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2736A -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의메시지 확인 방법 및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의메시지 확인 방법 및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2736A
KR20060012736A KR1020040061365A KR20040061365A KR20060012736A KR 20060012736 A KR20060012736 A KR 20060012736A KR 1020040061365 A KR1020040061365 A KR 1020040061365A KR 20040061365 A KR20040061365 A KR 20040061365A KR 20060012736 A KR20060012736 A KR 20060012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message
server
management system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3221B1 (ko
Inventor
박정태
박윤영
신현삼
남성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40061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221B1/ko
Publication of KR2006001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서버 또는 단말기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던 메시지관리 기능 및 서비스를 통합하여 다양한 단말기로 다양한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은, 중앙서버, 통화관리서버, 메시지관리서버 및 미디어변환서버를 포함한다. 중앙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의 통신단말기가 속하는 통신망에 접속하여 가입자의 통신단말기의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수신한다. 통화관리서버는 중앙서버에서 수신된 통화내역을 저장관리하고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메시지 관리서버는 중앙서버에서 수신된 송수신 메시지를 저장관리하고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미디어 변환서버는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송수신된 메시지의 미디어 형태를 변환하여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또한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은 가입자의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 정보들을 포함하는 폰북리스트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개인전화번호 관리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통합관리, 미디어 변환, 폰북리스트, 통화내역

Description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의 메시지 확인 방법 및 서비스 제공방법{Ma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s, the method for message verification in the same and the method providing ser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가입자가 일반전화(150), 이동전화(130) 또는 IP전화(160)를 이용하여 통합관리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은 가입자가 IP망(10) 또는 LAN(20)에 접속된 PC(110, 120)을 이용하여 통합관리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가입자가 PI망(40)에 접속된 휴대단말기(140)을 이용하여 통합관리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든 단 말기에서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유무선통신망이 구축됨으로써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지에 있는 상대방과 통신할 수 있는 수단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상대방과 통신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이하 PSTN 이라함)을 이용한 음성통화가 가능한 일반전화, IP망(Internet Protocol Network)을 이용한 전자메일, 쪽지 또는 채팅이 가능한 컴퓨터, 이동전화망을 이용한 음성통화 또는 문자메시지가 가능한 이동전화 등이 있다.
이에 더하여 지금까지는 PSTN을 통해 이루어졌던 음성 서비스를 IP망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가 보급됨으로써, 음성이 디지털화되고 전달 체계가 IP망으로 되는 IP전화는 물론 인터넷 팩스, 웹콜, 통합 메시지 처리 등의 향상된 인터넷 전화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통신망이 구축되고 이 통신망들을 이용하는 다양한 단말기들이 보급되면서, 각 개인은 다수의 통신 단말기들을 보유하게 되며 음성, 문자메시지, 전자메일, 채팅 등 다양한 매체의 메지시들을 착발신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신을 위하여 음성, 문자메시지, 전자메일, 채팅 등 각각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서 별도의 인터페이스 및 단말기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메일은 컴퓨터 또는 이동전화에서 각각의 서비스에 접속하 여 착발신 및 메시지 관리가 가능하며, 문자메시지의 경우 이동전화에서만 착발신 및 메시지 관리가 가능하므로 이동전화를 휴대하지 않는 경우에는 확인할 수가 없다. 또한 부재중 응답, 통화연결, 통화내역 등을 포함한 통신내역관리의 경우도 유무선 각각의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기능이나 각각의 통신회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만을 이용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개인이 특정 통신서비스회사 통신시스템을 이용하는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거나 분실한 경우, 이 단말기의 통신내역을 다른 통신서비스회사의 통신시스템을 이용하는 다른 단말기로 관리할 수 없다는 등의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각의 서버 또는 단말기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던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의 관리 기능 및 서비스를 통합하여 다양한 단말기로 다양한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다양한 단말기로 다양한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모든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의 통신단말기가 속하는 통신망에 접속하여 가입자의 통신단말기의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에서 수신된 통화내역을 저장관리하고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통화관리서버;
