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859B1 - 휴대형 전자플래너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형 전자플래너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859B1
KR100935859B1 KR1020070078621A KR20070078621A KR100935859B1 KR 100935859 B1 KR100935859 B1 KR 100935859B1 KR 1020070078621 A KR1020070078621 A KR 1020070078621A KR 20070078621 A KR20070078621 A KR 20070078621A KR 100935859 B1 KR100935859 B1 KR 100935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user
displayed
icon
g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566A (ko
Inventor
이정일
Original Assignee
이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일 filed Critical 이정일
Priority to KR1020070078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85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4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66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time management, e.g. calendars, di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3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 G06F11/0742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in a data processing system embedded in a mobile device, e.g. mobile phones, handheld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목표에 따른 사용자의 일정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형 전자플래너 및 이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플래너는 입력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개인 일정관리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개인 일정관리에 대응하는 목표 달성을 위해 시간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도록 일정 주기로 목표 대비 실적 데이터를 표시부에 피드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목표를 설정하도록 지원하고, 설정된 목표에 따라 상세 목표들 및 일정별로 해야 할 항목들이 작성되도록 지원하며, 일정 주기로 목표 대비 실적을 평가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며, 한정된 시간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피드백하여 균형잡힌 삶을 설계하고 살아가도록 개인의 일정을 관리하므로 사용자의 성공을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70078621
전자플래너, 시간 배분, 시간 분배, 목표 설정, 가치 설정, 시간관리

Description

휴대형 전자플래너 및 이의 제어방법{PORTABLE TYPE ELECTRONIC PLAN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플래너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목표에 따른 사용자의 일정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형 전자플래너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 사는 사람들은 전화, 우편, 인터넷 및 교통 체계 등의 발전에 따라 많은 사람들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다양한 사건들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하루에도 수없이 접하게 되는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수많은 정보 중에 자신과 관련된 정보만을 추출하여 적시적소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으로 상당히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건과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여 효율적인 시간관리 및 실생활 활용을 도모하고자 하는 시도 및 욕구는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따라, 일반적인 일정 관리 수단들은 전자 수첩이나, 개인 휴대 통신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또는 휴대폰에 탑재되어 있는 일정 관리기 들이 존재한다. 상기 전자 수첩 또는 PDA에서 일정은 사용자가 장치에 마련된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하나씩 일정을 등록하여야 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관리되는 일정 프로그램은 단순한 시간개념만을 고려하여 해당 시간에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그러면, 도 1을 참조로 일반적으로 일정 관리 수단에서 일정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일정 관리 장치에서 일정 입력 또는 관리시에 도시되는 달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일정 입력은 단순히 해당 날짜 또는 시간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여야 할 일을 통상 텍스트 형태로 입력한다. 예컨대, PDA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PDA 표시창에 나타나는 달력에서 일정을 입력할 원하는 날짜 또는 시간을 선택하고, 각종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일정 내용을 입력한다.
예를들어, '2004년 11월 5일 12:00에 김대리와 점심 약속'이라는 일정을 입력하여야 하는 경우 PDA 사용자는 PDA용 펜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에 도시된 달력의 11월 5일을 터치한다. 그러면, 11월 5일에 일정을 입력하라는 화면이 도시되고, 도시된 화면에 상기 PDA용 펜을 이용해 일정을 입력하거나, 기타 다른 입력 수단, 예를들어, 음성 입력을 이용해 '12:00에 김대리와 점심 약속'일정을 입력한다.
상기에서 일정은 이벤트(event)와 액션(action)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이벤트는 사용자가 실행하기를 원하는 시점을 나타내고, 액션은 상기 특정 시점에 사용자가 실행하기를 원하는 사항이다. 상기 예의 경우, '2004년 11월 5일 12:00'은 이벤트에 해당하며, '김대리와 점심 약속'은 액션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상기 PDA는 미리 설정된 알람 설정 방식에 따른 특정 시간에 2004년 11월 5일 12:00에 김대리와 점심 약속이 있다는 액션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한편,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일정관리는 개인정보관리장치(PIMS)에 속해 작업과 일정, 목표 등이 개별적으로 작성되어 관리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일정 관리에 있어서도 동일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장기적인 일정관리를 할 수 없고,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입력의 불편함으로 사용의 빈도가 낮아 결국 관리를 포기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개별적인 시간 사용에 대한 분석 기능이 없어서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피드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인생의 목표를 여러 분야에서 정하면 10년 단위의 세부 목표와 1년 단위, 그리고 1개월 단위의 세부 목표를 정하고, 월간 단위까지 정해진 목표에 따라 주간 단위의 실행 항목을 정하고 일정을 입력함에 따라, 상위 목표와 하위 목표가 연계가 되며, 각각의 작업들도 목표에 연계되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목표에 따른 사용자의 일정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형 전자플래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휴대형 전자플래너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플래너는 입력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개인 일정관리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개인 일정관리에 대응하는 목표 달성을 위해 시간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도록 일정 주기로 목표 대비 실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피드백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플래너는 입력부, 표시부, 플래시메모리, 중앙처리부, 램(RAM), 배터리, 전원 제어부 및 마이콤을 포함한다. 상기 플래시메모리는 개인 일정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탑재한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플래시메모리, 상기 램 및 상기 표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램은 상기 플래시메모리 및 상기 표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는 전원을 충전한다.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분배하기 위해, 제1 전원라인을 통해 상기 플래시 메모리 및 중앙처리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및 제3 전원라인들을 통해 상기 표시부 및 상기 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마이콤은 기능별 옵션에 따라 전류 소모가 줄이기 위해, 상기 제1 내지 제3 전원라인들을 선택적으로 인액티브시키도록 상기 전원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 자플래너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개인 일정관리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목표 달성을 위해 효율적인 시간 자원이 배분되도록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의 제어방법에서, 상기 휴대형 전자플래너의 메뉴화면에서 목표 아이콘이 클릭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기입되는 사용자의 목표 정보 저장 기능을 포함하는 목표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화면에서 플래너 아이콘이 클릭됨에 따라,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기간별 플래닝 기능을 포함하는 플래너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화면에서 타임로그 아이콘이 클릭됨에 따라, 타임로그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화면에서 피드백 아이콘이 클릭됨에 따라, 피드백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형 전자플래너 및 이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소중하게 여기는 가치에 따른 목표를 설정하도록 지원하고, 설정된 목표에 따라 상세 목표들 및 일정별로 해야 할 항목들이 작성되도록 지원하며, 실시간적으로 완료된 일들을 원터치로 입력하도록 하며, 일정 주기로 목표 대비 실적을 평가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며, 한정된 시간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피드백하여 균형잡힌 삶을 설계하고 살아가도록 개인의 일정을 관리하므로 사용자의 성공을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 제어회로에 의해 휴대일정관리단말기에서 최소의 소비전류를 이용하여 알람 동작을 수행하므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최적화된 일정 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일정관리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표와 가치에 따른 해야할 목록을 작성한 후 작성된 목록에 따라 세부 항목들을 작성하고, 각 세부 항목들은 일정별로 자동 분류 입력되어 표시되고, 일정에 따라 입력된 실행 결과로 목표 대비 실적을 피드백하여 사용자가 일정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며, 그룹 목표에 따라 작성된 사용자의 역할과 일정을 동일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플래너(100)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플래너(100)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전원부(130), 제어부(14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50) 및 기능확장슬롯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터치 스크린부(112) 및 키 입력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120)는 LCD 표시창(122) 및 알람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부(112)는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따른 터치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140)에 제공하고, 상기 키 입력부(114)는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른 키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상기 알람부(124)는 알람 장치나 스피커, 부저 등일 수 있다.
상기 전원부(130)는 배터리(132) 및 전원 제어부(13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플래시 메모리(142), RAM(144), 중앙처리부(Central Processing Unit; CPU)(146) 및 마이콤(148)을 포함한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142)는 낸드(NAND)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130)는 외부전원 공급시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내장된 배터리(132)를 충전시키고, 제1, 제2, 제3 및 제4 전원라인들(P1, P2, P3, P4)을 통해 상기 제어부(140) 및 상기 기능확장슬롯부(160)에 기능별 옵션에 따라 전원을 분배하여 전류소모를 최소화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전원라인(P1)이 전원 ON일 때, 상기 제1 내지 제3 전원라인들(P1, P2, P3)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2 전원라인(P2)은 지정된 영상이 일정 시간동안 표시되도록 LCD 표시창(122)에 전원을 전달한다.
상기 제3 전원라인(P3)은 상기 RAM(144)에 전원을 전달한다. 예를들어, 일정 시간 이상 휴대형 전자플래너가 사용되지 않는 슬립모드일 때, 제3 전원라인(P3)을 통해 상기 RAM(144)에만 전원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하였던 마지막 영상이 상기 RAM(144)에는 저장되고, 사용자가 휴대형 전자플래너의 전원을 온시킴에 따라, 상기 RAM(144)에 저장된 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제4 전원라인(P4)은 기능확장슬롯부(160)에 전원을 전달한다. 만일 사용자에 의해 확장 슬롯이 사용되지 않으면 상기 제4 전원라인(P4)은 인액티브된다.
동작시, 사용자가 전원 키를 짧게 누를 때, 예를들어, 1초 미만이면, 슬립모드를 온 또는 오프시키고, 전원 키를 길게 누를 때, 예를들어, 1초 이상이면 제1 내지 제4 전원라인들(P1, P2, P3, P4)을 온 또는 오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개인 일정관리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개인 일정관리에 대응하는 목표 달성을 위해 시간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도록 일정 주기로 목표 대비 실적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120)에 피드백한다.
