 설치를 위한 터파기 작업시 토사가 붕괴되지 않도록 굴착공간에 철제거푸집을 설치하고 중간에 안전을 위하여 6미터 간격으로 원형빔을 설치함과 아울러 3미터마다 유공판 거푸집을 설치한다.
(4) 제4단계: 굴착한 토사를 외부로 반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깊이까지 굴착하면 소형 포크레인 버킷에 토사를 담은 다음 호이스트와 같은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상부로 토사를 인양하고,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토사를 외부로 반출한다.
한편, 굴착시 미니 포크레인 1대와 굴착인부는 2인으로 작업한다.
(5) 제5단계: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장비설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의 깊이에 도달하면 공간이 밀폐됨에 따라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하여 환기팬(fan)을 설치하고 유해가스 및 장비매연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지하수위 아래 작업시 양수기를 비치하여 물을 상부로 펌핑한다.
안전을 위하여 조명시설은 7mm 마다 설치하고 산소측정기는 작업자마다 휴대하여 산소농도 18% 이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6) 제6단계: 철제거푸집 설치 및 철근배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공간에 철제거푸집을 설치하면서 터파기가 완료되면 주간에 안전발판을 이용하여 철근배근을 완료한다.
철근백근시 공당 철근량은 10톤이 소요되며 철근 조립일수는 3일이 소요된다.
(7) 제7단계: 펌프카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배근이 완료되면 선로 외부에 펌프카(Pump car)를 설치하고 선로 하부에 압송배관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한편, 제1단계 내지 제7단계게 완료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승강장치 기초파일 시공을 위해 제작된 호이스트와 같은 인양장비를 다른 공사지역으로 이동하여 제1단계 내지 제7단계와 같은 시공방법으로 기초파일을 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입장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승강장 기초파일 시공에 SGR 천공기, 호이스트, BOB CAT, 소형백호 B/H0.2, 소형백호(0.07LC) 가 투입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의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확대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단계의 다른 시공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단계의 다른 시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승강장 기초파일 시공에는 별도로 맞춤 제작된 소형 호이스트 및 컨베이어가 투입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철도 승강장 기초파일을 시공한 결과 작업준비에 약 3일, SGR 그라우팅에 약 15일, 터파기에 약 20일, 철근망 설치에 약 4일, 레이콘 타설 약 1일 등 종래에 시공방법과 대비하여 시공기간을 절반으로 단축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단계의 시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단계의 시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단계의 시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단계의 시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5단계의 시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단계의 시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7단계의 시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입장비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양장비(호이스트)의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단계의 다른 시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단계의 다른 시공도.

Claims (3)

  1. 삭제
  2. 대구경 말뚝 주변을 소형 천공장비로 천공하여 S.G.R 그라우팅하고 차수벽을 만들어 지하수위를 차단하는 제1단계;
    철거한 승강장바닥 하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가 구비되어 별도로 맞춤 제작된 호이스트가 이동할 때 구조적으로 안전하도록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단계;
    대구경 말뚝 터파기시 토사가 붕괴되지 않도록 굴착공간에 철제거푸집을 설치하고 중간에 안전을 위해 6미터 간격으로 원형빔을 설치하고, 3미터마다 유공판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3단계;
    소정의 깊이까지 굴착하면 소형 포크레인으로 버킷에 토사를 담은 다음 상기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토사를 상부로 인양하고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토사를 외부로 반출하는 제4단계;
    일정의 깊이에 도달하면 공간이 밀폐됨에 따라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하여 환기팬을 설치하고 유해가스 및 장비매연을 배출함과 동시에 지하수위 아래 작업시 양수기를 비치하여 물을 상부로 펌핑하는 제5단계;
    굴착공간에 철제거푸집을 설치하면서 터파기 작업이 완료되면 주간에 안전발판을 이용하여 철근배근을 완료하는 제6단계; 및
    철근배근이 완료되면 선로 외부에 펌프카를 설치하고 선로 하부에 압송배관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단계 내지 제7단계의 공정이 끝나면 상기 호이스트를 다른 공사지역으로 이동하여 제1단계 내지 제7단계를 반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승강장 기초파일 시공방법.
  3. 삭제
KR1020090063801A 2009-07-14 2009-07-14 철도 승강장 기초파일 시공방법 KR100939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801A KR100939916B1 (ko) 2009-07-14 2009-07-14 철도 승강장 기초파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801A KR100939916B1 (ko) 2009-07-14 2009-07-14 철도 승강장 기초파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916B1 true KR100939916B1 (ko) 2010-02-03

