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889B1 - 영상 채팅 시스템 및 영상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채팅 시스템 및 영상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889B1
KR100994889B1 KR1020080079452A KR20080079452A KR100994889B1 KR 100994889 B1 KR100994889 B1 KR 100994889B1 KR 1020080079452 A KR1020080079452 A KR 1020080079452A KR 20080079452 A KR20080079452 A KR 20080079452A KR 100994889 B1 KR100994889 B1 KR 100994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hat
call
keywor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0726A (ko
Inventor
배한업
안희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79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889B1/ko
Priority to PCT/KR2009/004474 priority patent/WO2010018975A2/en
Publication of KR2010002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02W90/11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채팅 시스템 및 영상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 간 영상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채팅 시스템은, 통신 단말 간의 영상 통화 및 채팅 서비스를 중개하는 호 처리 수단; 키워드 집합 및 상기 키워드 집합에 속하는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통신 단말 간에 주고받는 채팅 대화 메시지에서 특정 키워드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 수단; 및 상기 문자 인식 수단에서 인식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상기 저장 수단에서 추출한 후 상기 호 처리 수단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영상에 상기 추출한 콘텐츠를 합성하는 영상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순한 영상 채팅에서 벗어나 영상 통화와 채팅을 상호 연동하여 개성 있는 영상 채팅이 가능하도록 한다.
영상 채팅, 화상 채팅, 이모티콘, 합성, 이동통신

Description

영상 채팅 시스템 및 영상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CHATTING SERVICE}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 통화 중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채팅 시스템 및 영상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 단말을 휴대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 중에 음성 통화를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음성 통화에서 벗어나 통화 상대방의 얼굴을 보며 통화할 수 있는 영상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영상 통화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이동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가 본인의 얼굴을 향하도록 위치시켜야 하고, 또한 사용자는 이동 단말에 표시되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기 위해 이동 단말을 소정의 거리를 두고 보아야 한다. 결국, 영상 통화를 이용하게 되면 이동 단말과 사용자는 일정한 거리를 둘 수밖에 없고, 일반적인 음성 통화와 비교하여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상대방의 음성은 커져야 한다.
따라서 영상 통화를 하게 되면 통화 상대방의 음성이 본인만 알아들 수 있을 정도로 출력되지 않고 주변 사람들도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로 크게 출력되어, 주 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게 된다. 아울러, 개인적인 내용들이 여과없이 주변 사람들에게 노출되어 사생활 보호가 안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이어폰을 이용하지만, 이어폰을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에 있고 이어폰을 휴대하지 못한 경우 상술한 문제점은 해결되지 못한다.
최근에는 영상 통화 중 통화 상대방과 채팅을 할 수 있는 영상 채팅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영상 통화 중 통화 상대방과 음성이 아닌 텍스트 채팅을 통해 대화 내용을 주고받게 되어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 통화 중 채팅 서비스는 유선망에서 제공되는 화상 채팅 서비스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즉 영상 통화와 채팅이 별개로 독립적으로 진행된다. 영상은 영상대로 전송되고 채팅 대화 내용은 대화 내용대로 별개로 독립적으로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되어, 단순히 영상 통화 중 음성을 채팅 텍스트로 대체한 것에 불과하다.
