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643B1 - 접착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 Google Patents

접착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643B1
KR100934643B1 KR1020060125801A KR20060125801A KR100934643B1 KR 100934643 B1 KR100934643 B1 KR 100934643B1 KR 1020060125801 A KR1020060125801 A KR 1020060125801A KR 20060125801 A KR20060125801 A KR 20060125801A KR 100934643 B1 KR100934643 B1 KR 100934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ooth
mouth
value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085A (ko
Inventor
유지 미와
Original Assignee
유지 미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 미와 filed Critical 유지 미와
Publication of KR20080041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61C5/77Methods or devices for making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20Repairing attrition damage, e.g. fac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이를 절삭하는 것도 없고,치열이 나쁜 이에 인공 이를 부착하는 것으로 , 간단하면서 단시간에 치열을 변형시키고,구강의 주위 근육을 인공 이로 압박하는 것에 의하여 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변화시킨다.
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담당하는 구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하 턱뼈체 전면에 있어서 입가의 근육을, 구강내로부터 압박하고,그 입가의 표정을 가변시키기 위해 부정 치열의 이T에 부착하는 접착치에 있어서,사람의 이 T 와 동일한 색채를 갖는다 접착치 표면부3과, 구근을 압박함과 동시에,적정한 치열이 형성되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접착치 본체2와, 접착치 본체2의 이면에,각치T의 표면 형상에 계합하도록 모방면을 형성한 접착면4로 이루어진다.
접착치,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인공 이

Description

접착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Adhesive tooth and the method of varying a mouth expression using the same}
도1은 실시예1의 접착치를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2는 중절치용의 접착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고,(a)는 확대 정면도,(b)는 확대 단면도,(c)는 접착치를 부착하기 전의 치열의 정면도,(d)는 특정한 이에 접착치를 부착한 상태의 치열의 정면도이다.
도3은 구치(어금니)용의 접착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고,(a)는 확대 정면도,(b)는 확대 단면도,(c)는 접착치를 부착하기 전의 치열의 정면도,(d)는 특정한 이에 접착치를 부착한 상태의 치열의 정면도이다.
도4는 위턱 치열과 구근(口筋)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 정면도이다.
도5는 각 구근을 나타내는 설명 측면도이다.
도6은 도4에 있어서 이와 구근과의 변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 측단면도이고,(a)는 중절치와 입술과의 위치 관계,(b)는 견치와 입술과의 위치 관계이다.
도7은 도4에 있어서 치열과 구근과의 변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 측단면도이고,(c)는 소구치와 표정근의 위치 관계,(d)는 대구치와 표정근의 위치 관계이다.
도8은 근육의 물리 모델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9는 복수개의 접착치를 연결한 실시예2의 6개용의 접착치를 나타내고,(a)는 정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10은 복수개의 접착치를 연결한 실시예2의 5개용의 접착치를 나타내고,(a)는 정면도 ,(b)는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접착치
2 : 접착치 본체
3 : 접착치 표면부
4 : 접착면
5: 포켓
T : 이(齒))
Ta : 접착치 본체의 근원부분
Tb : 접착치 본체의 중간부위
Tc : 접착치 본체의 선단부위
T1 : 중절치(中切齒)
T3 : 견치(犬齒)
T5 : 소구치(小臼齒)
T6 : 대구치(大臼齒)
L : 입술(口唇)
L1 : 적진(赤唇)
S 1 : 본뜨기
S 2 : 치열의 측정
S 3 : 안면 시뮬레이션
S 4 : 접착치의 형상·두께의 측정
S 5 : 접착치의 작성
S 6 : 시멘트 접착
S7 : 이에로의 접착
본 발명은,사람의 이에 인공의 이를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그 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접착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치열과 이의 형상이나 색은,그 사람의 얼굴의 표정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이다.사람의 입가로부터 조성되는 아름다운 웃음은,주위의 사람에 대해 산뜻하고,청결하고,밝아지는 이미지를 준다.그래서,부정 치열, 이른바 치열이 나쁜 사람은,어릴 적에 치과 교정,이의 클리닝이나 표백 등을 하는 것이 많다.