상기 플래시메모리(142)는 상기 개인 일정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탑재한다. 상기 램(144)은 상기 플래시메모리(144) 및 상기 LCD 표시창(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램(144)에는 전원 오프 바로 전의 사용자 화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부(146)는 상기 플래시메모리(144), 상기 램(144) 및 상기 LCD 표시창(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래시메모리(142)에 탑재된 상기 개인 일정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중앙처리부(146)는 사용자의 인색 목표에 대응하는 세부 목표 데이터와 상기 세부 목표 데이터에 대응하는 개인 일정 데이터의 작성을 지원하며, 상기 목표 달성한 시간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일정 주기로 상기 목표 대비 실적 데이터를 상기 LCD 표시창(122)에 제공한다.
상기 마이콤(148)은 CPU(146)와 통신하여 전원 제어회로(134)를 조정한다. 즉, 상기 마이콤(148)은 상기 중앙처리부(146)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제어부(134)의 전원 분배를 제어하되, 상기 중앙처리부(146)의 슬립 모드시, 상기 램(144)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제어회로(134)를 제어한한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144) 및 중앙처리부(146)에서 공급되는 알람 정보에 의 해 알람을 제어한다. 즉, 상기 마이콤(148)은 상기 중앙처리부(146)로부터 알람시간 수신하고, 시간 체크한 후, 알람 스피커(120) 또는 부저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부(146)가 동작하지 않아도 알람이 울리도록 하여 전류 소모를 줄인다.
사용자가 확인을 위해 전원을 온할 경우, 상기 제2 전원라인(P2)을 동작시킨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부(146)가 동작하여 알람 내용을 LCD 표시창(122)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전원라인(P1)을 오프시켜 상기 중앙처리부(146)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므로 소비전류를 줄인다.
상기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50)는 오디오 장치나, 비디오 장치, USB 메모리, 시리얼 통신부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싱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시리얼 통신부는 복수의 핀들로 구성되며 핀들은 내부의 메인보드에 연결되는바, 상기 시리얼통신부와 컴퓨터나 노트북 등의 시리얼 포트를 케이블로 연결하며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시리얼 통신부는 일반적으로 직렬 시리얼 통신부(RS232C)나 유니버셜 시리얼버스(USB) 등의 통신방식이 이용된다.
상기 기능확장슬롯부(160)는 휴대용 전자플래너의 제한된 저장용량을 확장하거나, 무선통신이나 지리정보시스템(GPS)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용 전자플래너의 작은 사이즈로 인해 제한되는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기능확장슬롯부(160)는 복수의 핀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핀들은 본체 내부의 메인보드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능확장슬롯부(160)는 휴대용 전자플래너의 저장용량의 한계를 극복하 기 위해 메모리카드 등을 상기 기능확장슬롯부(160)에 장착하여 더 많은 용량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카드 등에 저장할 수 있으며, CDMA모듈 등 무선통신기능을 갖춘 모뎀이나 지리정보시스템 모듈을 상기 기능확장슬롯부(160)에 삽입하여 단순히 정보의 입력 및 관리뿐만 아니라 무선으로 인터넷, 음성통화, 위치정보데이터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확장슬롯으로는 콤팩트플래시(CF) 슬롯이나 메모리카드 슬롯 등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형 전자플래너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들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플래너는 표시되는 메뉴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대분류 기능으로서 목표 설정 기능, 플래너 기능, 피드백 기능, 타임로그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명상집 기능, 메모 기능, 자료관리 기능, 환경설정 기능 등을 수행한다.
상기한 각종 기능들이 수행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는 하기하는 도 4와 같은 대분류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대분류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플래너에서 표시되는 메뉴 화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형 전자플래너의 표시창에는 목표, 플래너, 피드백, 타임로그, 멀티미디어, 명상집, 메모, 자료관리, 환경설정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 기 위한 선택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상기한 선택아이콘들은 물리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을 제공받기 위해 표시창에 표시된다. 표시되는 선택아이콘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이루어지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대분류내에 포함되어 사용자의 선택을 제공받기 위한 소분류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이 표시된다.
도 3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목표 기능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중분류 기능으로서 가치 및 사명선언문 설정 기능, 최종목표 설정기능, 10년 목표 설정 기능, 1년 목표 설정기능, 월 목표 설정기능, 주목표 설정기능 등이 수행된다.
한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플래너 기능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중분류 기능으로서 인생 플랜 설정기능, 10년간 플랜 설정기능, 년간 플랜 설정기능, 월간 플랜 설정기능, 주간 플랜 설정기능, 일일 플랜 설정기능 등이 수행된다.
한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피드백 기능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10년간 피드백설정기능, 5년간 피드백설정기능, 년간 피드백 설정기능, 월간 피드백 설정기능, 주간 피드백 설정기능, 일일 피드백 설정기능, 지수 피드백 설정기능, 선택 기능 등이 수행된다.
한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멀티미디어 기능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영상 기능, MP3 기능, 사진보기 기능 등이 수행된다.
상술한 휴대형 전자플래너를 통해 사용자의 인생의 목표를 여러 분야에서 정 하면 10년 단위의 세부 목표와 1년 단위, 그리고 1개월 단위의 세부 목표를 정하고, 월간 단위까지 정해진 목표에 따라 주간 단위의 실행 항목을 정한다. 이어, 사용자가 일정을 입력함에 따라, 상위 목표와 하위 목표가 연계가 되며, 각각의 작업들도 목표에 연계되어 관리된다. 이때 용이한 작성을 위해 미리 입력된 균형잡힌 삶의 모델을 선정하면, 선정된 모델의 각 분야별 목표를 확인한 후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입력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각 분야별 목표 및 항목별로 예제를 분류하여 선택한 후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실시간 입력에 의한 관리의 불편함을 최소로 하기 위해 특수키를 누르면 아이콘을 표시하여 원터치로 입력하게 한다.
일정별로 결과를 입력한 후, 일정시간 후에 누적된 목표대비 실적을 평가할 수 있도록 그래프와 수치로 표시한다. 불균형적인 분야를 확인한 후 보완하기 위해 일정을 수정하도록 한다.
또한, 휴대용 전자플래너를 통한 일정 알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최소한의 회로만 동작하게 하여 배터리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플래너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원의 온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00).
단계 S100에서, 전원이 온됨에 따라, 초기화면 또는 전원오프전의 마지막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105).
이어, 메뉴 화면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10).
단계 S110에서, 개인 일정관리를 위한 메뉴 화면의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목표 모드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15). 여기서, 상기 메뉴 화면에는 사용자의 목표 설정을 위한 목표 아이콘,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위한 플래너 아이콘, 타임로그 아이콘, 피드백 아이콘, 멀티미디어 아이콘, 명상집 아이콘, 메모 아이콘, 자료 관리 아이콘, 환경설정 아이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115에서, 상기 목표 아이콘이 선택되어 목표 모드의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목표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120).
단계 S115에서, 상기 목표 모드의 클릭으로 체크되지 않은 경우, 플래너 모드의 클릭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25).
단계 S125에서, 상기 플래너 아이콘이 선택되어 플래너 모드의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플래너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130).
단계 S125에서, 상기 플래너 모드의 클릭으로 체크되지 않은 경우, 타임로그 모드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35).
단계 S135에서, 상기 타임로그 아이콘이 선택되어 타임로그 모드의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타임로그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140).
단계 S135에서, 상기 타임로그 모드의 클릭으로 체크되지 않은 경우, 피드백 모드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45).
단계 S145에서, 상기 피드백 아이콘이 선택되어 피드백 모드의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피드백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145).
단계 S145에서, 상기 피드백 모드의 클릭으로 체크되지 않은 경우, 멀티미디어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55).
단계 S155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콘이 선택되어 멀티미디어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160).
단계 S155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클릭으로 체크되지 않은 경우, 명상집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65).
단계 S165에서, 상기 명상집 아이콘이 선택되어 명상집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명상집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170).
단계 S170에서, 상기 명상집 클릭으로 체크되지 않은 경우, 메모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75).
단계 S175에서, 상기 메모 아이콘이 선택되어 메모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메모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180).
단계 S175에서, 상기 메모 클릭으로 체크되지 않은 경우, 자료관리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85).
단계 S185에서, 상기 자료관리 아이콘이 선택되어 자료관리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자료관리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190).
단계 S185에서, 상기 자료관리 클릭으로 체크되지 않은 경우, 환경설정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95).
단계 S195에서, 상기 환경설정 아이콘이 선택되어 환경설정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환경설정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200).
단계 S195에서, 환경설정 클릭으로 체크되지 않은 경우, 전원의 오프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05), 전원 오프로 체크되는 경우 종료하고, 전원 오프가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단계 S110으로 피드백한다.
<목표 설정 기능>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목표 모드 수행 단계 S12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목표설정 메인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200).
이어, 표시되는 목표설정 메인 화면에서, 인생 목표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10), 인생 목표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항목별 인생목표 설정용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인생목표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215).
단계 S210에서 인생 목표 클릭으로 미체크되는 경우, 10년간 목표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20), 10년간 목표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항목별 10년간 목표 설정용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항목별 10년간 목표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225).
단계 S220에서 10년간 목표 클릭으로 미체크되는 경우, 년간 목표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30), 년간 목표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항목별 년간 목표 설정용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항목별 년간 목표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235).
단계 S230에서 년간 목표 클릭으로 미체크되는 경우, 월간 목표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40), 월간 목표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항목별 월간 목표 설정 용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항목별 월간 목표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245).
단계 S240에서 월간 목표 클릭으로 미체크되는 경우, 주간 목표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50), 주간 목표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항목별 주간 목표 설정용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항목별 주간 목표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255).
단계 S250에서 주간 목표 클릭으로 미체크되는 경우, 가치 설정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60), 가치 설정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가치 설정용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가치 설정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265).
단계 S260에서 가치 설정 클릭으로 미체크되는 경우, 사명서 설정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70), 사명서 설정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사명서 설정용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사명서 설정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275).
