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168B1 - 전자식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168B1
KR100937168B1 KR1020080020310A KR20080020310A KR100937168B1 KR 100937168 B1 KR100937168 B1 KR 100937168B1 KR 1020080020310 A KR1020080020310 A KR 1020080020310A KR 20080020310 A KR20080020310 A KR 20080020310A KR 100937168 B1 KR100937168 B1 KR 100937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cking
door lock
lock devic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5157A (ko
Inventor
한상태
Original Assignee
명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0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16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05B47/0003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 E05B47/0004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said core being linearly 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6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linearly reciprocating mo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전자식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회전축(12)이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10)와; 전방에 작동홈(21)이 구비되고, 후방에 잠금홈(23)과 걸림편(25)이 구비되며, 상기 잠금홈(23)과 걸림편(25) 간에는 호형의 가이드부(27)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방에 고정되는 판형의 잠금부재(20)와; 전방의 작동부(33)가 상기 잠금홈(23) 대비 삽입,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잠금부재(20)의 후방에 상기 잠금부재(20)와 수직으로 구비되고, 후방에 연결부(31)가 구비된 판형의 작동부재(30)와; 연결부(31)와 결합되고, 전, 후진하는 작동봉(41)이 구비된 솔레노이드(40)와; 전자키의 접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솔레노이드(40)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작동봉(41)을 후진시키는 제어부(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식, 도어락, 베이스플레이트, 잠금부재

Description

전자식 도어락 장치 { Electronic type door lock device }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물품보관함에 사용되는 전자식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일측에 회전축(12)이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10)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방에 고정되는 판형의 잠금부재(20)와, 잠금부재(20)와 수직으로 구비되는 판형의 작동부재(30)와, 솔레노이드(40)와 전자키의 접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솔레노이드(40)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작동봉(41)을 후진시키는 제어부(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종래의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9는 종래의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작동 상태도(락 상태)이고, 도 10은 종래의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작동 상태도(언락 상태)이고, 도 11은 종래의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락은 잠금편의 잠김홈이 하강하려는 락킹봉에 걸려 락킹되고,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봉이 언락킹부재를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락킹봉이 잠금편의 잠김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되었다.
잠금편은 스프링1에 의해 락킹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의 힘을 받게 되고 그 스프링1의 일단은 걸림봉에 지지된다. 락킹봉은 스프링2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내려오 려는 힘을 받게 되고, 언락킹부재는 잠금편의 잠김홈이 락킹봉 아래 왔을 때 하강하여 락킹이 수행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락킹봉에 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해 스프링2을 필요로 하고 이 스프링2을 고정 설치하기 위해 수개의 멈춤링을 필요로 하였고, 잠금편과 언락킹부재와 락킹봉 간의 작동 구조가 간결하지 못하여 추가적인 부품을 필요로 하였다. 즉, 종래기술은 락킹봉, 걸림봉, 및 언락킹부재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핀(미도시)을 필요로 하고, 이들의 각각 양측에 2개씩 모두 6개의 멈춤링이 필요로 한다. 또한, 전자키 분실 및 오작동시 사용항 열쇠뭉치를 필요로 한다. 도시된 종래의 도어락 장치는 부품수가 대략 30개에 이르고 조립시간이 30분에 이를 만큼 부품수가 많다(후술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락킹봉, 걸림봉, 및 언락킹부재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핀, 6개의 멈춤링, 열쇠뭉치를 모두 없앴다.)
