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966B1 - 포스트 보강용 칼라를 구비한 파워-리턴 줄자와 이의조립방법 - Google Patents

포스트 보강용 칼라를 구비한 파워-리턴 줄자와 이의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966B1
KR100934966B1 KR1020077028073A KR20077028073A KR100934966B1 KR 100934966 B1 KR100934966 B1 KR 100934966B1 KR 1020077028073 A KR1020077028073 A KR 1020077028073A KR 20077028073 A KR20077028073 A KR 20077028073A KR 100934966 B1 KR100934966 B1 KR 100934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collar
distal end
fasten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4817A (ko
Inventor
제임스 엠. 크리텔리
조나단 에스. 베크위드
Original Assignee
쿠우퍼 브랜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우퍼 브랜즈, 인크. filed Critical 쿠우퍼 브랜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14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41Measuring tapes characterised by casings
    • G01B3/1046Details of external structure thereof, e.g. shapes for ensuring firmer hold
    • G01B3/1048Integrated means for affixing or ho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2003/1023Winding mechanisms
    • G01B2003/103Winding mechanisms operated by sp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41Measuring tapes characterised by casings
    • G01B3/1046Details of external structure thereof, e.g. shapes for ensuring firmer ho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용 인입스프링을 연결하는 단부 틈새를 갖는 길이방향의 슬롯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아암을 구비한 줄자에 관한 것이다. 포스트 말단부는 패스너를 매개로 하여 하우징의 측벽에 고정되고, 포스트의 패스너 맞물림영역은 틈새에서 패스너의 말단부까지 길게 뻗는다. 분리형 칼라는 포스트의 말단부에 배치되어 서로 떨어져 있는 아암의 이동을 제한한다. 칼라는 패스너 맞물림영역의 절반 정도까지 포스트를 덮어 씌우고 포스트의 숄더부에 인접한다. 패스너는 칼라를 구비하지 않은 제1인발저항력과 칼라를 구비한 제2인발저항력을 갖으며, 상기 제2인발저항력은 제1인발저항력의 적어도 2배로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이의 조립방법도 기술된다.

Description

포스트 보강용 칼라를 구비한 파워-리턴 줄자와 이의 조립방법 {Tape measure with post reinforcing collar}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직선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유형의 파워-리턴(power-return) 줄자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줄자는 통상적으로 인입(引入)위치를 향해 편향된 스프링으로 편향되는 코일형 줄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우징은 줄과 인입용 스프링을 둘러싸고 보호하며, 줄의 말단부가 관통하여 길게 뻗을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줄자의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나사로 결합되는 이등분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있다. 덧붙여서, 하우징 절반부 중 하나는 인입스프링의 한쪽 단부를 위한 고정지점을 제공하는 내부로 향해 있는 위치지정 포스트(post)를 구비한다. 사용중에, 줄자의 말단부는 하우징 밖으로 잡아 당겨지고, 놓아주면, 스프링이 줄을 하우징 내부로 다시 잡아 당겨서 줄이 인입위치으로 복귀하게 된다.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줄자를 설계할 때 중요한 사항 중 하나는 구조적으로 자주 발생할 수 있는데 반복적으로 줄자를 처지게 한 후에도 줄자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처진 줄자는 인입스프링에 종종 나타나는 부하에 실질적으로 충격을 주어 죄여지거나 달리 고정포스트에 대해서 제대로 정렬되지 못하여, 줄자를 사 용하지 못하게 한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하우징에 포스트를 고정되어, 포스트의 양 단부에서 나사체결한다.
통상적으로, 포스트는 인입스프링을 끼워 넣는데 사용하는 슬롯을 구비한다. 실제로, 포스트를 배열하는 시도에서 포스트의 한쪽 단부에 사방으로 뻗는 슬롯을 구비하여, 스프링이 포스트의 "스플릿(split)"단부에서 슬롯으로 스프링을 삽입하도록 포스트에 끼워지게 미끄러진다. 그런 다음에, 설치가 완료되면, 하우징에 포스트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나사는 슬롯을 폐쇄하여서, 슬롯에서 스프링을 잡는다. 추가로, 줄자의 벨트 클립은 때때로 포스트의 스플릿단부를 고정하는 나사를 사용하여 하우징에 장착된다. 하지만, 이러한 유형의 하우징에 벨트 클립을 고정하는 것은, 특히 줄자가 사용자의 패캐지에서 분리될 때 나사를 잡아당겨 유지된다.