단계 S270에서 사명서 설정 클릭으로 미체크되는 경우, 목표 설정 완료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80), 목표 설정 완료로 체크되는 경우, 도 5a에 도시된 단계 S125로 피드백하고, 목표 설정 미완료로 체크되는 경우, 단계 S200으로 피드백한다.
도 7은 목표 설정을 위해 표시되는 상위 사용자 화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는 목표는 주간, 월간, 년간, 5년, 10년 단위 등으로 작성된다.
사용자 화면의 상단의 우측에 표시되는 'icon/time' 영역에는 배터리 잔량 표시나, 스피커의 온/오프 상태, 현재 시각 정보 등이 표시된다.
사용자 화면의 중간부에 표시되는 키배열은 일종의 PDA와 같이 목표의 내용 등의 입력을 위해 표시된다. 상기한 키배열에는 숫자키, 국문/영문키, 한자키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 및 '→'는 주간별 이동을 위해 이용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를 누를 때마다 현재 주에서 1주전의 목표로 이동되고, 사용자가 '→'를 누를 때마다 현재 주에서 1주 후의 목표로 이동된다.
사용자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 및 '↓'는 표시되는 페이지의 업 또는 다운을 위해 이용된다.
사용자는 학교, 관계, 종교, 계발, 가정, 직장, 신체 등의 항목들을 편집할 수 있고, 상위 목표들과 연계되어 목표율이 관리된다.
사용자는 목표 작성시, 상위목표에서부터 작성한다. 작성된 목표는 세부설정에 의해 요일과 시작시간, 종료시간이 설정된다. 또한 주간 단위별로 반복 주기가 설정될 수도 있다.
사용자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알람' 메뉴는 일괄적으로 알람을 설정하거나, 제거하며, 항목별로 설정은 각 항목에서 한다.
사용자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검색' 메뉴는 명칭에 따른 검색을 제공하며, 날짜 범위나, 분류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예제' 메뉴는 균형잡힌 모델에 따른 예제를 표시하여 쉽게 입력 선택하도록 한다.
상술된 도 5에 도시된 상위 사용자 화면에서 사용자가 특정 기간의 목표, 예를들어, 주간목표, 월간목표, 년간목표, 10년간 목표, 인생목표, 가치 및 사명서 설정 등을 선택함에 따라, 하위 사용자 화면들이 표시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대기한다.
도 8a 내지 도 8g는 목표 설정을 위해 표시되는 하위 사용자 화면들이다. 특히, 주간목표/월간목표/년간목표/10년간목표/인생목표/가치 및 사명서 설정을 위한 사용자 화면들이 도시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 화면의 우측에 표시되는 '완', '연', '중', '비'는 각각, 완료, 연기, 중요도, 비중을 나타낸다. 여기서, 중요도는 사용자에 의해 목표의 중요도나 긴급도에 따라 설정되어, 다른 목표들과 상충될 때, 중요로 설정된 목표가 우선적으로 처리되도록 알람한다. 또한, 비중은 전체를 100%로 했을 때 각 항목당 비중을 나타낸다.
사용자 화면의 좌측에 표시되는 번호는 목표의 내용 변경시 갱신(revision) 표시를 위해 이용된다. 예를들어, 1, 0에서 1회 수정시, 1.1로 변경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월간목표의 세부 항목을 선택받기 위해 표시되는 화면으로서, 주간단위의 목표들을 작성하도록 표시하고, 각 주간 단위 목표의 비중이 설정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년간목표의 세부 항목을 선택받기 위해 표시되는 화면으로서, 월간단위의 목표들을 작성하도록 표시하고, 각 월간 단 위 목표의 비중이 설정된다.
도 8d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10년간목표의 세부 항목을 선택받기 위해 표시되는 화면으로서, 년간단위의 목표들을 작성하도록 표시하고, 각 년간 단위 목표의 비중이 설정된다.
도 8e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생목표의 세부 항목을 선택받기 위해 표시되는 화면으로서, 10년간단위의 목표들 또는 사람의 인생을 구분한 목표들, 예를들어, 유년기 목표, 청년기 목표, 장년기 목표 등을 작성하도록 표시하고, 각 10년간 단위의 목표 또는 인생의 구분 목표의 비중이 설정된다.
도 8f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생의 최종목표의 세부 항목을 선택받기 위해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8g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의 가치 및 사명서를 설정하기 위해 표시되는 화면으로, 가치의 순서는 우선순위까지 포함된다. 가치의 각 항목별 비율을 설정할 수도 있다.
사명서의 r1 및 r2는 수정내용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사용자에 의해 수정 또는 삭제될 수도 있다.
<플래너 설정 기능>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플래너 모드 수행 단계 S13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플래너 설정 메인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310).
이어, 표시되는 플래너 설정 메인 화면에서, 일일 플래너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20), 일일 플래너 클릭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시간대별 일정 설정용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시간대별 일정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325).
단계 S320에서, 일일 플래너 클릭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또는 단계 S325에 이어, 주간 플래너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30), 주간 플래너 클릭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하루의 일정 설정용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일일별 일정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335).
단계 S330에서, 주간 플래너 클릭이 이루어지는 않은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또는 단계 S335에 이어, 월간 플래너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40), 월간 플래너 클릭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주간별 일정 설정용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주간별 일정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345).
단계 S340에서, 월간 플래너 클릭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또는 단계 S345에 이어, 플래너 설정 완료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50), 플래너 설정 완료로 체크되는 경우, 도 5a에 도시된 단계 S135로 피드백하고, 플래너 설정 미완료로 체크되는 경우 단계 S310으로 피드백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플래너 설정을 위한 사용자 화면들이다. 특히, 일일별/주간별/월간별 플래너 설정을 위한 사용자 화면들이 도시된다.
도 10a를 참조하면, 일정은 각 목표에 따라 자동 배정된다. 추가적으로, 입력시 상위목표와 연계되도록 입력된다.
'결과' 항목의 경우, 결과를 완료, 연기, 취소, 위임, 작업진척율, 실시간 입력용, 인터럽트(계획되지 않은 항목)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사용자에 의해 연기가 요청되면, 달력이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해 연기되는 날짜가 선택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인터럽트 항목이 발생시 그 시간만큼 전체 항목을 지연시킬 것인지, 다음 항목만 연기/삭제시킬 것인지 확인한다.
실시간 입력용은 추후 피드백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디폴트 항목이다).
'목표' 항목은 어떤 상위 목표와 연계되는지를 표시 및 설정한다. 예를들어, '목표'를 클릭하면, 주간별 플래너 설정을 위한 사용자 화면(도 10b에 도시됨)이 표시되고, 각 일일 일정에 따른 주간 목표의 진척율이 표시된다. 이러한 주간 목표의 진척율의 표시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주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시간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분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주간별 플래버 설정을 위한 사용자 화면에서, 일정을 클릭하면 표시되지 않은 내용이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알람표시는 시간 옆에 아이콘으로 표시하거나 칼라로 표시한다. 또한 설정 및 삭제도 시간을 클릭함으로 처리한다.
일정항목은 예를 설정해 두고 선택하게 한다(직접 입력하는 경우를 줄인다). 또한 내용 앞에 아이콘을 표시함으로 내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화면의 좌측에 표시되는 '우' 항목은 우선순위를 설정하도록 한다. (예, A1, A2, A3, B1, B2, B3, C1~)
도 10c는 월별 플래너 화면을 설명하는 사용자 화면이다.
도 10c를 참조하면, 월간 일정에 채우기 칼라에 따라 일정의 많고 적음을 표 시한다. 예를들어, 흰색의 경우, 없음을 나타내고, 노란색의 경우, 20%를 나타내며, 파란색의 경우, 중요 일정이 있음을 나타내고, 빨간색의 경우, 긴급 일정이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생일, 결혼기념일, 사용자 설정 기념 명칭 등의 기념일의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검색시 아이콘으로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월별 플래너 화면에서 날짜를 클릭하면 상세 일정들이 현재의 창에서 별도의 윈도우에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종의 펼쳐보기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목표'가 클릭되면, 월간 목표가 표시되며, 각 일일 및 주간 일정에 따른 월간 목표의 진척율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월간 목표의 진척율의 표시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월간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시간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분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타임로그 기능>
도 11은 타임로그 환경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1주일 생활 패턴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110), 1주일 생활 패턴의 입력으로 체크되는 경우, 1주일 생활패턴을 입력받은 후 단계 S4110으로 피드백한다.
단계 S4110에서, 1주일 생활 패턴의 미입력으로 체크되는 경우, 히스토리를 통한 패턴 생성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120), 히스토리를 통한 생활패턴의 생성으로 체크되는 경우, 입력된 타임로그 데이터를 1주일 단위로 정렬하고 시간대별로 사용빈도가 높은 항목을 결정한 후 리스트를 화면 표시하고, 만일 충분한 데이터가 없으면 사용법을 표시한다(단계 S4125).
이어, 항목 편집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130), 항목 편집으로 체크되는 1주일 생활패턴 항목의 편집을 수행한 후(단계 S4135), 단계 S4110으로 피드백하고, 항목 편집으로 미체크되는 경우 단계 S4110으로 피드백한다.
단계 S4120에서, 히스토리를 통해 생활패턴의 미생성으로 체크되는 경우, 저장 아이콘의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140), 저장 아이콘의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입력된 환경 설정값을 저장한 후, 후술되는 타임로그를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S4140에서, 저장 아이콘의 미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취소 아이콘의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150), 취소 아이콘의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후술되는 타임로그를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취소 아이콘의 미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단계 S4110으로 피드백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타임로그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타임로그 데이터 및 환경 설정값을 읽는다(단계 S4210).
이어, 현 시간에 일치하는 항목이 있으면 항목을 표시하고, 알람은 설정에 따라 온 또는 오프한다(단계 S4215).
이어, 시작 아이콘의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220), 시작 아이콘의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입력된 내용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고, 타임로그 동작을 시 작한 후(단계 S4225), 상술된 타임로그 환경 설정 과정에서 설명된 1주일 생활패턴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S4140으로 피드백한다.
