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423B1 - 압박장치, 압박장치 유닛 및 방수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박장치, 압박장치 유닛 및 방수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423B1
KR100935423B1 KR1020080037145A KR20080037145A KR100935423B1 KR 100935423 B1 KR100935423 B1 KR 100935423B1 KR 1020080037145 A KR1020080037145 A KR 1020080037145A KR 20080037145 A KR20080037145 A KR 20080037145A KR 100935423 B1 KR100935423 B1 KR 100935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stic plate
support frame
press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500A (ko
Inventor
김이배
Original Assignee
인성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성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성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7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42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위치한 피압박물을 압박하는 압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판에 제2 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2 판이 제1 판에 압착되도록 제2 판을 압박시키는 압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박장치를 이용하여 UBR(Unit Bath Room) 조립공법에 사용되는 방수판을 제조하는 방수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착, 압박, 방수판, FRP판, 보강판,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

Description

압박장치, 압박장치 유닛 및 방수판 제조방법{Pressure device, Pressure device unit and method for making stopwater plate}
본 발명은 하부에 위치한 피압박물을 압박하는 압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판에 제2 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2 판이 제1 판에 압착되도록 제2 판을 압박시키는 압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박장치를 이용하여 UBR(Unit Bath Room) 조립공법에 사용되는 방수판을 제조하는 방수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UBR(Unit Bath Room) 조립공법에 사용되는 방수판은 통상적으로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판과 보강재를 교번하여 층층이 접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그런데, 상기 방수판의 제조를 위하여는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판과 보강재인 합판을 틈새없이 접착시켜야 한다. 따라서, FRP판에 보강재를 접착시키는 경우 접착제가 도포된 보강재 상면에 FRP판을 적층하고, 적층된 FRP판 위에 일정 이상의 하중을 지니는 압박물체를 올려놓아야 했다. 도9는 이러한 방법에 의한 종래의 방수판 제조방법의 한 상태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압박물체는 하중이 무거워 이를 FRP판 위에 올려고 내리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방수판 제조시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어야 하므로 압박물체를 이동시키는 일은 방수판 제조에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방수판 제조시와 그 외에도 피압박물을 자동으로 압박할 수 있는 압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피압박물의 상면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지 않는 경우, 이를테면 계단형을 이루는 경우에도 피압박물을 용이하게 압박할 수 있는 압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피압착물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경우 관통공을 통하여 피압착물의 하면에 위치한 접착제가 용출됨으로써 피압착물의 하면에 접착제가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압박부재가 피압착물의 관통공과 관통공 사이의 영역을 압박할 수 있는 압박부재를 구비한 압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피압착물을 압박하는 다수개의 압박부재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압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압박장치를 이용하여 방수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수판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수직 지지틀에 설치되는 상하 이동수단; 상기 상하 이동수단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수평 지지틀; 상기 수평 지지틀의 하부 이동시 탄성력에 의하여 하방향에 위치한 피압박물을 압박할 수 있도록, 압박대 연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수평지지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압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압박대는 상측단이 상기 압박대 연결수단에 연결되는 압축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측단에 연결되는 압박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압박부재는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하측단이 연결 지지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개방단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2개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평 지지틀은 상호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1 이동 안내대 및 제2 이동 안내대; 제1 안내수단에 의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1 이동 안내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안내수단에 의하여 타측단이 상기 제2 이동 안내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이동대;를 포함하며, 상기 압박대 연결수단은 상기 각각의 수평 