더군다나, 현재의 영상 채팅 서비스는 영상 통화 중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이동 단말에서 채팅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메뉴 또는 키를 눌러야만 제공되고 있다. 단말의 기능이 복잡해지고 단말 기능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영상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영상 채팅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영상 통화와 채팅을 상호 연동하여 채팅 내용을 상기 영상 통화에 실시간 반영하기 위한 영상 채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통신 단말 간 영상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채팅 시스템은, 통신 단말 간의 영상 통화 및 채팅 서비스를 중개하는 호 처리 수단; 키워드 집합 및 상기 키워드 집합에 속하는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통신 단말 간에 주고받는 채팅 대화 메시지에서 특정 키워드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 수단; 및 상기 문자 인식 수단에서 인식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상기 저장 수단에서 추출한 후 상기 호 처리 수단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영상에 상기 추출한 콘텐츠를 합성하는 영상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통신망의 영 상 채팅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 간 영상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통신 단말 간의 영상 통화 채널을 개설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 중 하나로부터 채팅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채팅 메시지에서 특정 키워드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저장수단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채팅 메시지를 전송한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영상에 상기 추출된 콘텐츠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가 합성된 사용자 영상을 상대방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통신망의 영상 채팅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 간 영상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통신 단말 간의 영상 통화 채널을 개설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 중 하나로부터 대화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음성에서 특정 키워드를 음성 인식하는 단계; 음성 인식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저장수단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화 음성을 전송한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영상에 상기 추출된 콘텐츠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가 합성된 사용자 영상을 상대방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중 전송되는 채팅 내용에서 특정 키워드를 인식하여 이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통화 영상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개성 있는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통화가 개시되면 자동으로 이동 단말을 채팅 모드로 전환시켜 영상 채팅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이동 단말(110, 120), 무선 접속망(130), 교환기(140), 홈 위치 등록기(150) 및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110, 120)은 이동 중 음성 통화 및 영상 통화를 지원하는 단말이다. 이동 단말(110, 120)은 영상 통화를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여 카메라로 촬영한 사용자의 영상을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또한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여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동 단말(110, 120)은 영상 통화 중 문자 채팅을 지원하는 채팅 프로그램을 구비한다. 채팅 프로그램은 영상 통화 중 대화창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 력한 대화 내용을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상대방이 보내온 대화 내용을 표시한다. 이동 단말(110, 120)은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로부터 수신되는 H.245 invoke 메시지에 따라 채팅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또한, 이동 단말(110, 120)은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으로부터 송수화음 차단 메시지를 수신하면, 영상 통화 중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영상 채팅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기능 코드(feature code)가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이동 단말(110, 120)에 기능 코드(예컨대, *12)와 착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영상 통화 버튼을 눌러 통화를 시도한다. 그러나 기능 코드가 이용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무선 접속망(130)은 기지국(NodeB), 기지국 제어기(RNC)를 포함하여 이동 단말(110, 120)의 이동통신망 접속을 지원한다.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무선 신호 송수신, 무선 채널 부호화 및 복호화, 신호 세기 및 품질측정, 기저대역 신호처리, 무선자원 관리 및 자체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는 이동 단말(110, 12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 단말(110, 120) 및 기지국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 및 하드 핸드오프 결정, 트랜스 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기지국에 대한 운영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교환기(140)는 무선 접속망(130)의 기지국 제어기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고, 음성/화상 통화, 데이터 송수신,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어한다. 또한, 교환기(140)는 다른 외부망과의 연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교환기(140)는 이동 단말(110, 120)로부터 발신된 영상 발신 호를 수신하면 그 발신 호의 착신 처리를 위해 홈 위치 등록기(150)로 착신 위치 정보를 질의하고, 그에 따라 수신된 착신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 호를 착신 처리한다.
또한, 교환기(140)는 발신 호의 착신 처리를 위한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측 이동 단말(110, 120)로 호 착신을 시도하고 착신측 이동 단말(110, 120)로부터 호 응답을 수신하면 이에 따른 응답 신호를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측 장치로 전송한다.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150)는 가입자 프로파일, 가입자 위치 정보,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한다. 홈 위치 등록기(150)는 착신 위치 정보 질의를 수신함에 따라 발신자의 가입자 프로파일 및 부가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착신 위치 정보 질의 응답을 리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홈 위치 등록기(150)는 영상 채팅 서비스 가입자들의 가입자 프로파일에 영상 채팅 서비스 가입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한다. 홈 위치 등록기(150)는 교환기(140)로부터 착신 위치 정보 질의를 수신하면, 발신자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발신자가 영상 채팅 서비스에 가입하였는지 여부를 가입자 프로파일을 토대로 확인한다. 발신자가 영상 채팅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홈 위치 등록기(150)는 착신 위치 정보 응답으로서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교환기(140)로 전송한다.
