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506B1 -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506B1
KR100938506B1 KR1020080011272A KR20080011272A KR100938506B1 KR 100938506 B1 KR100938506 B1 KR 100938506B1 KR 1020080011272 A KR1020080011272 A KR 1020080011272A KR 20080011272 A KR20080011272 A KR 20080011272A KR 100938506 B1 KR100938506 B1 KR 100938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formation
portable
user
biomet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404A (ko
Inventor
이일우
Original Assignee
(주)씨에프정보통신울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프정보통신울산 filed Critical (주)씨에프정보통신울산
Priority to KR1020080011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506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내 소정 공간의 사용자별로 휴대 가능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일정주기로 감지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휴대센서식별코드와 연계하여 지그비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휴대형센서; 소정 공간별 설치되어 공간 내의 환경정보를 감지하고, 휴대형센서로부터 생체정보를 지그비 통신방식으로 수신하며, 공간별 환경정보 및 사용자별 생체정보를 고정센서식별코드와 연계하여 유무선 전송하는 고정형센서; 및 고정형센서와 유무선 연결된 생체정보전달서버를 포함하며, 생체정보전달서버는, 휴대센서식별코드 및 고정센서식별코드에 각각 대응되는 휴대형센서의 사용자정보 및 고정형센서의 위치정보가 각각 저장된 DB부; 고정형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별 생체정보와 공간별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수집부; 사용자별 생체정보, 공간별 환경정보, 고정형센서의 위치정보를 통해 파악된 휴대형센서별 위치정보를 각각 실시간 표시하는 모니터부; 및 정보수집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생체정보를 HL7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여 의료관계시스템으로 전송하는 HL7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생체정보, 무선센서네트워크, 의료관계시스템

Description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System for transmission of bio-information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상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황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다른 시스템에 맞도록 사용자의 상황 데이터를 변환하여 전송하는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환경이 발달하고 이에 기반한 무선센서네트워크(USN)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유비쿼터스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홈네트워크, 센서기반 안전산업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무선센서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특히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과 고령화 사회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건강 관련 서비스 또한 점차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의식 변화에 따른 고객 요구의 다양화와 기대수준의 향상으로 보건, 의료 서비스 및 관련 시스템 이용의 편리성 및 맞춤화가 강화될 필요 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병원 등의 건물 내에는 다양한 환자들이 수용 또는 상주되어 있고, 그러한 환자별 개인정보 또는 생체정보에 관한 개별 관리를 적절히 적시에 신속히 수행되지 않는 경우, 인명 피해, 의료사고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생체정보가 실시간 감지되지 않는 경우, 긴급 상황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그러한 생체정보는 타 시스템에 전달되어 이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생체정보가 타 시스템(예를 들면,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처방전달시스템 등)상의 파일 표준에 맞지 않는 경우 생체정보를 그대로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휴대형센서에서 감지된 생체정보가 지그비 통신방식을 통해 고정형센서에 실시간 수신되고 다시 유무선 환경을 통해 서버로 전송됨에 따라 서버 측에서 사용자별 생체정보의 실시간 감지 및 관리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생체정보를 HL7표준데이터로 변환하여 해당 생체정보를 이용하는 의료관계시스템으로 전송함에 따라 별도의 데이터 가공없이도 해당 의료관계시스템에서 데이터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은, 건물 내 소정 공간의 사용자별로 휴대 가능하고, 사용자의 체온, 맥박, 혈압을 포함한 생체정보를 일정주기로 감지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휴대센서식별코드와 연계하여 지그비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휴대형센서; 상기 건물 내 소정 공간별 설치되어 상기 공간 내의 온도, 습도, 조도를 포함한 환경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형센서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지그비 통신방식으로 수신하며, 상기 공간별 환경정보 및 상기 사용자별 생체정보를 고정센서식별코드와 연계하여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고정형센서; 및 상기 고정형센서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생체정보전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정보전달서버는, 상기 휴대센서식별코드 및 고정센서식별코드에 각각 대응되는 휴대형센서의 사용자정보 및 고정형센서 의 위치정보가 각각 저장된 DB부; 상기 고정형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별 생체정보와 상기 