따라서, 이들은 바람직한 줄자 구조에 필요하며, 특히 더욱 튼튼한 구조를 갖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파워-리턴 줄자와, 인입스프링을 보유지지하는 포스트에 사용되는 패스너를 보존하도록 돕는 강화용 칼라를 사용하는 파워-리턴 줄자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예에서, 줄자는, 제1 및 제2측벽과 상기 측벽 사이로 뻗어 있는 외주벽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제1 및 제2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뻗어 있으며, 상기 제1측벽에 고정된 근접단부와 상기 근접단부로부터 떨어져서 단부 틈새를 갖는 길이방향의 슬롯을 형성하여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제1과 제2아암 및, 상기 단부 틈새로 이루어진 말단부를 구비한 포스트; 줄자 블레이드용 인입편향부를 구비하도록, 상기 슬롯을 매개로 하여 포스트에 결합된 줄자 블레이드용 인입스프링; 상기 제2측벽과 단부 틈새를 관통하여 뻗고 슬롯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 마감되며, 단부 틈새에서 마감위치까지 뻗는 패스너 맞물림영역을 형성하도록 포스트의 내부와 맞물리고, 상기 제2측벽에 포스트 말단부를 고정하는 패스너(예컨대, 나사) 및; 상기 하우징과 포스트와는 분리되어 있고, 말단부에 근접하게 포스트에 배치되어 상기 패스너 맞물림영역의 절반 정도로 포스트를 덮어 씌우며, 길이방향의 축으로부터 떨어져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고 포스트에 맞물리는 칼라(collar);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줄자는, 제1 및 제2측벽과 상기 측벽 사이로 뻗어 있는 외주벽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제1 및 제2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뻗어 있으며, 상기 제1측벽에 고정된 근접단부와 상기 근접단부로부터 떨어져 서 단부 틈새를 갖는 길이방향의 슬롯을 형성하여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제1과 제2아암 및, 상기 단부 틈새로 이루어진 말단부을 구비한 포스트; 줄자 블레이드용 인입편향부를 구비하도록, 상기 슬롯을 매개로 하여 포스트에 결합된 줄자 블레이드용 인입스프링; 상기 제2측벽과 단부 틈새를 관통하여 뻗고 슬롯을 따라 마감되며, 포스트와 맞물리고, 상기 제2측벽에 포스트 말단부를 고정하는 패스너 및; 상기 하우징과 포스트와는 분리되어 있고, 말단부에 근접하게 포스트에 배치되어 상기 포스트와 패스너의 일부를 덮어 씌우며, 서로에 대해서 떨어져 있는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고 포스트에 맞물리는 칼라(collar);로 이루어지는바, 여기서 패스너는 칼라를 구비하지 않은 제1인발저항력과 칼라를 구비한 제2인발저항력을 갖으며, 상기 제2인발저항력은 제1인발저항력의 적어도 2배로 크다.
다른 실시예에서, 줄자는, 제1 및 제2측벽과 상기 측벽 사이로 뻗어 있는 외주벽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제1 및 제2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뻗어 있으며, 상기 제1측벽에 고정된 근접단부와 상기 근접단부로부터 떨어져서 단부 틈새를 갖는 길이방향의 슬롯을 형성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제1과 제2아암 및, 상기 단부 틈새로 이루어진 말단부를 구비하며, 숄더부로 구획된 감소된 단면을 갖는 말단부에 인접하게 영역을 추가로 구비하는 포스트; 줄자 블레이드용 인입편향부를 구비하도록, 상기 슬롯을 매개로 하여 포스트에 결합된 줄자 블레이드용 인입스프링; 상기 제2측벽과 단부 틈새를 관통하여 뻗고 제2측벽에 포스트 말단부를 고정하는 패스너 및; 상기 하우징과 포스트와는 분리되어 있고, 말단부에 근접한 포스트에 대해서 배치되고 숄더부에 인접해 있으며, 서로에 대해서 떨어져 있는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는 칼라;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줄자는, 제1 및 제2측벽과 상기 측벽 사이로 뻗어 있는 외주벽을 구비한 주케이스와; 상기 제1 및 제2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뻗어 있고, 제1측벽에 고정된 근접단부와 이 근접단부로부터 떨어져서 단부 틈새를 갖는 길이방향의 슬롯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아암 및 단부 틈새로 이루어진 말단부를 구비하는 포스트; 줄자 블레이드용 인입편향부를 구비하도록, 상기 슬롯을 매개로 하여 포스트에 결합된 줄자 블레이드 인입스프링; 제1측벽과 단부 틈새를 관통하여 뻗어 있고 포스트 말단부를 제2측벽에 고정하는 패스너 및; 서로에 대해 떨어져 있는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하우징과 포스트에서 분리되어 있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전술된 몇몇 실시예는 아래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구비한다. 포스트는 감소된 단면을 갖는 말단부에 인접한 영역을 구비하는데, 칼라가 감소된 영역에서 포스트와 맞물려진다. 칼라는 패스너 맞물림영역의 적어도 75% 또는 적어도 90% 정도로 포스트를 덮어 씌어서 보강된다. 제2측벽은 포스트 말단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내부로 향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데, 칼라의 말단부는 오목부에 배치된다. 줄자용 지지수단, 예컨대 벨트 클립은 패스너로서 하우징에 고정된다. 포스트는 주케이스와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줄자의 조립방법은, 주케이스와 상기 주케이스에 결합되고 제1 및 제2아암을 형성하기 위해 말단부까지 뻗어 있는 슬롯을 구비한 포스트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슬롯을 매개로 하여 포스트에 스프링을 연결하는 단계; 하우징으로 줄자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단계와 스프링에 인입력을 제공하는 단계; 주케이스의 측벽을 관통하여 뻗어 있고 상기 포스트의 내부와 맞물리는 패스너로 주케이스에 포스트의 말단부를 고정하는 단계와 포스트의 내부에 맞물리는 단계 및; 서로 떨어져 있는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고자 하우징 내부에서 포스트의 말단부에 대해 칼라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칼라는 하우징과 포스트에서 분리되나 포스트와는 맞물려져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패스너를 갖춘 주케이스의 외부에 줄자 지지수단을 체결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한다. 