단계 S4220에서, 시작 아이콘의 미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인터럽트 아이콘의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230), 인터럽트 아이콘의 클릭으로 체크되지 않은 경우 종료 아이콘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235).
단계 S4235에서, 종료 아이콘의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타임로그 종료 메시지 화면 및 내용화면을 표시한 후(단계 S4240), 상술된 타임로그 환경 설정 과정에서 설명된 1주일 생활패턴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S4140으로 피드백하고, 종료 아이콘의 미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상술된 타임로그 환경 설정 과정에서 설명된 1주일 생활패턴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S4140으로 피드백한다.
단계 S4230에서, 인터럽트 아이콘의 미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1회 누름 아이콘의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250), 1회 누름 아이콘의 클릭으로 체크되지 않는 경우, 타임로그 종료 메시지 화면 및 내용화면을 표시한 후(단계 S4255), 상술된 타임로그 환경 설정 과정에서 설명된 1주일 생활패턴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S4140으로 피드백한다.
단계 S4250에서, 1회 누름 아이콘의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시간대 날짜에 따른 사용빈도 높은 순서대로 인터럽트 항목을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S4260).
이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입력이 클릭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265), 사용자에 의해 선택/입력이 클릭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일정 시간의 경과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270), 일정 시간이 미경과된 경우 단계 S4265로 피드백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타임로그 동작을 시작한 후, 상술된 타임로그 환경 설정 과정에서 설명된 1주일 생활패턴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S4140으로 피드백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입력이 클릭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상술된 타임로그 환경 설정 과정에서 설명된 1주일 생활패턴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S4140으로 피드백한다.
한편, 단계 S4235에서, 종료 아이콘이 클릭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메뉴 아이콘의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280), 메뉴 아이콘의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메인 메뉴로 피드백하고, 메뉴 아이콘의 클릭으로 체크되지 않은 경우, 편집 아이콘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285).
단계 S4285에서, '편집' 아이콘의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삭제, 항목, 시간, 역할수행 등의 동작을 수행한 후(단계 S4290), 상술된 타임로그 환경 설정 과정에서 설명된 1주일 생활패턴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S4140으로 피드백한다.
단계 S4285에서, '편집' 아이콘이 클릭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삼각형(△) 아이콘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295). 단계 S4295에서, 삼각형(△) 아이콘의 클릭으로 체크되지 않은 경우 일정 시간 시간의 경과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300), 일정 시간의 미경과로 체크되는 경우, 상술된 타임로그 환경 설정 과정에서 설명된 1주일 생활패턴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S4140으로 피드백하고, 일정 시간의 경과로 체크되는 경우, 타임로그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하고 알람 처리한다(단계 S4305).
단계 S4295에서, 삼각형(△) 아이콘의 미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항목을 화면에 표시하고(단계 S4310), 사용자에 의해 선택/입력이 클릭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315).
단계 S4315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입력이 클릭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일정 시간의 경과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320), 일정 시간이 미경과된 경우 단계 S4315로 피드백한다.
단계 S4315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입력 아이콘이 클릭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또는 단계 S4320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타임로그 동작을 시작한 후, 상술된 타임로그 환경 설정 과정에서 설명된 1주일 생활패턴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S4140으로 피드백한다.
타임로그 정보는 일별, 주별 등의 플래너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상기한 주별 플래너를 자신의 타임로그 패턴 파일로 설정할 수 있다. 휴대형 전자플래너가 동영상이나 MP3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타임로그 기능은 계속 동작한다.
도 13a는 타임로그의 설정을 설명하는 사용자 화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사용자측에서는 내용 리스트 중에서 해당하는 것이 있으면 해당 번호를 누른다. 그러면 그 항목이 내용에 표시되고, 그 내용의 일부를 수정할 수도 있다. 만일 해당 내용이 없으면, 자판을 이용해 입력할 수도 있다.
'메뉴' 아이콘이 눌려지면, 메인 메뉴를 표시하지만, 타임로그 기능은 계속 진행된다. 또한 오늘의 스케줄 표시에 타임로그에 따른 항목이 시간대별로 표시된다.
'편집' 아이콘은 삭제, 항목, 시간, 역할수정 등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1주일 생활패턴을 입력한 상태에서, 각 항목에 따라 시작을 알리는 화면표시와 알람이 출력된다. 이때, 일정시간 이내에 입력이 없으면, 자동으로 타임로그를 시작한 후 종료하고, 다음 항목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설정' 아이콘은 자동으로 타임로그를 시작하고 종료하는 시간을 설정, 알람 ON/OFF, 화면 표시 시간 설정, 사용자의 집중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 설정, 지속적으로 알람 등을 통해 현재 일을 인식시키는 기능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3b는 타임로그의 입력을 설명하는 사용자 화면이다. 사용자에 의해 인터럽트 아이콘이 눌려지면, 현재 로그를 잠시 중단하고 인터럽트에서 자주 사용하는 항목을 표시하고, 항목이 선택되면 바로 타임 로그가 시작된다. 인터럽트를 타임로그하는 중에 다시 인터럽트를 누르면 현재의 인터럽트는 중단되고, 원래의 항목으로 복귀하여 타임로그가 시작된다.
사용자 화면에서, 오른쪽 '화살표'아이콘은 표시되는 사용자 화면의 아래 설정화면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3c는 타임로그의 시작 및 종료를 설명하는 사용자 화면이다. 사용자 화면의 내용 영역에는 현재 진행하는 일이 표시된다. 우측에 표시된 '삼각형' 아이콘(△)을 누르면, 해당일에 대응하는 일정이 표시창의 크기에 의해 미처 표시하지 못하는 일정으로 이동되어 해당 일정이 표시된다.
사용자 화면에서, 'T'는 해당일에 투입한 총시간을 의미하고, 'S'는 일정의 시작시간을 의미하며, 'E'는 일정의 종료시간을 의미한다.
타임로그 화면이 반복적으로 표시되는 간격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정해진다. 정해진 시간마다 타임로그 화면이 표시되고 시작과 종료, 또는 새 항목을 입력받으며, 현재 사용자가 무슨 일을 하는지를 사용자측에 인식시키며, 지속적으로 하는 일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3d는 간이 타임로그 보고서를 설명하는 사용자 화면이다. 화면상에 표시되는 77%는 시간사용비율로서, 사용시간/총시간에 의해 정의된다. 항목표시창은 전체의 항목이 표시된다. 그러나, 항목의 순서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간과 날짜에 따라 사용한 히스토리 통계를 통해 사용 빈도가 높은 것이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되고, 사용 빈도가 낮은 것이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4는 최종 타임로그 보고서를 설명하는 사용자 화면이다. 특히, 도 13d에서 표시되는 'R'을 누름에 따라 표시되는 타임로그 보고서에 대한 리포트이다. 상기한 리포트에는 항목에 따른 총 투입시간이 나타난다.
도 14를 참조하면, 시간을 돈으로 표시한 화면으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표시된다. 낭비한 시간에 의해 버려진 시간의 가치를 돈으로 계산한다. 예를들어, 상기한 시간의 가치는 (총시간-사용시간)*1시간당 인건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14에서, 사용시간/총시간에 의해 정의되는 시간사용비율은 77%이다.
표시되는 사용자 화면에서, '주기'는 일, 주, 월, 년, 기간설정, 전체 등으로 표시되는 표시 방식의 선택을 위해 제공되고, 각 역할에 따른 분류로도 표시된다.
표시되는 사용자 화면에서, '정렬'은 각 항목들이 시간별, 일별, 목표별, 투 입한 시간의 양에 따라 정렬되도록 제공된다.
표시되는 사용자 화면에서, '분야'는 각 분야별로 세부 내용을 표시하거나 전체 분야를 한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공된다.
표시되는 사용자 화면에서, '인터럽트'는 인터럽트 항목이 표시되도록 제공된다.
표시되는 사용자 화면에서, '설정'은 보고서 초기화면의 설정(주기, 정렬, 분야 등), 빈도 또는 금액 표시의 설정, 시간당 자신의 인건비 설정 등을 위해 제공된다.
표시되는 사용자 화면에서, 총시간은 사용자가 활동하는 시간의 합이다. 여기서, 잠자는 시간이나, 식사, 세면등 기본적인 생활시간은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드백 기능>
도 15는 도 5에 도시된 피드백 모드 수행 단계 S15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g는 기간별 피드백 기능을 설명하는 사용자화면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구간별 피드백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510). 표시되는 피드백 화면에는 일일 피드백용 아이콘, 주간 피드백용 아이콘, 월간 피드백용 아이콘, 년간 피드백용 아이콘, 10년간 피드백용 아이콘, 인생 피드백용 아이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510에서 표시되는 구간별 피드백 화면에서 일일 피드백의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520), 일일 피드백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일에 대응하는 항목별 목표치, 달성치, 성공지수, 시간관리지수 등을 표시한다(단계 S525). 상기한 항목은 변경될 수 있는데, 변경되면 누적 비용 계산시 연계될 항목을 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a에서, '비율'은 전체 100%중 각 항목이 차지하는 비용을 나타내고, '실적'은 각 항목의 계획에 대한 달성율과 전체에 대한 달성율을 나타낸다. 또한, '보'는 보완이 필요한 항목이고, '누적'은 설정된 일정 기간동안 누적된 비율과 실적을 그래프로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520에서 일일 피드백 클릭으로 미체크되는 경우, 또는 단계 S525를 수행한 후, 주간 피드백의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530), 주간 피드백의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주간에 대응하는 항목별 목표치, 달성치, 성공지수, 시간관리지수 등을 표시한다(단계 S535).
단계 S530에서 주간 피드백 클릭으로 미체크되는 경우, 또는 단계 S535를 수행한 후, 월간 피드백의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540), 월간 피드백의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월에 대응하는 항목별 목표치, 달성치, 성공지수, 시간관리지수 등을 표시한다(단계 S545).