상기 중앙서버에서 수신된 송수신 메시지를 저장관리하고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메시지 관리서버; 및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송수신된 메시지의 미디어 형태를 변환하여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미디어 변환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통신망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및 IP망(internet protocol network)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통신망은 휴대형 인터넷망(portable internet network)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복수의 통신망 각각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통신망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통신망관리서버에 존재하는 가입자의 단말기의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통화관리서버는 유무선 통합 음성사서함을 관리하고, 콜포워딩 또는 리라우팅을 수행할 수 있다.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은 가입자의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 정보들을 저장하 고 관리하는 개인전화번호 관리서버;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가입자가 말하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서버; 및 상기 음성인식서버에 의해 인식된 상대방의 등록된 통신 단말기 정보들 중에서 통신가능 상태를 알려주는 프레즌스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전화번호 관리서버는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 정보들을 가입자가 접속하는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개인전화번호 관리서버는 상기 음성인식서버에서 음성인식된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 정보들 중에서 상기 프레즌스서버로부터 통신가능한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직접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프레즌스서버는 상대방의 등록된 통신 단말기 정보들 중에 통신 가능한 정보를 가입자가 접속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a) 상기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b)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통화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통화내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d)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시지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송수신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발신자번호 및 개인식별코드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내역은 가입자의 모든 통신단말기의 모든 착신 및 발신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가입자가 상기 송수신 메시지를 확인하려는 경우, 상기 메시지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해당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메시지를 다른 형태로 변환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변환서버에 접속하여 해당하는 메시지를 변환하여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메시지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a) 복수의 통신망관리서버로부터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가입자 정보에 따라 상기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c) 가입자가 접속을 요청하면 가입자 식별 및 인증하는 단계; 및
d) 상기 가입자 식별 및 인증이 수행된 가입자의 단말기로 통화내역 또는 송수신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d) 단계는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가입자의 단말기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형태를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의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에 기초하여 가입자와 연결된 상대방의 단말기 정보들을 관리하는 폰북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폰북리스트에 저장된 상대방의 단말기들 중에서 현재 접속 가능한 상태를 알려주는 프레즌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 통신시스템은 IP망(10), IP망(10)에 연결된 근거리통신망(Local area network, 이하 LAN)(20), 이동전화망(30), 휴대형 인터넷망(portable internet network, 이하 PI망)(40) 및 PSTN(50)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시스템은 VoIP, FoIP(Facsimile over-IP)와 같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NAS(Network Access Server)(211) 및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or)(212)를 포함하고, PSTN(50)이 IP망(10)에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키퍼(252)와 게이트웨이(251)를 포함하며,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300)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시스템은 IP망에 또는 LAN에 접속되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110, 120), 이동전화망(30)에 접속되는 이동전화(130), PI망(40)에 접속되는 휴대단말기, PSTN(50)에 접속되는 일반전화(150) 및 NAS(211)와 DSLAM(212)를 통하여 IP망(10)에 접속되는 IP전화(160)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입자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어떤 장소에서도 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신의 통화내역 및 송수신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IP망(10), LAN(20), 이동전화망(30), PI망(40) 및 PSTN(50) 각각은 망 내의 각 단말기과의 접속상태 및 착발신 신호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IP망관리서버(11), LAN관리서버(21), 이동전화망관리서버(31), PI망관리서버(41) 및 PSTN관리서버(51)를 각각 포함한다.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300)은 중앙서버(370), 통화관리서버(310), 메시지관리서버(320) 및 미디어변환서버(330)를 포함한다.