포스트와 병합되어 있는 패스너 맞물림영역은 포스트의 말단부 상의 개구부로부터 패스너가 포스트를 따라 마감되는 위치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되, 포스트의 말단부에 칼라를 배치하는 단계는 패스너 맞물림영역의 적어도 50%로 놓여지게 포스트의 말단부에 대해서 칼라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몇몇 실시예에서, 칼라는 칼라를 구비하지 않은 동일한 구조물와 비교하여 패스터의 인발저항력에 적어도 2배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줄자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줄자 하우징의 사시도로서, 명료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몇몇 부재(예컨대, 나사, 클립 등)들을 도시하지 않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합한 포스트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대응하는 칼라를 구비한 포스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줄자 조립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더욱 확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인입스프링와 포스트 및 릴(reel)를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도해되었듯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줄자(10)가 도시된다. 줄자(10)는 감겨지는 줄 또는 블레이드(12)와 이에 병합되는 하우징(20)을 구비한다. 블레이드(12)의 말단부는 하우징(20)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부후크(1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줄편향장치, 즉 인입스프링(88)은 블레이드(12)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인입위치를 향해 블레이드(12)를 편향시킨다. 토 글(16) 또는 유사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잠금설비는 하우징(20)의 내부와 외부로 블레이드(12)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클립(18)은, 때때로 벨트 클립으로 언급됨, 아래에 기술되듯이 하우징(20)의 측면에 장착된다. 파워-리턴 줄자의 일반적인 구조와 작동은 종래기술로 널리 공지되어 있어, 몇몇 구성부재의 추가적인 상세한 설명은 명료성을 위해서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하지만, 추가적인 설명은 미국 특허 제4,527,334호, 동 제4,976,048호 및, 동 제6,349,482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에 병합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하우징(20)은 주케이스 또는 동체(30)와 동체(30) 상에 장착되는 그립부재(36)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하우징(20)은 거의 사각형상으로 되되, 상단 후미모서리부가 둥글게 만곡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다. 하우징(20)은 마주보는 한쌍의 측벽(32)과 상호 연결하는 외주벽(34)을 구비하는바, 블레이드(12)의 권취부와 적당한 줄-편향장치 및 잠금설비의 일부를 수용하는 내부채임부(29)를 형성한다. 참조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벽(34)과 동체(30)는 상부(22)와, 바닥(24), 전방(26) 및, 후방(28)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적으로, 하우징(20)은 내부채임버(29)로 연결하는 하단 전방모서리부 근방으로 개구부(27)를 구비한다. 블레이드(12)의 말단부는 이 개구부(27)를 통해 길이연장한다. 하우징(20)은 사용자의 손으로 감쌀 수 있는 크기가 바람직하며, 작업 벨트 또는 공구박스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체(30)는 우측 동체부(30a)와 좌측 동체부(30b)로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종래기술로 공지된 바와 같이 적당한 나사(38)로 체결된다. 2개의 동체부(30a,30b)의 외부형상과 그립부재(36)는 대칭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구지 대칭일 필요는 없다. 실제로, 2개의 동체부(30a,30b)는 종래기술로 공지된 바와 같이 줄자(10)의 내부작동에 따라 다른 내부형상과 외부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20)의 가능한 추가적인 외부형상은 미국 특허출원공보 제2003/0233762호의 "그립부재를 구비한 줄자 하우징"에 기재되어 있는데, 본 명세서에 이를 참조하여 병합되어 있다.
블레이드 권취드럼(86;또는 릴(reel))은 하우징(20)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통상적으로 2개의 평행한 플랜지와 중재 코어를 갖춘 실패형상으로 되어 있다. 블레이드(12)가 인입스프링(88)을 실제로 수용하는 중앙 공동부를 제공하는 코어의 내부를 갖춘 나선형 코일의 코어에 대해서 감겨진다. 스프링(88)은 아래에 기술되듯이 포스트(40)의 한쪽 단부에 고정되고 블레이드(12)를 편향시켜 인입한다. 드럼(86)은 보스(82;boss)와 같이, 측벽(32)에 적당한 보스 또는 당해분야에 이미 널리 알려진 회전구조체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포스트(40)는 하우징 내부에서, 각 측벽(32) 사이로 배열되고 인입스프링(88)용 고정지점을 제공한다. 포스트(40)는 동체부(30a,30b) 중 하나에 일체로 되어 있거나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되는 포스트가 바람직한데, 2개의 구조배열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구조체일지라도 아래의 설명에서는 포스트(40)가 분리부품으로 되어 있다. 한 실시예에서, 포스트(40)는 컬럼부(42)와 고정(혹은 기초)부(50)를 구비한다. 컬럼부(42)는 일반적으로 축(44)을 따라 길이연장되고 슬롯(49)으로 일반적인 원형단면을 분할한다. 슬롯(49)은 포스트(40)의 마감단부(46) 로부터 고정부(50)를 향해 뻗고, 직선으로 뻗는 것이 바람직하나 구지 직선으로 뻗을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슬롯(49)이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아암(62a,62b)을 형성할 수 있게 돕는다. 포스트(40)의 마감단부(46)는 아래에 기술되듯이 포스트 고정나사(90a)에 적당한 구멍(48)을 구비한다. 구멍(48)은 슬롯(49)을 연장하고 슬롯(49)의 나머지까지 접근하게 구비된다. 포스트(40)의 고정부(50)는 이미 널리 알려진 방식으로 하우징(20)에 고정된다. 예컨대, 포스트 고정부(50)는 플랜지(52), 다수의 리브(54) 및, 편평부(56)를 구비한다. 플랜지(52)는 컬럼부(42)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원형상으로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54)는 축(44)에서 외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뻗는다. 컬럼부(42)의 반대편에 있는 고정부(50)의 단부는 구멍(58)을 구비하는바, 크기면에서 구멍(48)과 비슷하며, 고정나사(90a)를 수용한다. 포스트(40)의 고정부(50)의 한 실시예와 하우징(20)에 상호 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미국 특허 제6,718,649호로 기재되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병합된다.
