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818B1 -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818B1
KR100934818B1 KR1020080005314A KR20080005314A KR100934818B1 KR 100934818 B1 KR100934818 B1 KR 100934818B1 KR 1020080005314 A KR1020080005314 A KR 1020080005314A KR 20080005314 A KR20080005314 A KR 20080005314A KR 100934818 B1 KR100934818 B1 KR 100934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er
user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390A (ko
Inventor
정종섭
Original Assignee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원 filed Critical 김용원
Priority to KR1020080005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818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1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based on information specified by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착신전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신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발신자의 통화요청시 해당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는 착신전환장치 및 상기 착신전환장치로부터 발신자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발신자정보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독 또는 다수의 사용자가 특정장소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사용자가 인접한 통화연결장치를 통해 자유롭게 발신자와 통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착신전환장치, 이동통신단말기, 발신자정보표시장치

Description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Telephone Convers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Calling Conversion}
본 발명은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착신전환하고 발신자의 통화요청시 발신자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통화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사람들은 고정된 한 장소에서만 생활하지 않고 보다 다양한 장소를 이동해 가면서 사회활동을 하고 있다.
이렇게 사람들이 다양한 장소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고정된 국선전화보다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휴대전화가 주로 사람들의 통신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통신수단으로 주로 사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우나, 온천, 수영장등에서는 소지하기 어려워 이동통신단말기사용자가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하거나 발신자의 통화요청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독 또는 다수의 사용자가 특정장소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사용자가 인접한 통화연결장치를 통해 자유롭게 발신자와 통화할 수 있게 하는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전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신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발신자의 통화요청시 해당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는 착신전환장치 및 상기 착신전환장치로부터 발신자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발신자정보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은, 착신전환을 위한 고유번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전환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은, 상기 착신전환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발신자와 사용자의 통화를 연결시키는 통화연결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은, 상기 이 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상기 착신전환장치로 착신전환이 이루어지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발신자의 통화요청시 상기 착신전환장치에 연결된 고유국선을 통해 착신신호와 발신자 전화번호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발신자 정보입력 및 사용자 정보입력의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입력부와, 부재중 안내멘트와 사용자 정보입력 음성안내멘트를 기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발신자와 상기 통화연결장치로 기저장된 부재중 안내멘트와 사용자 정보입력 음성안내멘트를 전송하는 안내멘트부와, 상기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발신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발신자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통화요청시 발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발신자 정보를 상기 발신자표시장치로 송신하고 정보송신부와, 상기 통화연결장치와 발신자의 통신회선을 연결시키는 통화연결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착신전환을 위해 하나이상의 고유국선번호를 가지는 국선부 및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 및 발신자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발신자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통화연결 요구시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상기 저정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발신자표시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통화연결장치와 발신자의 통신회선연결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전환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와 USB 2.0호환단자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발신자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전환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통화연결장치의 표시창을 통해 상기 착신전환장치에 기저장된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검색된 전화번호로의 통화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착신전환장치의 고유번호로 착신전환하는 단계와, (b) 사용자가 착신전환장치를 통해 발신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c) 발신자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통화요청시 상기 착신전환장치가 착신신호 및 발신자 전화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d) 상기(c)단계에서 추출된 발신자 정보를 상기 발신자정보표시장치로 전송하여 나타내는 단계 및 (e) 상기 발신자정보표시장치로 발신자를 통한 통화연결신호의 온/오프(On/Off)상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은 (f)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통화연결장치를 통해 통화연결신호를 전송받아 음성안내멘트를 전송하는 단계와, (g)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통화연결장치를 통해 사용자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착신전환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착신전환장치가 상기 사용자정보를 전송받아 발신자와 사용자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은, (f1) 만일 상기 통화연결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통화연결신호가 없으면 발신자에게 부재중 안 내멘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f)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은, (c1) 만일 통화요청한 발신자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발신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발신자에게 안내멘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c)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은, 단독 또는 다수의 사용자가 특정장소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사용자가 인접한 통화연결장치를 통해 자유롭게 발신자와 통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100), 교환국(200), 착신전환장치(300), 발신자정보표시장치(400), 통화연결장치(500)를 포함한다.