이동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평 지지틀이 상기 수직 지지틀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 지지틀을 상기 수직 지지틀에 연결하는 수직 안내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하 이동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이고, 상기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외측단은 상기 수평 지지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지지틀은 상기 제1 이동 안내대 및 제2 이동 안내대의 일측단을 연결하는 제1 연결대와, 상기 제1 이동 안내대 및 제2 이동 안내대의 타측단을 연결하는 제2 연결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외측단은 로드 연결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1 연결대 또는 제2 연결대에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로드 연결수단은 상기 제1 연결대 또는 제2 연결대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연결대 관통공에 끼워지는 삽입봉; 상기 삽입봉의 양측단이 끼워져 지지되는 2개의 지지링; 상기 2개의 지지링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측단에 고정되는 "U"자형 연결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수단은 내측면이 상기 제1 이동 안내대 외측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블록이고, 상기 제2 안내수단은 내측면이 상기 제2 이동 안내대 외측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블록이고, 상기 수직 안내수단은 내측면이 상기 수직 지지틀의 수직 이동대 외측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블록이고, 상기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는 하나의 공압 또는 유압 분배기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평 지지틀; 하방향에 위치한 피압박물을 압박할 수 있도록, 압박대 연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수평지지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압박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압박대는 상측단이 상기 압박대 연결수단에 연결되는 압축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측단에 연결되는 압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압박장치를 이용한 방수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 플라스틱판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 플라스틱판 도포단계;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제1 플라스틱판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보강판을 적층하는 보강판 적층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압박부재의 개방단이 상기 보강판의 관통공과 관통공 사이의 영역을 압박하도록 하는 보강판 압박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압박부재의 개방단을 상기 보강판 압박단계에서 압박된 보강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보강판 이격단계; 상기 제1 이격단계 후에 상기 보강판 압박단계에서 압박된 보강판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보강판 도포단계; 제2 플라스틱판을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보강판에 적층하는 제2 플라스틱판 적층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압박부재의 개방단이 상기 제2 플라스틱판 적층단계에서 적층된 제2 플라스틱판을 압박하도록 하는 제2 플라스틱판 압박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압박부재의 개방단을 상기 제2 플라스틱판 압박단계에서 압박된 제2 플라스틱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 프라스틱판 이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인데, 상기 제1 플라스틱판은 외주연을 따라 상부로 돌출턱이 형성된 받침틀 바닥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바닥면 도포단계;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받침틀 바닥면에 제1 플라스틱판을 적층하는 제1 플라스틱판 적층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압박부재의 개방단이 상기 제1 플라스틱판 적층단계에서 적층된 제1 플라스틱판을 압박하도록 하는 제1 플라스틱판 압박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압박부재의 개방단을 상기 1 플라스틱판 압박단계에서 압박된 제1 플라스틱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 플라스틱판 이격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받침틀 내부에 고착된 플라스틱판일 수 있고, 상기 제1 플라스틱판 및 제2 플라스틱판은 FRP판이고, 상기 보강판은 합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피압박물의 상면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도 피압박물을 용이하게 압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피압착물 압착시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통하여 피압착물의 하면에 위치한 접착제를 용출시킴으로써 피압착물의 하면에 접착제를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피압착물을 압박하는 다수개의 압박부재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어 원하는 부위를 손쉽게 압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압박장치를 이용하여 방수력이 좋은 방수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실시예1의 사시도를, 도2는 실시예1에 있어서 압박대가 연결된 수평 지지틀의 사시도를, 도3은 실시예1에 있어서 압박대가 연결된 수평 이동대의 사시도를, 도4는 실시예1의 압박대의 사시도를, 도5는 실시예1의 상하 이동수단의 주요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수직 지지틀(100)을 가진다. 수직 지지틀(100)은 상하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이동대(110)를 가진다. 수직 이동대(110)의 상단부는 수직 이동대 연결봉(12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각 수직 이동대(110)의 하단부는 앙카(112)에 의하여 지반에 고정된다.