보강용 칼라(70)는 포스트(40)의 컬럼부(42)에 대해 배치되되, 포스트(40)는 측면(32)에 맞물린다. 칼라(70)의 내부면(72)이 포스트(40)가 포스트 고정나사(90b)와 맞물리는 영역에서 포스트(40)의 외부면과 맞물린다. 실제로, 나사(90b)가 포스트(40)와 맞물리는 영역은 패스너 맞물림영역(80)으로 간주되며, 이는 구멍(48)에서 나사(90)가 슬롯(49)에서 마감되는 지점까지 뻗는다. 칼라(70)는 패스너 맞물림영역(80)의 일부에서 포스트(40)를 덮어 씌운다. 그러므로, 나사(90b)가 존재할 때, 칼라(70)는 이들 사이로 포스트(40)에 간접적으로 혹은 슬롯(49)를 매 개로 하여 직접적으로 나사(90b)의 일부에 덮어 씌어진다. 칼라(70)는 아암(62a,62b)의 외부이동을 제한하여서, 아래에 기술되듯이 포스트(40)와 나사(90b) 사이의 파지세기를 강화한다.
한 실시예에서, 칼라(70)는 실린더형 금속본체 길이(L)와 벽 두께(T)의 형태를 갖는다. 이 실시예를 위해, 칼라(70)의 내경은 포스트(40)의 대응하는 외경보다 거의 크지 않아, 이들 사이에서 미끄러지면서 끼워넣어진다. 칼라(70)의 벽 두께(T)는 필요한 세기 및 다른 고려사항에 종속되되, 저탄소강 혹은 중탄소강로 된 칼라(70)의 벽 두께(T)는 대략 0.4mm(0.0157in)가 적당하다. 축(44)을 따라 칼라(70)의 길이(L)는 칼라(70)와 포스트(40) 사이의 중첩되는 부분에 종속된다. 만약 칼라(70)가 패스너 맞물림영역(80)의 절반 이상으로 충분히 길게 놓여져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며,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75%, 더욱 바람직하기로 90%로 놓여진다.
줄자(10)가 조립될 때, 포스트(40)의 말단팁은 좌측 동체부(30b)의 측벽(32)의 보스(82)로 형성된 오목부(84)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라(70)가 몇몇 실시예에서 오목부(84) 외부에 존재하는데, 다른 실시예에서는 칼라(70)의 말단부(74)가 오목부(84)에 위치된다. 하우징(20)을 위한 임의의 현존하는 가공으로 변형을 피하기 위해서, 칼라(70)를 수용하는 감소된 단면을 갖는 영역(78)은 포스트(40)의 컬럼부(42)를 갖춰 칼라(70)가 감소된 영역(78)으로 채워져 컬럼부(42)의 나머지와 상응하는 단면크기를 갖는 포스트와 칼라의 조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감소된 단면영역(78)은 포스트(40)를 따라 칼라(70)를 축방향으로 위치시키는 숄더부(78a)에서 포스트의 나머지와 결합한다. 이러한 배열을 위해, 칼라(70)는 오목 부(84)의 현재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포스트(40) 상으로 끼워 넣어진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칼라(70)는 포스트(40) 상에 숄더부(78a)와 오목부(84)의 바닥면 사이로 넣어지는데, 이들이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칼라(70)는 포스트(40)의 아암(62a,62b)의 외부이동을 제한하여서, 나사(90b)와 포스트(40) 사이의 그립세기를 증가시킨다. 아암(62a,62b)이 외부를 향해 측면(예컨대, 방사상으로)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기 때문에, 나사(90b)의 나사산이 패스너 맞물림영역(80)에 포스트(40)의 내부면에 적당하게 맞물려 머물게 된다. 칼라(70)의 존재로 나사(90b)의 "인발저항력"으로 언급된 세기가 증가한다. 인발저항력은 포스트(40)와 나사(90b)와의 맞물림 상태에서 뽑아내는 힘의 양을 반영한다(그럼으로써, 예컨대, 클립(18)을 하우징(20)에서 제거하게 된다). 칼라(70)를 구비하지 않은 전술된 구조로 이루어진 줄자의 나사(90b)가 10~15 lb(파운드) 정도의 제1인발저항력을 갖을 것이다. 위치선정된 칼라(70)를 구비한 전술된 구조로 이루어진 줄자의 나사(90b)는 30 lb 이상의 제2인발저항력을 갖을 것이다.
