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504B1 -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504B1
KR100936504B1 KR1020090062575A KR20090062575A KR100936504B1 KR 100936504 B1 KR100936504 B1 KR 100936504B1 KR 1020090062575 A KR1020090062575 A KR 1020090062575A KR 20090062575 A KR20090062575 A KR 20090062575A KR 100936504 B1 KR100936504 B1 KR 100936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etector
signal
probe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여일
홍욱선
Original Assignee
새한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한항업(주) filed Critical 새한항업(주)
Priority to KR1020090062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89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면 위를 이동하는 탐사선박바디(111)와, 탐사선박바디(11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체(112)와, 지지체(112)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체(113)와, 지지체(112) 또는 수평체(113)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체(114)를 갖춘 탐사선박(110)과; 탐사선박바디(111)에 설치되어, 지지체(112)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20)와; 탐사선박바디(1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31)과, 탐사선박바디(111)에 설치되어 드럼(13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2)와, 드럼(131)에 감기는 커버(133a)와, 커버(133a)에 상호 대향되게 내설되며 양단부가 커버(133a) 외부로 노출되되 일단부가 드럼(131)에 고정되는 한쌍의 제1·2와이어(133b,133b')를 갖춘 인양와이어(133)로 구성된 인양장치(130)와; 외부로 개구되며 제1·2와이어(133b,133b')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141a)와, 와이어고정부(141a)와 연통된 기밀부재삽입부(141b)를 구비한 탐지기바디(141)와, 인양와이어(133)의 타단이 삽입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기밀부재삽입부(141b)에 삽입되는 기밀부재(P)와, 탐지기바디(141)의 저면에 설치되는 초음파센서(142)과, 탐지기바디(141)의 저면에 설치되는 수중카메라(145)와, 탐지기바디(141)에 설치되는 위치추적장치(143)와, 탐지기바디(141)에 설치되어 초음파센서(142)의 초음파신호와 수중카메라(145)의 영상신호와 위치추적장치(143)의 위치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144)를 갖춘 수중탐지기(140)와; 인양와이어(133)의 커버(133a)에 내설되며, 제1·2와이어(133b,133b') 보다 작은 직경을 이뤄 각각의 제1·2와이어(133b,133b') 사이에 배치되어, 수중탐지기(140)의 송신부(1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선(150)과; 인양와이어(133)의 커버(133a)에 내설되며, 제1·2와이어(133b,133b')의 보다 작은 직경을 이뤄 각각의 제1·2와이어(133b,133b') 사이에 배치되는 전력선(160)을 포함하는 해저촬영장치(100)와, 해저촬영장치(100)의 탐사선박(110)에 설치되는 보정장치바디(210)와; 보정장치바디에(210)에 설치되어, 해저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220)와; 보정장치바디(210)에 설치되며, 통신선(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중탐지기(120)의 송신부(123)로부터의 초음파신호, 영상신호 및,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30)와; 보정장치바디(210)에 설치되어, 저장부(220)를 작동제어하며, 수신부(230)로부터 초음파신호 수신하여 해저영상을 생성하고, 수신부(23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해저영상을 나타내며, 수신부(230)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수집된 해저영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한편, 입력부(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저영상을 삭제 또는 보정하는 제어부(240)와; 보정장치바디(210)에 설치되며,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어부(24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250)와; 보정장치바디(210)에 설치되며,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해저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260)를 갖춘 해저영상보정장치(200)로 이루어져, 안정적으로 해저지형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Sea Floor Imform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저지형정보를 얻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10-0607548; 수중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한 해저면 탐사 시스템)가 발명되었다.
하지만 상기 해저면 탐사 시스템은 무선통신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음파의 간섭을 받기 쉬어, 통신 데이터의 정확한 송수신이 어려웠다.