도1을 참조하면 수직 지지틀(100) 상단에는 상하 이동수단(200)이 설치된다. 상하 이동수단은 다수개 설치되는데,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이다. 상하 이동수단(200)은 실린더 튜브(210) 및 피스톤 로드(220)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하 동수단(200)은 분배관(도면부호 미부여)에 의하여 하나의 공압 또는 유압 분배기(260)에 연결된다. 공압 또는 유압 분배기(260)에는 각각의 상하 이동수단에 공압 또는 유압을 분배하기 위한 조정용 스위치가 구비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1은 수평 지지틀(300)을 가진다. 수평 지지틀(300)은 상호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1 이동 안내대(311) 및 제2 이동 안내대(312)를 가진다. 제1 이동 안내대(311)의 일측단 및 제2 이동 안내대(312)의 일측단은 제1 연결대(321)에 의하여 연결되고, 제1 이동 안내대(311)의 타측단 및 제2 이동 안내대(312)의 타측단은 제2 연결대(322)에 의하여 연결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수평 지지틀(300)은 다수개의 수평 이동대(330)를 가진다. 수평 이동대(330)는 일측단이 제1 안내수단(331)에 의하여 제1 이동 안내대(3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단이 제2 안내수단(332)에 의하여 제2 이동 안내대(3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3을 참조하면 제1 안내수단(331)은 내측면이 제1 이동 안내대(311, 도2 참조) 외측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블록이고, 제2 안내수단(332)은 내측면이 제2 이동 안내대(312, 도2 참조) 외측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블록이다. 따라서, 제1 이동 안내대(311, 도2 참조) 및 제2 이동 안내대(312, 도2 참조)의 단면이 직사각형상인 경우 제1 안내수단(331) 및 제2 안내수단(332)은 직사각형테 형상을 이루고, 제1 이동 안내대(311, 도2 참조) 및 제2 이동 안내대(312, 도2 참조)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제1 안내수단(331) 및 제2 안내수단(332)은 원형테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을 참조하면 일부의 상하 이동수단(200)의 피스톤 로드(220)의 외측단, 즉 하측단은 로드 연결수단(도면 부호미부여)을 통하여 제1 연결대(321)에 고정되고, 나머지 상하 이동수단(200)의 피스톤 로드(220)의 외측단은 로드 연결수단(도면 부호미부여)을 통하여 제2 연결대(322)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하 이동수단(200)이 작동하여 피스톤 로드(22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수평 지지틀(30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로드 연결수단(도면 부호미부여)은, 제1 연결대(321, 도1 참조) 또는 제2 연결대(322, 도1 참조)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연결대 관통공(321h, 322h, 도2 참조)에 끼워지는 삽입봉(240)과, 삽입봉(240)의 양측단이 끼워져 지지되는 2개의 지지링(도면부호 미부여)과, 상기 2개의 지지링(도면부호 미부여)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피스톤 로드(220)의 외측단에 고정되는 "U"자형 연결봉(230)과, 삽입봉(240)이 지지링(도면부호 미부여)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250)을 포함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수평 지지틀(300)에는 수직 안내수단(340)이 구비된다. 수직 안내수단(340)은 수평 지지틀(300)이 수직 지지틀(10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수평 지지틀(300)을 수직 지지틀(100)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이다. 수직 안내수단(340)은 내측면이 수직 지지틀의 수직 이동대(110) 외측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블록이다. 수직 이동대(110)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 수직 안내수단(340)은 직사각형테 형상이거나, 직사각형테의 일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수평 지지틀(300)의 하부 이동시 탄성력에 의하여 하방향에 위치한 피압박물을 압박할 수 있도록, 수평 지지틀(300)에는 다수개의 압박대(400)가 연결된다. 압박대(400)는 수평 이동대(330)에 연결된다. 도4를 참조하면 압박대(400)는 압박대 연결수단(410), 압박대 연결수단(410)의 하측단에 연결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420), 압축 코일 스프링(420)의 하측단에 연결되는 압박부재(430)를 가진다.
도1 및 도4를 참조하면 압박대 연결수단(410)은 수평 이동대(3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압박대 연결수단(410)은 내측면이 수평 이동대(330) 외측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블록이다. 압박부재(430)는 압축 코일 스프링(420)의 하측단이 연결 지지되는 상판(도면부호 미부여)과, 상기 상판(도면부호 미부여)의 하부에 개방단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도면부호 미부여)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2개의 측판(도면부호 미부여)을 포함한다.
