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019B1 -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019B1
KR100937019B1 KR1020080023853A KR20080023853A KR100937019B1 KR 100937019 B1 KR100937019 B1 KR 100937019B1 KR 1020080023853 A KR1020080023853 A KR 1020080023853A KR 20080023853 A KR20080023853 A KR 20080023853A KR 100937019 B1 KR100937019 B1 KR 100937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actuator
plate
storage space
moun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450A (ko
Inventor
김기두
Original Assignee
한국성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성전(주) filed Critical 한국성전(주)
Priority to KR1020080023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0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방법은, 엑츄에이터가 형성될 위치에 공급홀을 가지는 액츄에이터 성형틀의 플레이트 장착면에 플레이트의 전면이 성형틀을 향하도록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공급홀을 통해 유동 재료를 공급하여 플레이트 전면에 닿도록 하는 단계, 플레이트 후면측에서 열이나 빛을 가하여 유동 재료를 고형화하여 플레이트 전면에 부착되어 엑츄에이터를 이루도록 하는 엑츄에이터 성형 단계, 엑츄에이터가 형성된 플레이트를 성형틀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를 위한 엑츄에이터를 형성하는 장치는, 플레이트가 놓이는 장착면, 내부의 엑츄에이터 형성을 위한 유동 재료 대기용 저장 공간, 장착면에 놓인 플레이트의 엑츄에이터 위치에 장착면과 저장 공간을 연결하는 공급홀을 가지는 성형틀과; 저장 공간에서 유동 재료를 공급홀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급핀을 포함하는 유동 재료 공급부 및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성형틀의 반대편에서 장착면에 놓인 플레이트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고형화 에너지 공급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효율적, 내구적, 안정적으로 엑츄에이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방법 및 장치{methode of forming actuator for key pad type input device of cellular phone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에 사용되는 엑츄에이터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가 점차 소형화, 다기능화되어가면서 휴대전화 제작에서도 이런 요구에 맞추어 여러 제한이 가해지고 있다. 휴대전화의 중요 기능부로 자판형 입력 장치가 있다. 이런 자판형 입력 장치는 최근의 휴대전화에서 단순히 통화할 번호를 입력하는 외에 자판 내의 각종 버튼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휴대전화 단말기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휴대전화의 일 예에서 회로기판과 키패드를 구비하는 본체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를 통해 휴대전화(본체부)의 구조를 살펴보면, 본체부는 내부의 회로부를 포함하는 자판형 입력 장치와 이를 감싸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케이스는 전면 케이스(100a)와 후면 케이스(100b)로 구분될 수 있다.
휴대전화의 자판형 입력 장치는, 흔히 여러 가지 문자에 대응되는 다수의 입력 키(key)를 가지는 키패드(key pad:40)와, 키패드(40)의 각 입력 키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이들 스위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자판형 입력 장치에서 자판의 입력 키에 대한 시인성 특히 어두운 곳에서의 시인성을 높이고 입력을 확인하는 수단으로서, 도광판(30)과 LED(15)와 같은 조명장치가 자판 하부에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회로부는 통상 인쇄회로기판(1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회로부의 스위치로는 메탈돔(23)이 흔히 사용된다. 메탈돔(23)은 자판의 입력키에 대응되는 배열을 가지도록 다수가 돔 시트(21)에 부착된 상태로 인쇄회로기판(10) 및 키패드(40) 자판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메탈돔(23)과 같은 돔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 키패드의 해당 위치를 클릭할 때 돔 스위치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여 스위칭이 정확하도록 돔 스위치 상부의 키패드(40) 등 구조물 해당 위치에 돌출된 엑츄에이터(41)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엑츄에이터(41)는 평면상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엑츄에이터는 사용자가 휴대전화의 키패드(40)의 해당 문자판을 누를 때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돔 스위치의 정점 부분에 집중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돔 스위치 중앙부가 인쇄회로기판(10)의 자판에 해당하는 두 스위칭 단자(11,13) 가운데 중앙 단자(13)에 쉽게 닿도록 한다. 돔 스위치의 주변부는 이미 두 스위치 단자 가운데 주변 단자(11)에 접속된 상태이므로 돔 스위치가 닫기고, 스위치 온 상태가 된다.