종래의 전자식 도어락은 부품의 수가 많아 조립공정이 많고, 부품의 크기가 작아서 조립이 불편하여 조립시간이 길고, 부품의 분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립시 각 부품 결합의 정확성이 떨어져서 스프링 낌, 간격 벌어짐, 걸림, 동작 불량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신규한 작동 구조를 갖는 도어락 장치를 구성하여,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는 부품의 수를 현저하게(30가지 → 17개) 줄일 수 있는 전자식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조립성을 개선하여 조립시간을 현저하게 단축(30분 → 10분)시킬 수 있는 전자식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조립시 각 부품이 결합의 정확성이 완화되어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고장이 적고 동작 불량품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가진 전자식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장치는, 일측에 회전축(12)이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10)와;
전방에 작동홈(21)이 구비되고, 후방에 잠금홈(23)과 걸림편(25)이 구비되며, 상기 잠금홈(23)과 걸림편(25) 간에는 호형의 가이드부(27)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방에 고정되는 판형의 잠금부재(20)와;
전방의 작동부(33)가 상기 잠금홈(23) 대비 삽입,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잠금부재(20)의 후방에 상기 잠금부재(20)와 수직으로 구비되고, 후방에 연결부(31)가 구비된 판형의 작동부재(30)와;
상기 연결부(31)와 결합되고, 전, 후진하는 작동봉(41)이 구비된 솔레노이드(40)와;
전자키의 접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솔레노이드(40)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작동봉(41)을 후진시키는 제어부(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고, 신규한 작동 구조를 갖는 도어락 장치을 구성하여,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는 부품의 수를 현저하게(30가지 → 17개) 줄일 수 있는 전자식 도어락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조립성을 개선하여 조립시간을 현저하게 단축(30분 → 10분)시킬 수 있는 전자식 도어락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조립시 각 부품이 결합의 정확성이 완화되어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고장이 적고 동작 불량품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가진 전자식 도어락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도어락 장치의 동작이 간편화되며 부품 절감을 통해 부품상호간 안정성이 확보되고, 부품의 수가 줄어듬에 의해 원가가 절감되며, 조립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수동키를 분실 염려가 없어 범죄 발생 요인이 줄어든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도어락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정면도(보호부재 제거 상태, 언락킹 상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정면도(보호부재 제거 상태, 락킹 상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사시도(보호부재 절개 상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키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는 일측(전방)에 회전축(12)이 구비된 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물품보관함(미도시) 몸체판 등에 고정 체결될 수 있게 결합홀(14)을 구비한다. 회전축(12)은 핀형상이며 일단은 베이스플레이트(10)에 지지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보호부재(50)의 커버판(51)에 지지될 수 있다. 회전축(12)에는 제1스프링(28)이 삽입된다.
잠금부재(20)는 전방에 작동홈(21)이 구비되고, 후방에 잠금홈(23)과 걸림편(25)이 구비된다. 잠금홈(23)과 걸림편(25) 간에는 호형의 가이드부(27)가 구비된다. 잠금부재(20)는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방에 고정되며, 판형이다.
잠금부재(20)는 제1 스프링(28)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스프링 힘을 받는다. 제1스프링(28)의 일단은 스프링걸림홀(26)에 삽입되고, 제1 스프링(28) 의 타단은 전방판(52)의 후면에 지지된다. 제1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부재(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지만, 걸림편(25)이 작동부재(30)에 걸려 운동한계가 설정된다.
작동부재(30)는 전방의 작동부(33)가 상기 잠금홈(23) 대비 삽입, 이탈 가능하도록 잠금부재(20)의 후방에 잠금부재(20)와 수직으로 구비되고, 후방에 연결부(31)가 구비되고, 판형상이다. 작동부재(30)는 병진 운동하고 잠금부재(20)는 회전 운동한다.
솔레노이드(40)는, 연결부(31)와 결합되고 전, 후진하는 작동봉(41)을 구비한다. 제어부(45)는 전자키의 접촉신호가 입력되면 솔레노이드(40)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작동봉(41)을 후진시킨다. 작동봉(41)에는 복원스프링(43)이 외삽되고, 언락킹 상태에서 작동부재(30)는 복원스프링(43)에 의해 전진하려는 스프링 힘을 받게 되고, 작동부재(30)의 전단이 호형의 가이드부(27)에 제한을 받아 작동부재(30)의 전진 한계가 설정되도록 배치된다. 락킹시 복원스프링(43)의 힘에 의해 작동봉(41)과 작동부재(30)가 전진한다.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락 장치는 보호 및 부품의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보호부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호부재(50)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마주보게 커버판(51)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판(51) 의 양단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방향으로 접힌 형상의 전방판(52)과 후방판(53)이 구비된다. 전방에는 피락킹부재(5)가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절개홈(58)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작동부재(30)를 지지함과 동시에 통로를 제공하는 제2 절개홈(56)이 형성된다.
보호부재(50)는 후방판(53)의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같은 방향으로 접혀 형성된 연장판(5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장판(54)에는 상기 제2 절개홈(56)과 같은 높이에 레일홈(57)이 형성되고 레일홈(57)에 의해 작동부재(30)가 가이드 된다.
보호부재(50)는 전방판(52)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접혀 형성된 체결판(5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체결판(59)의 나사홈(59a)과 상기 연장판(54)의 나사홈(54a)에 나사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배면으로부터 삽입, 체결됨으로써, 보호부재(50)와 베이스플레이트(10)가 결합된다.
