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737B1 - 소형 전기보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전기보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737B1
KR100934737B1 KR1020070116485A KR20070116485A KR100934737B1 KR 100934737 B1 KR100934737 B1 KR 100934737B1 KR 1020070116485 A KR1020070116485 A KR 1020070116485A KR 20070116485 A KR20070116485 A KR 20070116485A KR 100934737 B1 KR100934737 B1 KR 100934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ase
water tank
electric boil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184A (ko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주) 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은진 filed Critical (주) 은진
Priority to KR1020070116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7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5Water-storage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8Arrangements of boiler components on a frame or within a casing to build the fluid heater, e.g.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매트에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전기보일러에 있어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구분된 케이스; 물공급홀이 형성된 상부물탱크와 하부물탱크로 구분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체가 구비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어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및 상기 물공급홀을 밀폐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압력조절부가 형성된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석의 척력을 이용하도록 순환펌프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소음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전기보일러, 온수매트, 관분배기, 압력조절부, 순환펌프

Description

소형 전기보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SMALL ELECTRIC BOILER AND HOT WATER MA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형 전기보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수매트에 온수관을 삽입하고 전기보일러 등을 통해 온수관 내부의 온수를 순환시키도록 한 소형 전기보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수매트는 일반적인 전열장판이나 전열매트 등이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발생하고 전기 소모가 많은 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매트 내부에 열선 대신 온수관을 삽입하고 전기보일러 등을 통해 온수관 내부의 온수를 순환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온수매트에 관한 기술로 순환관의 노출에 따른 신체 접촉부위의 불쾌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온수순환 매트'(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0229호)가 안출되었다.
또한, 안락한 침대의 쿠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온수로가 내설된 매트'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8289호)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온수매트는 쿠션재의 상면에 루우프 형태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이 삽입홈에 순환관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온수매트들은 매트를 접을 경우 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순환관과 쿠션재의 탄성력이 달라 순환관이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려는 힘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 매트를 접고 피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순환관이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그물망 형태의 철망을 준비하여 철망에 순환관을 꼬아 설치하거나 기타 구조물에 순환관을 설치하면서 끈으로 묶어 고정할 수도 있으나 이 역시 순환관이 완전히 고정되지 못하고 온수매트를 접거나 펼 때 순환관이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쿠션재 위에 순환관이 안착된 구조로 되어 있어 장시간 사용에 따른 쿠션재의 성능이 감소되는 경우, 구체적으로 스폰지 등의 쿠션재를 오래 사용할 경우 쿠션감이 줄어들게 되는데 이때 순환관이 돌출된 형태를 취하게 되어 사용자의 접촉 부위에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온수매트 상부에 다수 겹의 커버시트나 쿠션재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피부로의 열전달을 차단시켜 전기보일러 사용 효율 및 열효율을 반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매트를 접거나 펴는 동작을 반복할 때 쿠션재 일측에 하중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이 부분의 쿠션감이 줄어들게 되는데, 특히 이 하중 집중 지점에서는 순환관이 다른 부위보다 돌출되게 되어 사용자 접촉부위를 자극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쿠션재를 오래 사용한 경우 순환관과 쿠션재를 모두 버릴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온수매트 등에 사용되는 소형 전기 보일러에 관련된 기술로 '조립되는 수중모터 케이스를 갖는 온수매트의 보일러'(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0548호)가 안출되었다.