공간별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정보수집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생체정보, 공간별 환경정보, 상기 고정형센서의 위치정보를 통해 파악된 상기 휴대형센서별 위치정보를 각각 실시간 표시하는 모니터부; 및 상기 정보수집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생체정보를 HL7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 군 또는 처방전달시스템(OCR) 군에 속하는 의료관계시스템으로 전송하는 HL7변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전달서버의 모니터부는, 상기 DB부에 기 저장된 상기 건물에 관한 층별 측면도와 평면도에 각각 해당 휴대형센서의 위치정보를 대입하여, 사용자별 위치정보를 상기 측면도와 평면도 상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별 생체정보를 그래프, 문자, 테이블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방식으로 표시하며, 상기 생체정보가 상기 DB부에 기 저장된 경고범위 또는 위험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경고 또는 위험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생체정보전달서버는, 상기 사용자별 생체정보에 관한 경고 또는 위험 상태를 알람 또는 알림메시지로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생체정보전달서버는, 상기 휴대형센서 및 상기 고정형센서의 정보를 상기 DB부에 등록하고 관리하는 센서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센서관리부는, 상기 휴대센서식별코드, 상기 고정센서식별코드, 센서등록날짜, 휴대형센서와 고정형센서의 구분을 위한 센서종류에 관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휴대형센서 및 상기 고정형센서에서 감지 가능한 감지대상의 종류, 감지대상 별 측정 단위, 감지대상별 상기 경고범위 또는 위험범위의 입력이 가능하고, 등록된 휴대형센서 및 고정형센서 각각에 대한 사용중, 대기중, 폐기상태 중 해당되는 상태정보의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휴대형센서 또는 고정형센서에 관한 고장, 폐기, 교환, 반납에 관한 상태수정정보를 입력받는 설정부; 상기 휴대센서식별코드, 상기 고정센서식별코드 또는 상기 센서등록날짜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정보에 대응되는 휴대형센서 또는 고정형센서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휴대형센서 또는 고정형센서 각각에 관한 휴대센서식별코드 또는 고정센서식별코드, 센서등록날짜, 센서종류의 표시가 가능하고, 상기 휴대형센서 또는 고정형센서 각각에 관한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상태수정정보에 관한 이력정보가 각각 표시되는 센서정보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에 따르면, 휴대형센서에서 감지된 생체정보가 지그비 통신방식을 통해 고정형센서에 실시간 수신되고 다시 유무선 환경을 통해 서버로 전송됨에 따라 서버 측에서 사용자별 생체정보의 실시간 감지 및 관리가 가능하며, 생체정보를 HL7표준데이터로 변환하여 해당 생체정보를 이용하는 의료관계시스템으로 전송함에 따라 별도의 데이터 가공없이도 해당 의료관계시스템에서 데이터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관리부를 구비하여 휴대형센서와 고정형센서의 등록, 수정, 조회, 폐기, 반납 등의 관리 및 이력 조회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다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센서관리부의 구성도, 도 4 내지 도 5는 모니터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구성도, 도 6 내지 도 9는 센서관리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100)은, 휴대형센서(110), 고정형센서(120) 및 생체정보전달서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형센서(110)는 건물 내 소정 공간의 사용자별 휴대 가능한 센서 장치로서, 사용자의 체온, 맥박, 혈압을 포함한 생체정보를 일정주기로 감지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휴대센서식별코드와 연계하여, 지그비 모듈(111)을 이용 하여 지그비(ZigBee) 통신방식으로 고정형센서(120)에 전송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건물이란, 병원, 의원, 요양원 등, 일반 환자 또는 별도 보호나 감시가 필요한 특수 환자 등이 수용 또는 보호되는, 나열하지 않은 다양한 센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소정 공간이란 그러한 건물 내의 각 방(병실), 객실, 복도 등의 어떠한 공간도 이에 해당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지그비(ZigBee) 통신 프로토콜의 장점은 개발과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면서 배터리 수명이 길고 데이터의 안정성과 보안이 용이하며, 다른 기기들과 상호운용의 효용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여기서, 휴대형센서(110)는 체온감지부(미도시), 맥박감지부(미도시), 혈압감지부(미도시)로 세분화될 수 있는데, 각각의 구성 및 원리는 기존에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별도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이러한 휴대형센서(11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인체 또는 의복에 착용될 수 있고 그 착용예는 다양한 변형예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고정형센서(120)는 건물 내 소정 공간별 설치 가능하고, 각 공간 내의 온도, 습도, 조도를 포함한 환경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데, 환경정보는 상술한 바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요소가 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고정형센서(120)는 휴대형센서(110)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지그비모듈(121)을 통해 지그비 통신방식으로 수신한다. 문론, 상기 생체정보가 상기 휴대센서식별코드와 연계되어 수신되므로, 고정형센서(120)에 수신된 생체정보가 어떠한 휴대형센서(110)에서 수신된 정보인지 구분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형센서(120)는, 예를 들어 환자가 수용된 각 방(병실)마다 설치 가능하고, 각 방(병실)에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방(병실)뿐만 아니라 복도, 로비, 실외, 옥상 등 상기 건물상의 어떠한 공간상에도 설치 가능하다.