전방판(52)과 후방판(53)에는 제1관통홀(65)과 제2 관통홀(66)이 같은 높이로 각각 구비된다. 복원샤프트(60)는 복원스프링(62)이 외삽된 상태에서 제1관통홀(65)과 제2 관통홀(66)을 관통함으로써 보호부재(50)에 의해 지지된다. 복원샤프트(60)의 전방에는 멈춤링(64)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락 장치는, 락킹시 상기 걸림편(25)의 락킹 방향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판(71)과, 락킹시 상기 센서판(71)에 의해 눌려지고 언락킹시 자동으로 복원되는 스위치(73)가 구비된 센서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락 장치는, 락킹 또는 언락킹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80)이 상기 전방판(52)에 구비되고, 센서부(70)의 신호는 제어부(45)로 송신되고 제어부(45)는 표시등(80)에 전원을 제어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30)에는 "ㄷ'자형 홈을 형성하는 수동키 접촉부(35)가 구비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의 수동키-작동부(93)가 구비된 막대형 수동키(90)는 작동부재(30)에 수직되게 상하로 설치된다. 막대형 수동키(90)는 호형의 수동키-작동부(93)가 균일한 간격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락킹 상태를 보이고, 도 2는 락킹 상태를 보인다.
도 1에 도시된바와 같이 피락킹부재(5)가 작동홈(21)에 삽입되어 진입하면, 잠금부재(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홈(23)에 작동부재(30)의 작동부(33)가 잠금홈(23)에 삽입될 때까지 회전한다. 이때 걸림편(25)이 센서판(71)을 눌러 제어부는 락킹 상태임을 인지한다.
도 1의 언락킹 상태에서 잠금부재(20)는 제1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한다. 언락킹상태에서 걸림편(25)은 작동부재(30)의 작동 부(33)에 걸려 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언락킹 상태에서 작동부재(30)는 복원스프링(43)에 의해 전진하려는 스프링 힘을 받게 되고, 작동부재(30)의 전단이 호형의 가이드부(27)에 제한을 받아 작동부재(30)의 전진 한계가 설정되게 된다.
전자키가 인식되면 제어부는 솔레노이드(40)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작동봉(41)을 후진시키고, 제1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부재(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언락킹된다.
수동키(90)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수개의 전자식 도어락 장치를 상하로 배열시키고(수개의 물품 보관함을 상하로 배열하고 각각의 보관함에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를 서치함), 균일한 간격으로 수동키-작동부(93)가 형성된 수동키(90)를 상하 방향으로 설치한다. 락킹 상태에서 수동키(90)를 위호 올리면 수동키-작동부(93)가 수동키 접촉부(35)를 뒤로 밀어 언락킹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정면도(보호부재 제거 상태, 언락킹 상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정면도(보호부재 제거 상태, 락킹 상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사시도(보호부재 절개 상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키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종래의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9은 종래의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작동 상태도(락 상태).
도 10는 종래의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작동 상태도(언락 상태).
도 11은 종래의 전자식 도어락 장치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피락킹부재 10 : 베이스플레이트
12 : 회전축 20 : 잠금부재
21 : 작동홈 23 : 잠금홈
25 : 걸림편 27 : 가이드부
30 : 작동부재 31 : 연결부
33 : 작동부 35 : 수동키 접촉부
40 : 솔레노이드 41 : 작동봉
45 : 제어부 50 : 보호부재
51 : 커버판 52 : 전방판
53 : 후방판 54 : 연장판
56 : 제2 절개홈 57 : 레일홈
58 : 제1 절개홈 59 : 체결판
59a, 54a : 나사홈 60 : 복원샤프트
62 : 복원스프링 64 : 멈춤링
65 : 제1관통홀 66 : 제2 관통홀
70 : 센서부 71 : 센서판
73 : 스위치 80 : 표시등
90 : 막대형 수동키 93 : 수동키-작동부

Claims (8)

  1. 전자식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회전축(12)이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10)와;
    전방에 작동홈(21)이 구비되고, 후방에 잠금홈(23)과 걸림편(25)이 구비되며, 상기 잠금홈(23)과 걸림편(25) 간에는 호형의 가이드부(27)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방에 고정되는 판형의 잠금부재(20)와;
    전방의 작동부(33)가 상기 잠금홈(23) 대비 삽입,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잠금부재(20)의 후방에 상기 잠금부재(20)와 수직으로 구비되고, 후방에 연결부(31)가 구비된 판형의 작동부재(30)와;
    상기 연결부(31)와 결합되고, 전, 후진하는 작동봉(41)이 구비된 솔레노이드(40)와;