또한, '온수가열수단을 가지는 온수순환펌프 및 상기온수순환펌프를 이용한 온수매트 구조'(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20844호)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위와 같은 소형 전기 보일러는 물이 가열되는 하우징이 밀폐되 형태로 되어 있어 물의 가열에 따른 하우징 내부 압력이 상승할 경우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 온수매트의 전기 보일러의 하우징 상부에 작은 공기구멍을 형성해 팽창된 물과 공기가 밖으로 빠져 나가 압력 상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들이 안출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온수매트 등은 보통 휴대용으로 사용하거나 접을 수 있는 것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공기구멍을 통해 하우징 내부의 물이 밖으로 흘러나오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처럼 내부의 물이 밖으로 새 나오는 구조는 특히 접거나 펼치는 동작을 반복하는 휴대용의 온수매트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물이 밖으로 흘러 나오는 구조는 합선을 유도할 수 있고, 가열된 물이 샐 경우 화상 사고를 발생시킬 수도 있어 안전상 문제가 많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밀폐식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수매트장치'(한국등록특허 제68594호)가 안출되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소형 전기보일러에는 온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가 설치되는데, 상기 순환펌프 내부의 회전날개 축부분과 세라믹부재가 회전에 의해 충격이 발생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순환펌프와 물탱크는 관에 의해 연결되어 순환펌프의 회전에 의한 진동으로 관과 순환펌프의 연결이 해제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순환펌프에서 배출되는 배출라인이 설치되는 공간이 케이스 내부에 추가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전기보일러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지게 되어 콤팩트하게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에 내부에 물탱크실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출성형에 따른 금형 비용이 증가되며, 일체형 물탱크실로 인해 조립성 및 유지보수가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케이스 내부의 컨트롤장치가 수분으로부터 노출되어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물탱크실의 내부압력을 줄이기 위해 압력조절장치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압력조절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비용부담이 발생하며, 전체적인 부피 또한 커져 전기보일러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순환펌프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소음을 크게 감소시키는 소형 전기보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순환펌프와 물탱크를 직접연결하여 순환펌프의 회전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누수를 방지하는 소형 전기보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순환펌프에서 배출되는 배출라인을 물탱크 내부에 일체로 형성하여 순환펌프에서 배출되는 배출라인을 케이스 내부에 추가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줘 콤팩트하게 제작이 용이한 소형 전기보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탱크가 케이스 내부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설치되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소형 전기보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로기판을 습기로부터 완벽하게 밀폐하도록 별도로 분리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습기에 의한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하는 소형 전기보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형 전기 보일러의 압력조절장치를 이용해 발열체의 가열에 의해 물탱크 내부의 압력이 팽창하더라도 압력조절부에 의해 팽창된 물과 공기를 배출될 수 있도록 해 팽창압에 의해 물탱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소형 전기보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온수매트에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전기보일러에 있어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구분된 케이스; 물공급홀이 형성된 상부물탱크와 하부물탱크로 구분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체가 구비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어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및 상기 물공급홀을 밀폐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압력조절부가 형성된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보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는, 자석의 척력을 이용하도록 순환펌프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소음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순환펌프와 물탱크를 직접연결하여 순환펌프의 회전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연결부위의 이탈을 방지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순환펌프에서 배출되는 배출라인을 물탱크 내부에 일체로 형성하여 순환펌프에서 배출되는 배출라인을 케이스 내부에 추가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줘 콤팩트하게 제작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물탱크가 케이스 내부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설치되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회로기판을 습기로부터 완벽하게 밀폐하도록 별도로 분리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습기에 의한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전기 보일러의 압력조절장치를 이용해 발열체의 가열에 의해 물탱크 내부의 압력이 팽창하더라도 압력조절장치에 의해 팽창된 물과 공기를 배출될 수 있도록 해 팽창압에 의해 물탱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형 전기보일러는 온수매트에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전기보일러에 있어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구분된 케이스; 물공급홀이 형성된 상부물탱크와 하부물탱크로 구분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체가 구비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어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및 상기 물공급홀을 밀폐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압력조절부가 