착신전환장치(300)는 사용자 정보 및 발신자 정보를 입력받고 발신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0)로의 통화요청시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발신자정보표시장치(400)로 전송하고 통화연결장치(500)와 발신자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사용자가 통화연결장치(500)를 통해 발신자와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발신자가 통화를 원하는 사용자의 통신단말기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 착신전환설정신호를 입력하면 교환국(200)으로 착신전환용 전화번호와 착신전환요구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착신전환요구신호는 전화회사가 약정한 신호로써, 규정된 착신 전환용 숫자 또는 문자(*또는#)+착신 전환될 전화기의 전화번호이다.
예를 들면, 착신전환은 「*88+전화번호+*」이고, 착신해제는 「#88*」이다.
상기 착신전환용 전화번호는 본 발명의 착신전환장치(300)가 가지는 고유국선번호로써 교환국(200)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화번호가 착신전환장치(300)의 고유국선번호로 착신전환이 이루어진다.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한 착신전환후 발신자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화를 걸면 착신전환장치(300)는 착신전환이 이루어진 고유국선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로의 통화요청시 발생하는 착신신호 및 발신자 전화번호를 인식하게된다.
발신자정보표시장치(4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한 발신자의 통화요청시 착신전환장치(300)가 추출한 발신자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한다.
상기 발신자정보표시장치(400)는 상기 착신전환장치(300)와 유무선네트워크 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방송을 통한 음성장치, 전광판을 이용한 문자정보표시장치, 휴대용문자표시장치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휴대용문자표시장치는 무선방식으로 손목에 착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사용자가 발신자의 정보확인에 편리한 곳이라면 어느 곳이든 가능할 것이다.
만일 휴대용문자표시장치가 둘이상이라면 사용자는 휴대용문자표시장치의 식별번호를 착신전환장치(300)에 저장해두고 발신자의 통화요구시 발신자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용문자표시장치로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통화연결장치(500)는 사용자와 발신자의 통화를 연결시켜주는 장치로써, 사용자가 발신자정보표시장치(400)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확인한 후 통화를 원할 경우 통화연결장치(500)를 통해 발신자와 통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화연결장치(500)는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 중 통화가 원활한 장소 어느 곳이든 설치가 가능하며 인터폰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전환장치(300)의 세부블럭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착신전환장치(300)는 인식부(201), 정보입력부(203), 추출부(205), 저장부(207), 정보송신부(209), 통화연결부(211), 안내멘트부(213), 국선부(215) 및 주제어부(217)를 포함한다.
인식부(201)는 발신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0)로의 전화통화를 시도하면 착신전환이 이루어진 고유국선을 통해 착신신호 및 발신자 전화번호를 인식한다.
정보입력부(203)는 사용자 정보 및 발신자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주 제어부(213)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100)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휴대용문자표시장치의 식별번호 및 사용자의 비밀번호등에 해당하며, 발신자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 사용자가 통화를 원하는 발신자 전화번호 및 발신자와 관련된 정보이다.
상기 발신자전화번호는 착신전환장치(300)의 키패드(203)를 통해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USB 2.0호환단자등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되어있는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통화를 원하는 발신자의 정보를 둘이상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출부(205)는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한 통화요청시 저장부(207)에 저장되어 있는 발신자 정보중 통화요청한 발신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추출한다.
저장부(207)는 정보입력부(203)를 통해 사용자 정보 및 발신자 정보가 입력되면 주제어부(213)의 제어에 따라 입력된 사용자 정보 및 발신자 정보를 저장한다.
정보송신부(209)는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한 통화요청시 추출부(205)가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면 사용자가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발신자정보표시장치(400)로 발신자정보를 전송한다.