단계 S540에서 월간 피드백 클릭으로 미체크되는 경우, 또는 단계 S545를 수행한 후, 년간 피드백의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550), 년간 피드백의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도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년에 대응하는 항목별 목표치, 달성치, 성공지수, 시간관리지수 등을 표시한다(단계 S555).
단계 S550에서 년간 피드백 클릭으로 미체크되는 경우, 또는 단계 S555를 수 행한 후, 10년간 피드백의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560), 10년간 피드백의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도 1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10년간에 대응하는 항목별 목표치, 달성치, 성공지수, 시간관리지수 등을 표시한다(단계 S565).
단계 S560에서 10년간 피드백 클릭으로 미체크되는 경우, 또는 단계 S565를 수행한 후, 인생 피드백의 클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570), 인생 피드백의 클릭으로 체크되는 경우, 도 1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인생에 대응하는 항목별 목표치, 달성치, 성공지수, 시간관리지수 등을 표시한다(단계 S575).
단계 S570에서 인생 피드백의 클릭으로 미체크되는 경우, 또는 단계 S575를 수행한 후, 피드백 완료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580), 피드백 완료로 미체크되는 경우 단계 S510으로 피드백하고, 피드백 완료로 체크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단계 S155로 피드백한다.
도 17은 성공지수의 피드백 기능에 따라 포지셔닝된 결과 화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각 항목의 목표 정보와 각 목표별 결과 정보가 표시되어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성공지수가 표시된다. 상기 목표정보에는 누적시간에 따른 목표시간이 포함되고, 결과 정보에는 실제 투자한 시간, 시간과 실적율이 포함된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피드백 기능의 선택/장점파악/분석을 설명하는 사용자 화면들이다.
도 18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과거에 선택의 갈림길에서 선택한 것으로 어떤 결과를 기대하는지 기록한 것을 피드백할 수 있도록 보여준다. 여 기서, '주기'는 표시방식을 일일, 주간, 월간, 년간, 5년, 10년, 기간설정, 전체 등으로 표시되며, 각 역할에 따른 분류로 정렬되어 표시된다.
사용자에 의해 '정렬' 아이콘이 클릭됨에 따라, 각 항목들이 시간별, 일별, 분야별, 목표별, 완료 여부별에 따라 정렬된다. 또한 '분야' 아이콘이 클릭됨에 따라, 각 분야별로 세부 내용을 표시하거나 전체 분야를 한 화면에 표시한다. '검색' 아이콘이 클릭됨에 따라, 시간대별, 분류별, 내용별 등으로 검색한다. '분석' 아이콘이 클릭됨에 따라,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점파악 모드 화면으로 변환되고, 한번더 클릭됨에 따라,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석 모드 화면으로 변환되고, 또 다시 클릭됨에 따라,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택 화면으로 토글 이동된다.
사용자에 의해 완료 컬럼의 각 항목의 완료부가 터치되면, 완료/미완료가 토글되고, 완료로 체크시 현재 날짜와 시간이 선택시점 컬럼의 각 항목에 입력된다.
도 18c에서, 평가항목 컬럼에서의 '효과성'은 필요한 시간 자원을 원하는 결과를 얻는데 투입했을 때 가장 최단 시간을 사용한 일들이 속해 있는 분야를 검색하여 표시한다. 또한, '완료성'은 완료률이 가장 높은 분야를 검색하여 표시한다. 또한, '생산성'은 결과를 만든 항목이 많은 분야를 검색하여 표시한다. 또한, '연속성'은 일을 연속적으로 처리한 시간이 많은 항목을 검색하여 표시한다. 또한, '지연성'은 일의 지연이 발생한 것이 적은 항목이 속한 분야를 표시한다. 도 18c에서, 효과성에 대응하는 항목은 'A' 분야이고, 완료성에 대응하는 항목은 'B' 분야이며, 생산성에 대응하는 항목은 'C' 분야이고, 연속성에 대응하는 항목은 'D' 분 야이며, 지연성에 대응하는 항목은 'E' 분야이다.
이러한 평가항목들을 종합하여 사용자가 잘하는 분야를 선정하여 예를들어 평점 컬럼에 점수 형태로 표시된다. 도 18c에서, 효과성, 완료성, 생산성, 연속성 및 지연성 각각에 대응하는 평점은 60, 70, 50, 40 및 30이다.
한편, 분석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피드백 형태로 제공할 때,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항목과 위임할 항목은 타임로그에서 데이터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c에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은 A, B 및 C 분야들이고, 위임할 항목은 D 및 E 분야들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기간별 목표 성취지수를 설명하는 테이블들이다. 특히, 도 19a는 피드백 시간관리지수의 월간 목표 성취지수를 설명하는 테이블이고, 도 19b는 피드백 시간관리 지수의 5년간 목표 성취지수를 설명하는 테이블이며, 도 19c는 피드백 시간관리 지수의 10년간 목표 성취지수를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기간별 시간관리지수를 설명하는 테이블들이다. 특히, 도 20a는 일일간 시간관리지수의 평균을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20b는 주간 시간관리지수를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21은 각종 지수 관련 설정 및 확인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화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휴대형 전자플래너의 표시창에는 생체 리듬, 시간 정확성, 시간 예측성, 균형, 컴퓨터 사용, 시간 몰입, 사용가능시간, 목표 및 완료, 코칭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선택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상기한 선택아이콘들은 물리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을 제공받기 위해 표시창에 표 시된다. 표시되는 선택아이콘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이루어지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지수 또는 서비스에 대하는 정보들이 표시된다.
도 22a는 도 21의 생체리듬 선택 아이콘에 따른 생체리듬 지수를 설명하는 테이블이고, 도 22b는 생체리듬 지수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23은 도 21의 시간정확성 선택 아이콘에 따른 시작시간 정확성을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특히, 시작시간 정확성은 계획된 시간에 시작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설정된다. 여기서, 평균설정이나 기간설정이 가능하다. 1분을 1%로 설정하고, 최대 50%를 초과할 수 없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A'라는 역할을 달성하기 위해 'A1' 및 'A2' 라는 목표가 존재하고, 'A1'이라는 목표의 계획된 시작시간은 7시이고, 'A2'라는 목표의 계획된 시작시간은 8시이다.
상기한 시작시간 정확성 결과치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07057014716-pat00001
상기한 수학식 1을 참조하면, 'A1'이라는 목표는 계획된 7시에 시작되므로 'A1'이라는 목표의 시작시간의 정확성 결과는 100%인 반면, 'A2'라는 목표는 계획된 시간을 초과하여 8시간 20분에 시작되어 시작시간의 정확성 결과는 80%이다. 따라서, 'A'라는 역할을 달성하기 위한 시작시간의 평균결과치, 즉 산술평균치는 90%이다.
한편, 'B'라는 역할을 달성하기 위해 'B1' 및 'B2' 라는 목표가 존재하고, 'B1이라는 목표의 계획된 시작시간은 9시이고, 'B2'라는 목표의 계획된 시작시간은 15시이다. 'B1'이라는 목표는 계획된 시간을 초과하여 9시 20분에 시작되어 시작시간의 정확성 결과치는 80%인 반면, 'B2'라는 목표는 계획된 시간인 15시에 시작되어 시작시간의 정확성 결과는 100%이다. 따라서, 'B'라는 역할을 달성하기 위한 시작시간의 평균결과는 90%이다.
또한, 'C'라는 역할을 달성하기 위해 'C1', 'C2', 'C3', 'C4' 및 'C5' 라는 목표가 존재한다. 여기서, 'C1', 'C2', 'C3', 'C4' 및 'C5'이라는 목표들의 계획된 시작시간들 각각은 11시, 13시, 15시, 16시 및 17시이다. 하지만, 'C1이라는 목표의 시작시간은 10시 40분이므로 시작시간의 정확성 결과치는 60%이고, 'C2'라는 목표의 시작시간은 13시이므로 시작시간의 정확성 결과치는 100%이며, 'C3'라는 목표의 시작시간은 15시 10분이므로 시작시간의 정확성 결과치는 99%이고, 'C4'라는 목표의 시작시간은 16시이므로 시작시간의 정확성 결과치는 100%이며, 'C5'라는 목표의 시작시간은 17시 30분이므로 시작시간의 정확성 결과치는 97%이다.
또한, 'D'라는 역할을 달성하기 위해 'D1' 및 'D2'라는 목표가 존재한다. 여기서, 'D1' 및 'D2'라는 목표들의 계획된 시작시간들 각각은 19시 및 22시이다. 'D1'이라는 목표의 시작시간은 19시이므로 시작시간의 정확성 결과치는 100%이고, 'D2'라는 목표의 시작시간은 22시 20분이므로 시작시간의 정확성 결과치는 98%이다.
도 24는 도 21의 시간예측성 선택 아이콘에 따른 시간예측정확성을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4가지의 역할이 신체 역할, 정신 역할, 사회 역할 및 영적 역할일 때, 상기한 신체 역할을 달성하기 위해 정기적 운동 및 골프 90타 진입을 목표로 각각 설정한 경우, 예측하는 시간은 1시간 및 1시간이다. 여기서, 상기한 정기적 운동 및 골프 90타 진입에 사용된 각각은 시간은 1시간 및 1시간이므로 시간 예측정확성 결과치 각각은 100% 및 100%이다. 따라서, 상기한 신체 역할을 달성하는데 시간 예측정확성은 평균 100%이다.
상기한 시간예측정확성 결과치는 하기하는 수학식 2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평균설정이나 기간설정이 가능하다.