한편, 고정형센서(120)는 상기 공간별 측정된 환경정보 및 상기 사용자별 생체정보를 고정센서식별코드와 연계하여 상기 생체정보전달서버(130)로 네트워크(20)를 통해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되는 사용자별 생체정보는 해당 휴대센서식별코드가 내재된 개념임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유무선 통신방식은 랜(LAN), 무선랜(WLAN), 전력선 통신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 가능한데, 무선랜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회선의 설치가 필요없고 유지관리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를 살펴보면, 하나의 휴대형센서(110)의 생체정보가 다수의 고정형센서(120)로 전송 가능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해당 생체정보에 관한 수신감도가 가장 큰 고정형센서(120) 측의 생체정보만 선택적으로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형센서(120)는 다른 고정형센서(120)와 통신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어느 일 고정형센서(120)에 수신된 생체정보는 어느 다른 고정형센서(120)를 경유하여 생체정보전달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은 지그비 프로토콜 특성과도 연관된다.
한편, 상기 생체정보전달서버(130)는, 각 공간마다 설치된 고정형센서(120)와 상술한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정형센서(130)로부터 수신받은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의 저장, 관리가 가능하며, DB부(131), 정보수집부(132), 모니터 부(133), HL7변환부(134), 알림부(135), 센서관리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생체정보전달서버(130)는 별도 인증을 거친 관리자에 의해 관리 가능하며,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연관된 보호자 등이 아이디/비밀번호를 통한 서버 접속시, 해당 사용자에 관한 생체정보, 해당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위치 및 그 공간상의 환경정보 제공을 통한 개인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생체정보전달서버(130)를 구성하는 각 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DB부(131)는, 상기 휴대센서식별코드 및 고정센서식별코드에 각각 대응되는 휴대형센서(110)의 사용자정보 및 고정형센서(120)의 위치정보가 각각 저장된 부분이다.
상기 사용자정보란, 휴대센서식별코드에 대응되는 해당 휴대형센서(110)를 착용한 사용자에 관한 인적사항, 입원 병실, 담당의, 병력, 보호자, 연락처, 이메일 등의 정보가 관리자에 의한 입력으로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란, 해당 고정형센서(120)가 위치한 공간의 위치정보로서 각 고정센서식별코드에 대응되도록 미리 저장해 놓은 것이다. 따라서, 고정센서식별코드만 안다면 그에 대응되는 고정형센서(120)가 어느 곳에 위치한 고정형센서(120) 인지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형센서(120)의 위치정보를 아는 경우, 해당 고정형센서(120)에 정보를 전송한 휴대형센서(110)의 위치정보까지 알 수 있다.
여기서, 고정형센서(120)의 위치가 곧 휴대형센서(110)의 위치인 것으로 개략적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나, 고정형센서(120)에 수신된 생체정보의 수신감도 를 통해 휴대형센서(110)가 해당 고정형센서(120)로부터 얼만큼 이격되어 있는지 가늠하여 휴대형센서(110)의 더욱 상세한 위치까지 알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정보수집부(132)는, 고정형센서(12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별 생체정보와 상기 공간별 환경정보를 저장하여 DB화한 부분이다.
상기 모니터부(133)는, 정보수집부(132)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별 생체정보' 및 '공간별 환경정보'의 표시뿐만 아니라, 고정형센서(120)의 위치정보를 통해 파악되는 '휴대형센서(110)별 위치정보'를 각각 실시간 표시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모니터부(133)는 생체정보의 경우, 맥박, 체온 등의 생체정보에 관한 그래프 형태, 또는 생체정보의 수치를 직접 표시한 형태인 사용자별 또는 시간별 테이블형태 등으로 표시 가능하다. 물론, 환경정보의 경우도 해당 공간에 관한 온도, 습도, 조도 등에 관한 환경정보를 그래프, 테이블 등의 형태로 표시 가능하다.