통화연결부(211)는 사용자의 통화연결장치(500)를 통한 통화요구시 사용자로 부터 통화연결장치(500)를 통해 사용자정보(사용자비밀번호등)를 전송받아 발신자와 통화연결장치(500)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착신전환장치(300)가 상기 통화연결장치를 통해 사용자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전송받으면 상기 사용자비밀번호에 대응되도록 입력된 발신자 전화번호가 발생하는 국선을 상기 통화연결장치와 연결하는 것이다.
만일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장치(500)가 둘 이상으로 구성되면 본 발명의 착신전환장치(300)는 각각의 통화연결장치(500)의 식별번호를 인식하여야하며 통화연결장치(500)를 통한 통화요구시 해당 식별번호를 가진 통화연결장치(500)로 발신자의 통화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멘트부(213)는 부재중 안내멘트와 사용자 정보입력 안내멘트를 기장하고 있으며 상기 통화연결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통화연결요구신호가 없으면 발신자에게 부재중 안내멘트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통화연결요구신호가 있으면 상기 통화연결장치로 사용자 정보입력 안내멘트를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국선부(215)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착신전환하기 위해 준비된 단독 또는 다수의 고유번호를 가진 통신국선을 말한다.
상기 국선부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등의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휴대하기 어려운 장소(사우나, 목욕탕등)에 있는 이동통신단말기(100)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키패드(203)를 통해 착신전환설정모드를 선택하여 착신전환할 이동통신단말기(100) 전화번호와 착신전환될 착신전환용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착신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301).
상기 착신전환용 전화번호는 착신전환장치(300)가 가지고 있는 고유번호이다.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착신전환을 한 후 착신전환장치(300)를 통해 발신자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면 착신전환장치(300)는 입력된 정보를 저장한다(S303).
발신자 정보는 사용자가 통화하기를 원하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및 발신자와 관련된 정보이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비밀번호, 휴대용문자표시장치의 식별번호등이다.
만일 발신자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화를 걸면 착신전환장치(300)는 착신전환이 이루어진 고유국선을 통해 착신신호와 발신자 전화번호를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화를 건 발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S305) 발신자 정보가 없으면 발신자에게 안내멘트를 통보하게 된다(S309).
만일 발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가 있다면 추출하여 발신자정보표시장치(400)로 전송한다(S307).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통화연결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착신전환장치(300)는 통화연결장치(500)를 통해 사용자의 통화연결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여(S401) 통화연결신호가 없다면 발신자에게 부재중 안내멘트를 통보한다(S407).
만일 사용자가 발신자정보표시장치(400)를 통해 표시된 발신자정보를 확인하고 통화를 원하는 경우 통화연결장치(500)를 통해 통화연결요구신호를 전송하면 착신전환장치(300)는 사용자정보입력(사용자비밀번호등)을 요구하는 음성안내멘트를 통화연결장치(5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정보(사용자비밀번호등)를 입력받는다(S403).