역으로,치열이나 이의 색이 나쁜 사람은,입가에 콤플렉스를 느끼는 것이 많다.특히 여성은 강하게 콤플렉스를 느끼는 것이다.이와 같은 얼굴의 표정에 크게 영향을 주는 사람의 부정 치열의 상태에 관하여 다양한 것이 있다. 예를 들면,「난 치」,「위턱 앞충돌 이」,「반대 교합」,「개교」,「과개 교합」 및「절단 교합」등이 있다.
여기에서 ,「난 치」는, 이른바「덧니,총생」이라고 칭해지고, 위턱도 아래턱도 이가 깨끗하게 아치상에 줄지어 있지 않고 덜커덕 덜커덕한 치열의 상태이다.「위턱 앞충돌 이」는, 이른바「뻐드렁니」라고 칭해지고,위의 이가 앞에 나와 있어 서로 맞물리게 하고,이가 나와 있으면,꺾어지거나 입술을 튀어나오게 하기 쉬운 치열의 상태이다.「반대 교합」은,이른바「접수구」라고 칭해지고,아래의 이가 위의 이보다 앞에 나와 있어 서로 맞물리게 하는 상태이다.「개교」는,이른바「오픈 바이트」라고 칭해지고,물고 있는데도 앞니가 닫히지 않는 것으로,위의 앞니와 아래의 앞니가 맞물리지 않아 간극이 열려 있는 상태이다.「과개 교합」은, 앞니가 서로 맞물림이 심하여 아래의 앞니가 보이지 않는 상태이다.「절단 교합」은, 상하의 앞니가 겹쳐지지 않고 절단과 절단이 부딪쳐 맞물리는 쪽이 되는 상태이다.이와 같은 치열을 수정하는 경우는, 종래로부터 교정 또는 보철 교정을 하고 있다.
예를 들면,이 치열 교정은,와이어와 브래킷으로 되는 기구를 이용한 치료 방법이고,이를 움직이는 힘의 가감이나 각도,움직이는 속도 등에 관하여,상당히 섬세한 부분에서 큰 차이가 생기기 쉬운 교정 방법이다.이 와이어에 의한 치열 교정은,3∼4년의 장기의 치료기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최근에는,와이어를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 치열의 이면에 장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그러나,이 치열의 이면 교정은,더욱 복잡한 기술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여기에서,본 발명의 발명자는, 부정 치열의 요철의 정도에 대소가 있는 것에 착안했다.즉,극단적으로 치열이 나쁜 때는,이와 같은 와이어에 의한 치열 교정이 필요해진다.그러나,입가의 표정에 영향은 있지만,치열의 요철이 극단적이지 않은 때는, 반드시 와이어에 의한 교정은 필요하지 않다는 것에 착안했다.
한편,본 발명의 발명자는, 사람의 부정 치열은, 입가를 형성하는 근육군과, 그 얼굴의 표정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에 착안했다.예를 들면,도 4 와 도5의 표정근( 구근 )의 설명도에 나타난 것처럼,입가의 표정을 담당하는 구근의 대부분은, 상하 턱뼈체 전면보다 일어나고,구각의 바로 바깥쪽에 있는 결절을 향하여 모이고,이것을 통하여 가동성의 입술에 확산되고,구근의 구성에 관여하고 있다.그러면,이러한 구륜근(부리망근),구각거근,구각 하제근 등의 근육은, 본래의 근육의 긴장에 좌우되지만,치조부,치열에 의하여 어느 정도 지지되고,그 위치와 형상을 지지하고 있다.즉,사람의 입가의 표정은, 이 치조부,치열에 의하여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형성된 입가의 표정에 관하여,예를 들면 치아가 상실하고,치조부의 흡수가 일어나면,입술은 후퇴하고,비진구는 깊어지고,입가의 표정이 변화한다.마찬가지로,치열이 나쁘면 구근에도 변화를 미치고,안면의 미적 균 형이 깨진다.나아가서는,상하의 교합 관계도 불안정하게 되고,상하 입술의 접촉 범위가 폭넓게 되고 입가의 표정에 큰 변화가 생긴다.