중앙서버(370)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300)과 IP망(10) 또는 PSTN(50)과의 접속을 관리한다. 또한 중앙서버(370)는 가입자가 사용하는 모든 통신 단말기의 정보, 전화번호나 IP번호 등의 가입자 단말기 정보들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중앙서버(370)는 IP망관리서버(11), LAN관리서버(21), 이동전화망관리서버(31), PI망관리서버(41), PSTN관리서버(51) 및 NAS(211)에 접속하여 등록된 가입자의 단말기의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정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통화관리서버(310)와 메시지관리서버(320)로 각각 전달한다.
통화관리서버(310)는 일반전화(150) 또는 이동전화(130)의 음성통화 내역을 관리한다. 또한, 통화관리서버(310)는 유무선 통합 음성사서함 관리하고, 가입자가 가입한 유무선 단말기로 콜 포워딩(call forwording) 또는 리라우팅(rerouting)을 수행한다. 통화관리서버(310)는 가입자의 모든 단말기의 통화내역을 관리하고 가입자가 접속하는 경우 통화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가입자가 접속요청한 단말기로 통화내역을 전송한다.
메시지관리서버(320)는 가입자가 가입한 모든 단말기의 유무선 통신서비스 내에서 메일, 메시지, 쪽지 등 관련 메시지를 관리한다. 즉, 메시지관리서버(320)는 IP망(10)에 연결된 PC(110), LAN(20)에 연결된 PC(120), 이동전화망(30)에 연결된 이동전화(130) 및 PI망(40)에 연결된 휴대단말기(140)에 송수신된 모든 메시지의 내역 및 관련내용을 모두 전달받아 관리한다. 또한 메시지관리서버(320)는 중앙서버(370)로부터 전달받은 가입자의 모든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IP번호 등에 따라 가입자의 송수신된 메시지를 관리하고 가입자가 접속하는 경우 접속에 접속요청한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미디어변환서버(3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 형태를 가입자가 서비스 받고자 하는 망이나 단말기 형태에 맞게 변환하여 전송한다. 예컨대 문자메시지를 음성메시지로 변환하거나 팩스를 이메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300)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가입자가 일반전화(150). IP전화(160) 또는 이동전화(130)를 이용하여 통합관리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에서 일반전화(150). IP전화(160) 또는 이동전화(130)에서 개인식별코드와 가입자의 발신자번호를 입력하면(S110),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300)의 중앙서버(370)에 접속된다(S120). 중앙서버(370)는 발신자번호와 개인식별코드를 이용하 여 본인 확인 및 가입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130).
도 2에서는 개인식별코드와 가입자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300)에 접속하는 방법이 도시되었지만, 다른 방법으로는 일반전화(150). IP전화(160) 또는 이동전화(130)에서 특수문자와 발신자번호를 이용하여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3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여기서 특수문자는 숫자가 아닌 특정 기호일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키패드에 존재하는 '#', '*', '/' 등 일 수도 있다.
또한 IP전화(16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발신자번호 없이 개인식별코드만을 입력함으로써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3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가입자 인증 후에 통화관리서버(310)에 접속되며(S140) 음성안내에 따라 통화관리서버에 저장된 통화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S150). 가입자가 송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확인을 원하는 경우, 메시지관리서버(320)에 접속하여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메시지를 원하는 형태로 변환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미디어변환서버(340)는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예컨대 문자 메시지를 음성메시지로 변환하여 가입자가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S170).
도 3은 가입자가 IP망(10) 또는 LAN(20)에 접속된 PC(110, 120)을 이용하여 통합관리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PC(110, 120)에서 개인식별코드를 입력하면(S210), 개인식별코드와 함께 PC(110, 120)의 IP가 통합관리 시스템(300)의 중앙서버(370)에 전달되고, 중앙서버(370)는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다(S220). 가입자 인증이 종료되면, 가입자는 통화관 리서버(310)에 접속할 수 있다(S230). 도 3에서는 개인식별코드를 이용하여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300)에 접속하는 방법이 도시되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수문자를 이용하여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300)에 접속하는 방법도 있다.