또한, 상기 해저면 탐사 시스템은, 탐사선박과 수중탐지기를 연결하는 와이어에 그물 등이 걸림으로써, 탐사선박과 수중탐지기가 이동하기 어려웠으며, 그물에 의해 작용하는 외력으로 인해 상기 와이어가 절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 통신율일 높으며, 해저의 장애물로 인해 통신선이 끊어지지 않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면 위를 이동하는 탐사선박바디(111)와, 탐사선박바디(11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체(112)와, 지지체(112)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체(113)와, 지지체(112) 또는 수평체(113)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체(114)를 갖춘 탐사선박(110)과; 탐사선박바디(111)에 설치되어, 지지체(112)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20)와; 탐사선박바디(1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31)과, 탐사선박바디(111)에 설치되어 드럼(13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2)와, 드럼(131)에 감기는 커버(133a)와, 커버(133a)에 상호 대향되게 내설되며 양단부가 커버(133a) 외부로 노출되되 일단부가 드럼(131)에 고정되는 한쌍의 제1·2와이어(133b,133b')를 갖춘 인양와이어(133)로 구성된 인양장치(130)와; 외부로 개구되며 제1·2와이어(133b,133b')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141a)와, 와이어고정부(141a)와 연통된 기밀부재삽입부(141b)를 구비한 탐지기바디(141)와, 인양와이어(133)의 타단이 삽입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기밀부재삽입부(141b)에 삽입되는 기밀부재(P)와, 탐지기바디(141)의 저면에 설치되는 초음파센서(142)과, 탐지기바디(141)의 저면에 설치되 는 수중카메라(145)와, 탐지기바디(141)에 설치되는 위치추적장치(143)와, 탐지기바디(141)에 설치되어 초음파센서(142)의 초음파신호와 수중카메라(145)의 영상신호와 위치추적장치(143)의 위치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144)를 갖춘 수중탐지기(140)와; 인양와이어(133)의 커버(133a)에 내설되며, 제1·2와이어(133b,133b') 보다 작은 직경을 이뤄 각각의 제1·2와이어(133b,133b') 사이에 배치되어, 수중탐지기(140)의 송신부(1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선(150)과; 인양와이어(133)의 커버(133a)에 내설되며, 제1·2와이어(133b,133b')의 보다 작은 직경을 이뤄 각각의 제1·2와이어(133b,133b') 사이에 배치되는 전력선(160)을 포함하는 해저촬영장치(100)와, 해저촬영장치(100)의 탐사선박(110)에 설치되는 보정장치바디(210)와; 보정장치바디에(210)에 설치되어, 해저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220)와; 보정장치바디(210)에 설치되며, 통신선(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중탐지기(120)의 송신부(123)로부터의 초음파신호, 영상신호 및,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30)와; 보정장치바디(210)에 설치되어, 저장부(220)를 작동제어하며, 수신부(230)로부터 초음파신호 수신하여 해저영상을 생성하고, 수신부(23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해저영상을 나타내며, 수신부(230)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수집된 해저영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한편, 입력부(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저영상을 삭제 또는 보정하는 제어부(240)와; 보정장치바디(210)에 설치되며,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어부(24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250)와; 보정장치바디(210)에 설치되며,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해저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260)를 갖춘 해저영상보정장치(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라인이 유선으로 되어 있어 통신효율이 높고, 통신선과 전력선이 인양와이어에 의해 보호받아 단선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으로 해양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중카메라를 통해 정확한 해양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인양와이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인양장치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탐지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은 해저촬영장치(100)와, 해저촬영장치(100)로부터 초음파신호를 수신하여 해저영상을 보정하는 해저영상보정장치(200)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해저촬영장치(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해저촬영장치(100)는, 수면 위를 이동하는 탐사선박(110)과, 탐사선박(110)에 설치되는 구동장치(120)와, 탐사선박(110)에 설치되는 인양장치(130)와, 탐사선박(110)에 연결되어 수중을 이동하는 수중탐지기(140)와, 통신데이터가 이동되는 통신선(150)과,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선(160)을 포함한다.