교합이 나쁜 사람에 관해서는,그것을 조정 또는 개선,회복을 도모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의 특개평 11-206786 호 공보「교합 조정기 」와 같이,각각 사람의 구치의 사이에 개재할 수 있도록 전체를 희망하는 두께의 가늘고 긴 판상에 형성하고,또한,적어도 그 외측연에 협판을 단면 략T 자 모양으로 연속 설치한 좌우의 부딛치는 판을,각각 탄성을 구비한 합성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 성형함과 동시에,이것 등 2장의 세차게 부딛치는 판을 좌우에 간격을 두고 나열한 상태로 하여,그 선단부의 사이를 굴곡 가능한 연결선을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하여 구성한 부딛쳐 맞추는 조정기가 제안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평 11-206786 호
이 특허 문헌1의 「교합 조정기」는, 구강의 주위 근육은 좌우 대칭적으로 골격에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구강내의 용적이 작아서 근육의 움직임의 밸런스에 왜곡이 생기면,좌우의 눈의 크기나 형태가 다르거나,입술의 두께나 형태가 다르거나,나아가서는,수족의 길이가 다르거나 하는 생김새 및 전신적인 변화가 발생하고,이것이 원인으로 생활 습관의 움직임과 함께 두통,어깨 결림,요통,슬통,혹은,보행 곤란 등 각종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특허 문헌1의 「교합 조정기」에서는, 저작을 개선하는 때에는 큰 효과는 있지만 ,본 발명이 과제로 하고 있는 입가의 표정을 바꾸는 것이 아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다.즉,본 발명의 목적은,이를 절삭하는 것도 없고,치열이 나쁜 이에 인공 이를 부착하는 것으로, 간단하면서 단시간에 치열을 변형시키고,구강의 주위 근육을 인공 이로 압박하는 것에 의하여 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접착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접착치에 의하면,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담당하는 구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하 턱뼈체 전면에 있어서 입가의 근육을, 구강내로부터 압박하고, 그 입가의 표정을 가변시키기 위해,부정 치열의 이(T)에 부착하는 접착치(1)에 있어서,사람의 이(T)와 동일한 색채를 갖는 접착치 표면부(3)와, 상기 구근을 압박함과 동시에,적정한 치열이 형성되는 정도의 두께를 갖는 접착치 본체(2)와, 상기 접착치 본체(2)의 이면에, 각치(T)의 표면 형상에 계합하도록 모방면을 형성한 접착면(4)과,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치가 제공된다.
또,특히 입가의 표정을 바꾸는 접착치는 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담당하는 구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하 턱뼈체 전면에 있어서 입가의 특정한 근육을, 구강내로부터 압박하고,그 입가의 표정을 가변시키기 위해 치열의 특정한 이(T)에 부착하는 접착치(1)에 있어서,사람의 이(T)와 동일한 색채를 갖는 접착치 표 면부(3)와, 상기 구근을 압박하고,각구근을 상방에 들어올리는 정도의 두께를 갖는 접착치 본체(2)와, 상기 접착치 본체(2)의 이면에, 각치(T)의 표면 형상에 계합하도록 모방면을 형성하는 접착면(4)과,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치 본체(2)는, 이(T)의 근원 부분(Ta)에 부착한 부위의 두께는 얇고,그 중간 부위(Tb)와 선단부위(Tc)의 두께는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접착치(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접착치(1)의 접착면(4)에, 시멘트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세밀한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접착치(1)는 플라스틱제 또는 세라믹제이다.