Figure 112007057014716-pat00002
한편, 상기한 정신 역할을 달성하기 위해 책읽기 및 코칭 강의/실습을 목표로 각각 설정한 경우, 예측하는 시간은 1시간 및 2시간이다. 하지만, 상기한 책읽기에 사용된 시간 및 코칭 강의/실습에 사용된 시간이 각각 0.8 시간 및 2.5시간이면, 각각의 시간 예측정확성 결과치는 120% 및 75%이다. 따라서, 상기한 정신 역할을 달성하는데 시간 예측정확성은 평균 86%이다.
한편, 상기한 사회 역할을 달성하기 위해 시장 동향파악, 마케팅 보고서 작성, 인맥관리, 가족과 여행 및 영어학습을 목표로 설정한 경우, 예측하는 시간은 각각 5시간, 5시간, 4시간, 10시간 및 5시간이다. 하지만, 상기한 시장 동향파악, 마케팅 보고서 작성, 인맥관리, 가족과 여행 및 영어학습에 사용된 시간이 각각 6시간, 7시간, 5시간, 12시간 및 3시간이면, 각각의 시간 예측정확성 결과치는 80%, 60%, 75%, 80%, 140%이다. 따라서, 상기한 사회 역할을 달성하는데 시간 예측정확성은 평균 86%이다.
한편, 상기한 영적 역할을 달성하기 위해 큐티, 기도, 신앙도서 1권 탐독, 신앙강좌 1강 습득을 목표로 설정한 경우, 예측하는 시간은 0.5시간, 0.5시간, 5시간, 1시간이다. 하지만, 상기한 큐티, 기도, 신앙도서 1권 탐독, 신앙강좌 1강 습득에 사용된 시간이 각각 0.5시간, 0.5시간, 6시간, 2시간이면, 각각의 시간 예측정확성 결과치는 100%, 100%, 80%, 0%이다. 따라서, 상기한 영적 역할을 달성하는데 시간 예측정확성은 평균 71%이다.
도 25는 도 21의 균형 선택 아이콘에 따른 균형율 지수를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균형율, 예를들어, 1주일의 평균치나 각 역할에 따른 균형적인 시간사용에 따른 균형율을 나타낸다. 후술되는 마이펫 스토리를 통해 부족한 부분을 사용자측에 알려준다. 각 역할의 소계는 100%를 초과할 수 없다.
상기한 균형율 지수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3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07057014716-pat00003
예를들어, 신체 역할을 달성하기 위해 정기적 운동 및 골프 90타 진입을 목 표로 설정하고, 설정된 정기적 운동 및 골프 90타 진입의 계획 시간들 각각이 7시간 및 7시간이고, 실적 시간들 각각이 7시간 및 7시간일 때, 균형율들 각각은 43% 및 43%이다. 따라서, 신체 역할에 대응하는 균형율은 총 86%이다.
한편, 정신 역할을 달성하기 위해 책읽기 및 코칭 강의/실습을 목표로 설정하고, 설정된 책읽기 및 코칭 강의/실습의 계획 시간들 각각이 7시간 및 14시간이고, 실적시간 등 각각이 8시간 및 15시간일 때, 균형율들 각각은 38% 및 71%이다. 따라서, 정신 역할에 대응하는 균형율은 총 100%이다.
이러한 연산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각 역할들의 세부 목표를 달성하는데 소요되는 균형율들 각각을 확인할 수 있고, 각 역할들의 균형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측에서는 특정 역할의 비중을 줄이거나 늘리는 방식을 통해 자신이 설정된 각 역할들에 대응하는 목표 또는 각 역할들을 보다 균형있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정보 통신의 발달에 따라 개인의 사용 가능한 시간들 중에서 컴퓨터를 이용하는 놀이나 작업 등의 시간이 차지하는 부분은 상당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루의 시간 또는 1주일의 시간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놀이나 작업 등의 시간을 계획하고, 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도 26은 도 21의 컴퓨터 사용 선택 아이콘에 따른 컴퓨터 사용지수를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그 세부 목표는 목표와 관련된 검색작업, 목표와 관련된 작업, 목적없이 접속하는 행위, TV나 동영상의 시 청, 게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컴퓨터를 이용한 게임시간을 2시간 할당했지만, 실제 6시간을 보낸 경우가 표시된다. 따라서, 다른 일에 영향을 주며, 상기한 게임시간에 소비하는 시간을 특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일정 이하의 지수를 가진 항목에 대해 관리하도록 알람과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한 컴퓨터 사용지수는 하기하는 수학식 4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07057014716-pat00004
도 27은 도 21의 시간 몰입 선택 아이콘에 따른 시간몰입지수를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특히, 중요일에 대한 몰입도가 표시된다. 중요 항목을 처리하는 시간 중에 다른 일이 발생하거나 지연되는 경우를 지수로 계산하여 표시한다.
상기한 시간몰입 지수는 하기하는 수학식 5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07057014716-pat00005
도 27을 참조하면, 'A'라는 세부목표의 경우, 계획 시간은 3시간이었고, 실적시간은 3시간이었으며, 중요도 가중치가 1이었고, 인터럽트 발생에 따른 지연횟수가 0이었다면, 시간몰입지수는 100%이다.
반면, 'B'라는 세부목표의 경우, 계획 시간이 20시간이었고, 실적시간이 30시간이었으며, 중요도 가중치가 2이었고, 인터럽트 발생에 따른 지연횟수가 3이었 다면, 시간몰입지수는 61%이다.
이러한 시간몰입지수를 통해 사용자는 세부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몰입정도를 수치화된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보다 타이트한 시간관리 가능하다.
도 28a는 도 21의 사용가능시간 선택 아이콘에 따른 사용자 일생동안의 사용가능시간을 설명하는 테이블이고, 도 28b는 사용자 일생동안의 사용가능시간에 따른 항목별 시간 배분을 시간별로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28c는 사용자 일생동안의 사용가능시간에 따른 항목별 시간 배분을 퍼센트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8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A'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 항목으로 잠자는 것에 소요되는 항목, 가족이나 친구, 사업을 위한 인간관계에 소요되는 항목, 먹는 것에 소요되는 항목, TV 시청 등의 항목, 세면과 같은 기타 항목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잠자는 항목에 소요되는 사용자의 총 시간이 227,760시간일 때, 해당 사용자의 실적 시간(또는 이미 사용한 시간)이 5,000시간이면, 해당사용자에게 주어진 잔여시간은 222,760시간이므로, 해당 사용자에게는 2%의 사용지수가 주어진다.
상기한 잠자는 항목에 소요되는 사용자의 총 시간은 하기하는 도 29a 내지 도 29i에서 도출될 수 있다.
도 29a 내지 도 29i는 사람의 인생을 분류한 통계치들을 설명하는 테이블들이다. 특히, 사람의 일생 전체를 중요기간별로 분류한 통계치, 유아기/유년기/학습기/청년기/중년기/노년기/거동불가기 각각을 항목별로 분류한 통계치, 인생 전체를 중요항목별로 분류한 통계치가 도시된다.
도 28a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B'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 항목으로 학습/업무 항목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들어, 학습/업무 항목에 소요되는 사용자의 총 시간이 116,800시간일 때, 해당 사용자의 실적 시간(또는 이미 사용한 시간)이 30,000시간이면, 해당 사용자에게 주어진 잔여시간은 86,800시간이므로, 해당 사용자에게는 26%의 사용지수가 주어진다.
한편, 사용자가 설정한 'C'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 항목으로 가족이나 친구, 사업을 위한 인간관계 항목 및 취미/독서 항목 등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설정한 'D'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 항목으로 신앙과 같은 영적 생활에 소요되는 항목, 놀이/게임 등에 소요되는 항목, 이동에 소요되는 항목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도 28a에 의해 표시되는 테이블은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총 시간을 세부 항목별로 구획한 파이 그래프로서 나타낼 수도 있고, 도 2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부 항목들이 차지하는 퍼센트의 파이 그래프로서 나타낼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에게 주어진 시간들, 즉 각 항목들이나 각 세부 항목들에 대응하는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므로써, 사용자에게는 시간 관리에 있어서 보다 경각심을 유도할 수 있다.
도 30은 도 21의 목표/완료 선택 아이콘에 따른 목표대비완료율을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특히, 세부목표 항목별 실제 투입한 시간에 의해 이루어진 일의 수준 을 비율로 표시된다.
도 30을 참조하면, 'A'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들은 'A1', 'A2', 'A3', 'A4', 'A5'가 있고, 각각의 세부 목표들의 계획 시간은 3시간, 20시간, 5시간, 5시간, 5시간이다. 그 중에서, 세부 목표 'A1', 'A2', 'A3' 만 실적 시간으로 3시간, 30시간, 6시간이 소요되었고, 사용자에 의해 세부 목표 'A1', 'A2', 'A3' 에 대한 완료 여부가 '1', '1' 및 '0.5'로 체크되었다면, 각 세부목표들의 진척율은 완료 여부에 대한 수치와 계획 시간의 승산에 의해 각각 '3.0', '30', '2.5'이다. 한편, 세부 목표 'A4' 'A5'는 진행되지 않았다.
어떤 일을 완료함에 있어 실적 시간이 계획 시간보다 초과하면 시간몰입 지수 등 그 이유를 추적할 수 있도록 관련 사항을 취합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이것을 확인한 후 다음 계획시 반영하도록 한다.
상기한 목표대비완료율은 하기하는 수학식 6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07057014716-pat00006
사용가능시간은 총계획시간에서 진척시간을 감산한 값에 의해 정의된다. 목표항목에 따른 남은 시간을 표시한다.
도 31은 목표 대비 완료율이 포지셔닝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목표들의 긴급도 및 중요도에 따라 일정 그래프상에 매핑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신체관련에 대응하는 목표, 인간관계에 대응하 는 목표, 종교에 대응하는 목표, 계발관련에 대응하는 목표, 가정관련에 대응하는 목표, 직장관련에 대응하는 목표를 긴급도 및 중요도에 따라 매핑시킬 수 있다.