엑츄에이터(41)는 돔 스위치를 사용하는 휴대전화의 키패드 조립체에서 돔 스위치 위쪽의 어떤 시트형 혹은 플레이트형 구조물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주로 키패드를 이루는 플레이트의 저면(내측면)에 형성되어 사용되고 있다.
엑츄에이터는 시트나 플레이트의 표면 돔 스위치 해당 부위에 형성되며, 인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인쇄 대신에 실리콘 수지 등으로 프레스나 성형틀을 이용하여 엑츄에이터용 돌출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쇄의 잉크로는 열경화성 혹은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하고, 따라서 인쇄되어 수지가 남겨진 부분에 열이나 광을 쬐어 경화된 돌출부 엑츄에이터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런 경화성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종래에는 플레이트나 시트 일 부분에만 수지가 남겨지도록 인쇄용 보조물로 스크린을 이용하여야 하고, 인쇄와 경화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스크린은 쉽게 손상되어 제작의 효율이 떨어지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보조물 위에 수지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남아 깨끗하지 못한 상태로 엑츄에이터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전화 단말기에서 자판의 스위치들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누르도록 하는 엑츄에이터를 능률적으로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에서 스위치 위쪽의 여러가지 형태의 플레이트에 엑츄에이터를 형성하면서 내구적으로 엑츄에이터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방법은, 엑츄에이터가 형성될 위치에 공급홀을 가지는 액츄에이터 성형틀의 플레이트 장착면에 플레이트의 전면이 성형틀을 향하도록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공급홀을 통해 유동 재료를 공급하여 플레이트 전면에 닿도록 하는 단계, 플레이트 후면측에서 열이나 빛을 가하여 유동 재료를 고형화하여 플레이트 전면에 부착되어 엑츄에이터를 이루도록 하는 엑츄에이터 성형 단계, 엑츄에이터가 형성된 플레이트를 성형틀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플레이트는 유동 재료를 고형화시키는 빛에 대해 투과성이 있는 것이며, 엑츄에이터 성형 단계는 공급홀이 유동 재료를 준비하여 공급홀로 보내는 저장 공간과 차단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를 위한 엑츄에이터를 형성하는 장치는,
플레이트가 놓이는 장착면을 가지며, 내부에는 엑츄에이터 형성용 유동 재료를 대기시키는 저장 공간이 있고, 장착면에 놓인 플레이트의 엑츄에이터 위치에 장착면과 저장 공간을 연결하는 공급홀이 있는 성형틀; 저장 공간에서 유동 재료를 움직여 공급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운동하는 공급핀을 포함하는 유동 재료 공급부 및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성형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장착면에 놓인 플레이트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고형화 에너지 공급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장치에서 유동 재료 공급부는 공급핀과, 공급핀이 공급홀에 유동재료를 공급하도록 운동시키는 구동장치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공급핀은 공급홀을 저장 공간으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도록, 공급홀에 대응하는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장치에서 공급핀과 구동장치부가 결합되는 부분은 유동 재료 저장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며, 유동 재료 저장 공간을 기준으로 공급홀 반대편의, 공급홀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공급핀이 끼워진 상태로 움직일 때에도 유동 재료가 새어나오지 않게 밀폐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동작홀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성형틀에는 저장 공간 및 공급핀은 복수개 설치되고, 공급핀은 모두 동일한 패턴으로 공급핀을 움직이도록 이루어지는 공통의 구동장치부에 결합되면 플레이트 내의 액츄에이터를 한꺼번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능률적이 된다.