상기 탐사선박(110)은, 수면 위를 이동하는 탐사선박바디(111)와, 탐사선박바디(111)의 후미에 설치되는 하부체(116)와, 하부체(116)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회체(117)와, 선회체(117)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는 지지체(112)와, 지지체(112)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체(113)와, 지지체(112)의 측면 또는 수평체(113)의 하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체(114)와, 하부체(116)의 상부에 설치되는 인양장치케이스(115)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120)는, 유압 또는 전기를 이용하는 통상의 모터가 사용되며, 하부체(116)에 내설되어, 선회체(117)를 회전시킨다. 한편, 구동장치(120)는 통상의 크레인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구동장치(120)와 선회체(117)의 연결관계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인양장치(130)는, 인양장치케이스(1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31)과, 인양장치케이스(115)에 내설되어 드럼(13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2)와, 일단이 드럼(131) 내부로 인입되며 드럼(131)에 감기는 완충재질의 커버(133a)와, 커버(133a)에 내설되되 상호 대향되게 내설되며 양단부가 커버(133a) 외부로 인출되되 일단부가 드럼(131)에 고정되는 한쌍의 제1·2와이어(133b,133b')를 갖춘 인양와이어(13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드럼(131)의 상부에는 관통홀(131a)이 형성되고, 관통홀(131a)로 인입되는 제1·2와이어(133b,133b')의 일단이 드럼(131) 내부에 고정된다. 한편, 드럼(131) 내부로 인입된 통신선(150)은 해저영상보정장치(200)의 수신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력선(160)은 탐사선박(110)에 구비된 전원공급부(미도시) 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통신선(150)과 전력선(160)이 드럼(131)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수신부(230)과 전원공급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인양와이어(133)는, 타단이 인양장치케이스(115) 외부로 인출되며, 가이드체(114)에 의해 안내되어, 수중탐지기(140)에 연결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수중탐지기(14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중탐지기(140)는, 수중을 이동하는 유선형의 탐지기바디(141)와, 탐지기바디(141)에 설치되는 기밀부재(P)와, 탐지기바디(141)의 저면에 설치되며 해저면으로 초음파를 송출하여 반사파를 수신하는 초음파센서(142)와, 탐지기바디(141)의 저면에 설치되어 해저지형을 촬영하는 수중카메라(145)와, 탐지기바디(141)에 설치되는 위치추적장치(143)와, 탐지기바디(141)에 설치되어 초음파센서(142)의 초음파신호와 수중카메라(145)의 영상신호와 위치추적장치(143)의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144)를 갖춘다. 이때, 위치추적장치(143)는 통상의 GPS기술이 이용된다.
상기 탐지기바디(141)는, 상부에 상하로 관통된 덮개삽입부(141b)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덮개삽입부(141b)와 연통되어 텀지기바디(141)에 내설되는 와이어고정부(141a)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고정부(141a)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형상을 가지고서 상단이 탐지기바디(141) 내부 상면에 고정되며, 내부 하부에는 고정체(F)가 구비된다. 이때, 고정체(F)에는 인양와이어(133)의 제1와이어(133b) 및 제2와이어(133b') 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2와이어(133b,133b')의 단부에는 중공부를 갖는 연결부재(R)가 구비되어, 별도의 체결부재(B)를 매개로 탐지기바디(141)의 와이어고정부(141a)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B)는 나사 또는 볼트로서, 연결부재(R)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고정부(F)에 나사산 결합된다. 따라서, 탐사선박(110) 및 수중탐지기(140)이 이동할 시, 상호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와이어(133b,133b')의 장력이 각각의 와이어고정부(141a)에 전달되어, 커버(133a) 내부에 있는 통신선(150) 및 전력선(160)에 장력이 작용하지 않아, 통신선(150) 및 전력선(160)이 안정적으로 각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P)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기밀부재삽입부(141b)에 삽입되어, 와이어고정부(141a)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수중카메라(145)는, 초음파센서(142)에 의해 측정되지 않는 지형을 좀더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탐지기바디(141)의 저면에 설치되어 해저지형을 정밀 촬영한다.
상기 송신부(144)는, 탐지기바디(141)에 내설되며, 초음파센서(142), 수중카메라(145) 및, 위치추적장치(1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초음파센서(142)의 초음파신호와 수중카메라(145)의 영상신호와 위치추적장치(143)의 위치신호를 출력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통신선(150)과 전력선(160)을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상기 통신선(150)은, 커버(133a)에 의해 감싸지며, 양단부가 커버(133a)를 관통하여 수중탐지기(140)의 송신부(144) 및 해저영상보정장치(200)의 수신부(230)에 연결된다.