또는, 홈 위치 등록기(150)는 영상 채팅 서비스에 대한 식별코드를 저장 관리한다. 교환기(140)로부터 수신된 착신 위치 정보 질의에 영상 채팅 서비스에 대 한 식별코드가 포함된 경우, 홈 위치 등록기(150)는 상기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위치 정보 응답을 상기 교환기(140)로 전송한다.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영상 통화를 중개하며 동시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영상 통화는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을 경유하지 않고 이루어지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채팅 서비스에서의 영상 통화는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을 경유하여 이루어진다.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교환기(140)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착신 단말로 호 처리 절차를 진행하여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영상 통화 연결이 성립 되도록 한다.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을 경유하여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영상 통화가 개시되면,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 채팅 프로그램 구동를 지시하기 위한 구동 메시지(invoke message)를 전송하여 각 단말의 채팅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고, 그 채팅 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되는 대화 메시지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 송수화음 차단 메시지를 전송하여 영상 통화 중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이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채팅 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되는 대화 메시지에서 특정 키워드를 문자 인식하고, 그 인식된 키워드에 상응하는 이모티콘, 플래시,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내부에서 검색하여 대화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영상 통화 를 위한 영상에 합성하여 전송한다. 대화 메시지에 두 개 이상의 인식 대상 키워드가 있거나, 또는 인식 대상 키워드가 짧은 시간 내에 동시 전송될 경우,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먼저 인식된 키워드 또는 먼저 전송된 키워드를 우선하여 영상을 합성한다. 또한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영상 통화 과정에서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음성에서 특정 키워드를 음성 인식하고, 그 인식된 키워드에 상응하는 이모티콘, 플래시 등의 콘텐츠를 내부에서 검색하여 대화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영상 통화를 위한 영상에 합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인식된 키워드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영상에 합성하지 않고, 영상을 상기 콘텐츠로 대체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예컨대, 착신 단말에 표시되는 발신자의 영상을 대신하여 인식 키워드에 상응하는 콘텐츠가 착신 단말에 표시되도록, 발신자의 영상을 상기 콘텐츠로 대체하여 착신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채팅 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되는 대화 메시지에 특수 문자로 시작되는 문자열이 있으면, 해당 특수 문자에 수반되는 문자열을 명령어로 인식하여 처리한다. 예컨대, '@대체영상'의 대화 메시지가 수신되면,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상기 @에 수반되는 문자열인 대체영상을 명령어로 인식하여 대체영상 서비스 서버로 대체영상을 요청하고 사용자의 실제 영상을 대체영상으로 대체하여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또는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이 직접 대체영상을 저장 관리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제 영상을 대체하여 통화 상대방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대체영상에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 로 키워드에 대응하는 이모티콘 등의 콘텐츠가 합성되어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채팅 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되는 대화 메시지에 특수 문자로 시작되는 문자열을 명령어로 인식하여 처리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영상 통화에서는 영상 통화 중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키 버튼을 입력하면 되나, 영상 채팅 통화에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키 버튼을 누르게 되면 대화 메시지 입력으로 인식되어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영상 채팅 통화에서 특수 문자와 문자열을 이어서 입력하게 되면, 이는 통화 상대방에게 보낼 대화 메시지로 처리하지 않고 특정 부가 서비스를 요청하는 명령어로 인식하여 처리한다.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모든 영상 채팅 서비스 가입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통 콘텐츠와 각 영상 채팅 서비스 가입자가 개별적으로 설정해둔 개인 콘텐츠를 등록 관리한다.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영상 통화 중 채팅 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되는 대화 메시지에서 특정 키워드를 문자 인식하고 이에 상응하는 이모티콘, 플래시 등의 콘텐츠를 공통 콘텐츠에서 검색하거나 또는 가입자의 개인 콘텐츠에서 검색한다. 음성 인식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는 도 1의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게이트웨이(210), 어플리케이션 서버(220), 데이터베이스 서버(230), 문자 인식 엔진(240), 음성 인식 엔진(250) 및 영상 합성 서버(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게이트웨이(210)는, 이동통신망의 교환기(140)와 연동하여 이동통신망으로부 터의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그리고 이동통신망으로 송신할 신호에 대해 관문 역할을 수행한다. 게이트웨이(210)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서버(220)로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220)는 호 처리 수단으로서 이동 단말(110, 120) 간 영상 통화를 중개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220)는 상기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발신측 교환기로부터 호 착신과 관련된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착신측 교환기로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전송하여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영상 통화를 중개한다. 따라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영상 통화는 어플리케이션 서버(220)를 경유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220)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영상 통화가 개시된 후,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 동시에 채팅 프로그램 구동 메시지(invoke message)를 전송하여 각 단말의 채팅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채팅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220)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 송수화음 차단 메시지를 전송하여 각 단말에서 상대방의 음성이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220)는 채팅 메시지에 특수 문자로 시작되는 문자열을 인식하여 그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관련 시스템으로 요청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230)는, 특정 키워드 및 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저장 관리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230)는 모든 영상 채팅 서비스 가입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통 키워드 집합 및 이에 대응하는 공통 콘텐츠(이모티콘, 플래시 등)와, 각 영상 채팅 서비스 가입자가 개별적으로 설정해둔 개인 키워드 집합 및 이에 대응하 는 개인 콘텐츠를 등록 관리한다.