통화관리서버(310)에 접속하여 PC(110, 120)의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 또는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화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S240). 또한 메시지의 세부 내용은 음성메시지는 통화관리서버(310)의 음성사서함에 접속하여 음성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메시지관리서버(320)에 접속하여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S250, S260). 한편, 음성사서함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는 가입자의 요청(S270)에 따라 미디어변환서버(330)에 다른 형태의 메시지 예컨대 문자메시지로 변환되거나 팩스메시지는 전자메일로 변환되어 가입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S280).
도 4는 가입자가 PI망(40)에 접속된 휴대단말기(140)를 이용하여 통합관리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가입자의 통신단말기로서 등록된 휴대단말기(140)를 이용하여 통합관리 시스템(3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휴대단말기(140)의 전원을 켜면(S310), 휴대단말기(140) 정보가 통합관리 시스템(300)에 전송되어 가입자 인증(S330)과 함께 통합관리 시스템(300)의 중앙서버(370)에 자동으로 접속될 수 있다(S340).
다른 방법으로는 휴대단말기(140)를 이용하여 통합관리 시스템(3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발신자번호 및 개인식별코드을 입력하고(S320), 가입자 인증을 받은 후에(S330) 통합관리 시스템(300)의 중앙서버(370)에 접속될 수 있다 (S340). 또는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방법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수문자와 발신자번호를 이용하여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300)에 접속할 수도 있고, 개인식별코드만을 입력함으로써 메시지통합관리 시스템(3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중앙서버(370)에 접속되면, 이동전화(130)에 경우 UI형태 또는 응용프로그램 형태로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고, 휴대단말기(140)의 경우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대화형 멀티미디어(interactive multimedia, 이하 IM)기반의 응용서비스, UI형태의 응용서비스 또는 독립된 응용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입자의 모든 단말기의 통화내역과 송수신 메시지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300)을 마련함으로써 어디서나 편리하게 통화내역과 메시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300)은 개인전화번호 관리서버(340), 음성인식서버(350) 및 프레즌스서버(presence server)(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인전화번호 관리서버(340)는 가입자의 폰북리스트(phone book list)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개인전화번호 관리서버(340)는 가입자가 입력한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 정보들을 폰북리스트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가입자와 한번의 착발신만으로도 송수신자의 유무선 통화서비스 가입정보를 유무선 통화 및 메시지 통??관리 시스템에 가입자의 개인 폰북 리스트를 통하여 자동으로 구축하고 가입자의 단말기가 폰북 기능 을 지원할 경우 구축된 폰북리스트를 가입자의 단말로 전송하여 단말기의 폰북리스트로 사용할 수 있다. 상대방은, 일반전화, 핸드폰, 전자메일 등과 같이 여러 개의 통신 단말기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가입자는 상대방의 복수개 통신 단말기 정보를 개인전화번호 관리서버(3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접속할 수 있으며 폰북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기초로 하여 가입자와 연결된 상대방의 단말기 정보들을 폰북리스트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음성인식서버(350)는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가입자가 말하는 음성을 인식한다. 프레즌스서버(360)는 가입자가 저장한 상대방의 통신단말기 정보들 중에서 현재 통신 가능한 것을 알려준다.
가입자가 일반전화(150)를 이용하여 수신자에게 전화를 거는 경우, 가입자는 통화를 원하는 수신자이름을 말하면 음성인식시버(350)는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수신자를 인식하고, 개인전화번호 관리서버(340)에 저장된 수신자의 통신 단말기 정보들 중에 프레즌스서버(360)에서 알려준 현재 통신 가능한 번호로 통화연결된다.
