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188B1 - 일방향 파단성 필름 - Google Patents

일방향 파단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188B1
KR100937188B1 KR1020080104306A KR20080104306A KR100937188B1 KR 100937188 B1 KR100937188 B1 KR 100937188B1 KR 1020080104306 A KR1020080104306 A KR 1020080104306A KR 20080104306 A KR20080104306 A KR 20080104306A KR 100937188 B1 KR100937188 B1 KR 100937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urface layer
heat
depth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영
전경갑
윤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Priority to KR1020080104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 파단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열 표층, 방향층 및 방향층의 세가지층을 공압출 공정으로 동시 성형하여 일방향 파단성 , 공기 투과도 및 투습도가 우수한 일방향 파단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파단성 필름은, 내열 표층, 방향층 및 슬립 표층의 3층으로 이루어지며, 특정한 방향으로 찢어지는 특성을 가진다.
약봉지, 필름, 내열 표층, 슬립 표층, 방향성

Description

일방향 파단성 필름{PACKING FILM}
본 발명은 일방향 파단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열 표층, 방향층 및 방향층의 세가지층을 공압출 공정으로 동시 성형하여 일방향 파단성 , 공기 투과도 및 투습도가 우수한 일방향 파단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국에서 조제약을 판매하는 경우 약을 포장하기 위하여 약봉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약봉지는 잘 찢어지는 특성과 공기 및 습기를 차단할 수 있는 특성을 가져야 한다. 즉, 포장된 약을 복용하고자 할 때, 약봉지를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때, 약봉지가 파단되는 방향이 특정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만 그 찢어지는 방향을 예측할 수 있어서 약이 쏟아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습기나 기체가 투과하지 못해야 포장지 내부의 약이 변질 또는 변형되지 않는다. 그리고 약봉지 내부는 약 성분이 잘 묻지 않도로 슬립(slip)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이러한 여러가지 특성은 약봉지 뿐만아니라, 식품 포장재 등 여러가지 포장재에서 공통적으로 요청되는 사항이기도 하다.
그런데 종래의 약봉지는 폴리에틸렌(Poly Ethylen) 필름 표면에 셀로판지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한 재질을 가진다. 따라서 일방향 파단성이 약하고, 슬립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열 표층, 방향층 및 방향층의 세가지층을 공압출 공정으로 동시 성형하여 일방향 파단성 , 공기 투과도 및 투습도가 우수한 일방향 파단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파단성 필름은, 내열 표층, 방향층 및 슬립 표층의 3층으로 이루어지며, 특정한 방향으로 찢어지는 특성을 가진다.
삭제
그리고 반 발명의 일방향 파단성 필름은, 공기 투과도가 0.1 cm3/cm2/s 이하이고, 투습도가 0.3g/m2/24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층, 방향층 및 슬립 표층은 서로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투과도 및 투습도가 우수하다. 또한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내열 표층, 방향층 및 슬립 표층이 일체로 형성되므로써, 내면은 슬립성이 우수하여 약봉지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내용물이 묻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외면은 내열 표층에 의하여 밀봉과정에서 사용하는 열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파단성 필름은 공기 투과도가 0.1 cm3/cm2/s 이하이고, 투습도가 0.3g/m2/24h 이하이므로, 약품이나 식품 등 습기와 외부 공기를 차단해야하는 제품의 보관 및 포장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방향층에 의하여 특정한 방향으로만 일정하고 용이하게 찢어지는 장점이 있으며, 다른 방향에 대해서는 찢어지지 않는 선택성이 좋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파단성 필름(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열 표층(10)과 슬립 표층(20)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파단성 필름의 단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말하는 '일방향 파단성'은 특정한 일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찢어지고, 그 이외의 방향으로는 찢어지지 않거나 매우 어렵게 찢어지는 특성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열 표층(10)은 특정한 온도 이상의 열에 견딜 수 있는 특성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파단성 필름을 사용하여 내용물을 삽입한 후, 필름을 밀봉하는 과정에서 열을 사용하더라도 이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파단성 필름을 약봉지에 사용하는 경우 조제된 약을 봉지에 투입한 후, 입구를 열로 밀봉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에서 약봉지의 외면에 이 내열 표층(10)이 위치하여 열에 의한 손상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내열 표층(10)은 70 ~ 130 ℃ 정도의 온도에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내열 표층(10)은 방향성 필름(1)의 일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 예를 들어 그래프 1에서 제1 깊이(d1)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제1 깊이(d1)은 일방향 파단성 필름의 성능 구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정밀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파단성 필름(1)에서 이 제1 깊이(d1)는 전체 필름 두께의 5 % ~ 50 % 정도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제1 깊이(d1)가 5% 이하인 경우에는 내열 성능이 너무 낮고, 50 % 이상인 경우에는 일방향 파단성 필름의 물리적인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내열 표층에 분포되는 상기 내열제(12)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E, PP, PE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내열제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2개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파단성 필름에서 상기 내열제(12)는 아래의 그래프 1과 같은 농도 분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 그래프 1 >