형성된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물탱크에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게 하단으로 제1배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물탱크에는 상기 제1배출라인과 연통되게 제2배출라인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상부물탱크에는 관수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에는 난방수의 회수를 위한 공급측순환관이 구비되며, 상 기 공급측순환관 일측에는 상기 온수매트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2배출라인과 연통되는 배출측순환관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측순환관 타측에는 상기 순환펌프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배출공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배출공과 상기 순환펌프는 나사결합되며 상기 물탱크배출공과 상기 순환펌프 사이에는 오링이 추가된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마개의 하단으로 형성된 제1배출홀과, 상기 제1배출홀 상단으로 형성된 유동부와, 상기 유동부 상단으로 형성된 제2배출홀과, 상기 제1배출홀에 결합되는 고무패킹과, 상기 고무패킹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유동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배출홀과 상기 고무패킹은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측면으로 제1회로기판분리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상기 제1회로기판분리수용부 사이에는 고무실링이 추가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제2회로기판분리수용부가 전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물공급홀에 대응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회로기판수용부의 케이스 외부방향으로 열배출부가 추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순환펌프는, 원통형 하우징;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외부에 장착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원통형 하우징이 장착되고 물배출구가 일체로 형성된 펌프케이스; 상기 펌프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결합된 회전날개; 상기 펌프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펌프덮개; 상기 펌프덮개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축지지판; 상기 회전축지지판과 상기 회전날개 각각에 마주보도록 고정결합되어 서로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석; 및 상기 회전자와 원통형 하우징 각각에 마주보도록 고정결합되어 서로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2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순환펌프는, 원통형 하우징;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외부에 장착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원통형 하우징이 장착되고 물배출구가 일체로 형성된 펌프케이스; 상기 펌프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결합된 회전날개; 상기 펌프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펌프덮개; 상기 회전날개 하부에 위치하여 펌프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축지지판; 및 상기 회전축지지판과 상기 회전자 각각에 마주보도록 고정결합되어 서로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석;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세라믹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에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프론수지가 코팅되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식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수매트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쿠션부재와 온수관이 분리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식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수매트장치는, 크게 온수매트(10),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보일러(40), 및 상기 온수매트(10)와 전기보일러(40)를 연결하여 온수를 공급하고 난방을 완료한 온수를 회수하기 위한 온수공급호스(83) 및 난방수회수호스(85)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공급호스(83)와 난방회수호스(85)는 각각 연결장치(8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먼저, 온수매트(10)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온수매트(10)는 상부커버천(11)과 하부커버천(12)이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천(11)과 하부커버천(12)은 루프진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두 천이 결합되면서 온수관설치홈(14)과 쿠션부재설치홈(13)이 교대로 형성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여기서, 온수관설치홈(14)의 두께는 쿠션부재설치홈(13)의 두께보다 작게 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다. 두 천을 결합하는 방법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박음질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쿠션부재설치홈(13)의 내부에 삽입되는 쿠션부재(20)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 겹으로 적층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쿠션부재(20)는 상부쿠션재(21), 중앙쿠션재(22), 하부쿠션재(23)의 3겹으로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처럼 3겹으로 형성한 것은 바닥에 접촉하는 부분, 사용자의 피부(60)와 접촉하는 부분은 장시간 사용에 따라 탄성복원력이 차츰 감소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후술하는 온수관(30)이 돌출되어 사용자의 피부(60)를 자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방지하기 위해 쿠션부재(20)를 상부쿠션재(21), 중앙쿠션재(22) 및 하부쿠션재(23)의 3겹으로 형성하게 되면, 상부쿠션재(21)와 하부쿠션재(23)는 탄성복원력이 차츰 감소하게 되더라도 중앙쿠션재(22)의 탄성복원력 감소율이 비교적 적어 온수관(30)이 돌출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피부를 자극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쿠션부재(20)는 최소 3겹 이상의 다수 겹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쿠션부재(20)는 바람직하게는 압축 부직포와 같은 것이 좋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다른 탄성력을 가진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온수관(30)은 상기 온수관설치홈(14)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유연성을 