문자 인식 엔진(240)은, 영상 채팅 가입자 간 주고받는 대화 메시지에서 특정 키워드를 인식한다. 문자 인식 엔진(24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230)에 등록되어 있는 키워드 집합에 근거하여 대화 메시지에서 특정 키워드를 추출한다. 대화 메시지에 두 개 이상의 인식 대상 키워드가 있거나, 또는 인식 대상 키워드가 짧은 시간 내에 동시 전송될 경우, 문자 인식 엔진(240)은 먼저 인식된 키워드 또는 먼저 전송된 키워드를 우선하여 영상을 합성한다
음성 인식 엔진(250)은, 영상 채팅 가입자 간에 영상 통화 중 주고받는 대화 음성에서 특정 키워드를 음성 인식한다. 음성 인식 엔진(25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230)에 등록되어 있는 키워드 집합에 근거하여 대화 음성에서 특정 키워드를 음성 인식하여 추출한다.
영상 합성 서버(260)는, 상기 문자 인식 엔진(240)에서 추출한 특정 키워드 또는 상기 음성 인식 엔진(250)에서 추출한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230)에서 추출한 후 해당 키워드를 보낸 가입자의 영상에 합성한다. 콘텐츠가 합성된 영상은 대화 상대방에게 전송되어 표시된다. 즉,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키워드를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추출한 후, 그 추출한 콘텐츠를 대화 메시지와 함께 보내는 것이 아니라, 영상 통화 중 각 가입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상대방의 영상에 상기 추출한 콘텐츠를 합성하여 보내는 것이다.
또는, 영상 합성 서버(260)는, 상기 문자 인식 엔진(240)에서 추출한 특정 키워드 또는 상기 음성 인식 엔진(250)에서 추출한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 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230)에서 추출한 후 해당 키워드를 보낸 가입자의 영상에 합성하지 않고, 가입자의 영상을 상기 추출한 콘텐츠로 대체한다. 대화 상대방의 화면에는 가입자의 영상을 대신하여 상기 추출한 콘텐츠가 표시된다.
이하, 도 1의 이동 단말(110)을 발신 단말로 그리고 이동 단말(120)을 착신 단말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채팅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신자는 발신 단말(110)에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영상 통화 버튼을 눌러 착신 단말(120)과의 영상 통화를 시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발신 호는 발신측 교환기(140)로 전송된다(S301).
발신 단말(110)로부터 발신 호를 수신한 발신측 교환기(140)는 상기 발신 호를 착신 처리하기 위해 홈 위치 등록기(150)로 착신 위치 정보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따른 착신 위치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착신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S303). 홈 위치 등록기(150)는 발신자의 가입자 프로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채팅 서비스 가입 정보에 기초하여 착신 위치 정보 응답 메시지에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실어 전송한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발신자는 발신 단말(110)에 착신자 전화번호 이외 영상 채팅 서비스를 위한 식별코드를 함께 입력하고 영상 통화 버튼을 눌러 착신 단말(120)과의 영상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신측 교환기(140)는 상기 식별코드에 대한 해석을 홈 위치 등록기(150)로 요청하고, 홈 위치 등록기(150)는 상 기 식별코드를 해석하여 영상 채팅 서비스임을 인식하고 상기 발신측 교환기(140)로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홈 위치 등록기(150)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채팅 중계 시스템(160)으로 라우팅 번호를 요청하고 그에 따라 수신된 라우팅 번호를 착신 위치 정보 응답 메시지에 실어 발신측 교환기(140)로 전송한다.
착신 위치 정보를 확인한 발신측 교환기(140)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채팅 중계 시스템(160)으로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IAM:Initial Address Message)를 전송한다(S305).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한 영상 채팅 중계 시스템(160)은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착신측 교환기(140)로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전송한다(S307). 착신 위치 정보의 확인은 일반적으로 발신측 교환기가 착신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착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착신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영상 채팅 중계 시스템(160)으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측 교환기(140)는 착신 단말(120)로 호 접속 요청 메시지(즉, 셋업 메시지)를 전송하고(S309), 착신자의 후크 오프(즉, 통화 버튼을 누르는 등의 통화 연결 입력)에 따라 착신 단말(120)로부터 연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311). 여기서는 페이징 과정, 알러팅 메시지를 착신 단말(12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영상 채팅 중계 시스템(160)으로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ACM:Address Complete Message)를 전송하는 등 의 통상적인 호 연결 과정의 설명을 생략한다.