상기 전력선(160)은, 인양와이어(133)의 커버(133a)에 의해 감싸지며, 양단부가 커버(133a)를 관통하여, 수중탐지기(14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탐사선박(110)의 전원공급부와 수중탐지기(140)의 구성요소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선(150)과 전력선(160)은 제1·2와이어(133b,133b')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외면이 제1·2와이어(133b,133b')의 외면 보다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1·2와이어(133b,133b') 사이에 상하배치된다.
즉, 상기 통신선(150) 및 전력선(160)은, 제1와이어(133b) 및 제2와이어(133b')의 중심을 연결한 선(B)을 기준으로 상하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통신선(150) 및 전력선(160)의 외경이 제1와이어(133b) 및 제2와이어(133b')의 상단 또는 하단을 각각 이은 선(C,C')를 벗어나지 않게 C,C'선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인양와이어(133)에 외력이 작용할 시, 제1·2와이어(133b,133b')에 의해 일차적으로 외력이 감쇄되면서 통신선(150) 및 전력선(160)에 직접적으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상기 해저영상보정장치(200)는, 해저촬영장치(100)의 탐사선박(110)에 설치되는 보정장치바디(210)와, 보정장치바디(210)에 설치되며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해저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220)와, 보정장치바디(210)에 설치되 며 통신선(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저촬영장치(100)로부터의 초음파신호,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30)와, 보정장치바디(210)에 설치되는 제어부(240)와, 보정장치바디(210)에 설치되며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어부(24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250)와, 보정장치바디(210)에 설치되는 출력부(260)을 갖춘다.
상기 제어부(240)는, 수신부(230)로부터 초음파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판독하여 출력부(260)를 매개로 측정된 해저지형을 해저영상으로 나타낸다. 또한, 제어부(250)는 수신부(23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판독하여 출력부(260)를 매개로 촬영된 해저지형을 나타내는 해저영상을 나타내며, 수신부(130)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측정 또는 촬영된 해저지형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때, 제어부(240)는, 입력부(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측정된 해저영상을 삭제 또는 저장한다.
상기 출력부(260)는 통상의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측정된 해저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저장부(220)의 해저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해저촬영장치(100) 및 해저영상보정장치(200)를 해수로 변경을 확인하고자 하는 장소에 배치시킨 후, 도 1과 같이 탐사선박(11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수중탐지기(140)는 탐사선박(110) 보다 후방에 배치되면서 탐사선박(110)에 의해 이끌려 수중을 이동한다.
이때, 상기 초음파센서(142)는 해저면으로 초음파를 송출하고, 되돌아 오는 반사파를 수신하여 측정된 해저지형에 대한 초음파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송신부(144)가 송출한다. 또한, 수중카메라(145)는 해저지형을 촬영하여 송신부(144)를 매개로 영상신호를 송출한다. 더불어, 위치추적장치(143)는 측정 및 촬영되고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송신부(144)가 송출한다.
한편, 상기 송신부(144)로부터 초음파신호와 영상신호와 위치신호가 출력되면, 해저영상정보장치(200)의 수신부(230)가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240)로 송출한다. 이때, 제어부(240)는 초음파센서(142)로부터의 초음파신호를 판독하여 해저영상을 생성한 후 이를 출력부(260)에 나타내고, 수중카메라(145)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해저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부(260)에 나타내며, 위치추적장치(143)로부터의 위치신호에 따라 출력부(260)에 나타난 해저영상의 측정 또는 촬영된 위치를 나타낸다.
이때, 관리자는 측정된 해저영상이 기존의 해저영상과 동일할 경우에는 입력부(250)를 매개로 제어부(240)를 제어하여, 측정 또는 촬영된 해저영상을 삭제하고, 측정 또는 촬영된 해저영상이 기존의 해저영상과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입력부(250)를 매개로 제어부(240)를 제어하여, 저장부(220)의 기존 해저영상을 삭제한 후 새로 생성된 해저영상을 저장한다.