재질로 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합성수지재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온수관(30)은 온수관설치홈(14)을 따라 설치되는데, 온수관설치홈(14) 은 온수가 온수매트(10) 전체를 순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도면에서는 세 개의 온수관(30)이 관분배기(50)로부터 분배되어 각기 커버천(10)의 일정 구역을 순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온수관(30)의 설치 예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관분배기(50) 없이 하나의 온수관(30)만으로 커버천(10) 전체를 순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온수매트는 쿠션부재(20)와 온수관(30)이 서로 평행하게 교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이유는 온수매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온수매트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설치홈(13)의 두께가 온수관설치홈(14)의 두께보다 커 사용시 온수관(30)이 사용자의 피부(60)를 자극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특히, 하중에 따른 쿠션부재(20)의 두께 감소율을 검토하여 쿠션부재설치홈(13)을 충분히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일예로, 하중 60kg을 받을 경우 쿠션부재(20)의 두께가 5cm에서 3cm 로 감소할 경우 온수관(30)의 두께는 3cm 보다 작은 2cm 정도의 것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 피부(60)를 자극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쿠션부재설치홈(13) 형성 부분마다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는 단추나 지퍼 등을 이용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박음질 되어 있는 것을 푼 다음 쿠션부재(20)를 교체한 후 다시 박음질하는 불편함 없이 쉽게 쿠션부재(20)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온수매트(10)가 천 재질의 시트(70) 내부에 들어 있고, 이 위에 사용자의 하중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의 하중을 받았을 때 쿠션부재(20)가 압축되어 두께가 감소하더라도 온수관(30)의 두께보다 얇아지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비단 사용자의 피부(60)를 자극하지 않는 장점만을 갖는 것이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관분배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관분배기(50)는 상부케이스(510)와 상기 상부케이스(51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하부케이스(520)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케이스(520)의 내면 일측에는 한 쌍의 분기벽(523),(52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분기벽(523)은 상기 온수공급호스(83)와 연결된 3개의 온수관(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3개의 분기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또 하나의 분기벽(525)도 동일하게 상기 난방수회수호스(85)와 연결된 3개의 온수관(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3개의 분기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510)와 하부케이스(52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삽입돌부와 끼움홈의 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식 소형 전기 보일러를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식 소형 전기보일러의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식 소형 전기보일러의 물탱크의 분해상태를 도시 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 절단선을 따라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b-b' 절단선을 따라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환펌프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순환펌프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보일러(40)는 크게 상부케이스(411)와 하부케이스(412)로 구분된 케이스(410)와, 물공급홀(422)이 형성된 상부물탱크(421)와 하부물탱크(423)로 구분되어 상기 케이스(4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체(424)가 구비되는 물탱크(420)와, 상기 물탱크(420)에 연결되어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430) 및 상기 물공급홀(422)을 밀폐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압력조절부(450)가 형성된 마개(440)로 구분 형성된다.
케이스(41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케이스(411,412)로 구분되며, 내부에 상술한 물탱크(420), 순환펌프(430), 전원입력을 위한 파워보드(401) 및 마이컴보드(402)가 수용가능한 공간부를 가진다.
이러한 파워보드(401) 및 마이컴보드(402)를 수용하는 부분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부케이스(411)와 하부케이스(412)의 측면으로 제1회로기판분리수용부(411a,412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회로기판분리수용부(411a,412b)에는 파워보드(401)가 실장된다. 이와 같은 제1회로기판분리수용부(411a,412b)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고무실링(403)을 추가하여 증기나 습기에 의한 오작동 및 고장을 방지 하게 된다.
한편, 제1회로기판분리수용부(411a,412b)에 실장되는 파워보드(401)는 열을 발생하여 발열문제로 인한 오작동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제1회로기판수용부(411a,412a)의 케이스(410) 외부방향으로 열배출부(404)가 추가로 형성되어 파워보드(401)가 외부공기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열을 안정적으로 외부 배출하여 발열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부케이스(411)에는 제2회로기판수용부(413)가 전면으로 구비되어 마이컴보드(402)를 파워보드(401)와 별도로 수용하게 된다. 이는 파워보드(401)의 발열로 마이컴보드(402)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부케이스(411)에는 물탱크의 물공급홀(422)에 대응되는 삽입공(414)이 형성되어 본 발명의 전기보일러(40)가 조립된 상태에서도 상기 삽입공(414)을 통해 물 주입이 쉽도록 구성된다.
물탱크(42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물탱크(421,423)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물탱크(431)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홀(4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물공급홀(415)은 마개(44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물탱크(423)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홀(422)이 형성된 상부물탱크(421)가 밀폐식으로 덮여진다.