실시예1은 수평 지지틀(300)이 하부로 이동하여 수평 지지틀(300)의 하부에 위치한 피압박물을 압축 코일 스프링(4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서서히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피압박물 및 상하 이동수단(200)에 급격한 충격력이 가해지지 않고, 또한 피압박물의 상면이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도 각각의 압축 코일 스프링(420)의 탄성 변형량이 조절되면서 각각의 압박대(400)가 접촉부위를 효과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실시예1은 수평 이동대(33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압박대(400)를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압박부재(430)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상하 이동수단(200)을 작동시켜 수평 지지틀(300)을 하부로 이동시킴으로써 하부에 위치한 피압박물을 압박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압박부재(430)가 압축 코일 스프링(420)의 탄성력에 의하여 피압박물의 상면을 압박한다.
실시예2
실시예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박장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2는 수평 지지틀(도면 미도시), 상기 수평 지지틀(도면 미도시)의 하방향에 위치한 피압박물을 압박할 수 있도록, 압박대 연결수단(도면 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수평지지틀(도면 미도시)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압박대(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압박대(도면 미도시)는 상측단이 상기 압박대 연결수단(도면 미도시)에 압축 코일스프링(도면 미도시)과, 상기 코일 스프링(도면 미도시)의 하측단에 연결되는 압박부재(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실시예2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 이동수단(도면 미도시)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하부에 위치한 피압박물을 압박하는 압박장치에 사용될 수도 있으나, 실시예1과 달리 수평지지틀(도면 미도시)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피압박물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압박물을 압박하는 압박장치에 사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3
실시예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박장치를 이용한 방수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6은 실시예3의 흐름도를, 도7은 실시예3에 사용되는 보강판의 사시도를, 도8은 실시예3의 보강판 이격단계가 수행된 후의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바닥면 도포단계(S10), 제1 플라스틱판 적층단계(S20), 제1 플라스틱판 압박단계(S30), 제1 플라스틱판 이격단계(S40), 제1 플라스틱판 도포단계(S50), 보강판 적층단계(S60), 보강판 압박단계(S70), 보강판 이격단계(S80), 보강판 도포단계(S90), 제2 플라스틱판 적층단계(S100), 제2 플라스틱판 압박단계(S110), 제2 플라스틱판 이격단계(S120)를 포함한다.
바닥면 도포단계(S10)에서는 외주연을 따라 상부로 돌출턱이 형성된 받침틀(500, 도8 참조) 바닥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제1 플라스틱판 적층단계(S20)에서는 접착제가 도포된 받침틀(500, 도8 참조) 바닥면에 제1 플라스틱판을 적층한다. 제1 플라스틱판은 FRP판일 수 있다.
제1 플라스틱판 압박단계(S30)에서는 제1 플라스틱판 적층단계(S20)에서 적층된 제1 플라스틱판을 압박한다. 제1 플라스틱판 압박단계(S30)는 상하 이동수단(200, 도1 참조)을 작동하여 압박부재(430, 도1 참조)의 개방단이 제1 플라스틱판 적층단계(S20)에서 적층된 제1 플라스틱판을 압박하도록 한다. 이때, 수평 이동대(330, 도1 참조) 및 압박대(400, 도1 참조)를 이동시켜 압박부재(430, 도1 참조)의 개방단이 원하는 부위를 압박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플라스틱판 이격단계(S40)는 제1 플라스틱판이 받침틀(500, 도8 참조) 바닥면에 접착된 후에 수행된다. 제1 플라스틱판 이격단계(S40)에서는 상하 이동수단(200, 도1 참조)을 작동하여 압박부재(430, 도1 참조)의 개방단을 1 플라스틱판 압박단계(S30)에서 압박된 제1 플라스틱판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제1 플라스틱판 도포단계(S50)에서는 받침틀(500, 도8 참조) 바닥면에 접착된 제1 플라스틱판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보강판 적층단계(S60)에서는 접착제가 도포된 제1 플라스틱판에 보강판(600, 도7 참조)을 적층한다. 도7을 참조하면 보강판(600)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공(610)이 형성된다. 보강판(600)은 합판일 수 있다.