플레이트를 장착면에 놓거나, 엑츄에이터가 형성된 상태에서 플레이트를 장 착면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이송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장치를 모터나 유압 등에 의해 움직이도록 자동화하면 엑츄에이터 형성을 보다 능률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공급홀은, 공급핀이 인입되며 폭이 공급핀의 폭보다 더 큰 인입부와 장착면에 연결되며 폭이 인입부의 폭보다 작은 유동 재료 장착부의 두 부분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장치에서, 장치의 외부로부터 장치 내의 저장 공간으로 유동 재료를 공급하는 통로와 같은 재료 공급 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런 구조는 성형틀 하면에서 저장 공간으로 연결되는 홈통의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장치에서 저장 공간의 유동 재료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가 성형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전화 단말기에서 자판의 스위치들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누르도록, 여러 형태의 플레이트에 엑츄에이터를 능률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에서 스위치 위쪽의 여러가지 형태의 플레이트에 엑츄에이터를 형성하면서 내구적이며, 안정적으로 엑츄에이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엑츄에이터 형성 장치는, 엑츄에이터 형성에 사용되는 유동성 재료가 준비되는 성형틀(100)과, 성형틀(100)의 유동 재료를 엑츄에이터가 형성될 플레이트 표면에 공급하는 유동 재료 공급부(200)와, 플레이트 표면에 공급된 유동 재료를 고형화시켜 엑츄에이터로 형성하는 고형화 에너지 공급부(3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성형틀(100)의 상면은 플레이트가 놓이는 장착면(180)을 형성하며, 성형틀(100)에는 유동 재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140)이 형성된다. 저장 공간(140)과 장착면(180)은 공급홀(160)을 통해 연결된다. 성형틀(100)의 저장공간(140)은 성형틀 본체(110) 저면에 홈을 형성하고, 홈을 하부에서 저면 덮개(120)로 커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저면 덮개는 본체 저면에 나사(170) 등의 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저장 공간(140)은 별도로 크게 형성되지 않고 유동 재료가 움직이는 공급 통로의 일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공급홀(160)은 저장 공간(140)과 연결되는 비교적 폭이 넓은 구간과 장착면에 연결되는 비교적 폭이 좁은 구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동재료 공급부(200)는 저장 공간(140)의 유동 재료를 공급홀(160)로 움직여 채워넣는 밀대의 역할을 하는 공급핀(210)과 공급핀을 움직이는 구동장치부로 이루어지고, 구동장치부는 다시 복수의 공급핀(210)들의 저부에 함께 연결된 받침대(221)와 받침대(221)의 하부에 연결된 피스톤(223) 및 피스톤에 유압이나 공압을 주어 상하 운동을 하게 하는 실린더(225)로 이루어진다. 물론 구동장치부는 이 실시예의 형태 외에도 모터 등의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성형틀(100) 위쪽에는 고형화 에너지 공급부(300)로서 평면 광원이 설치되어 있다.
유동재료 공급부(200)는 저장 공간(140) 내에도 설치될 수 있으나, 통상 저장 공간은 충분한 크기를 가지기 어려워서 저장 공간(140) 외의, 성형틀(100) 외부 공간에 대부분이 형성된다. 따라서 유동재료를 저장 공간 내에서 공급홀(160)로 공급하기 위해 외부에서 유동재료에 힘을 가해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저장공간(140)의 외벽을 형성하는 성형틀 부분을 통과하여 유동재료에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는 이 통과 부위가 저면 덮개(120)에 형성된 동작홀(190)이 되며, 그 수단이 공급핀(210)이 된다. 이때, 공급핀(210)은 공급홀(160)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저장 공간(140)으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도록, 공급홀(160)의 그 일부 구간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혹은 대응하는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는 공급핀(210)이 완전히 저장공간(140) 외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통상은 공급핀(210)의 일부는 동작홀(190)을 통해 저장공간 내에 위치하면서 엑츄에이터 형성 작업을 하게 되며, 동작홀(190)은 위쪽에서 볼 때 공급홀(160) 및 공급핀(210)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도1의 150은 외부에서 저장 공간으로 유동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구(150)를 나타낸다.
이하 도3 내지 도7을 통해 이 장치의 세부 사항과 이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엑츄에이터 형성 과정을 살펴본다.
도3는 도2의 실시예 장치에서 저장틀의 장착면에 플레이트(혹은 시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엑츄에이터가 형성될 위치에 공급홀을 가지는 액츄에이터 성형틀의 플레이트 장착면에 플레이트의 전면이 성형틀을 향하도록 플레이트가 배치된다.