이러한 모니터부(133)는, 예를 들면 해당 건물 층에 위치한 모든 사용자를 표시하여 사용자별 생체정보가 한번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특정 사용자를 선택받은(클릭한) 경우에 한하여 새창 또는 별도의 팝업창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상세 생체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DB부(131)는, 도 4와 같이, 상기 건물에 관한 층별 측면도(상)와 평면도(하)가 각각 저장되어 있으며, 도 4는 이러한 사항이 모니터부(133)에 표시된 상태이다.
도 4를 참고하면, DB부(131)에 고정형센서(120)의 위치정보가 등록되는 예는 다음와 같다. 센서등록을 원하는 좌측 하단이 해당 층을 선택하고, 화면 우측에 나열된 센서리스트 중 위치정보 등록이 필요한 고정형센서(120)에 대한 고정센서식별번호(ex,000001)가 선택된 경우면 센서아이콘이 나타나고, 이러한 센서아이콘을 평면도 상의 원하는 공간으로 이동시켜 저장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고정센서식별번호에 대응되는 고정형센서(120)의 위치정보가 평면도와 측면도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부(133)는, DB부(131)에 기 저장된 층별 측면도와 평면도에 각각 해당 휴대형센서(110)의 위치정보(예를 들어, 휴대형센서(110)에 대응되는 사용자모형)를 대입하여, 사용자별 위치정보를 도 4와 같은 형태의 측면도와 평면도 상에 실시간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부(133)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별 생체정보를 그래프, 문자, 테이블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방식으로 표시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니터부(133)의 생체정보 표시 예로서, 각 휴대형센서(110)별 휴대센서식별코드(센서번호), 사용자 이름, 생체정보가 각각 표시되고, 사용자별 마련된 별도의 그래프이미지(미도시)가 클릭되면 생체정보 그래프가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게다가, 모니터부(133)는 도 5와 같이, 혈압, 맥박, 체온 등의 각각의 생체정보가, 상기 DB부(131)에 기 저장된 '경고범위' 또는 그보다 위험한 '위험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경고 또는 위험 상태를 각 휴대형센서(110)별로 표시할 수 있고, 상황발생시간, 종료시간 표시뿐만 아니라 상황이력에 관한 메시지가 하단과 같이 표시된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은 경고범위 또는 위험범위의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알림부(135)는, 모니터부(133)의 시각적 표시 외에, 사용자별 생체정보 에 관한 경고 또는 위험 상태를 알람 또는 알림메시지로 청각적으로 알리는 부분으로서, 소리 또는 음성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등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한편, 상기 HL7변환부(134)는, 정보수집부(132)에 저장된 사용자별 생체정보를 HL7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여, 각종 의료정보나 진료정보가 기록되는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군, 또는 의료정보나 진료정보 등을 참고하여 입력된 처방내역이 저장, 관리 및 전달되는 처방전달시스템(OCR;Ordering Communication System) 군에 속하는 의료관계시스템(10)으로 전송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HL7(Health Level 7)은, 의료정보 교환 표준규약으로서 보건의료분야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간 정보 호환이 가능하게 하는 규칙의 집합이다.
한편, 상기 의료관계시스템(10)은, 도 2와 같이, 병원의 데이터베이스(11), MIS(12;Medical office Information System), 병원관리시스템(13), 원무관리시스템(14), 실험실시스템(15), 임상병리시스템(16), 수술시스템(17), 혈액관리시스템(18)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모두 HL7표준에 맞는 데이터들을 대상으로 데이터 수집, 대상 분석 등을 수행하는 곳에 해당된다.
그런데, 휴대형센서(110)에 의해 취득된 후 지그비 통신을 통해 고정형센서(120)로 전송되어 최종적으로 정보수집부(132)로 저장되는 생체정보는, HL7표준에 적합한 데이터 형식이 아니다.