한편, 매핑된 각 목표들은 사용자 자신의 시간 관리의 결과로서 매핑된다. 매핑된 목표 및 결과정보를 근거로 사용자는 자신의 시간관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일종의 바로미터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출되는 시간관리지수, 성공지수 및 마이펫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2는 시간관리지수를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역할별 시간관리지수는 월간별, 누적별, 추이별 항목의 퍼센트가 표시된다. 여기서, 추이별 항목은 지난달과 이번 달을 비교하여 발전한 비율이 퍼센트로서 표시된다.
종합 시간관리지수는 하기하는 수학식 7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07057014716-pat00007
여기서, T(a) =n월 역할 A의 {시작시간정확성 + 시간예측정확성 + 균형율 + 시간몰입지수 + 목표대비 완료율}- (n-1)월 역할 A의{시작시간정확성 + 시간예측정확성 + 균형율 + 시간몰입지수 + 목표대비 완료율}을 나타낸다.
도 33은 성공지수의 예들을 설명하는 테이블들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역할모델에 따른 기준에 따라 시간관리 충실도를 비교하 여 평가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수는 커진다.
성공지수는 하기하는 수학식 8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07057014716-pat00008
여기서, 전체가 100이 되도록 a, b, c, d 계수는 조정된다.
지난 달 월간 목표성취지수는 년간 목표성취지수에 누적된다. 마찬가지로 년간 목표성취지수는 5년간 그리고 10년간 목표성취지수에 누적된다.
완료율은 계획시간과 계수의 곱셈에 의해 정의되고, 진척율은 실적 시간과 계수의 곱셈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계수는 실적의 최대값은 계획값으로 한계된다.
보정계수(t)는 100/완료율 합계에 의해 정의되고, 성공지수는 진척율 합계와 보정계수(t)의 곱셈에 의해 정의된다.
도 34는 마이펫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특히, 각 역할별 시간관리지수들을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각각의 역할들에 대응하는 세부 목표 정보들이 존재하고, 각 세부 목표 정보에는 월간 퍼센트, 누적 퍼센트, 추이, 목표시간, 투자시간, 성장 지수 등에 대한 데이터들이 연산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세부 목표는 시작시간정확성, 시간예측정확성, 균형율, 시간몰입지수, 목표대비완료율을 포함한다.
상술된 각 역할별 시간 관리지수는 고양이나 개, 고기, 새 등과 같은 애완동 물들에 매핑시켜 가상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 즉, 하기하는 시간지수 데이터와 사용 빈도에 따라 성장시킨다. 시간관리지수 항목에 따라 애완동물의 각 부위가 자라게 된다. 예를들어, 역할에 따른 지수 'A'는 머리, 'B'는 몸통, 'C'는 다리, 'D'는 꼬리 등으로 할당한다.
성장은 일일 단위로 하며, 수치로도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추이 지수에 따라 말라가기도 한다.(즉 추이 지수가 마이너스 일 때 성장지수가 줄어들어 작아지게 된다.)
역할 'A'의 성장지수는 하기하는 수학식 9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07057014716-pat00009
여기서, 역할 'A'의 성장지수에 대한 1일 최대값은 1로 설정된다. 또한, 역할 'A'에 대한 단말기의 사용시간은 최대 5% 이하로 설정된다.
상기한 마이펫 기능은 정상적으로 사용했을 때 평균 성장지수와 사용자의 성장지수를 통해 시간관리를 잘하고 있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마이펫 기능의 장점은 시간관리가 안되는 어린 학생일 수록 단말기 사용 및 시간관리 지수에 따라 애완동물을 키우는 재미를 제공해 시간관리를 습관화시킨다.
도 35는 마이펫 기능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강아지의 머리부분은 영적/정신분야에 대응하고, 몸통 부 분은 신체 분야에 대응하며, 다리 부분은 사회분야에 대응하고, 꼬리 부분은 가정 분야에 대응한다.
각 성장지수가 최대 100일이 되면 완전한 성체로 자라게 된다.(만일 한 부분이 부족한 형태 그대로 고정된다. 완전한 성체가 된 후 친구와 시간관리지수 등의 데이터를 교환하면, 임신하게 되고, 대략 100일 후 해산하고 또 새끼를 키우게 된다. 이렇게 100일 마다 새끼가 나와 새끼에 새끼를 키우게 되므로 누적으로 100마리까지 키우게 된다. 이렇게 성장한 각 동물들은 날짜에 따라 다른 모습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 동물들의 모습을 비교함으로 시간관리의 형태를 알 수 있게 한다.
다른 시나리오로 몸집이 작은 애완동물부터 시작하여 큰 동물에 이르기까지 여러 동물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 즉, 처음 시작할 때는 다람쥐부터 시작하고, 100일 후에는 친구와 데이터 교환한 후 임신하게 되고 일정시간 후에 출산하며, 그 새끼가 또 자라게 된다. 이 새끼가 일정 시간 후에 다 자라면 다음에 새를 키우게 되고, 그 다음은 고양이, 그 다음은 잉어, 그 다음은 개, 그 다음은 사슴 등으로 다양하게 키울 수 있게 한다. 이 시나리오는 여러 애완동물을 키울 수 있어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
또 다른 시나리오로서, 12지신에 대응하는 12가지의 동물들을 키울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플래너는 일종의 PDA에서 제공되는 메모 기능을 하기하는 도 36a 및 도 3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메모 기능>
도 36a 및 도 36b는 메모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화면들이다.
도 36a를 참조하면, 표시창의 하단 영역에는 키보드 배열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표시되는 키보드를 터치하므로써 원하는 메모를 기입할 수 있다.
도 36b를 참조하면, 표시창의 하단 영역에는 메모를 위한 각종 툴들이 표시된다. 상기한 툴에는 직선을 그리는 툴, 사각형을 그리는 툴, 원형을 그리는 툴, 글자를 기입하는 툴, 전자펜을 이용하는 툴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표시되는 각종 툴들중 하나를 선택한 후, 선택된 툴을 이용하여 원하는 메모를 기입할 수 있다. 예를들어, 그림 아이콘을 누르면 이미지편집화면이 나타나며, 작성된 이미지를 저장할 때, 파일명을 입력할 수도 있고, 작업과 연계된 그림이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림 편집시 펜의 칼라를 선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중하게 여기는 가치에 따른 목표를 설정하도록 지원하고, 설정된 목표에 따라 상세 목표들 및 일정별로 해야 할 항목들이 작성되도록 지원하며, 실시간적으로 완료된 일들을 원터치로 입력하도록 하며, 일정 주기로 목표 대비 실적을 평가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며, 한정된 시간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피드백하여 균형잡힌 삶을 설계하고 살아가도록 개인의 일정을 관리하므로 사용자의 성공을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 제어회로에 의해 휴대일정관리단말기에서 최소의 소비전류를 이용하여 알람 동작을 수행하므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최적화된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일정관리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표와 가치에 따른 해야할 목록을 작성한 후 작성된 목록에 따라 세부 항목들을 작성하고, 각 세부 항목들은 일정별로 자동 분류 입력되어 표시되고, 일정에 따라 입력된 실행 결과로 목표 대비 실적을 피드백하여 사용자가 일정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며, 그룹 목표에 따라 작성된 사용자의 역할과 일정을 동일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일정 관리 장치에서 일정 입력 또는 관리시에 도시되는 달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플래너(100)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형 전자플래너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들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플래너에서 표시되는 메뉴 화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플래너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목표 모드 수행 단계 S12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목표 설정을 위해 표시되는 상위 사용자 화면이다.
도 8a 내지 도 8g는 목표 설정을 위해 표시되는 하위 사용자 화면들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플래너 모드 수행 단계 S13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플래너 설정을 위한 사용자 화면들이다.
도 11은 타임로그 환경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타임로그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13a는 타임로그의 설정을 설명하는 사용자 화면이다.
도 13b는 타임로그의 입력을 설명하는 사용자 화면이다.
도 13c는 타임로그의 시작 및 종료를 설명하는 사용자 화면이다.
도 13d는 간이 타임로그 보고서를 설명하는 사용자 화면이다.
도 14는 최종 타임로그 보고서를 설명하는 사용자 화면이다.
도 15는 도 5에 도시된 피드백 모드 수행 단계 S15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g는 기간별 피드백 기능을 설명하는 사용자화면들이다.
도 17은 성공지수의 피드백 기능에 따라 포지셔닝된 결과 화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피드백 기능의 선택/장점파악/분석을 설명하는 사용자 화면들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기간별 목표 성취지수를 설명하는 테이블들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기간별 시간관리지수를 설명하는 테이블들이다.
도 21은 각종 지수 관련 설정 및 확인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화면이다.
도 22a는 도 21의 생체리듬 선택 아이콘에 따른 생체리듬 지수를 설명하는 테이블이고, 도 22b는 생체리듬 지수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23은 도 21의 시간정확성 선택 아이콘에 따른 시작시간 정확성을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24는 도 21의 시간예측성 선택 아이콘에 따른 시간예측정확성을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25는 도 21의 균형 선택 아이콘에 따른 균형율 지수를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26은 도 21의 컴퓨터 사용 선택 아이콘에 따른 컴퓨터 사용지수를 설명하 는 테이블이다.
도 27은 도 21의 시간 몰입 선택 아이콘에 따른 시간몰입지수를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28a는 도 21의 사용가능시간 선택 아이콘에 따른 사용자 일생동안의 사용가능시간을 설명하는 테이블이고, 도 28b는 사용자 일생동안의 사용가능시간에 따른 항목별 시간 배분을 시간별로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28c는 사용자 일생동안의 사용가능시간에 따른 항목별 시간 배분을 퍼센트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9a 내지 도 29i는 사람의 인생을 분류한 통계치들을 설명하는 테이블들이다.
도 30은 도 21의 목표/완료 선택 아이콘에 따른 목표대비완료율을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31은 목표 대비 완료율이 포지셔닝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2는 시간관리지수를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33은 성공지수의 예들을 설명하는 테이블들이다.