플레이트의 적소에 엑츄에이터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플레이트는 저장틀의 장착면과 잘 정렬되어야 하며, 미도시된 플레이트 이송 장치를 통해 자동적인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공급핀은 동작홀에 끼워진 상태이며, 작업상의 저점에 위치하고 있다.
도4는 도3의 상태에서 구동장치부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와 같이 공급핀(210)이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공급핀(210)이 공급홀 내부에 이르기까지 상승하면서 저장 공간(140)내에 채워진 유동 재료를 공급홀 가운데 상부 구간에 채워넣는 작용을 한다.
공급홀은 저장공간과 직접 연결되는 하부 구간과 플레이트 장착면과 직접 연결되는 상부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공간은 공급핀이 인입되며 따라서 폭이 공급핀의 폭보다 더 큰 인입부(163)를 이룬다. 상부 공간은 폭이 인입부의 폭보다 작으며 따라서 공급핀이 삽입되지 못하고, 유동 재료로 채워지는 유동 재료 장착부를 이룬다. 공급핀이 상승한 상태에서 유동 재료 장착부의 입구는 공급핀 상단이 막고 있으므로 나머지 부분의 공급홀 및 저장 공간과는 공간적으로 분리된다.
동작홀은 공급핀이 움직일 때 저장 공간(140) 내의 유동 재료가 동작홀을 통 해 흘러나오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가령, 도시되지 않지만, 저면 덮개(120)의 상면 혹은 하면에서 동작홀 주변에는 고무 등 탄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된 밀폐용 가스켓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급핀(210)이 상하로 운동하면서 정확히 작용하기 위해 동작홀(190)은 위쪽에서 볼 때 공급홀 및 공급핀과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형성,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홀(160)의 상부 구간인 유동 재료 장착부(161)를 채울 수 있으며, 여분의 유동 재료는 동작홀의 하부 구간의 공급핀과 홀 벽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아래로 빠져나올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도4의 상태에서 성형틀 위쪽의 플레이트 위쪽의 고형화 에너지 공급부(300)에서 광이 방출된다. 도5의 플레이트의 위쪽면이 플레이트의 배면 혹은 후면이라 할 때, 플레이트 후면에서 비추어진 광에 의해 유동 재료는 경화되어 엑츄에이터를 이루게 된다. 즉, 여기서, 플레이트는 광이 통과하는 투명 혹은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유동 재료는 광경화성 물질을 구비하여 광에 의해 경화되어 엑츄에이터를 이루게 된다.
유동 재료 장착부는 공급핀의 상단면에 의해 저장 공간과 차단되어 있으므로 고형화 에너지 공급부에서 방출된 빛이 저장 공간 내의 유동 재료를 경화시키는 문제는 없게 된다.
도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 장치에서 성형틀(100)의 장착면(180)으로부터 엑츄에이터(420)가 형성된 플레이트(410)를 분리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410) 표면은 유동 재료로부터 형성된 엑츄에이터 물질과 화학적 친화력이 있어서 엑츄에이터와 잘 부착되고, 성형틀의 공급홀 벽체와 공급핀 표면은 엑츄에이터 물질과 잘 분리되는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그런 잘 분리되는 물질로 코팅처리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엑츄에이터(420)는 강조를 위해 다소 크게 도시되었으나, 그 크기는 성형틀(100)의 공급홀 가운데 상부 구간인 유동 재료 장착부(161)에 상당하는 크기임을 감안해야 한다.