가입자가 이동전화(130) 또는 휴대단말기(140)를 이용하여 수신자에게 전화를 거는 경우, 가입자는 통화를 원하는 수신자이름을 말하면 음성인식서버(350)는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수신자를 인식하고, 개인전화번호 관리서버(340)에 저장된 수신자의 통신 단말기 정보들 중에 프레즌스서버(360)에서 알려준 현재 통신 가능한 번호로 통화연결된다. 또는 가입자가 개인전화번호 관리서버(340)에 접속하여 가입자의 폰북 리스트와 프레즌스서버(360)에서 제공되는 수신자의 연결가능 상태를 가입자의 IP전화(160)에 전송받아 가입자가 연결가능한 수신자의 번호로 직접 통화 연결한다. 또한 IP전화(160)는 단말기를 구동함과 동시에 서버로부터 폰북리스트가 단말기로 업데이트되고 주기적으로 서버에서 단말기로 업데이트된 폰북리스트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 수 있다.
또한, 가입자가 다양한 유무선 통신 단말기 중 통신을 원하지 않는 단말기가 있는 경우, 가입자가 프레즌스서버(360)에 접속하여 가입자가 연결을 원하지 않는 통신단말기로의 자동연결 기능과 연결가능 상태 표시 기능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그 실시예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무선 각각의 통신서비스회사 서버나 다양한 유무선 단말기, 전자 수첩 및 종이형태 전화번호부 등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던 통화, 메시지 관리 기능 및 전화번호부 기능을 통합 환경에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유무선 단말기를 가지고, 어디에서나 다양한 유무선 IP망을 이용하여 유무선 통화가 가능하며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가입자의 유무선 통화내역 및 메시지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와 한번의 착발신만으로도 송수신자의 유무선 통화서비스 가입정보를 유무선 통화 및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에 가입자의 개인 폰북 리스트를 통 하여 자동으로 구축하고 가입자의 단말기가 폰북 기능을 지원할 경우 구축된 폰북리스트를 가입자의 단말로 전송하여 단말기의 폰북리스트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8)

  1.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의 통신단말기가 속하는 통신망에 접속하여 가입자의 통신단말기의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에서 수신된 통화내역을 저장관리하고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통화관리서버;
    상기 중앙서버에서 수신된 송수신 메시지를 저장관리하고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메시지 관리서버; 및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송수신된 메시지의 미디어 형태를 변환하여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미디어 변환서버를 포함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망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및 IP망(internet protocol network)을 적어도 포함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망은 휴대형 인터넷망(portable internet network)을 더 포함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복수의 통신망 각각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통신망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통신망관리서버에 존재하는 가입자의 단말기의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전송받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관리서버는 유무선 통합 음성사서함을 관리하고, 콜포워딩 또는 리라우팅을 수행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가입자의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개인전화번호 관리서버;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가입자가 말하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서버; 및
    상기 음성인식서버에 의해 인식된 상대방의 등록된 통신 단말기 정보들 중에서 통신가능 상태를 알려주는 프레즌스서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전화번호 관리서버는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 정보들을 가입자가 접속하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전화번호 관리서버는, 상기 음성인식서버에서 음성인식된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 정보들 중에서 상기 프레즌스서버로부터 통신가능한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직접 통신 연결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즌스서버는 상대방의 등록된 통신 단말기 정보들 중에 통신 가능한 정보를 가입자가 접속한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기재된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b)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통화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통화내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d)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시지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송수신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발신자번호 및 개인식별코드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역은 가입자의 모든 통신단말기의 모든 착신 및 발신 내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가입자가 상기 송수신 메시지를 확인하려는 경우, 상기 메시지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해당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메시지를 다른 형태로 변환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변환서버에 접속하여 해당하는 메시지를 변환하여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
  15. a) 복수의 통신망관리서버로부터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가입자 정보에 따라 상기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c) 가입자가 접속을 요청하면 가입자 식별 및 인증하는 단계; 및