즉, 이러한 생체정보를 이용 또는 활용하는 의료관계시스템(10)에서 상술한 생체정보를 그대로 전송받는 경우, 별도의 데이터 가공절차가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뿐만 아니라 시간적, 물적인 부담이 발생될 수 있고, 보통의 의료관계시스 템(10)은 그러한 데이터 가공 처리 요소를 보유하고 있지 않는 편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별도 데이터 가공 없이 해당 의료관계시스템(10)에 적합한 HL7표준데이터로 생체정보의 변환을 수행하는 HL7변환부(134)를 구비하여, 데이터 활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의료관계시스템(10)에서 제반 시스템의 추가 없이 생체정보의 수신 및 분석 이용 또는 활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생체정보전달서버(130)는 기존에 존재하는 의료관계시스템(10)과의 연동이 가능하다. 또한, 생체정보전달서버(130)는 상기 생체정보를, 상술한 다양한 의료관계시스템 중에서 원하는 시스템으로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생체정보전달서버(130)에 수신된 생체정보 중 특정 사용자의 생체정보만을 선택하여 해당 의료관계시스템(10)으로 전송 가능하며, 이때 생체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전송될 수 있고, 특정시간 내의 생체정보만을 샘플링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생체정보의 전송 방식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관리부(136)는 휴대형센서(110) 및 고정형센서(120)의 정보를 DB부(131)에 등록하고 관리하는 부분으로서, 도 3과 같이, 설정부(137), 검색부(138), 센서정보표시부(139)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부(137)는, 도 6의 좌측그림과 같이, 휴대센서식별코드, 고정센서식별코드, 센서등록날짜, 휴대형센서(110)와 고정형센서(120) 간의 구분을 위한 센서종류 정보에 해당되는 센서기본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의 좌측그림에서 휴대센서식별코드 또는 고정센서식별코드는 센서번호란에, 센서등록날짜는 등록날짜란에 입력되고, 센서종류정보는 센서구분란에서 고정형 또는 휴대형 중 선택 가능하다.
또한, 설정부(137)는 도 6의 우측그림과 같이, 휴대형센서(110) 및 고정형센서(120)에서 감지 가능한 각각의 감지대상 종류(휴대형센서의 경우 혈압, 맥박, 체온 등, 고정형센서의 경우 온도, 조도, 습도 등), 감지대상별 측정단위(혈압:mmHg, 체온:℃, 등)의 입력이 가능하다.
이러한 감지대상 종류는 언제든지 삭제 또는 신규 항목 추가가 가능하고, 측정 단위 또한 신규 항목에 맞는 단위로 언제든지 변경 및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부(137)는, 생체정보 또는 환경정보의 각 감지대상별 경고범위 또는 위험범위의 입력 설정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경고하한값 및 경고상한값을 입력하면 경고범위가 자동 자동되게 된다. 물론 도 7과 같이 특정 사용자(대상자) 또는 특정 센서번호(센서식별번호) 선택한 후 해당 사용자별 또는 센서별로 서로 다른 경고범위와 위험범위의 설정이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설정부(137)는 기 등록된 휴대형센서(110) 및 고정형센서(120) 각각에 대한 사용중, 대기중, 폐기상태 중 해당되는 상태정보의 입력 설정이 가능하며 설정된 정보는 센서조회시 나타나는 도 7의 우측화면, 또는 도 8과 같이 등록센서들이 트리뷰(tree view) 형태로 표시되는 다양한 항목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부(137)는, 휴대형센서(110) 또는 고정형센서(120)에 관한 고장, 폐기, 교환, 반납 중 해당되는 상태수정정보의 입력이 가능한데, 이는 도 8에서 해당 센서를 클릭한 후 '프로그램명' 우측의 실렉트 박스(Select Box)를 통해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열기 버튼을 누르거나 해당 센서를 더블클릭하는 경우 원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예를 들어 도 8의 화면은 센서고장등록이 선택된 경우로서 고장내용, 고장조치내용 등의 정보 입력을 통해 고장등록이 가능하다.
물론, 센서 폐기등록의 경우, 폐기등록 화면에서 폐기대상 센서를 검색 또는 선택하여 센서 폐기에 따른 반납날짜, 반납내용을 텍스트로 입력하는 것에 의해 폐기정보가 저장 가능하다.
센서 교환등록의 경우, 교환등록 화면에서 교환대상 센서를 검색 또는 선택한 후, 교환하여 사용할 다른 센서장치를 검색 및 선택하고, 교환내용을 텍스트로 입력하여 저장하면 교환 전후의 이력 저장 등의 교환등록이 가능하게 된다.
센서 반납의 경우는 센서반납 화면에서 반납대상 센서를 검색 또는 선택하여 센서 반납날짜, 반납내용을 텍스트로 입력하여 반납정보가 저장 가능한데, 이때는 폐기 목적 이외에 단순 반납의 목적 등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해당될 수 있다.