이러한 분리 작업은 도시되지 않은 플레이트 이송장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도6의 상태에서 성형틀(100)의 장착면(180)에 이송장치를 통해 새로운 플레이트(410')를 정렬 배치하고, 구동장치부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와 같이 공급핀(210)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저장 공간(140) 내의 유동 재료는 공급핀(210)이나 구동장치부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공급될 수도 있지만, 공급핀(210)이 하방으로 움직일 때 공급핀(210)이 빠져나가는 공간에 의한 진공이 형성되고, 새로운 플레이트(410')가 공급홀(160)을 막아 공기의 공급홀을 통한 유입을 방지하면서, 진공이 외부 라인으로부터 유동 재료를 저장 공간(140) 내로 흡입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동작홀(190)은 가스켓 등의 구조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막게 된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서, 유동 재료의 점도가 크면 동작홀을 통한 유동 재료 의 누출이나, 외부 공기의 흡입은 크게 문제되지 않으며, 공급핀이 충분히 작고 유동 재료의 점도가 충분히 크다면 동작홀에서 공급핀이 빠져나오는 경우에도 유동 재료의 동작홀을 통한 유출은 문제되지 않는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가 성형틀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 실시예의 상하 구조가 뒤바뀌어 성형틀 하부로 공급홀이 형성되고, 유동 재료 공급부가 위쪽에, 광원이 아래쪽에 설치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단, 이런 경우, 플레이트는 성형틀 하면에 고정되기 위해 별도의 지지 장치를 필요로 할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광경화성 물질을 유동 재료로 하여 엑츄에이터를 형성하고 있으나 열경화성 물질을 사용하고, 고형화 에너지 공급부로 광원 대신에 히터를 설치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 도면에는 성형틀의 저장 공간 및 공급핀이 두 개로 표현되나, 필요한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고, 각각의 공급핀은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으나, 공급핀은 모두 동일한 패턴으로 공급핀을 움직이도록 이루어지는 공통의 구동장치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유동 재료의 저장 공간은 공급핀과 달리 공통되는 하나의 저장공간으로 이루어지고, 각 엑츄에이터 형성 위치마다 공급핀만 개별적으로 나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장치에서, 장치의 외부로부터 장치 내의 저장 공간으로 유동 재료를 공급하는 통로와 같은 재료 공급 구조는 성형틀 본체(110)의 중간 부분에 홀(hole)로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통상, 성형틀 본체(110) 하면에서 저장 공간(140)보다 얕은 홈을 배관 라인 형태로 형성하고, 그 일단은 여러 가지로 분배되어 성형틀 내의 각각의 저장 공간과, 나머지 일단은 공통의 외부 유동 재료 저장소에 연결하며, 저면 덮개(120)로 덮는 구조를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 장치에서 저장 공간의 유동 재료는 적절한 속도로 광경화 혹은 열경화를 이루고 안정된 저장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적당한 온도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저장틀에는 유동 재료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에에서 사용되는 광경화성 물질은 이미 엑츄에이터 형성과 관련하여 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것이며, 그 성분이 본원 발명과 특별히 연관되는 것은 아니므로 별도로 이들 물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종래의 휴대전화의 일 예에서 회로기판과 키패드를 구비하는 본체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를 형성하는 주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들이다.

Claims (10)

  1. 엑츄에이터가 형성될 위치에 공급홀을 가지는 액츄에이터 성형틀의 플레이트 장착면에 플레이트의 전면이 상기 성형틀을 향하도록 상기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공급홀을 통해 유동 재료를 공급하여 상기 플레이트 전면에 닿도록 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 후면측에서 열이나 빛을 가하여 상기 유동 재료를 고형화하여 상기 플레이트 전면에 부착되어 엑츄에이터를 이루도록 하는 엑츄에이터 성형 단계,
    상기 엑츄에이터가 형성된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성형틀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유동 재료를 고형화시키는 빛에 대해 투과성이 있는 것이며,
    상기 엑츄에이터 성형 단계는 상기 공급홀이 상기 유동 재료를 저장하여 상기 공급홀로 보내는 저장 공간과 차단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방법.