    d) 상기 가입자 식별 및 인증이 수행된 가입자의 단말기로 통화내역 또는 송수신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가입자의 단말기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형태를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의 통화내역 및 송수신 메시지에 기초하여 가입자와 연결된 상대방의 단말기 정보들을 관리하는 폰북리스트를 제공하는 메시지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폰북리스트에 저장된 상대방의 단말기들 중에서 현재 접속 가능한 상태를 알려주는 프레즌스 기능을 제공하는 메시지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40061365A 2004-08-04 2004-08-04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의메시지 확인 방법 및 서비스 제공방법 KR100613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365A KR100613221B1 (ko) 2004-08-04 2004-08-04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의메시지 확인 방법 및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365A KR100613221B1 (ko) 2004-08-04 2004-08-04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의메시지 확인 방법 및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736A true KR20060012736A (ko) 2006-02-09
KR100613221B1 KR100613221B1 (ko) 2006-08-21

Family

ID=3712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365A KR100613221B1 (ko) 2004-08-04 2004-08-04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의메시지 확인 방법 및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22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483B1 (ko) * 2006-06-30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징 방법
US8050269B2 (en) 2007-08-22 2011-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ssage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for adaptive converged IP messaging
WO2013028325A2 (en) * 2011-08-22 2013-02-28 Facebook, Inc. Unified messaging system with integration of call log data
US8671156B2 (en) 2008-11-28 2014-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history
KR101678302B1 (ko) 2015-05-15 2016-11-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메시지 관리 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메시지 관리방법
US10003563B2 (en) 2015-05-26 2018-06-19 Facebook, Inc. Integrated telephone applications on online social network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483B1 (ko) * 2006-06-30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징 방법
US8050269B2 (en) 2007-08-22 2011-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ssage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for adaptive converged IP messaging
US8671156B2 (en) 2008-11-28 2014-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history
KR20150102891A (ko) * 2008-11-28 201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이력 제공 방법
WO2013028325A2 (en) * 2011-08-22 2013-02-28 Facebook, Inc. Unified messaging system with integration of call log data
WO2013028325A3 (en) * 2011-08-22 2013-05-10 Facebook, Inc. Unified messaging system with integration of call log data
KR101678302B1 (ko) 2015-05-15 2016-11-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메시지 관리 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메시지 관리방법
US10003563B2 (en) 2015-05-26 2018-06-19 Facebook, Inc. Integrated telephone applications on online social networks
US10812438B1 (en) 2015-05-26 2020-10-20 Facebook, Inc. Integrated telephone applications on online social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3221B1 (ko) 2006-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20062B (zh) 提供支持用户移动性的多媒体邮箱服务的方法
CN101371561A (zh) 家庭通信服务器
CN101330541A (zh) 使用可接听性信息来自动回叫的系统和方法
JPH10257201A (ja) 電子メール端末及び電子メール配送システム
US90425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 calling party to leave a voice message for a called party in response to a command provided by the calling party
KR20020011668A (ko) 인터넷 전화통화 서비스 방법
WO1998006201A1 (en) Teleserver for interconnection of communications networks
KR100613221B1 (ko)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의메시지 확인 방법 및 서비스 제공방법
US88974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 calling party to leave a voice message for a called party
JP2007288290A (ja) 情報家電遠隔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20020036603A (ko) 통합 메시징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CN101217610B (zh) 基于媒体服务器的传真方法
JP5233714B2 (ja) 通信メディア変換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41416A (ja) 伝言メール送信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KR20070035151A (ko) 사용자 주소록과 연계한 발/착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 제공방법
WO2007091264A1 (en) An apparatus for connecting telephony networks to a computer
TWI384856B (zh) 網路電話連結系統以及網路電話連結方法
US20160044175A1 (en) Preconfigured Sender Communication
JP4063772B2 (ja) 電子メール転送装置
US20130083914A1 (en) Transferring a call from a first fixed communications terminal in a local network to a second fixed communications terminal in the same local network
KR20010099095A (ko) 통합메세징시스템의 이메일주소록검색방법
KR100612453B1 (ko)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09121A (ko)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장치
JP5967152B2 (ja) 伝言メール送信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KR101003789B1 (ko) VoIP 기반의 IVR 시스템에서의 고객 담당자 직접 통화연결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