몇몇 실험은 인발력의 증가를 증명하기 위해 실행된다. 이러한 실험은 도 4에 도시된 일반적인 유형의 금속 포스트 내로 나사체결을 유발한다. 그런 다음에, 포스트에서 나사를 뽑아 내기 위해 필요한 인장력은 측정가능한 수준 이하로 나타날 것이나, 약 40 lb 이하일 것이다. 다른 실례는 유사한 유형으로 준비되는데, 추가된 도 4에 도시된 유형의 칼라를 구비한다. 포스트에서 나사를 뽑아 내기 위해 필요한 인장력은 130 lb 를 초과한다. 완전한 줄자에서 실행하지 않았기에, 이러한 결과는 칼라(70)의 추가가 나사(90b)의 인발저항력을 적어도 2배로 증가시키고, 유사하게 인발저항력이 그 이상으로 증가한다.
줄자를 지지하는 외부수단은 벨트 클립(18)으로 구비된다. 벨트 클립(18)은 종래기술로서 이미 알려져 있듯이 변형된 "R"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527,334호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병합된다. 물론 다른 형상의 클립(18)이 가능하다. 실제로, 줄자 지지수단은 브래킷 형태를 취하는데, 스프링 편향 피봇 아암클립(spring biased pivot arm clip), 자석 또는 줄자기술에서 이미 널리 알려진 다른 장착/지지수단을 구비한다.
줄자(10)는 대부분의 종래기술을 사용하여 조립되는데, 몇몇 변형예는 칼라를 추가로 수용한다. 예컨대, 포스트(40)의 고정위치(50)는 우측 동체부(30a)에 결합되고, 릴(86)과 스프링(88)은 우측 동체부(30a)에 장착되되, 스프링(88)의 한쪽 단부가 포스트(40)의 슬롯(49)으로 삽입된다. 그런 다음에, 릴(86)이 우측 동체부(30a)에 일시적으로 죄여지고 스프링(88)의 "자유 단부"는 릴(86)에 대해서 회전되어, 선부하가 동력으로 작동하는 권취도구/설비를 통상적으로 사용하여 스프링(88)에 가해진다. 스프링(88)의 자유 단부는 우측 동체부(30a)의 외부에서 보내지고 그런 다음에 선택적인 드럼 캡(도시되지 않음)은 드럼(86) 상에서 스냅체결되어져, 포스트(40)가 드럼 캡을 관통하여 뻗는다. 그런 다음에, 블레이드(12;후크(14)가 장착됨)는 스프링(88)의 자유 단부에 연결되고, 스프링(88)이 풀려져서 블레이드(12)가 릴(86) 상으로 감겨진다. 칼라(70)는 포스트(40) 상에 안착되고, 그런 다음에 잠금설비(예컨대, 토글(16))과 다른 관련 내부구성부재가 좌측 동체 부(30b)를 따라 추가된다. 나사(38)가 추가되어 하우징의 동체부(30a,30b)를 고정한다. 포스트 장착나사(90b)는 클립(18)과 이에 대응하는 측면(32)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포스트(40)의 각 구멍(48)으로 나사체결되어서, 동체(30)에 포스트(40)와 클립(18)을 견고하게 장착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줄자(10)의 조립체는 종래의 방식, 예컨대 라벨이 추가되고, 실험 등으로 계속된다.
대부분의 하우징은 탄성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 그립부재(36)를 제외하고 경화플라스틱(예컨대, ABS,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내구성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트(40)는 주조공정을 사용하는 강철 혹은 아연합금(예컨대, 자맥(zamak)-5로 알려져 있는 아연-알루미늄-마그네슘-구리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성 포스트(40)는 작은 크기로 되어 있으나, 필요한 세기를 보유하고 있다. 칼라(70)는 저탄소강 혹은 중탄소강과 같은 금속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설명에서, 하우징(20)에 포스트(40)의 말단부(46)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스너가 나사체결된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패스너 맞물림영역(80)에 포스트(40)의 내부가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선택가능하기로 포스트 장착나사(90b)가 셀프 태핑(self-tapping)방식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항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대신에, 패스너(90b)는 직각 걸이 패스너(quarter-turn fastener), 래치 샤프트(latching shaft), 바브(barb)를 구비한 스냅용 포스트(snap-fit post) 등와 같은 나사 이외의 형태로 취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칼라(70)는 포스트(40)의 아암(62a,62b)를 패스너(90b)와 맞물려져 측면 밖으로 이 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줄자(10)는 개구부(27)에 인접하게 충격흡수용 범퍼와, 특히 코팅된 블레이드(12), 보강용 후크(14), 다양한 잠금설비 등과 같이 종래기술에 알려져 있는 다른 특징을 구비한다.
물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특정한 방식 내에서 실행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들은 도해된 모든 측면과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변형되는 변형예의 모든 사항을 고려한다.