Figure 112008073702506-pat00001
즉, 방향성 필름의 일 표면에서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일정한 깊이 즉, 제1 깊이(d1)까지는 내열제(12) 성분의 농도가 일정한 값을 유지하다가, 상기 제1 깊이(d1)을 지나면서부터는 내열제 성분의 농도가 급격하게 감소되어 종국에는 내열제 성분이 사라지는 분포를 가지는 것이다. 여기에서 내열제 성분의 농도가 일정한 값을 가지는 제1 깊이(d1) 까지의 부분을 내열 표층(10)이라고 정의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파단성 필름에서, 이 방향성 필름 자체는 일정한 방향으로 찢어지는 특성을 가지는 다양한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PP, PE, PET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방향 파단성 필름 전체가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내열 표층을 구성하는 부분과 나머지 부분을 구성하는 수지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열 표층(10)을 구성하는 부분은 PP(Poly Propylene) 수지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부분은 PE(Poly Ethylene)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필름의 각 부분에 따라 다르게 수지를 구성하는 것은, 내열제 성분을 균일하게 블랜딩하면서도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 등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내열 표층(10)과 나머지 부분은 도 1 상에서 구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그 경계면이 불확실하여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내열제 성분이 계속하여 감소하다가 어느 정도 깊이 이상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겠지만, 그 깊이는 필름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내열 표층과 나머지 부분이 서로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그 경계면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그 경계면에서는 서로 다른 수지가 혼합되어 경계면이 불명확한 상태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슬립 표층(20)은, 상기 내열 표층(10)의 반대면에 표면으로부터 제2 깊이(d2) 만큼 슬립제(22)가 분포되는 부분을 말한다. 이 슬립 표층(20)은 필름 표면에 어떠한 물질이 묻지 않는 특성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파단성 필름을 약봉지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슬립 표층(20)은 약봉지의 내면에 배치되어, 투입된 약 분말 등이 봉지 내면에 묻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슬립 표층(20)도 전술한 내열 표층과 마찬가지로 슬립제 성분을 방향성 필름(1) 내부에 분포시킨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사용과정에서 필름으로부터 슬립제 성분이 전혀 노출 또는 유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슬립제(22) 성분이 분포되는 상기 제2 깊이(d2)는 상기 일방향 파 단성 필름(1) 전체 두께의 5 % ~ 4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깊이(d2)가 3% 이하인 경우에는 슬립 성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40% 이상인 경우에는 일방향 파단성 필름의 성형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립제(22)로 다양한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계열 중의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립제(22)는 아래의 그래프 2와 같은 농도 분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그래프 2 >
Figure 112008073702506-pat00002
즉, 전술한 내열 표층(10)과 마찬가지로, 슬립 표층(20)도 일정한 깊이까지는 슬립제(22) 성분이 일정한 농도로 유지되다가 일정한 깊이(d2)를 지나면 슬립제 성분의 농도가 급격하게 감소되어 종국에는 사라지는 그래프를 가지는 것이다. 이때, 슬립제 성분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 깊이(d2)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제2 깊이(d2)가 전체 필름 두께의 5 ~ 40 % 정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슬립 표층(20) 역시도 전술한 내열 표층(10)과 마찬가지로, 이를 구성하는 수지 성분이 다른 나머지 부분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과 동일한 수지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서로 상이한 수지 성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내열 표층(10)을 구성하는 수지와, 슬립 표층(20)을 구성하는 수지 그리고 나머지 부분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이 각각 상이한 3층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향성 필름 중에서 상기 내열 표층(10)과 슬립 표층(20)을 제외한 나머지 가운데 부분이 방향층을 이룬다. 여기에서 방향층은 일방향 파단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파단성 필름은 상기 내열 표층, 방향층 및 슬립 표층으로 구분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공압출 방식으로 동시에 성형되는 하나의 층이다. 따라서 별도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합지하지 않고서도 필름의 각 층 별로 상이한 기능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필름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Claims (5)