도 34는 마이펫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35는 마이펫 기능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36a 및 도 36b는 메모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화면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형 전자플래너 110 : 입력부
112 : 터치 스크린부 114 : 키 입력부
120 : 출력부 122 : LCD 표시창
124 : 알람부 130 : 전원부
132 : 배터리 134 : 전원 제어부
140 : 제어부 142 : 플래시 메모리
144 : RAM 146 : 중앙처리부
148 : 마이콤 150 : 주변장치 인터페이스
160 : 기능확장슬롯부 P1, P2, P3, P4 : 전원라인

Claims (30)

  1. 입력부;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개인 일정관리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개인 일정관리에 대응하는 목표 달성을 위해 시간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도록 일정 주기로 목표 대비 실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피드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간별 종합 시간관리 지수 및 성공지수를 연산하여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되,
    상기 종합 시간관리 지수는 하기하는 수학식에 의해 정의되고,
    Figure 112009032883669-pat00088
    여기서, T(a) =n월 역할 A의 {시작시간정확성 + 시간예측정확성 + 균형율 + 시간몰입지수 + 목표대비 완료율}- (n-1)월 역할 A의{시작시간정확성 + 시간예측정확성 + 균형율 + 시간몰입지수 + 목표대비 완료율}로 정의되고,
    상기 시작시간정확성은
    Figure 112009032883669-pat00089
    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시간예측정확성은
    Figure 112009032883669-pat00090
    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균형율은 일정 기간동안의 평균치 또는 각 역할에 따른 균형적인 시간사용에 따른 균형율이고,
    상기 시간몰입지수는
    Figure 112009032883669-pat00091
    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목표대비완료율은
    Figure 112009032883669-pat00092
    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
  2.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 및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전원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인 일정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탑재하는 플래시메모리;
    상기 플래시메모리 및 상기 표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램(RAM);
    상기 플래시메모리, 상기 램 및 상기 표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되며, 사용자의 인색 목표에 대응하는 세부 목표 데이터와 상기 세부 목표 데이터에 대응하는 개인 일정 데이터의 작성을 지원하며, 상기 목표 달성한 시간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일정 주기로 상기 목표 대비 실 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제어부의 전원 분배를 제어하되, 상기 중앙처리부의 슬립 모드시, 상기 램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플래시 메모리 및 중앙처리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을 제어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램에는 전원 오프 바로 전의 사용자 화면 데이터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와 외부의 주변장치와 인터페이싱시키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른 키 입력신호를 상기 중앙처리부에 제공하는 키입력부와,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따른 터치 입력신호를 상기 중앙처리부에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부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
  7. 제3항에 있어서, 음성 또는 부저 형태의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은 사용자의 알람 설정에 의해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알람 신호를 상기 알람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외부의 기능확장용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기능확장슬롯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확장용 모듈은 GPS 수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메모리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개인 일정관리를 위한 메뉴 화면이 표시되고, 표시되는 메뉴화면에서 목표 아이콘이 클릭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목표 설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개인 일정관리를 위한 메뉴 화면이 표시되고, 표시되는 메뉴화면에서 플래너 아이콘이 클릭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플래너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개인 일정관리를 위한 메뉴 화면이 표시되고, 표시되는 메뉴화면에서 타임로그 아이콘이 클릭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타임로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개인 일정관리를 위한 메뉴 화면이 표시되고, 표시되는 메뉴화면에서 피드백 아이콘이 클릭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공지수는 하기하는 수학식에 의해 정의되고,
    Figure 112009064952379-pat00015
    여기서, a, b, c 및 d 전체가 100이 되도록 조정된 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역할별 성장지수를 연산하여 애완동물의 각 부위에 매핑시켜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마이펫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각 역할별 성장지수는 (해당 역할의 누적소계)+(추이)+(해당 역할에 대한 단말기 사용시간)에 의해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개인 일정관리를 위한 메뉴 화면이 표시되고, 표시되는 메뉴화면에서 멀티미디어 아이콘이 클릭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사용자의 개인 일정관리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목표 달성을 위해 효율적인 시간 자원이 배분되도록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의 제어방법에서,
    상기 휴대형 전자플래너의 메뉴화면에서 목표 아이콘이 클릭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기입되는 사용자의 목표 정보 저장 기능을 포함하는 목표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메뉴화면에서 플래너 아이콘이 클릭됨에 따라,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기간별 플래닝 기능을 포함하는 플래너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메뉴화면에서 타임로그 아이콘이 클릭됨에 따라, 타임로그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화면에서 피드백 아이콘이 클릭됨에 따라, 피드백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모드에 의해 해당 기간에 대응하는 항목별 목표치, 달성치, 성공지수, 종합 시간관리 지수가 표시되며,
    상기 종합 시간관리 지수는 하기하는 수학식에 의해 정의되고,
    Figure 112009032883669-pat00093
    여기서, T(a) =n월 역할 A의 {시작시간정확성 + 시간예측정확성 + 균형율 + 시간몰입지수 + 목표대비 완료율}- (n-1)월 역할 A의{시작시간정확성 + 시간예측정확성 + 균형율 + 시간몰입지수 + 목표대비 완료율}로 정의되고,
    상기 시작시간정확성은
    Figure 112009032883669-pat00094
    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시간예측정확성은
    Figure 112009032883669-pat00095
    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균형율은 일정 기간동안의 평균치 또는 각 역할에 따른 균형적인 시간사용에 따른 균형율이고,
    상기 시간몰입지수는
    Figure 112009032883669-pat00096
    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목표대비완료율은
    Figure 112009032883669-pat00097
    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의 제어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전원이 온됨에 따라, 초기화면 또는 전원 오프전 마지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의 제어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화면에서 멀티미디어 아이콘, 명상집 아이콘, 메모 아이콘, 자료관리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클릭됨에 따라, 해당 아이콘에 대응하는 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의 제어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전원이 오프됨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플래너의 제어방법.
KR1020070078621A 2007-08-06 2007-08-06 휴대형 전자플래너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935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621A KR100935859B1 (ko) 2007-08-06 2007-08-06 휴대형 전자플래너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621A KR100935859B1 (ko) 2007-08-06 2007-08-06 휴대형 전자플래너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566A KR20090014566A (ko) 2009-02-11
KR100935859B1 true KR100935859B1 (ko) 2010-01-07

Family

ID=4068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621A KR100935859B1 (ko) 2007-08-06 2007-08-06 휴대형 전자플래너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8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673A1 (ko) * 2012-11-29 2014-06-05 Park Won Il 사용자 계획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70680B1 (ko) * 2021-03-30 2022-03-04 (주)라이프플래닝연구소 시간관리 및 재무관리를 기반으로 삶의 목표를 삶의 주요 영역 별로 설정, 계획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295A (ko) * 2000-11-06 2002-05-11 송문섭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
KR20030020104A (ko) * 2001-09-01 2003-03-08 주식회사 에프플래닛 인생설계에 기초한 종합자산관리 및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KR20050077474A (ko) * 2004-01-28 2005-08-0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온라인 캘린더링 시스템 내의 프로젝트 및 회의의 시간할당을 위한 시간 관리 표현 및 자동화
KR20060029721A (ko) * 2004-10-01 2006-04-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능형 일정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295A (ko) * 2000-11-06 2002-05-11 송문섭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
KR20030020104A (ko) * 2001-09-01 2003-03-08 주식회사 에프플래닛 인생설계에 기초한 종합자산관리 및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KR20050077474A (ko) * 2004-01-28 2005-08-0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온라인 캘린더링 시스템 내의 프로젝트 및 회의의 시간할당을 위한 시간 관리 표현 및 자동화
KR20060029721A (ko) * 2004-10-01 2006-04-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능형 일정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673A1 (ko) * 2012-11-29 2014-06-05 Park Won Il 사용자 계획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70680B1 (ko) * 2021-03-30 2022-03-04 (주)라이프플래닝연구소 시간관리 및 재무관리를 기반으로 삶의 목표를 삶의 주요 영역 별로 설정, 계획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566A (ko)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16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imal behavior tracking, predicting and signaling
CN106202528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计算机程序
US20140099614A1 (en) Method for delivering behavior change directives to a user
WO2018145506A1 (zh) 群组内的任务计划执行控制方法、装置和服务器
CN106537397A (zh) 身体活动和健身监视器
CN106657581A (zh) 电子书的阅读计划推荐系统及其方法、终端与服务端
CN105555194B (zh) 活动量计测装置、便携终端、信息共享支援装置、信息共享系统、活动支援装置及系统
Askey et al. Linking fish and angler dynamics to assess stocking strategies for hatchery-dependent, open-access recreational fisheries
Lynch et al. Grand challenges in th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North American inland fishes and fisheries
CN109635259A (zh) 一种电子试卷生成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7507036A (zh) 一种数据预测的方法及终端
CN107610765A (zh) 一种人体活力值监控方法及系统
CN110036360A (zh) 用于解释和管理不精确的时间表达的系统
KR20100052569A (ko) 프로세스 매니지먼트 지원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
Goedegebuure et al. Modelling southern elephant seals Mirounga leonina using an individual-based model coupled with a dynamic energy budget
CN107729109A (zh) 一种管理应用图标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KR100935859B1 (ko) 휴대형 전자플래너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90213519A1 (en) Productivity Improvement Device
CN108197714A (zh) 利用机器学习模型进行工作模式判决的方法及装置
CN106022724A (zh) 活动计划获取及制定方法
CN105608940A (zh) 交互定制计划式教学系统及其教学方法
CN107678785A (zh) 一种便签管理方法、电子设备及具有存储功能的装置
Gröger et al. A stock rebuilding algorithm featuring risk assessment and an optimization strategy of single or multispecies fisheries
JP2021176091A (ja) 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51855A (ja) スケジュール作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