한편, 상기 수중탐지기(14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탐사선박(110)에 설치되 전원공급부는 전력선(160)을 매개로 수중탐지기(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중탐지기 송신부(144)와 해저영상정보장치(200)의 수신부(230)는 통신효율을 높이기 위해 통신선(150)을 매개로 유선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통신선(150) 및 전력선(160)에 그물(N) 등이 걸려 외력이 작용하면, 통신선(150) 및 전력선(160)이 단선되면서, 그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인양와이어(133)에 외력이 작용할 시, 일차적으로 커버(133a)가 외력을 완충한다. 특히, 통신선(150) 및 전력선(160)이 제1·2와이어(133b,133b') 사이에 배치되면서, 통신선(150) 및 전력선(160)에 외력이 작용하기 전에 제1·2와이어(133b,133b')가 완충역할을 함으로, 통신선(150) 및 전력선(160)에 직접적인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커버(133a)가 외부로부터 통신선(150) 및 전력선(160)을 보호하여 통신선(150) 및 전력선(160)이 쉽게 부식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은, 통신선(150) 및 전력선(160)에 외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아, 단선될 우려가 없으므로, 해양정보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으며, 정확한 해양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중카메라(145)를 통해 정확한 해저지형을 확인할 수 있어 해저지형관계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정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정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인양와이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인양장치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탐지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정보 관리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해저촬영장치 110; 탐사선박
120; 구동장치 130; 인양장치
140; 수중탐지기 145; 수중카메라
150; 통신선 160; 전력선 200; 해저영상보정장치 210; 보정장치바디 220; 저장부 230; 수신부 240; 제어부 250; 입력부 260; 출력부

Claims (1)

  1. 수면 위를 이동하는 탐사선박바디(111)와, 탐사선박바디(11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체(112)와, 지지체(112)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체(113)와, 지지체(112) 또는 수평체(113)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체(114)를 갖춘 탐사선박(110)과; 탐사선박바디(111)에 설치되어, 지지체(112)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20)와; 탐사선박바디(1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31)과, 탐사선박바디(111)에 설치되어 드럼(13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2)와, 드럼(131)에 감기는 커버(133a)와, 커버(133a)에 상호 대향되게 내설되며 양단부가 커버(133a) 외부로 노출되되 일단부가 드럼(131)에 고정되는 한쌍의 제1·2와이어(133b,133b')를 갖춘 인양와이어(133)로 구성된 인양장치(130)와; 외부로 개구되며 제1·2와이어(133b,133b')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141a)와, 와이어고정부(141a)와 연통된 기밀부재삽입부(141b)를 구비한 탐지기바디(141)와, 인양와이어(133)의 타단이 삽입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기밀부재삽입부(141b)에 삽입되는 기밀부재(P)와, 탐지기바디(141)의 저면에 설치되는 초음파센서(142)과, 탐지기바디(141)의 저면에 설치되는 수중카메라(145)와, 탐지기바디(141)에 설치되는 위치추적장치(143)와, 탐지기바디(141)에 설치되어 초음파센서(142)의 초음파신호와 수중카메라(145)의 영상신호와 위치추적장치(143)의 위치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144)를 갖춘 수중탐지기(140)와; 인양와이어(133)의 커버(133a)에 내설되며, 제1·2와이어(133b,133b') 보다 작은 직경을 이뤄 각각의 제1·2와이 어(133b,133b') 사이에 배치되어, 수중탐지기(140)의 송신부(1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선(150)과; 인양와이어(133)의 커버(133a)에 내설되며, 제1·2와이어(133b,133b')의 보다 작은 직경을 이뤄 각각의 제1·2와이어(133b,133b') 사이에 배치되는 전력선(160)을 포함하는 해저촬영장치(100)와,
    해저촬영장치(100)의 탐사선박(110)에 설치되는 보정장치바디(210)와; 보정장치바디에(210)에 설치되어, 해저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220)와; 보정장치바디(210)에 설치되며, 통신선(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중탐지기(120)의 송신부(123)로부터의 초음파신호, 영상신호 및,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30)와; 보정장치바디(210)에 설치되어, 저장부(220)를 작동제어하며, 수신부(230)로부터 초음파신호 수신하여 해저영상을 생성하고, 수신부(23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해저영상을 나타내며, 수신부(230)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수집된 해저영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한편, 입력부(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저영상을 삭제 또는 보정하는 제어부(240)와; 보정장치바디(210)에 설치되며,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어부(24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250)와; 보정장치바디(210)에 설치되며,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해저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260)를 갖춘 해저영상보정장치(2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KR1020090062575A 2009-07-09 2009-07-09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KR100936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575A KR100936504B1 (ko) 2009-07-09 2009-07-09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575A KR100936504B1 (ko) 2009-07-09 2009-07-09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504B1 true KR100936504B1 (ko) 2010-01-20