Claims (26)

  1. 제1 및 제2측벽과 상기 측벽 사이로 뻗어 있는 외주벽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제1 및 제2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뻗어 있으며, 상기 제1측벽에 고정된 근접단부와 상기 근접단부로부터 떨어져서 단부 틈새를 갖는 길이방향의 슬롯을 형성하여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제1과 제2아암 및, 상기 단부 틈새를 구비하는 말단부을 구비한 포스트;
    줄자 블레이드용 인입편향부를 구비하도록, 상기 슬롯을 매개로 하여 포스트에 결합된 줄자 블레이드용 인입스프링;
    상기 제2측벽과 단부 틈새를 관통하여 뻗고 슬롯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 마감되며, 단부 틈새에서 마감위치까지 뻗는 패스너 맞물림영역을 형성하도록 포스트의 내부와 맞물리고, 상기 제2측벽에 포스트 말단부를 고정하는 패스너 및;
    상기 하우징과 포스트와는 분리되어 있고, 말단부에 근접하게 포스트에 배치되어 상기 패스너 맞물림영역의 절반 이상으로 포스트를 덮어 씌우며, 길이방향의 축으로부터 떨어져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고 포스트에 맞물리는 칼라(collar);로 이루어진 파워-리턴 줄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말단부에 인접한 곳에 감소된 단면을 갖는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칼라는 상기 감소된 단면을 갖는 영역에서 상기 포스트와 맞물리는 줄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상기 패스너 맞물림영역의 약 75%를 덮어 씌우고 상기 포스트를 보강하는 줄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상기 패스너 맞물림영역의 약 90%를 덮어 씌우고 상기 포스트를 보강하는 줄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은 상기 포스트의 말단부보다 큰 직경을 갖추고 내부로 향해 있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칼라의 말단부는 상기 오목부 내로 배치되는 줄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줄자 지지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줄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줄자 지지수단은 벨트 클립으로 이루어진 줄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하우징과 분리되어 있는 줄자.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은 상기 포스트의 말단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의 근접단부는 상기 말단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오목부에서 상기 제1측벽과 맞물리고, 상기 칼라의 말단부는 상기 말단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오목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포스트는 상기 말단부에 인접한 곳에 감소된 단면을 갖는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칼라는 상기 감소된 단면을 갖는 영역에서 상기 포스트와 맞물리고;
    상기 패스너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줄자 지지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칼라는 금속재로 되어 있는 줄자.
  11. 제1 및 제2측벽과 상기 측벽 사이로 뻗어 있는 외주벽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제1 및 제2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뻗어 있으며, 상기 제1측벽에 고정된 근접단부와 상기 근접단부로부터 떨어져서 단부 틈새를 갖는 길이방향의 슬롯을 형성하여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제1과 제2아암 및, 상기 단부 틈새로 이루어진 말단부을 구비한 포스트;
    줄자 블레이드용 인입편향부를 구비하도록, 상기 슬롯을 매개로 하여 포스트에 결합된 줄자 블레이드용 인입스프링;
    상기 제2측벽과 단부 틈새을 관통하여 뻗고 슬롯을 따라 마감되며, 포스트와 맞물리고, 상기 제2측벽에 포스트 말단부를 고정하는 패스너 및;
    상기 하우징과 포스트와는 분리되어 있고, 말단부에 근접하게 포스트에 배치되어 상기 포스트와 패스너의 일부를 덮어 씌우며, 서로에 대해서 떨어져 있는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고 포스트에 맞물리는 칼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스너는 칼라를 구비하지 않은 제1인발저항력과 칼라를 구비한 제2인발저항력을 갖으며, 상기 제2인발저항력은 제1인발저항력의 적어도 2배로 크게 되어 있는 파워-리턴 줄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말단부에 인접한 곳에 감소된 단면을 갖는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칼라는 상기 감소된 단면을 갖는 영역에서 상기 포스트와 맞물리는 줄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포스트의 내부와 맞물려져 패스너 맞물림영역이 상기 단부 틈새에서 상기 패스너가 상기 슬롯을 따라 마감되는 위치까지 뻗도록 형성되며, 상기 칼라가 상기 패스너 맞물림영역의 약 50%를 덮어 씌어서 상기 포스트를 보강하는 줄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상기 패스너 맞물림영역의 약 75%를 덮어 씌어서 상기 포스트를 보강하는 줄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은 상기 포스트의 말단부보다 큰 직경을 갖추고 내부로 향해 있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칼라의 말단부는 상기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줄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줄자 지지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줄자.
  17.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제2측벽은 상기 포스트의 말단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의 근접단부는 상기 말단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오목부에서 상기 제1측벽과 맞물리고, 상기 칼라의 말단부는 상기 말단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오목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포스트는 상기 말단부에 인접한 곳에 감소된 단면을 갖는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칼라는 상기 감소된 단면을 갖는 영역에서 상기 포스트와 맞물리고;
    상기 패스너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줄자 지지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칼라는 금속재로 되어 있는 줄자.
  18. 제1 및 제2측벽과 상기 측벽 사이로 뻗어 있는 외주벽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제1 및 제2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뻗어 있으며, 상기 제1측벽에 고정된 근접단부와 상기 근접단부로부터 떨어져서 단부 틈새를 갖는 길이방향의 슬롯을 형성하여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제1과 제2아암 및, 상기 단부 틈새로 이루어진 말단부을 구비하며, 숄더부로 구획된 감소된 단면을 갖는 말단부에 인접하게 영역을 추가로 구비하는 포스트;
    줄자 블레이드용 인입편향부를 구비하도록, 상기 슬롯을 매개로 하여 포스트에 결합된 줄자 블레이드용 인입스프링;
    상기 제2측벽과 단부 틈새를 관통하여 뻗고 제2측벽에 포스트 말단부를 고정 하는 패스너 및;
    상기 하우징과 포스트와는 분리되어 있고, 말단부에 근접한 포스트에 대해서 배치되고 숄더부에 인접해 있으며, 서로에 대해서 떨어져 있는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는 칼라;로 이루어지는 파워-리턴 줄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은 상기 포스트의 말단부보다 큰 직경을 갖추고 내부로 향해 있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칼라의 말단부는 상기 오목부 내로 배치되는 줄자.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줄자 지지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줄자.