보강판 압박단계(S70)에서는 보강판 적층단계(S60)에서 적층된 보강판(600, 도8 참조)을 압박한다. 보강판 압박단계(S70)에서는 상하 이동수단(200, 도1 참조)을 작동하여 압박부재(430, 도1 참조)의 개방단이 보강판 압박단계(S70)에서 적층된 보강판(600, 도8 참조)을 압박하도록 한다. 이때, 수평 이동대(330, 도1 참조) 및 압박대(400, 도1 참조)를 이동시켜 압박부재(430, 도1 참조)의 개방단이 상기 보강판(600, 도8 참조)의 관통공(610, 도7 참조)과 관통공(610, 도7 참조) 사이의 영역을 압박하도록 한다. 보강판(600, 도8 참조)이 압박됨에 따라 제1 플라스틱판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의 일부가 관통공(610, 도7 참조)을 통하여 보강판(600, 도8 참조) 상면으로 용출된다. 따라서 접착제가 보강판(600, 도8 참조)과 제1 플라스틱판 사이에 일정한 두께로 고루 퍼지게 되고, 또한 보강판(600, 도8 참조) 상면으로 용출되는 접착제가 압박부재(430, 도1 참조)에 달라 붙지 않게 된다.
보강판 이격단계(S80)는 보강판(600, 도8 참조)이 제1 플라스틱판 상면에 접착된 후에 수행된다. 보강판 이격단계(S80)에서는 상하 이동수단(200, 도1 참조)을 작동하여 압박부재(430, 도1 참조)의 개방단을 보강판 압박단계(S70)에서 압박된 보강판(600, 도8 참조)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보강판 도포단계(S90)에서는 보강판 압박단계(S70)에서 압박된 보강판(600, 도8 참조)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제2 플라스틱판 적층단계(S100)에서는 접착제가 도포된 보강판(600, 도8 참조)에 제2 플라스틱판을 적층한다. 제2 플라스틱판은 FRP판일 수 있다.
제2 플라스틱판 압박단계(S110)에서는 제2 플라스틱판 적층단계(S100)에서 적층된 제2 플라스틱판을 압박한다. 제2 플라스틱판 압박단계(S110)는 상하 이동수단(200, 도1 참조)을 작동하여 압박부재(430, 도1 참조)의 개방단이 제2 플라스틱판 적층단계(S100)에서 적층된 제2 플라스틱판을 압박하도록 한다. 이때, 수평 이동대(330, 도1 참조) 및 압박대(400, 도1 참조)를 이동시켜 압박부재(430, 도1 참조)의 개방단이 원하는 부위를 압박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플라스틱판 이격단계(S120)는 제2 플라스틱판이 보강판(600, 도8 참조) 상면에 접착된 후에 수행된다. 제2 플라스틱판 이격단계(S120)에서는 상하 이동수단(200, 도1 참조)을 작동하여 압박부재(430, 도1 참조)의 개방단을 2 플라스틱판 압박단계(S110)에서 압박된 제2 플라스틱판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실시예3의 경우 제2 플라스틱판 이격단계(S120) 후에 새로운 보강판 및 새로운 플라스틱판을 차례로 적층시켜 접착시키는 과정이 상기한 과정과 유사한 방식으 로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3에 따르면 상하 이동수단(200, 도1 참조)의 작동에 따라 플라스틱판과 보강판이 다수개 교번하여 적층되는 방수판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1의 사시도.
도2는 실시예1에 있어서 압박대가 연결된 수평 지지틀의 사시도.
도3은 실시예1에 있어서 압박대가 연결된 수평 이동대의 사시도.
도4는 실시예1의 압박대의 사시도.