상기 접착치(1)의 접착치 표면부(3)에 도병(圖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에 의하면,부정 치열에 있어서 이(T)에 접착치(1)를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가변시키는 접착치를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에 있어서, 우선,인상재를 이용하여 부정 치열에 관하여 본뜨기를 하고 (S1),이 본뜨기를 한 인상재를 기초로 하여,특정부위의 이(T)에 부착하여 적정한 치열을 형성함과 동시에, 구근을 구강내로부터 압박하여 얻는 정도의 두께를 갖는 접착치(1)를 작성하고(S5),이 작성한 접착치(1)를 ,상기 부정치열의 원인이 되는 이(T)에 시멘트로 부착하는(S6,S7)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치를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위턱·아래턱의 치열 전체에 있어서 각 이(T)에 두께가 서로 다른 접착치(1)를 각각 부착한다.
기 접착치(1)를 작성하는 때에, 안면 등고선을 이용하여 접착치(1)의 적정한 두께나 형상을 측정하면서 작성할 수 있다.
또,본 발명의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에 의하면,특정한 이(T)에 접착치(1)를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 람의 입가의 표정을 가변시키는 접착치를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에 있어서,우선,특정부위의 이(T)에 부착하고, 입가의 근육을 형성하는 구륜근,구각거근,구각 하제근 등의 구근을 압박하고,이 구근을 상방에 들어올리는 정도의 두께를 갖는 접착치(1)를 작성하고(S5),이 작성한 접착치(1)를 ,상기 특정한 구근을 압박하는 위치에 있는 이(T)에 시멘트로 부착하는(S6,S7),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치를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상기 접착치(1)를 ,입술(L)의 폭을 조정하기 위해,상기 구륜근을 들어올리는 위치에 있는 중절치( T1 )로부터 견치( T3)까지 부착한다.
상기 접착치(1)를 ,입술(L)의 폭을 조정하는 동시에 구각을 들기 위해,상기 구륜근을 들어올리는 위치에 있다,소구치( T5)군에 부착한다.
상기 접착치(1)를 ,협 전체를 들어올리도록,안면의 천층에 즈음한 상진비익거근,상진 거근 및 소협견근과 연동하고,이러한 구근을 들어올리는 대협골근을 들어올리는 위치에 있다,소구치( T5)군과 대구치( T6)군에 부착한다.
상기 접착치(1)를 ,아래턱의 특정부위의 이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인공의 접착치를 부착하고,이 접착치로 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담당하는 구근을 구강내로부터 압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구근의 긴장을 완화하고,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가변시키는 접착치 및 가변방법이다.
[실시예1]
이하,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실시예1의 접착치를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 도이다.
본 발명의 접착치를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은, 도시하는 것처럼, 우선 치열에 관하여 인상재를 이용하여 본뜨기를 한다(S1).예를 들면,상하 턱뼈치열의 본뜨기를 행하고, 양 구치(소구치,대구치)가 내측에 소량 움푹 패이면 ,그 홈이 입가의 표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기 이 T에 본 발명의 접착치1을 부착할지 아닐지를 검토한다.
다음에 이 인상재로 본뜨기를 한 것을 기초로 하여,치열을 측정하고 (S2),특정부위의 이 T 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치1을 작성한다(S5).이 접착치1에 관해서는,안면의 화상을 퍼스널 컴퓨터에 취입하고,그 화상으로부터 움푹 패고 있는 입가,또는 안면의 왜곡을 시뮬레이션한다(S3).이 안면 시뮬레이션(S3)에 근거하여,도4와 도5에 나타낸 구륜근,구각거근,구각하제근 등의 구근을 구강내로부터 압박하도록 접착치1의 형상과 그 두께를 측정하고( S4),그것을 보전하도록 형상에 접착치1을 작성한다(S5).즉,부정 치열이 움푹 팬 이T에 접착치1을 시멘트로 부착한 것에 의하여(S6,7),적정한 치열이 형성된다.접착치1의 두께로서는, 0.5∼3.0mm의 범위가 많았다. 또한, 접착치1을 가고정하는 때는 시멘트에 대신하여 점착제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접착치1은, 단지 부정 치열을 적정화한 것만이 아니고,이 접착치1을 움푹 팬 이T에 부착한 것에 의하여,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가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여기에서 이 접착치1의 형상과 두께는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본뜨기에 접착치1을 끼웠던 상태에서,그 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안면 시뮬레이션하면서 그 형상을 특정한다(S3). 또는,안면 등고선을 이용하고 접착치1의 적정한 두께나 형상을 측정하면서 접착치1은 작성한다. 예를 들면,위턱·아래턱의 구치에는, 대협골근 및 구각거근을 위 바깥쪽·아래 바깥쪽에 압박하도록, 앞니용의 접착치1 보다 두꺼운 접착치1을 부착한다.