한편, 상기 상,하부물탱크(421,423) 사이에는 내부의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고무실링(미도시)이 추가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421)의 내부에는 발열체(4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체(424)는 상기 마이컴보드(402)의 제어에 의해 물을 가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발열체(424)는 공지되어 있는 일반 소형 전기 보일러에 사용되는 발열체를 사용하게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상부물탱크(421)에는 배출공(425a)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425a)과 연통되게 하단으로 제1배출라인(425b)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물탱크(423)에는 상기 제1배출라인(425b)과 연통되게 제2배출라인(425c)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공(425a)의 일측으로 관수용부(425d)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물탱크(420)에는 난방수의 회수를 위한 공급측순환관(426a)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측순환관(426a) 일측에는 상기 온수매트(10)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2배출라인(425c)과 연통되는 배출측순환관(426b)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측순환관(425b) 타측에는 상기 순환펌프(430)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배출공(426c)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물탱크(420)의 배출공(425a)은 후술될 순환펌프(430)의 물배출구(433a)와 관(P)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관(P)은 관수용부(425d)에 안착되어 물탱크(4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상기 배출공(425a)과 연결된 제1,2배출라인(425b,425c)은 물탱크(420) 내측으로 배출측순환관(426b)과 연결되어 종래의 배출측순환관과 연결되는 구조가 물탱크 외측에서 구성되는 구조에 비해 전체적인 부피가 작아져 케이스(410)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줘 콤팩트한 전기보일러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배출공(426c)과 상기 순환펌프(430)는 나사결합되는데, 이는 상기 물탱크배출공(426c)이 암나사로 구성되며, 상기 물탱크배출공(426c)과 결합되는 순환펌프(430)는 숫나사로 구성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배출공(426c)과 상기 순환펌프(430) 사이에는 고무 오링(427)이 추가로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측순환관(426a)은 상기 난방수회수호스(85)에 연결되어 상기 온수매트(10)로부터 회수되는 난방수를 물탱크(42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물탱크실배출관(426c)은 상기 순환펌프(430)에 온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2배출라인(425b,425c)과 연통된 상기 배출측순환관(426b)에는 온수공급호스(83)가 연결되어 상기 전기보일러로(40)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상기 온수매트(1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물탱크(420)의 내부에서 가열된 온수는 배출측순환관(426b)을 통해 온수공급호스(83)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온수관(30)을 통해 온수매트(10)를 난방한다. 온수매트(10)를 난방하고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난방수는 공급측순환관(426a)을 통해 다시 본 발명의 전기 보일러 물탱크(420)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물탱크(420)는 발열체(424)의 가열에 의해 물이 기화되어 내부압력이 팽창하며,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물탱크(420)는 파손의 위험이 따르므로 상기 마개(440)에는 상기 물탱크(42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450)가 구비된다.
압력조절부(450)는 도 10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개(440)의 하단으로 형 성된 제1배출홀(451)과, 상기 제1배출홀(451) 상단으로 형성된 유동부(452)와, 상기 유동부(452) 상단으로 형성된 제2배출홀(453)과, 상기 제1배출홀(451)에 결합되는 고무패킹(454)과, 상기 고무패킹(454)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유동부(452)에 설치되는 스프링(455)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배출홀(451)과 상기 고무패킹(454)은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압력조절부(450)는 압력이 높아진 증기압에 의해 고무패킹(454)이 뒤로 밀리면서 스프링(455)은 압축되고, 이때 상기 고무패킹(454)과 제1배출홀(451)을 사이를 거쳐 제2배출홀(453)로 증기압이 빠져나가 상기 물탱크(420)의 내부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내부압력이 조정된 상기 물탱크(420)는 스프링(455)의 인장방향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무패킹(454)은 원상태로 복귀된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455)의 탄성력은 상기 물탱크(420)의 내부압력에 의해 압축되었다 복원되는 동작을 하도록 적정한 탄성력을 가져야 함은 자명하다. 또한, 압력의 증가시에, 상기 스프링(455)이 유동부(452) 내부에 부딪히며 소리가 나서 압력이 큰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순환펌프(430)는 물탱크(420)에서 가열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을 보면 순환펌프(430)의 일측에는 물탱크실배출관(426c)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는 배출공(425a)을 통해 배출측순환관(426b)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상기 순환펌프(430)는 물탱크실배출관(426c)으로부터 배출측순환관(426b)으로 물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온수매트(10) 전체로 보았을 때 는 온수관을 통해 온수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순환펌프(4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432a)와 회전자(431)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회전자(431)는 원통형 하우징(43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고정자(432a)는 상기 원통형 하우징(432)의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자(431)는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회전축(431a)에 결합되는데, 상기 회전축(431a)은 세라믹재질로 제작됨으로써 별도의 베어링이 필요없이도 원활한 회전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소음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 하우징(432)은 펌프케이스(433)에 장착되고, 상기 펌프케이스(433)의 내부에는 회전날개(434)가 장착되고 그 상부에는 펌프덮개(435)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431a)의 일단이 접촉하는 펌프덮개(435)의 중심에는 세라믹부재(436a)가 구비된 회전축지지판(436)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펌프케이스(433)에는 물배출구(433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날개(434)의 회전력에 의해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물배출구(433a)에는 상기 배출공(425a)과 관으로 연결되어 있어, 온수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지지판(436)과 상기 회전날개(434) 각각에 마주보도록 고정결합되어 서로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석(437)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자(431)와 원통형 하우징(432) 각각에 마주보도록 고정결합되어 서로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2자석(438)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1,2자석(437,438)에 의해 회전날개(434) 및 회전자(431)는 회전축(431a)방향 유동을 방지하여 소음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과 동일한 구성에서 회전축지지판(436)과 제1자석(437)의 고정위치를 달리하여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회전날개(434)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431a)을 지지하도록 회전축지지판(436)이 펌프케이스(433)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지지판(436)과 상기 회전자(431) 각각에 마주보도록 고정결합되는 제1자석(437)에 의해 척력을 발생시켜 소음을 절감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431a)의 일단은 상기 펌프덮개(435)의 세라믹부재(436a)에 회전가능하게 접하고 있고, 그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432)의 내부에 장착된 세라믹부재(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접하고 있다.