Family

ID=42082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801A KR100939916B1 (ko) 2009-07-14 2009-07-14 철도 승강장 기초파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9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0848A (zh) * 2016-08-22 2016-11-16 吴伯韬 冲压生产线多层组合框架基础
CN106320673A (zh) * 2016-08-19 2017-01-11 北京中煤矿山工程有限公司 速凝剂添加控制系统及速凝剂添加控制方法
CN107905118A (zh) * 2017-12-26 2018-04-13 杭州市城市建设基础工程有限公司 大型桥梁桩基施工方法
CN109972646A (zh) * 2019-05-20 2019-07-05 古清 既有铁路线两线间桩基修建机械设备及桩基修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1463A (ja) * 1996-10-23 1998-05-12 Nippon Steel Corp 斜面地に設置される鋼管コンクリート井筒基礎およびその築造方法
JP2769941B2 (ja) 1991-11-21 1998-06-25 株式会社フジタ 建築物地下部の構築方法
KR200251408Y1 (ko) * 2001-07-14 2001-11-17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 접합플랜지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흙막이 구조
JP3931123B2 (ja) 2002-07-29 2007-06-13 株式会社アルファシビルエンジニアリング 地下構造物の非開削構築工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9941B2 (ja) 1991-11-21 1998-06-25 株式会社フジタ 建築物地下部の構築方法
JPH10121463A (ja) * 1996-10-23 1998-05-12 Nippon Steel Corp 斜面地に設置される鋼管コンクリート井筒基礎およびその築造方法
KR200251408Y1 (ko) * 2001-07-14 2001-11-17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 접합플랜지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교각기초 흙막이 구조
JP3931123B2 (ja) 2002-07-29 2007-06-13 株式会社アルファシビルエンジニアリング 地下構造物の非開削構築工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0673A (zh) * 2016-08-19 2017-01-11 北京中煤矿山工程有限公司 速凝剂添加控制系统及速凝剂添加控制方法
CN106320673B (zh) * 2016-08-19 2018-11-06 北京中煤矿山工程有限公司 速凝剂添加控制系统及速凝剂添加控制方法
CN106120848A (zh) * 2016-08-22 2016-11-16 吴伯韬 冲压生产线多层组合框架基础
CN107905118A (zh) * 2017-12-26 2018-04-13 杭州市城市建设基础工程有限公司 大型桥梁桩基施工方法
CN109972646A (zh) * 2019-05-20 2019-07-05 古清 既有铁路线两线间桩基修建机械设备及桩基修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23065B (zh) 加固装置及富水砂砾地层中深基坑局部冷冻加固施工方法
CN101691751B (zh) 超长人工挖孔桩穿越溶洞施工方法及穿越溶洞的超长桩
CN103195076A (zh) 淤泥质深基坑塔吊基础施工方法
CN111236241B (zh) 基于半盖挖法的软弱富水地层地铁基坑加固开挖方法
CN201801872U (zh) 联合支护开挖溶蚀地质深基坑
CN110486019B (zh) 新旧建筑之间增设地下连通道的暗挖施工方法
CN109778869A (zh) 基坑施工方法
CN104480929B (zh) 一种将咬合桩应用于永久地下室外墙的桩墙合一施工方法
CN105569051A (zh) 一种砂卵石漂石地质层基坑支护体系及施工方法
CN105133581A (zh) 支护结构中抗拔桩、格构柱及降水井三合一施工方法
KR100939916B1 (ko) 철도 승강장 기초파일 시공방법
CN110080779B (zh) 隧道隧底溶洞处理施工方法
CN106948347B (zh) 拔桩方法及拔桩系统
CN101824825B (zh) 一种深基坑明挖施工方法
CN115539048A (zh) 一种用于浅埋偏压隧道洞口施工方法
CN107503355B (zh) 外排后插型钢式双排桩基坑支护体系及其施工方法
CN109610473A (zh) 一种市政大型池体构筑物基坑支护体系的施工方法
CN102966109A (zh) 软土地基带状深基坑封底施工方法
CN110512649B (zh) 既有建筑下增设地下室及连通道结构的暗挖施工方法
CN203891047U (zh) 搭设钢平台进行陆上桥梁基础施工设备
CN110863496B (zh) 一种填石筑岛区域混凝土支护换撑开挖施工拱座基础方法
CN111472363A (zh) 一种位于既有建构筑物地下空间的基坑围护结构施工方法
CN107023008B (zh) 护壁及反力用沉井平台拔桩方法及系统
CN104631878B (zh) 铝业铸造机井施工方法
CN104131569B (zh) 一种超大超深腰形人工挖孔桩支护结构及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