도5는 실시예1의 상하 이동수단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6은 실시예3의 흐름도.
도7은 실시예3에 사용되는 보강판의 사시도.
도8은 실시예3의 보강판 이격단계가 수행된 후의 상태도.
도9는 종래의 방수판 제조방법의 일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수직 지지틀 110:수직 이동대
112:앙카 120:수직 이동대 연결봉
200:상하 이동수단 210:실린더 튜브
220:피스톤 로드 230:"U"자형 연결봉
240:삽입봉 250:스냅링
260:공압 또는 유압 분배기
300:수평 지지틀 311:제1 이동 안내대
312:제2 이동 안내대 321:제1 연결대
322:제2 연결대 321h, 322h:연결대 관통공
330:수평 지지틀
331:제1 안내수단 332:제2 안내수단
340:수직 안내수단 400:압박대
410:압박대 연결수단 420:압축 코일 스프링
430:압박부재 500:받침틀
600:보강판 610:관통공

Claims (14)

  1. 수직 지지틀에 설치되는 상하 이동수단;
    상기 상하 이동수단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수평 지지틀;
    상기 수평 지지틀의 하부 이동시 탄성력에 의하여 하방향에 위치한 피압박물을 압박할 수 있도록, 압박대 연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수평지지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압박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압박대는 상측단이 상기 압박대 연결수단에 연결되는 압축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측단에 연결되는 압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재는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하측단이 연결 지지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개방단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2개의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틀은,
    상호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1 이동 안내대 및 제2 이동 안내대;
    제1 안내수단에 의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1 이동 안내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안내수단에 의하여 타측단이 상기 제2 이동 안내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이동대;
    를 포함하며,
    상기 압박대 연결수단은 상기 각각의 수평 이동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틀이 상기 수직 지지틀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 지지틀을 상기 수직 지지틀에 연결하는 수직 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이고,
    상기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외측단은 상기 수평 지지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틀은 상기 제1 이동 안내대 및 제2 이동 안내대의 일측단을 연결하는 제1 연결대와, 상기 제1 이동 안내대 및 제2 이동 안내대의 타측단을 연결하는 제2 연결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외측단은 로드 연결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1 연결대 또는 제2 연결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연결수단은,
    상기 제1 연결대 또는 제2 연결대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연결대 관통공에 끼워지는 삽입봉;
    상기 삽입봉의 양측단이 끼워져 지지되는 2개의 지지링;
    상기 2개의 지지링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측단에 고정되는 "U"자형 연결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수단은 내측면이 상기 제1 이동 안내대 외측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블록이고,
    상기 제2 안내수단은 내측면이 상기 제2 이동 안내대 외측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블록이고,
    상기 수직 안내수단은 내측면이 상기 수직 지지틀의 수직 이동대 외측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는 하나의 공압 또는 유압 분배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11. 수평 지지틀;
    하방향에 위치한 피압박물을 압박할 수 있도록, 압박대 연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수평지지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압박대;
    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압박대는 상측단이 상기 압박대 연결수단에 연결되는 압축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측단에 연결되는 압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유닛.
  12. 제3항의 압박장치를 이용한 방수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 플라스틱판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 플라스틱판 도포단계;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제1 플라스틱판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보강판을 적층하는 보강판 적층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압박부재의 개방단이 상기 보강판의 관통공과 관통공 사이의 영역을 압박하도록 하는 보강판 압박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압박부재의 개방단을 상기 보강판 압박단계에서 압박된 보강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보강판 이격단계;
    상기 제1 이격단계 후에 상기 보강판 압박단계에서 압박된 보강판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보강판 도포단계;
    제2 플라스틱판을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보강판에 적층하는 제2 플라스틱판 적층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압박부재의 개방단이 상기 제2 플라스틱판 적층단계에서 적층된 제2 플라스틱판을 압박하도록 하는 제2 플라스틱판 압박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압박부재의 개방단을 상기 제2 플라스틱판 압박단계에서 압박된 제2 플라스틱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 프라스틱판 이격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판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라스틱판은,
    외주연을 따라 상부로 돌출턱이 형성된 받침틀 바닥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바닥면 도포단계;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받침틀 바닥면에 제1 플라스틱판을 적층하는 제1 플라스틱판 적층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압박부재의 개방단이 상기 제1 플라스 틱판 적층단계에서 적층된 제1 플라스틱판을 압박하도록 하는 제1 플라스틱판 압박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압박부재의 개방단을 상기 1 플라스틱판 압박단계에서 압박된 제1 플라스틱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 플라스틱판 이격단계;
    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받침틀 내부에 고착된 플라스틱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판 제조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라스틱판 및 제2 플라스틱판은 FRP판이고,
    상기 보강판은 합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판 제조방법.