착신 단말(120)로부터 연결 응답을 수신한 영상 채팅 중계 시스템(160)은 발신 단말(110)과의 통화로 형성을 위해 발신측 교환기(140)로 응답 메시지(ANM:Answer Message)를 전송하고(S313), 영상 채팅 중계 시스템(160)은 발신측 교환기(140)로 응답 메시지(ANM)를 전송한다(S315). 이에 따라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20)은 영상 채팅 중계 시스템(160)을 경유하여 베어러 채널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발신 단말(110)은 착신 단말(120)과의 영상 통화를 위한 코덱 협상, 즉 H.245 협상을 시도하고(S317), 코덱 협상이 완료됨에 따라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20)은 영상 통화를 개시한다(S319). 발신 단말(110)에서 촬영된 발신자의 영상은 착신 단말(120)로 실시간 전송되어 표시되고, 착신 단말(120)에서 촬영된 착신자의 영상은 발신 단말(110)로 실시간 전송되어 표시된다. 발신자와 착신자는 서로 얼굴을 보며 통화한다.
이와 같이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20) 간에 영상 통화가 개시된 이후,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20)로 채팅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invoke 메시지를 전송한다(S321. S323). 또한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20)로 송수화음 차단 메시지를 전송한다.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20)은 송수화음 차단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지 않는다.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20)은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으로부터 수 신된 invoke 메시지에 따라 채팅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채팅 프로그램에 의한 채팅창은 발신 단말(110) 및 착신 단말(120)의 화면 중 하단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신자와 착신자는 단말 화면에 표시 중인 상대방의 영상을 보며 채팅창을 통해 상대방과 대화를 할 수 있다.
예컨대, 발신자는 발신 단말(110)에 표시된 채팅창에 대화 상대방인 착신 단말(120)로 보낼 대화 메시지를 입력한다. 입력된 대화 메시지는 H.245 메시지로 변환되어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으로 전송되고(S325),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상기 수신된 대화 메시지에서 특정 키워드를 문자 인식한다(S327).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영상 채팅 서비스 가입자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키워드 집합과 그 키워드에 대응하는 이모티콘 등의 공통 콘텐츠를 구비하고, 또한 영상 채팅 서비스 가입자 개개인이 설정한 개인 키워드 집합 및 그 키워드에 대응하는 개인별 콘텐츠를 구비한다.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상기 공통 키워드 집합 또는 개인 키워드 집합에 기초하여 상기 대화 메시지에서 특정 키워드를 인식한다.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상기 인식한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이모티콘 등의 콘텐츠를 추출한다(S329). 영상 채팅 서비스 가입자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공통 콘텐츠에서 콘텐츠를 추출하거나, 또한 영상 채팅 서비스 가입자 개개인이 설정한 개인별 콘텐츠에서 콘텐츠를 추출한다. 개인별 콘텐츠에서 콘텐츠를 추출하는 것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상기 추출한 콘텐츠와 착신 단말(120)로 전송될 발신자의 영상을 합성한다(S331).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상기 합성한 영상을 착신 단말(120)로 전송한다(S333). 동시에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상기 수신한 대화 메시지를 착신 단말(120)로 전송한다. 따라서 착신 단말(120)에는 발신자가 보내온 대화 메시지 그리고 그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합성된 발신자의 영상이 화면에 표시된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착신 단말(120)로 전송될 발신자의 영상을 상기 추출한 콘텐츠로 대체하여 착신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착신 단말(120)의 화면에는 발신자의 영상을 대신하여 상기 추출한 콘텐츠가 표시된다.
도 2를 참조한 실시예에서는 대화 메시지에서 특정 키워드를 문자 인식하고 이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영상 통화를 위한 영상에 합성하여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영상 통화 과정에서 전송되는 음성에서 특정 키워드를 음성 인식하고 이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영상 통화의 영상에 합성하여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발신자가 일반 영상 채팅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이다. 발신자의 영상 통화 과금은 발신측 교환기에서 이루어진다. 발신측 교환기는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호 연결 응답 메시지(ANM)를 수신하는 시점부터 영상 통화에 따른 과금을 시작한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이러한 후불 요금제뿐만 아니라 선불 요금제도 운영한다. 미리 선불로 납부한 요금만큼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선불 요금을 모두 소진한 경우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이러한 선불 서비스는 지능망 시스템을 통해 제공된다.