상기 회전자(431)의 외주면에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프론수지가 코팅되어 있다. 이는 상기 회전자(431)가 물과의 접촉으로 인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순환펌프(430)의 작동을 보면, 상기 고정자(432a)와 회전자(431)의 작동에 의해 회전자(43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자(431)와 결합된 상기 회전날개(434)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날개(434)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펌프케이스(433)의 내부에 있는 온수를 상기 물배출구(433a)를 통해 순환시키게 된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호스 연결장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4a는 도 13에 도시한 호스 연결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b는 도 13에 도시한 호스 연결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 13 내지 도 14b는 온수공급호스(83)와 연결장치(80)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난방수회수호스(85)도 동일한 연결장치(80)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분리된 제 1온수공급호스(83a)와 제 2온수공급호스(83b)에는 각각 제 1연결장치(80a)와 제 2연결장치(80b)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연결장치(80a)의 중공몸체(810)은 제 1온수공급호스(83a)에 결합되고, 상기 중공몸체(810)의 개방단부에는 머리부(820)가 결합되는데, 상기 머리부(820)는 그 내주면에 암나사부(8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공몸체(810)의 내부에는 스프링(840)이 장착되고, 상기 중공몸체(810)의 전방단부(머리부쪽 단부)에는 이동체(830)가 병진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체(830)는 원뿔형상을 갖는 것으로, 뿔부분은 상기 중공몸체(8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원형단면부는 상기 중공몸체(810)의 내부에 숨겨져서 상기 스프링(840)에 접촉해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830)의 일측에는 환형의 시일링(833)이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이동체(830)와 상기 중공몸체(81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연결장치(80b)의 중공몸체(810b)은 제 2온수공급호스(83b)에 결합되고, 상기 중공몸체(810b)의 개방단부에는 머리부(820b)가 결합되는데, 상기 머리부(820b)는 그 외주면에 숫나사부(825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머리부(820b)의 숫나사부(825b)는 상기 머리부(820)의 암나사부(825)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공몸체(810b)의 내부에는 스프링(840b)이 장착되고, 상기 중공몸체(810b)의 전방단부(머리부쪽 단부)에는 이동체(830b)가 병진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체(830b)는 원뿔형상을 갖는 것으로, 뿔부분은 상기 중공몸체(810b)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원형단면부는 상기 중공몸체(810b)의 내부에 숨겨져서 상기 스프링(840b)에 접촉해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830b)의 일측에는 환형의 시일링(833b)이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이동체(830b)와 상기 중공몸체(810b) 사이에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장치의 작동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수매트(10)와 전기보일러(40)를 분리할 경우에,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820)와 머리부(820b)를 나사식으로 돌려서 분리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840),(840b)에 의해 상기 이동체(830),(830b)가 각각 밀려서 상기 중공몸체(810),(810b)에 밀착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시일링(833),(833b)이 상기 중공몸체(810),(810b)의 내벽에 밀접하게 접촉하여 온수공급호스(83a),(83b)의 내부에 있는 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온수매트(10)와 전기보일러(40)를 연결할 경우에,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820)와 머리부(820b)를 나사식으로 돌려서 연결하게 되면, 상기 이동체(830),(830b)가 맞닿으면서 상호간에 각각 온수공급호스(83a),(83b)쪽으로 밀리게 되고 상기 스프링(840),(840b)은 압축되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중공몸체(810),(810b)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게 되고, 그를 통해 물이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쿠션부재와 온수관이 분리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관분배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식 소형 전기 보일러를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식 소형 전기보일러의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식 소형 전기보일러의 물탱크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절단선을 따라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b' 절단선을 따라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환펌프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순환펌프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호스 연결장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 해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14에 도시한 호스 연결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에 도시한 호스 연결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온수매트 11 : 상부커버천
12 : 하부커버천 30 : 온수관
40 : 전기보일러 50 : 관분배기
80 : 연결장치 83 : 온수공급호스
85 : 난방수회수호스

Claims (22)

  1. 온수매트에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전기보일러에 있어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구분된 케이스;
    물공급홀이 형성된 상부물탱크와 하부물탱크로 구분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체가 구비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어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및