KR1020080037145A 2008-04-22 2008-04-22 압박장치, 압박장치 유닛 및 방수판 제조방법 KR100935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145A KR100935423B1 (ko) 2008-04-22 2008-04-22 압박장치, 압박장치 유닛 및 방수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145A KR100935423B1 (ko) 2008-04-22 2008-04-22 압박장치, 압박장치 유닛 및 방수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500A KR20090111500A (ko) 2009-10-27
KR100935423B1 true KR100935423B1 (ko) 2010-01-06

Family

ID=4153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145A KR100935423B1 (ko) 2008-04-22 2008-04-22 압박장치, 압박장치 유닛 및 방수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4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424A (ja) 1999-04-12 2000-10-24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テープ切断圧着装置およびテープ切断圧着方法
KR20030057350A (ko) * 2001-12-25 2003-07-0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열압착장치 및 열압착방법
KR100762254B1 (ko) 2006-11-21 2007-10-04 (주)하이드로 메틱스 연료전지 스택 조립용 프레스
KR20080008023A (ko) * 2006-07-19 2008-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기판 가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424A (ja) 1999-04-12 2000-10-24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テープ切断圧着装置およびテープ切断圧着方法
KR20030057350A (ko) * 2001-12-25 2003-07-0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열압착장치 및 열압착방법
KR20080008023A (ko) * 2006-07-19 2008-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기판 가압장치
KR100762254B1 (ko) 2006-11-21 2007-10-04 (주)하이드로 메틱스 연료전지 스택 조립용 프레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500A (ko)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4846A1 (en) Method of thermoforming a fluid-filled bladder
KR100935423B1 (ko) 압박장치, 압박장치 유닛 및 방수판 제조방법
KR101888873B1 (ko)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소성가공장치
NZ538010A (en) Method of producing reinforced, formed fabrics
CN211334784U (zh) 一种带有缓冲装置的压合机架
CN107830031B (zh) 防止工件上跳的保压机构
CN206913295U (zh) 一种新型移动头式裁断机
CN213002062U (zh) 一种应用于拉伸油压机合模的定位机构
CN110935778B (zh) 一种多功能试验机及其使用方法
CN210100197U (zh) 一种印刷机械模切机模座
US5487332A (en) Platen press for woodworking
KR101430711B1 (ko) 전지 케이스 제조용 임팩트 성형장치
CN218361521U (zh) 一种五金冲压件用液压机
CN102785281B (zh) 一种可自由移动的混凝土大板台座与钢模
CN114346060B (zh) 一种用于智能制造的板材冲孔设备
CN219649148U (zh) 一种内、外面板压合装置
CN209813350U (zh) 一种粘合机
CN214338450U (zh) 一种蜂鸣器盖板整平装置
CN217019303U (zh) 一种自动化组装贴附加压系统
CN216968762U (zh) 一种防火门生产设备
CN215319263U (zh) 一种木料板材压板机
CN210329578U (zh) 一种制鞋压底机的压底装置
EP1704041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teils
CN210910847U (zh) 一种塑料桶加工成型机
EP4140686A1 (en) Method for combining foam with reinforced core and articl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