한편, 검색부(138)는, 휴대센서식별코드, 고정센서식별코드 또는 상기 센서등록날짜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정보에 대응되는 휴대형센서 또는 고정형센서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설정부(137)를 통한 각종 설정작업시 자주 이용되는 부분이고 예를 들면 도 8 등에 도시된 검색란의 기능에 해당된다.
한편, 센서정보표시부(139)는 검색부(138)에서 검색된 휴대형센서(110) 또는 고정형센서(120) 각각에 관한 휴대센서식별코드 또는 고정센서식별코드, 센서등록날짜, 센서종류의 표시가 가능하고, 휴대형센서(110) 또는 고정형센서(120) 각각에 관한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상태수정정보에 관한 이력정보가 각각 표시 가능한 부 분으로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화면 구현이라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력정보에 관하여 예를 들면, 도 9와 같이, 별도의 이력조회 메뉴에서 상기 검색부(138)를 통해 센서번호(00001)로 조회하면, 해당 센서가 이전의 센서(00002)와 교환된 이력이 표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다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센서관리부의 구성도,
도 4 내지 도 5는 모니터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구성도,
도 6 내지 도 9는 센서관리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의료관계시스템 20..네트워크
100...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
110...휴대형센서 111...지그비 모듈
120...고정형센서 121...지그비 모듈
130...생체정보전달서버 131...DB부
132...정보수집부 133...모니터부
134...HL7변환부 135...알림부
136...센서관리부 137...설정부
138...검색부 139...센서정보표시부

Claims (3)

  1. 건물 내 소정 공간의 사용자별로 휴대 가능하고, 사용자의 체온, 맥박, 혈압을 포함한 생체정보를 일정주기로 감지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휴대센서식별코드와 연계하여 지그비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휴대형센서;
    상기 건물 내 소정 공간별 설치되어 상기 공간 내의 온도, 습도, 조도를 포함한 환경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형센서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지그비 통신방식으로 수신하며, 상기 공간별 환경정보 및 상기 사용자별 생체정보를 고정센서식별코드와 연계하여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고정형센서; 및
    상기 고정형센서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생체정보전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정보전달서버는,
    상기 휴대센서식별코드 및 고정센서식별코드에 각각 대응되는 휴대형센서의 사용자정보 및 고정형센서의 위치정보가 각각 저장된 DB부; 상기 고정형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별 생체정보와 상기 공간별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정보수집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생체정보, 공간별 환경정보, 상기 고정형센서의 위치정보를 통해 파악된 상기 휴대형센서별 위치정보를 각각 실시간 표시하는 모니터부; 및 상기 정보수집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생체정보를 HL7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 군 또는 처방전달시스템(OCR) 군에 속하는 의료관계시스템으로 전송하는 HL7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전달서버의 모니터부는,
    상기 DB부에 기 저장된 상기 건물에 관한 층별 측면도와 평면도에 각각 해당 휴대형센서의 위치정보를 대입하여, 사용자별 위치정보를 상기 측면도와 평면도 상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별 생체정보를 그래프, 문자, 테이블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방식으로 표시하며, 상기 생체정보가 상기 DB부에 기 저장된 경고범위 또는 위험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경고 또는 위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생체정보전달서버는,
    상기 사용자별 생체정보에 관한 경고 또는 위험 상태를 알람 또는 알림메시지로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전달서버는,
    상기 휴대형센서 및 상기 고정형센서의 정보를 상기 DB부에 등록하고 관리하는 센서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관리부는,
    상기 휴대센서식별코드, 상기 고정센서식별코드, 센서등록날짜, 휴대형센서와 고정형센서 간의 구분을 위한 센서종류 정보에 해당되는 기본정보의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휴대형센서 및 상기 고정형센서에서 감지 가능한 각각의 감지대상 종류, 감지대상별 측정 단위, 감지대상별 상기 경고범위 또는 위험범위의 입력이 가 능하고, 등록된 휴대형센서 및 고정형센서 각각에 대한 사용중, 대기중, 폐기상태 중 해당되는 상태정보의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휴대형센서 또는 고정형센서에 관한 고장, 폐기, 교환, 반납 중 해당되는 상태수정정보를 입력받는 설정부;
    상기 휴대센서식별코드, 상기 고정센서식별코드 또는 상기 센서등록날짜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정보에 대응되는 휴대형센서 또는 고정형센서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휴대형센서 또는 고정형센서 각각에 관한 휴대센서식별코드 또는 고정센서식별코드, 센서등록날짜, 센서종류의 표시가 가능하고, 상기 휴대형센서 또는 고정형센서 각각에 관한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상태수정정보에 관한 이력정보가 각각 표시되는 센서정보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
KR1020080011272A 2008-02-04 2008-02-04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 KR100938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272A KR100938506B1 (ko) 2008-02-04 2008-02-04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272A KR100938506B1 (ko) 2008-02-04 2008-02-04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404A KR20090085404A (ko) 2009-08-07