Family

ID=4180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575A KR100936504B1 (ko) 2009-07-09 2009-07-09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5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085B1 (ko) 2013-08-28 2014-01-27 한국해양개발(주)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KR101353606B1 (ko) 2013-09-25 2014-02-05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KR101360273B1 (ko) 2013-11-22 2014-02-21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형 좌표의 위치변화 확인과 수심정보 감지 시스템
KR20170097988A (ko) 2016-02-19 2017-08-29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해저지형 촬영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촬영방법
KR101859569B1 (ko) * 2017-11-17 2018-05-21 지오션(주) 해저지형과 지리정보에 대한 데이터 수집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2892A1 (en) 2002-02-11 2003-08-14 United Defense, L.P. Naval virtual target range system
US6975560B2 (en) * 2002-03-27 2005-12-13 Bp Corporation North America Inc. Geophysical method and apparatus
US20080223278A1 (en) 2007-03-12 2008-09-18 Universidad Catolica De La Santisima Concepcion Autonomous, multipurpose floating platform for environmental and oceanographic monito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2892A1 (en) 2002-02-11 2003-08-14 United Defense, L.P. Naval virtual target range system
US6975560B2 (en) * 2002-03-27 2005-12-13 Bp Corporation North America Inc. Geophysical method and apparatus
US20080223278A1 (en) 2007-03-12 2008-09-18 Universidad Catolica De La Santisima Concepcion Autonomous, multipurpose floating platform for environmental and oceanographic monitor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085B1 (ko) 2013-08-28 2014-01-27 한국해양개발(주)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KR101353606B1 (ko) 2013-09-25 2014-02-05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KR101360273B1 (ko) 2013-11-22 2014-02-21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형 좌표의 위치변화 확인과 수심정보 감지 시스템
KR20170097988A (ko) 2016-02-19 2017-08-29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해저지형 촬영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촬영방법
KR101859569B1 (ko) * 2017-11-17 2018-05-21 지오션(주) 해저지형과 지리정보에 대한 데이터 수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469B1 (ko) 해저지형 및 지리정보에 대한 데이터 수집시스템
US20150116496A1 (en) Camera, Sensor and/or Light-Equipped Anchor
KR100936504B1 (ko)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KR100913162B1 (ko) 심해저 견인식 영상촬영 플랫폼 장치 및 영상취득 장치
CA2654391C (en) Instrument for measuring electromagnetic signals
KR101859569B1 (ko) 해저지형과 지리정보에 대한 데이터 수집시스템
KR100936499B1 (ko) 해양지리정보에 대한 수집 데이터와 지피에스 좌표를 결합해서 수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해양지리 및 해수로의 지형위치를 추적 및 관리할 수 있는 해양정보 관리 시스템
CN106093949B (zh) 光电探测组件及集成式光电探测作业装置
JP5263829B2 (ja) 海底下地層貯留における漏洩二酸化炭素のモニタリング方法及びそ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1360273B1 (ko) 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형 좌표의 위치변화 확인과 수심정보 감지 시스템
CN104516020B (zh) 用于导航控制装置的机翼释放系统
CN104512527A (zh) 根据降级操作模式驱动导航控制装置的操作管理系统
KR100813205B1 (ko) 수중gps위치좌표의 표시가 가능한 영상합성장치
KR100943051B1 (ko) 해저 지형 및 굴곡변화에 따른 해저면 형상 확인 관측시스템
CN110261932A (zh) 一种极地auv声光探测系统
US8085618B2 (en) Sonar with deformable, flexible antenna and associated method of signal processing to form a synthetic antenna
KR100833900B1 (ko) 휴대용 수중초음파 영상표시장치
JP2000147642A (ja) 水中撮像装置
Momma Deep ocean technology at JAMSTEC
Pallayil et al. A digital thin line towed array for small autonomous underwater platforms
KR101355085B1 (ko)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JP6766122B2 (ja) 水底微動探査装置
KR101353606B1 (ko)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JP4173027B2 (ja) 曳航式映像観察記録システム
KR101720932B1 (ko) 데이터 로거를 구비하는 해저계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