    상기 물공급홀을 밀폐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압력조절부가 형성된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물탱크에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게 하단으로 제1배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물탱크에는 상기 제1배출라인과 연통되게 제2배출라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상부물탱크에는 관수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에는 난방수의 회수를 위한 공급측순환관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측순환관 일측에는 상기 온수매트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2배출라인과 연통되는 배출측순환관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측순환관 타측에는 상기 순환펌프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배출공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배출공과 상기 순환펌프는 나사결합되며 상기 물탱크배출공과 상기 순환펌프 사이에는 오링이 추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마개의 하단으로 형성된 제1배출홀과, 상기 제1배출홀 상단으로 형성된 유동부와, 상기 유동부 상단으로 형성된 제2배출홀과, 상기 제1배출홀에 결합되는 고무패킹과, 상기 고무패킹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유동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홀과 상기 고무패킹은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측면으로 제1회로기판분리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상기 제1회로기판분리수용부 사이에는 고무실링이 추가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제2회로기판분리수용부가 전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물공급홀에 대응되는 삽입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기판수용부의 케이스 외부방향으로 열배출부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는,
    원통형 하우징;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외부에 장착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원통형 하우징이 장착되고 물배출구가 일체로 형성된 펌프케이스;
    상기 펌프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결합된 회전날개;
    상기 펌프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펌프덮개;
    상기 펌프덮개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축지지판;
    상기 회전축지지판과 상기 회전날개 각각에 마주보도록 고정결합되어 서로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석; 및
    상기 회전자와 원통형 하우징 각각에 마주보도록 고정결합되어 서로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2자석;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보일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는,
    원통형 하우징;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외부에 장착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원통형 하우징이 장착되고 물배출구가 일체로 형성된 펌프케이스;
    상기 펌프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결합된 회전날개;
    상기 펌프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펌프덮개;
    상기 회전날개 하부에 위치하여 펌프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축지지판; 및
    상기 회전축지지판과 상기 회전자 각각에 마주보도록 고정결합되어 서로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석;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세라믹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
  14.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에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프론수지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보일러.
  15. 온수공급호스 및 난방수회수호스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에 있어서,
    온수관설치홈과 쿠션부재설치홈이 교대로 복수개 형성되는데, 그들의 경계부분에는 박음질이 되어 있는 상부커버천 및 하부커버천과, 상기 쿠션부재설치홈의 내부에 충진되며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는 쿠션부재와, 상기 온수관설치홈의 중간 부분에 삽입되어 있고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온수관을 포함하는 온수매트;
    상기 온수매트의 일측에 상기 온수관을 분배하기 위해 설치된 관분배기; 및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구분된 케이스와, 물공급홀이 형성된 상부물탱크와 하부물탱크로 구분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체가 구비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어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및 상기 물공급홀을 밀폐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압력조절부가 형성된 마개로 구성되어 상기 온수매트 및 관분배기에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전기보일러;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압축 부직포 재질의 상부쿠션재, 중앙쿠션재, 하부쿠션재의 3중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천 및 하부커버천의 온수관설치홈과 쿠션부재설치홈은 일직선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온수관설치홈의 양 끝단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천 및 하부커버천은 각 쿠션부재설치홈 형성 부분마다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쿠션부재를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관분배기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하부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면 일측에는 한 쌍의 분기벽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의 분기벽은 상기 온수공급호스와 연결된 3개의 온수관을 지지할 수 있도록 3개의 분기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분기벽은 상기 난방수회수호스와 연결된 3개의 온수관을 지지할 수 있도록 3개의 분기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장치.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호스 또는 상기 난방수회수호스 각각의 호스는 제 1연결장치와 제 2연결장치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장치는,
    온수공급호스에 결합되는 중공몸체;
    상기 중공몸체의 개방단부에 결합되며 그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머리부;
    상기 중공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중공몸체의 전방단부(머리부쪽 단부)에 병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연결장치는,
    제 2온수공급호스에 결합되는 중공몸체;
    상기 중공몸체의 개방단부에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머리부;
    상기 중공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중공몸체의 전방단부(머리부쪽 단부)에 병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이동체는 원뿔형상을 갖는 것으로, 뿔부분은 상기 중공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원형단면부는 상기 중공몸체의 내부에 숨겨져서 상기 스프링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장치.