  21. 삭제
  22. 삭제
  23.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제1 및 제2아암을 형성하기 위해 말단부까지 뻗어 있는 슬롯을 구비한 포스트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슬롯을 매개로 하여 상기 포스트에 스프링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으로 줄자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단계와 스프링에 인입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뻗어 있고 상기 포스트의 내부와 맞물리는 패스너로 상기 하우징에 상기 포스트의 말단부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포스트의 내부와 맞물리는 패스너로 포스트의 말단부를 고정하는 단계에서, 서로 떨어져 있는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고자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포스트의 말단부 둘레에 칼라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와 맞물려 있는 패스너 맞물림영역이 상기 포스트의 말단부 상의 개구부로부터 패스너가 포스트를 따라 마감되는 위치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의 말단부 둘레에 칼라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칼라가 패스너 맞물림영역의 50% 이상을 덮어 씌우도록 상기 칼라를 배치하고,
    상기 칼라는 상기 하우징과 포스트와 분리되어 있으면서 상기 포스트와 맞물리도록 하는 줄자의 조립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줄자 지지수단을 체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립방법.
  25. 삭제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칼라를 구비하지 않은 동일한 구조물와 비교하여 패스너의 인발저항력을 적어도 2배로 하는 조립방법.
KR1020077028073A 2005-05-31 2006-04-04 포스트 보강용 칼라를 구비한 파워-리턴 줄자와 이의조립방법 KR100934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40,815 2005-05-31
US11/140,815 US7458537B2 (en) 2005-05-31 2005-05-31 Tape measure with post reinforcing coll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817A KR20080014817A (ko) 2008-02-14
KR100934966B1 true KR100934966B1 (ko) 2010-01-06

Family

ID=37462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073A KR100934966B1 (ko) 2005-05-31 2006-04-04 포스트 보강용 칼라를 구비한 파워-리턴 줄자와 이의조립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58537B2 (ko)
KR (1) KR100934966B1 (ko)
CN (1) CN101516757B (ko)
AU (1) AU2006252961A1 (ko)
CA (1) CA2609535A1 (ko)
WO (1) WO200613022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259A (ko) * 2017-06-02 2018-12-12 조정 비디오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브장치,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용 타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97692U (zh) * 2009-05-13 2013-04-24 张正平 个人便携式电子装置的防护扣
US8953327B1 (en) * 2011-05-26 2015-02-10 iBlaidZ, Inc. Self-winding membrane device
CA2784047C (en) 2011-07-29 2015-08-1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US9080849B2 (en) 2011-07-29 2015-07-14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US8863399B2 (en) 2011-08-26 2014-10-2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US9267778B2 (en) 2012-01-19 2016-02-2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USD733597S1 (en) 2012-07-30 2015-07-0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USD785476S1 (en) 2015-12-10 2017-05-0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USD785475S1 (en) 2015-12-10 2017-05-0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USD783430S1 (en) 2016-01-07 2017-04-1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USD787347S1 (en) 2016-01-07 2017-05-2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USD783429S1 (en) 2016-01-07 2017-04-1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USD788611S1 (en) 2016-06-01 2017-06-0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US11092418B2 (en) 2017-02-08 2021-08-1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with variable preformed stressed spiral spring retraction system
US10422616B2 (en) * 2017-07-07 2019-09-24 Stanley Black & Decker, Inc. Hybrid spring and electric motor tape rule
CN112400093B (zh) * 2018-07-12 2022-09-27 艾沛克斯品牌公司 具有改进的壳体耐用性的卷尺
WO2020210459A1 (en) * 2019-04-09 2020-10-15 Apex Brands, Inc. Measuring tape with improved center post
CA3141136A1 (en) * 2019-06-03 2020-12-1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with protective bumper
USD1014301S1 (en) * 2019-12-17 2024-02-13 STABILA Messgeräte Gustav Ullrich GmbH Tape meas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1109B1 (en) * 2003-04-22 2004-11-02 Cooper Brands, Inc. Retainer for power-return tape measure spring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3544A (en) 1961-11-01 1963-01-15 Francis J Cirves Coilable measuring ruler
GB989887A (en) 1962-02-02 1965-04-22 Justus Gillette Roe Improvements in tape measures
US3216117A (en) 1963-04-03 1965-11-09 Stanley Works Coilable rule
US3672597A (en) 1971-02-01 1972-06-27 Jervis C Williamson Memo tape
US3715526A (en) 1971-03-15 1973-02-06 Alert Stamping & Mfg Miniaturized electric cord reel
US3812588A (en) 1973-04-05 1974-05-28 Waterbury Lock & Specialty Co Tape measuring unit and locking and releasing device therefor
US3862761A (en) 1973-11-15 1975-01-28 Dwain D Conley Talking tape measure