    전자키의 접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솔레노이드(40)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작동봉(41)을 후진시키는 제어부(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마주보게 커버판(51)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판(51)의 양단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방향으로 접힌 형상의 전방판(52)과 후 방판(53)이 구비되고, 전방에는 피락킹부재(5)가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절개홈(58)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작동부재(30)를 지지함과 동시에 통로를 제공하는 제2 절개홈(56)이 형성된 보호부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50)는 후방판(53)의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같은 방향으로 접혀 형성된 연장판(5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장판(54)에는 상기 제2 절개홈(56)과 같은 높이에 레일홈(57)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30)가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50)는 전방판(52)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접혀 형성된 체결판(59)이 더 구비되고,
    상기 체결판(59)의 나사홈(59a)과 연장판(54)의 나사홈(54a)에 나사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배면으로부터 삽입, 체결됨으로써, 상기 보호부재(5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판(52)과 후방판(53)에는 제1관통홀(65)과 제2 관통홀(66)이 같은 높이로 각각 구비되고, 복원스프링(62)이 외삽된 복원샤프트(60)가 상기 제1관통홀(65)과 제2 관통홀(66)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보호부재(50)에 지지되고, 상기 복원샤프트(60)의 전방에는 멈춤링(6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락킹시 상기 걸림편(25)의 락킹 방향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판(71)과, 락킹시 상기 센서판(71)에 의해 눌려지고 언락킹시 자동으로 복원되는 스위치(73)가 구비된 센서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락킹 또는 언락킹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80)이 상기 전방판(52)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70)의 신호는 제어부(45)로 송신되고 상기 제어부(45)는 표시등(80)에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30)에는 "ㄷ'자형 홈을 형성하는 수동키 접촉부(35)가 구비되고, 호형의 수동키-작동부(93)가 구비된 막대형 수동키(90)는 상기 작동부재(30)에 수직되게 상하로 설치되고,
    상기 막대형 수동키(90)는 호형의 수동키-작동부(93)가 균일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장치.
KR1020080020310A 2008-03-05 2008-03-05 전자식 도어락 장치 KR100937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310A KR100937168B1 (ko) 2008-03-05 2008-03-05 전자식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310A KR100937168B1 (ko) 2008-03-05 2008-03-05 전자식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157A KR20090095157A (ko) 2009-09-09
KR100937168B1 true KR100937168B1 (ko) 2010-01-15

Family

ID=4129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310A KR100937168B1 (ko) 2008-03-05 2008-03-05 전자식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1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432B1 (ko) * 2009-11-24 2012-01-31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락커의 파손감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KR200471148Y1 (ko) * 2012-05-04 2014-02-06 주식회사 아이레보 좌우수 변경이 용이한 금고 잠금장치 모티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030Y1 (ko) * 2002-03-11 2002-06-14 김병일 액정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스크린
KR20030073839A (ko) * 2002-03-13 2003-09-19 박지순 전기 전자식 디지털 도어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030Y1 (ko) * 2002-03-11 2002-06-14 김병일 액정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스크린
KR20030073839A (ko) * 2002-03-13 2003-09-19 박지순 전기 전자식 디지털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157A (ko)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3650B (zh) 机电锁装置
US8302437B2 (en) Locking assembly for a door
CN112302424A (zh) 保护结构的保护方法和保管柜的保护方法
KR100937168B1 (ko) 전자식 도어락 장치
CN211874178U (zh) 一种平面锁锁芯及平面锁
CN102576619A (zh) 开关锁止金属件以及控制装置
CN211342176U (zh) 一种电机锁体的机械应急装置及电机锁体
CN109930918B (zh) 挂锁、挂锁解锁方法和挂锁闭锁方法
CN211173587U (zh) 一种锁扣闭锁锁具
CN209976237U (zh) 挂锁
JP4524654B2 (ja) 自動販売機の扉ロック装置
CN110939333A (zh) 一种分体式双重驱动门销结构
JP3966428B2 (ja) 保管庫の抽斗ロック装置
CN102278004B (zh) 锁定板类型的安全锁
CN111749553B (zh) 业务库安全互动防控系统设备
CN210032986U (zh) 机柜门锁装置及机柜
WO2018155335A1 (ja) 安全スイッチ
CA2709057A1 (en) Locking assembly for a door
CN219329626U (zh) 充电柜
CN109854098A (zh) 一种工具箱柜用锁具
CN117588115A (zh) 电控锁及其使用方法
CN215255247U (zh) 一种自动上锁装置
CN220272964U (zh) 压板闭锁装置
CN109519053B (zh) 智能面板锁
CN214576335U (zh) 一种锁具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