KR1020070116485A 2007-11-15 2007-11-15 소형 전기보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 KR100934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485A KR100934737B1 (ko) 2007-11-15 2007-11-15 소형 전기보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485A KR100934737B1 (ko) 2007-11-15 2007-11-15 소형 전기보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184A KR20090050184A (ko) 2009-05-20
KR100934737B1 true KR100934737B1 (ko) 2009-12-30

Family

ID=4085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485A KR100934737B1 (ko) 2007-11-15 2007-11-15 소형 전기보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7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268B1 (ko) 2012-02-10 2012-08-27 주식회사 아모시스 온수매트용 순환펌프
KR20160115392A (ko) 2015-03-27 2016-10-06 최영환 밀폐형 물탱크용 압력 제거장치 및 그를 포함한 온수 매트용 전기 보일러
KR20220105403A (ko) * 2021-01-20 2022-07-27 이해정 차량용 온수매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858B1 (ko) * 2010-06-28 2012-04-17 주식회사 성원 온수매트의 온수 공급장치
KR200472948Y1 (ko) * 2013-04-15 2014-05-30 (주) 아이에스-텍 조립성이 향상된 소형 온수보일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860A (ko) * 1999-09-09 2001-04-06 박일순 잠열저장물질을 이용한 보일러장치
KR200425482Y1 (ko) 2006-03-06 2006-09-14 김중은 전기히터로 가열되는 온수 매트
KR100686594B1 (ko) * 2006-08-18 2007-02-26 주식회사 토원 밀폐식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수매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860A (ko) * 1999-09-09 2001-04-06 박일순 잠열저장물질을 이용한 보일러장치
KR200425482Y1 (ko) 2006-03-06 2006-09-14 김중은 전기히터로 가열되는 온수 매트
KR100686594B1 (ko) * 2006-08-18 2007-02-26 주식회사 토원 밀폐식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수매트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268B1 (ko) 2012-02-10 2012-08-27 주식회사 아모시스 온수매트용 순환펌프
KR20160115392A (ko) 2015-03-27 2016-10-06 최영환 밀폐형 물탱크용 압력 제거장치 및 그를 포함한 온수 매트용 전기 보일러
KR20220105403A (ko) * 2021-01-20 2022-07-27 이해정 차량용 온수매트장치
KR102491156B1 (ko) * 2021-01-20 2023-01-26 박찬계 차량용 온수매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184A (ko)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594B1 (ko) 밀폐식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수매트장치
KR100934737B1 (ko) 소형 전기보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장치
US10815686B2 (en) Inflatable spa
AU2010232594B2 (en) Inflatable device with fluid controller and self-sealing valve
KR101197006B1 (ko) 하지용 마사지 장치
KR20050106503A (ko) 표면 특히, 카 시트의 표면을 냉각 및 가열하기 위한 온도제어 시스템
EP3572600B1 (en) Inflatable pool
KR100686601B1 (ko)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수난방침대
KR101161642B1 (ko) 침대 매트리스 및 이를 갖는 침대 매트리스 히팅 시스템
KR20080083879A (ko) 히팅부가 별도 마련된 온수순환보일러를 구비한 온수매트
JP4388432B2 (ja) 肢体用マッサージ装置
KR200485608Y1 (ko) 3웨이 밸브의 분리가 가능한 온수매트
JP3819495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3742248B2 (ja) エアーマッサージ機
US20220325546A1 (en) Inflatable spa
US11970291B2 (en) Toilet and garment for waste removal in a zero-gravity condition
JP2003033411A (ja) マッサージ装置
CN117661297A (zh) 用于衣物护理机的气囊组件和具有其的衣物护理机
US20200237110A1 (en) Structure of inflatable mattress and system thereof
JP2024004970A (ja) 通気マットレス
JP2004000378A (ja) エアバッグ及びこれを備えたエアマッサージ機
KR20010018684A (ko) 찜질부항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