US4031774A (en) 1976-03-19 1977-06-28 Waterbury Lock & Specialty Company Molded member for use in winding mechanisms
US4142693A (en) 1977-10-05 1979-03-06 The Stanley Works Coilable rule
US4286387A (en) 1979-03-02 1981-09-01 The Stanley Works Coilable rule casing
DE3043308C2 (de) 1979-11-23 1986-02-06 Stanley-Mabo S.A., Besancon Längenmeßgerät
EP0069519A1 (en) 1981-06-25 1983-01-12 Digicor (Pty) Limited A mechanism for winding a flexible line in a close-packed monolayer on a drum
US4487379A (en) 1982-12-07 1984-12-11 The Stanley Works Coilable tape rule with shifting hub, reel assembly therefor, and method of assembling
US4662078A (en) 1986-06-02 1987-05-05 Gammon Reel, Inc. Construction string reel
US4756087A (en) 1987-01-30 1988-07-12 Peter Sing Compact measuring device
US4907348A (en) 1988-06-27 1990-03-13 Hubbard Jr Elmer A Navigational tape measure-type apparatus
US4986487A (en) 1989-04-07 1991-01-22 Irvin Mark A Apparatus for dispensing and retracting tape
US5014437A (en) 1990-02-14 1991-05-14 Sun Fu Cheng Structure of an ink cup
US5416978A (en) 1993-04-08 1995-05-23 Kaufman; Marc Marking device
US5386643A (en) 1993-04-23 1995-02-07 Corcoran; Bradley H. Digital display tape measure
DE19839027C1 (de) 1998-08-27 2000-02-10 Asm Automation Sensorik Messte Meßseil-Wegsensor
DE19839028C1 (de) 1998-08-27 2000-02-10 Asm Automation Sensorik Messte Meßseil-Wegsensor
US6053447A (en) 1999-02-23 2000-04-25 Spencer Products Company Tape measure
US6276071B1 (en) 1999-08-14 2001-08-21 Olympia Group, Inc. Tape measure with tape braking control mechanism
US6131844A (en) 1999-03-31 2000-10-17 Hsu; Cheng-Hui Tape rule blade arrestor device
JP3607115B2 (ja) 1999-04-16 2005-01-0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6243964B1 (en) 1999-08-04 2001-06-12 The Stanley Works Rule asssembly with reduced housing size
US6449866B1 (en) 1999-08-04 2002-09-17 The Stanley Works Rule assembly with improved blade hook
US6324769B1 (en) 1999-08-04 2001-12-04 The Stanley Works Rule assembly with increased blade standout
US6405451B1 (en) 2000-11-13 2002-06-18 Cheng-Hui Hsu Lock mechanism of tape measure
US6612046B1 (en) 2001-06-11 2003-09-02 Nci Engineering Technologies, Ltd Marking device
US6477785B1 (en) 2001-07-24 2002-11-12 Cheng-Hui Hsu Measuring tape having a quick and effort-saving retracting device
US6751883B2 (en) * 2002-11-21 2004-06-22 Huei-Yen Liao Reel rotation mount arrangement equipped with friction reduction means for tape measure
US6718649B1 (en) 2003-01-21 2004-04-13 Cooper Brands, Inc. Tape measure housing with post
US6766588B1 (en) 2003-07-16 2004-07-27 Cheng-Hui Hsu Drive-type tape r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1109B1 (en) * 2003-04-22 2004-11-02 Cooper Brands, Inc. Retainer for power-return tape measure spr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259A (ko) * 2017-06-02 2018-12-12 조정 비디오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브장치,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용 타발장치
KR102087482B1 (ko) * 2017-06-02 2020-03-10 조정 프로브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817A (ko) 2008-02-14
CA2609535A1 (en) 2006-12-07
US20060266867A1 (en) 2006-11-30
AU2006252961A1 (en) 2006-12-07
CN101516757A (zh) 2009-08-26
WO2006130225A2 (en) 2006-12-07
WO2006130225A3 (en) 2009-04-16
US7458537B2 (en) 2008-12-02
CN101516757B (zh)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966B1 (ko) 포스트 보강용 칼라를 구비한 파워-리턴 줄자와 이의조립방법
US6718649B1 (en) Tape measure housing with post
CN105526223B (zh) 紧固元件以及具有所述紧固元件和接收元件的组件
CA2413266C (en) Releasable locking device
US20030047203A1 (en) Tent pole and connecting structure thereof
US6203260B1 (en) Toggle bolt assembly with bolt centering spacer
US8029240B2 (en) Rotor blade adjustable weight retention system
US7191559B1 (en) Fishing accessory and associated methods
US5934817A (en) Coupl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door lock assembly
AU2016222264B2 (en) Spool assembly for a blind system
WO2002100165A3 (en) Fishing accessory, method of securing a lure to a fishing hook, and method of attaching a body to a fishing line
US5887840A (en) Pick-up truck tie down anchor
JPH05506285A (ja) 足場又はこれに類似の支持構造物に保護カバー又は防護カバーを締付けるための締付け部材、及び該締付け部材の装着用工具
US7498513B2 (en) Toolbox with retractable cable and latch
EP1376796B1 (en) Fish tape having a thumb winder
US20100199417A1 (en) Reel for an automatic pool cover assembly
JP4047589B2 (ja) ケーブル巻きドラム
CN221214239U (zh) 一种汽车底盘前托架结构及其汽车
JP3104871B2 (ja) 中通し釣竿
CN217538207U (zh) 一种锁体的定位支撑面板
KR100614843B1 (ko) 안테나식 우산살대의 구조
JP3346527B2 (ja) 中通し釣竿
JP2000189007A (ja) 釣 竿
US6942197B2 (en) Fish tape handle with retention feature
KR200371597Y1 (ko) 전주용 완금 고정장치의 완금지지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