발신자가 선불 가입자인 경우, 발신 단말(110)로부터 발신된 영상 통화 호는 지능망 시스템을 경유하여 착신 단말(120)로 착신 처리되고, 지능망 시스템은 발신자의 선불 요금 범위 내에서 영상 통화를 제공한다. 결국, 영상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발신자의 영상 통화 호는 지능망 시스템 및 영상 채팅 중개 서버(160)를 경유하여 착신 단말(120)로 전송되고 지능망 시스템에서 과금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영상 채팅 중개 서버(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20)로 채팅 프로그램 구동 메시지를 전송하고, 채팅 프로그램을 통해 전송되는 대화 메시지에서 특정 키워드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될 영상에 합성하여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에 영상 통화가 개시되면,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 채팅 프로그램 구동 메시지인 invoke 메시지를 전송하여 채팅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 따라서 도 4의 (a)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화면에는 본인의 영상 및 상대방의 영상 이외 채팅창(401, 403)이 활성화되어 표시된다. 도 4의 (a)는 발신 단말의 화면 예이고 도 4의 (d)는 착신 단말의 화면 예이다. 도 4의 (a)에서 발신 단말에는 착신 단말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착신자의 영상(A 영상)이 발신자의 영상(B 영상)보다 크게 표시된다. 반대로 도 4의 (d)에서 착신 단말에는 발신 단말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발신자의 영상(B 영상)이 착신자 의 영상(B 영상)보다 크게 표시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인의 영상과 상대방의 영상이 동일한 크기로 화면에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채팅창(401, 403)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는 채팅창(401)에 영상 통화 상대방에게 보낼 대화 내용을 입력한다. 도 4의 (a)에서 발신자는 "자기야 사랑해~"를 입력한다. 이와 같이 입력된 대화 내용은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으로 전송되고,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수신된 대화 내용에서 특정 키워드를 인식한다. 도 4에서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사랑' 키워드를 인식하고, 그 '사랑' 키워드에 대응하는 하트 모양의 이모티콘을 추출한다.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160)은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출한 하트 모양의 이모티콘을 발신자의 영상(B 영상)에 합성하여 착신 단말로 전송하고, 착신 단말에는 발신자의 영상으로 상기 합성된 영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 단말에는 발신자의 실시간 영상에 하트 모양의 이모티콘이 함께 표시된다(405).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통화 중 상대방의 음성을 잘 알아듣지 못하는 문제점을 채팅 기능을 통해 해결한다. 영상 통화는 일반적인 음성 통화와는 달리 상대방의 얼굴을 보며 통화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그런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은 주변 사람들에게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음량을 줄이게 되면 상대방의 음성을 제대로 듣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음성 대신 채팅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조용함을 유지해야 하는 장소 등에서도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영상 통화 중 채팅 서비스를 이용할 때 대화 내용에 따라 상대방의 영상에 이모티콘, 플래시 등의 콘텐츠가 합성되어 표시됨으로써, 단순 채팅에서 벗어나 흥미를 유발하는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 채팅 중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채팅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4)

  1. 통신망에서 통신 단말 간 영상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채팅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영상 통화를 위한 호를 수신하고 이를 라우팅하는 교환기; 및
    상기 교환기에서 라우팅된 상기 호를 수신하여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영상 통화 채널을 형성하여 영상 통화를 중개하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 채팅 프로그램 구동을 지시하는 채팅 프로그램 구동 메시지를 전송하여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채팅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영상 채팅을 중개하는 영상 채팅 중개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채팅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채팅 중개 수단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 송수화음 차단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송수화음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채팅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발신 호에 영상 채팅 서비스를 요청하는 식별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발신 호를 상기 영상 채팅 중개 수단으로 라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채팅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채팅 중개 수단은,
    키워드 집합 및 상기 키워드 집합에 속하는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채팅 메시지에서 특정 키워드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 수단; 및
    상기 문자 인식 수단에서 인식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상기 저장 수단에서 추출한 후 사용자 영상에 합성하는 영상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채팅 서비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모든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공통 키워드 집합 및 공통 콘텐츠와, 사용자별로 설정된 사용자별 키워드 집합 및 사용자별 콘텐츠를 구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채팅 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합성 수단은,
    1차적으로 사용자별 키워드 집합 및 사용자별 콘텐츠를 이용하여 사용자 영상에 합성할 콘텐츠를 추출하고, 2차적으로 공통 키워드 집합 및 공통 콘텐츠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채팅 서비스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에 송수신 되는 음성에서 특정 키워드를 음성 인식하는 음성 인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합성 수단은,
    상기 음성 인식 수단에서 인식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상기 저장 수단에서 추출한 후 사용자 영상에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채팅 서비스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채팅 중개 수단은,
    채팅 메시지에 특수 문자로 시작되는 문자열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채팅 서비스 시스템.