  1. 특정한 방향으로 찢어지는 방향성 필름;
    상기 방향성 필름 내에, 상기 방향성 필름의 일 표면으로부터 제1 깊이 만큼 내열제가 분포되어 형성되는 내열 표층;
    상기 방향성 필름 내에, 상기 방향성 필름의 상기 내열 표층 반대면에 표면으로부터 제2 깊이 만큼 슬립제가 분포되어 형성되는 슬립 표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깊이는 상기 방향성 필름 두께의 5 % ~ 50 %이고,
    상기 제2 깊이는 상기 방향성 필름 두께의 5 % ~ 4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파단성 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필름은 공기 투과도가 0.1 cm3/cm2/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파단성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필름은 투습도가 0.3g/m2/24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파단성 필름.
  5. 삭제
KR1020080104306A 2008-10-23 2008-10-23 일방향 파단성 필름 KR100937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06A KR100937188B1 (ko) 2008-10-23 2008-10-23 일방향 파단성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06A KR100937188B1 (ko) 2008-10-23 2008-10-23 일방향 파단성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188B1 true KR100937188B1 (ko) 2010-01-19

Family

ID=4180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306A KR100937188B1 (ko) 2008-10-23 2008-10-23 일방향 파단성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1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3826A (ko) * 1995-12-06 1997-07-22 프랑스와 앙드레프 향상된 슬립성, 김서림방지성 및 /또는 정전기방지성과 함께 우수한 잉크 부착성을 갖는 필름
KR20010046253A (ko) * 1999-11-11 2001-06-05 장용균 인열직선성을 갖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3826A (ko) * 1995-12-06 1997-07-22 프랑스와 앙드레프 향상된 슬립성, 김서림방지성 및 /또는 정전기방지성과 함께 우수한 잉크 부착성을 갖는 필름
KR20010046253A (ko) * 1999-11-11 2001-06-05 장용균 인열직선성을 갖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09594B (zh) 耐热性、开封性及密封性优秀的容器封装体
EP2488424B1 (en) Peel-seal foil for realizing a valve
JP2005516863A5 (ko)
US20160090225A1 (en) Packaging container for liquids with frangible flap
BRPI0911668B1 (pt) Recipiente e embalagem utilizando o mesmo
JP4774628B2 (ja)
JP4097066B2 (ja) 流動食用包装袋
JP2015527266A5 (ko)
AU2009270323A1 (en) Protector member for liquid in a container
CN106414261A (zh) 打开装置及制造打开装置和有打开装置的包装容器的方法
CN108473247A (zh) 具有应变特征的刚性包装
EP3393921B1 (en) Flexible packaging with a straining feature
KR101451186B1 (ko) 포장백
TW200902322A (en) Multilayered tap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packaging bag
KR100937188B1 (ko) 일방향 파단성 필름
MX2015000790A (es) Empaque para peliculas individuales que contienen sustancias activa y metodo para producir dicho empaque.
KR20110083070A (ko) 일방향 파단성 필름
EP0100796B1 (en) Plastics material film sheet having a preselected weakened area, process for its manufacture and package made therefrom
CN209321479U (zh) 一种保健品瓶
WO2013005890A1 (ko) 의료 수액백용 내포장재 필름
JP2003002341A (ja) 飲み口用部材付き袋
WO2004108545A1 (ja) 流動食用包装袋
CN204506033U (zh) 多层复合薄膜
JP2008012187A (ja) 封緘材及び複槽薬剤バッグ封緘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22010025A (ja) 自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