착신전환장치(300)는 사용자정보를 통화연결장치(500)를 통해 전송받으면 사용자정보에 대응되도록 입력된 발신자전화번호가 수신된 국선과 통화연결장치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사용자와 발신자의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405).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화연결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사용자가 기입력한 전화번호를 통화연결장치의 표시창을 통해 검색한 후 착신전환장치의 국선을 연결하고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발신통화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착신전환장치가 설치된 구내의 통화연결장치간의 통화도 가능하며 이때 먼저 통화연결장치를 통하여 연결을 원하는 상대방 통화장치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면 상대 통화장치로 링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대방을 호출하여 통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 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전환장치의 세부블럭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통화연결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통신단말기 200: 교환국
201: 인식부 203: 정보입력부
205: 추출부 207: 저장부
209: 정보송신부 211: 통화연결부
213: 안내멘트부 215: 국선부
217: 주제어부

Claims (10)

  1. 착신전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신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발신자의 통화요청시 해당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는 착신전환장치; 및 상기 착신전환장치로부터 발신자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발신자정보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착신전환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상기 착신전환장치로 착신전환이 이루어지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발신자의 통화요청시 상기 착신 전환장치에 연결된 고유국선을 통해 착신신호와 발신자 전화번호를 인식하는 인식부;
    발신자 정보입력 및 사용자 정보입력의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입력부;
    부재 중 안내멘트와 사용자 정보입력 음성안내멘트를 기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발신자와 상기 통신연결장치로 기저장된 부재중 안내멘트와 사용자 정보입력 음성안내멘트를 전송하는 안내멘트부:
    상기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발신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발신자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통화요청시 발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발신자 정보를 상기 발신자표시장치로 송신하는정보송신부;
    상기 통화연결장치와 발신자의 통신회선을 연결시키는 통화연결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착신전환을 위해 하나이상의 고유국선번호를 가지는 국선부; 및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 및 발신자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발신자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통화연결 요구시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상기 저정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발신자표시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통화연결장치와 발신자의 통신회선연결을 제어하는 주제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전환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USB 2.0 호환단자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발신자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통화연결장치의 표시창을 통해 상기 착신전환장치에 기저장된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검색된 전화번호로의 통화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80005314A 2008-01-17 2008-01-17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KR100934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314A KR100934818B1 (ko) 2008-01-17 2008-01-17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314A KR100934818B1 (ko) 2008-01-17 2008-01-17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390A KR20090079390A (ko) 2009-07-22
KR100934818B1 true KR100934818B1 (ko) 2009-12-31

Family

ID=4129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314A KR100934818B1 (ko) 2008-01-17 2008-01-17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8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1623A (ko) * 2003-03-14 2004-09-2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통신 단말기에서의 선택적 착신전환 방법
KR100746834B1 (ko) 2006-05-12 200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착신전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1623A (ko) * 2003-03-14 2004-09-2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통신 단말기에서의 선택적 착신전환 방법
KR100746834B1 (ko) 2006-05-12 200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착신전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390A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4990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relay call transfer service
KR20080082486A (ko) 음성과 데이터 접속들을 병렬로 핸들링하기 위한 통신 서버및 그 사용 방법
US6516061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extending a PBX phone port to a remote phone device
CN104602214B (zh) 一种扩展手机无线语音和短信业务的方法
US20140003298A1 (en) Internet Protocol Text Relay For Hearing Impaired Users
KR100994889B1 (ko) 영상 채팅 시스템 및 영상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70121862A1 (en)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and incoming call control method for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KR100934818B1 (ko) 착신전환을 이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CN100581277C (zh) 移动终端通话记录限制存储方法
KR100607703B1 (ko) 듀얼모드 착발신 전화 단말기
KR20050052660A (ko) 제3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착신전환번호를 설정하기 위한통화장치 및 방법
KR20060012736A (ko)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의메시지 확인 방법 및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24391B1 (ko) 발신자 단말기의 등록전화번호정보를 사용해 ip 폰에서 전화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4803076B2 (ja) 呼転送装置
WO2007091264A1 (en) An apparatus for connecting telephony networks to a computer
KR100725130B1 (ko) 지능망을 이용한 sms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01692B1 (ko) 지능망을 이용한 음성 다이얼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P3145238B2 (ja) 電話システム
KR200426199Y1 (ko) 결합형 전화 모듈
KR20040099077A (ko) 인터넷 전화연결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003789B1 (ko) VoIP 기반의 IVR 시스템에서의 고객 담당자 직접 통화연결 서비스 방법
KR101446020B1 (ko) 스마트 단말장치를 이용한 전화회선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184681A (ja) 携帯端末機器とそ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KR101188607B1 (ko) 영상통화의 착신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6489276A (zh) 一种有线智能网联话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