KR100938506B1 true KR100938506B1 (ko) 2010-01-25

Family

ID=4120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272A KR100938506B1 (ko) 2008-02-04 2008-02-04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5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406B1 (ko) 2011-12-02 2013-10-28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의료용 애플리케이션 인증을 위한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377706B1 (ko) 2012-04-23 2014-03-24 주식회사 산엔지니어링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20160046945A (ko) * 2014-10-20 2016-05-02 전자부품연구원 IoT 환경센서를 활용한 지능적 개인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588B1 (ko) * 2010-04-16 2013-07-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헬스기기의 신호를 표준 프로토콜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그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그리고 유비쿼터스 헬스 시스템
KR101283659B1 (ko) * 2011-12-21 2013-07-08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신호 부호화 변환장치
KR102079535B1 (ko) * 2013-01-30 2020-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별 센서 데이터 수집 장치, 방법, 텔레비전 및 사용자별 센싱 플랫폼 시스템
CN106097687A (zh) * 2016-08-09 2016-11-09 国网江苏省电力公司徐州供电公司 基于ZigBee的电缆线路多点温度无线监测系统
KR101720100B1 (ko) * 2016-11-21 2017-03-27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관 위치 추적시스템
KR101879736B1 (ko) * 2016-12-26 2018-07-1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방화셔터를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8474A (ko) * 2007-01-10 2007-04-10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75710A (ko) * 2006-01-16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네트워크 시스템및 방법
KR20070119374A (ko) * 2006-06-15 2007-12-20 주식회사 아트시스템 Usn 기반 상황 실시간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5710A (ko) * 2006-01-16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네트워크 시스템및 방법
KR20070119374A (ko) * 2006-06-15 2007-12-20 주식회사 아트시스템 Usn 기반 상황 실시간 감시 시스템
KR20070038474A (ko) * 2007-01-10 2007-04-10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406B1 (ko) 2011-12-02 2013-10-28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의료용 애플리케이션 인증을 위한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377706B1 (ko) 2012-04-23 2014-03-24 주식회사 산엔지니어링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20160046945A (ko) * 2014-10-20 2016-05-02 전자부품연구원 IoT 환경센서를 활용한 지능적 개인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404A (ko) 200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506B1 (ko)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
US11082807B2 (en) Hardware system for active RFID identification and location tracking
US8852093B2 (en) Home care logistics and quality assurance system
CN102460446B (zh) 具有自动重新尺寸调节的显示器区段的患者监测
CN101233738B (zh) 用于移动医疗设备的环境相关的服务发现的系统和方法
US201601179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ospital workflow compliance with a hand hygiene network
US20180295466A1 (en) Healthcare asset beacon
WO2003105095A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monitoring activities in a tracking environment
JP6551959B1 (ja) ソフトウェア、健康状態判定装置及び健康状態判定方法
JP2012118782A (ja) 常時表示型医療情報表示システム
CN101795296A (zh) 基于gprs网络的远程医疗服务系统及其方法
EP3326394B1 (en) Wireless bridge hardware system for active rfid identification and location tracking
KR101846845B1 (ko)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KR102079924B1 (ko)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TWM544685U (zh) 用於失能者或病患的遠距健康醫療長期照護管理系統
JP2013137679A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および生体情報測定機器
JP2019197262A (ja) システムおよび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10116626A (ko) 엘이디를 이용한 실시간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7135859A (ja) 在宅健康管理システム
CN103036997A (zh) 一种智能医院病房看护监控系统
Rodrigues et al. An intelligent patient monitoring system
JP7407997B2 (ja) 装置及び装置の制御方法
US20240005760A1 (en) A nurse communication device
WO2019239716A1 (ja) レポート出力プログラム、レポート出力方法、およびレポート出力装置
KR20080032401A (ko)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