  9. 통신망에서 통신 단말 간 영상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영상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로 채팅 프로그램 구동을 지시하는 채팅 프로그램 구동 메시지를 전송하여 채팅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 채팅 메시지 및 영상을 중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채팅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로 송수화음 차단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송수화음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채팅 서비스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프로그램 활성화 단계 이전에,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발신 호에 영상 채팅 서비스를 요청하는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채팅 서비스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채팅 메시지에서 특정 키워드를 문자 인식하는 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사용자 영상에 합성하여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채팅 서비스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에 송수신 되는 음성에서 특정 키워드를 음성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인식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사용자 영상에 합성하여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채팅 서비스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채팅 메시지에서 특수 문자로 시작되는 문자열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문자열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채팅 서비스 방법.
KR1020080079452A 2008-08-13 2008-08-13 영상 채팅 시스템 및 영상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94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452A KR100994889B1 (ko) 2008-08-13 2008-08-13 영상 채팅 시스템 및 영상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PCT/KR2009/004474 WO2010018975A2 (en) 2008-08-13 2009-08-1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chat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452A KR100994889B1 (ko) 2008-08-13 2008-08-13 영상 채팅 시스템 및 영상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726A KR20100020726A (ko) 2010-02-23
KR100994889B1 true KR100994889B1 (ko) 2010-11-16

Family

ID=4209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452A KR100994889B1 (ko) 2008-08-13 2008-08-13 영상 채팅 시스템 및 영상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913B1 (ko) * 2011-02-08 2017-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의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131B1 (ko) * 2010-04-06 2012-03-20 (주)티아이스퀘어 영상 전화를 이용하여 영상 mo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3002478A1 (ko) * 2011-06-28 2013-01-03 (주)티아이스퀘어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37239A (ko) 2018-06-01 2019-12-11 박후현 단말의 음성 이모티콘 전송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491B1 (ko) * 2006-03-07 2007-09-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전화 연동 채팅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491B1 (ko) * 2006-03-07 2007-09-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전화 연동 채팅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913B1 (ko) * 2011-02-08 2017-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의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726A (ko) 2010-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3619B2 (en) Method for offering TTY/TDD service in a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CN102170617A (zh) 移动终端及其远程控制方法
WO2005112401A2 (en) Voice to text messaging system and method
CN104539790A (zh) 一种平板电脑共享手机通讯功能的方法及系统
CN112887194B (zh) 实现听障人士通话的交互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4869216A (zh) 接打电话的方法和移动终端
KR100523358B1 (ko) 장애인용 개방 api 응용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994889B1 (ko) 영상 채팅 시스템 및 영상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44978A (ko) 원격 통화에 기반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인공지능 단말, 서비스 모드 관리 서버, 서비스 제공 시스템, 그리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44036B1 (ko) 인터넷 영상전화기의 단문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2194257B1 (ko) 청각 장애인을 고려한 통화 중계 시스템
KR20020080956A (ko)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1098188B1 (ko) 가입자별 정보 관리 및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EP2536176B1 (en) Text-to-speech injection apparatus for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110030985A (ko) 영상 채팅 방식을 이용한 텍스트-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5136823B2 (ja) 定型メッセージ機能付きPoCシステム、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端末、PoCサーバ
KR101013310B1 (ko) 영상호를 이용한 문자 전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이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
KR100964107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6375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멀티미디어 채팅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102380557B1 (ko) 인공지능 서비스를 인터페이싱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40075511A (ko) 단축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28178A (ko) 자동 음성번역 전화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8059566B1 (en) Voice recognition push to message (PTM)
WO2010018975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chat service
KR100625662B1 (ko)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