  3. 플레이트가 놓이는 장착면을 가지며, 내부에는 엑츄에이터 형성용 유동 재료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이 있고, 상기 장착면에 놓인 상기 플레이트의 엑츄에이터 위치에 상기 장착면과 상기 저장 공간을 연결하는 공급홀이 있는 성형틀;
    상기 저장 공간에서 상기 유동 재료를 움직여 상기 공급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운동하는 공급핀을 포함하는 유동 재료 공급부; 및
    상기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성형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장착면에 놓인 상기 플레이트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고형화 에너지 공급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재료 공급부는 상기 공급핀과 상기 공급핀이 상기 공급홀에 유동재료를 공급하도록 운동시키는 구동장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핀은 상기 공급홀을 상기 저장 공간으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홀에 대응하는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핀과 상기 구동장치부가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저장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장 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홀 반대편의 상기 공급홀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공급핀이 끼워진 상태로 움직일 때에도 상기 유동재료가 새어나오지 않게 밀폐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동작홀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에는 상기 저장 공간 및 상기 공급핀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공급핀은 모두 동일한 패턴으로 상기 공급핀을 움직이도록 이루어지는 공통의 구동장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장치.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장착면에 놓거나, 상기 엑츄에이터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이송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장치.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홀은, 상기 공급핀이 인입되며 폭이 상기 공급핀의 폭보다 더 큰 인입부와 상기 장착면에 연결되며 폭이 상기 인입부의 폭보다 작은 유동 재료 장착부의 두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저장 공간으로 상기 유동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 공급 구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의 상기 유동 재료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가 상기 성형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장치.
KR1020080023853A 2008-03-14 2008-03-14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방법 및장치 KR100937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853A KR100937019B1 (ko) 2008-03-14 2008-03-14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방법 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853A KR100937019B1 (ko) 2008-03-14 2008-03-14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450A KR20090098450A (ko) 2009-09-17
KR100937019B1 true KR100937019B1 (ko) 2010-01-15

Family

ID=4135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853A KR100937019B1 (ko) 2008-03-14 2008-03-14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0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0523A (ja) 1998-12-31 2000-07-18 Yuiitsu Denshi Kogyo Kk 携帯電話用キ―パッド及びその製作方法
KR20050095451A (ko) * 2004-03-26 2005-09-2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버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4614A (ko) * 2005-01-20 2006-07-25 주식회사 모센 휴대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0523A (ja) 1998-12-31 2000-07-18 Yuiitsu Denshi Kogyo Kk 携帯電話用キ―パッド及びその製作方法
KR20050095451A (ko) * 2004-03-26 2005-09-2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버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4614A (ko) * 2005-01-20 2006-07-25 주식회사 모센 휴대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450A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1716A1 (en) Metal dome sheet with push projection, push-button switch, and method of producing the push bush switch
US20100163389A1 (en) Thin-type keycap structure, keypad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1387374A1 (en) Key pad, resin key top injection mold, and resin key top manufacturing method
CN101414518A (zh) 电脑键盘及成型工艺
CN101188170A (zh) 键板
KR20080094027A (ko) 키 베이스, 키 시트 및 키 베이스 형성 방법
CN101248501B (zh) 薄型键片材及其制造方法
CN101673635B (zh) 一种超薄移动终端按键及其加工方法
KR100937019B1 (ko) 휴대전화용 자판형 입력 장치의 엑츄에이터 형성 방법 및장치
CN112519222B (zh) 一种基于吸附腔的离型装置和方法
CN103065843A (zh) 磁吸式按键及其键盘
JP5218573B2 (ja) 樹脂成形装置
KR100838740B1 (ko) 키 패드의 코팅 성형장치
KR20200021572A (ko) Led 모듈 제조방법
KR100944722B1 (ko) 키패드 어셈블리
JP2014116512A (ja) 作動液とこの作動液を用いた電子部品の樹脂成形方法及び装置
CN101409165A (zh) 键盘组件及具有该键盘组件的便携式电子装置
CN110497128A (zh) 一种按键弹片焊接夹具
CN215969636U (zh) 汽车轮胎用两瓣模周期牌安装结构
JP4373059B2 (ja) 電子部品の樹脂封止成形方法
JPH11250754A (ja) ボタン集合体
CN104867772A (zh) 一种新型薄型化键盘
JPH11297149A (ja) キートップ部材、キートップシートおよびキートップ部材の製造方法
CN208164224U (zh) 一种镶针组件以及注塑模具
CN211124815U (zh) 一种led模组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