이와 같이 작성한 접착치1은, 부정 치열의 원인이 되는 이T에 시멘트로 접착한다. 예를 들면,접착치1은, 구근에 있어서 구각거근을 압박하도록,치열이 움푹 팬 특정부위에 있는 이T에 부착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절삭하는 것도 없고,부정 치열이 움푹 팬 특정 치T 에 접착치1을 붙이는 것으로 ,간단하면서 단시간에 치열을 변형시키고,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본 발명으로는 와이어나 브래킷을하지 않는 방법이기 때문에 2∼3년이라는 장기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접착치1을 붙이는 것으로,다른 입가의 표정을 조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주로 입가의 표정을 바꾸기 위해, 접착치1을 치열의 특정한 이T에 부 착하는 때는,이 접착치1이 구근을 압박하고,각구근을 어느 정도 상방에 들어올리는지를 측정하고,그 접착치1의 두께를 결정한다.치열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변화시키기 위해,구근을 어느 정도 상방에 들어올리면 좋은지를 측정한다.
접착치1은 움푹 팬 이T만으로 부착한 것은 아니고,그 주변에도 얇은 접착치1을 부착한다.이것은 치열을 갖춤과 동시에,금속의 관치나 테트라사이클린 착색 등을 숨기 수 있다.
도2는 중절치용의 접착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고,(a)는 확대 정면도,(b)는 확대 단면도,(c)는 접착치를 부착하기 전의 치열의 정면도,(d)는 특정한 이에 접착치를 부착한 상태의 치열의 정면도이다.도3은 구치용의 접착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고,(a)는 확대 정면도,(b)는 확대 단면도,(c)는 접착치를 부착하기 전의 치열의 정면도,(d)는 특정한 이에 접착치를 부착한 상태의 치열의 정면도이다. 또한, 각도에 기재한 이는 잇몸으로부터 나와 있는 상태를 표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접착치1은, 접착치 본체2의 표면에 접착치 표면부3을, 그 이면에 접착면4와로 이루어지고,플라스틱 또는 세라믹 등의 소재로 작성한 것이다.접착치 본체2는, 구근을 구강내로부터 압박함과 동시에,적정한 치열이 형성되는 정도의 두께를 갖는 부분이다.이 접착치 본체2의 표면측에 사람의 이T와 동일한 색채를 갖는 접착치 표면부3을 형성했다.또,접착치 본체2의 이면에, 움푹 팬 이T의 표면 형상에 계합하도록 모방면을 형성한 접착면4를 형성했다.접착치 본 체2와 접착치 표면부3은 다른 재질을 접합한 것이라도 ,동일한 재질의 것이라도 좋다.
이 중절치용의 접착치1은, 도2(c)로 흑색으로 착색한 치열이 움푹 팬 이T에, 도2(d)에 나타난 것처럼,시멘트로 부착한다.도시예에서는 1 부분만에 접착치1을 부착하고 있지만,상술했던 것처럼 그 주위에, 다른 얇은 접착치1을 몇장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중절치용과 측절치용의 접착치1에는, 이른바 외광을 반사시키고,치열 즉 입가에 밝기를 부여하는 중요한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접착치1의 두께는, 이것을 접착하는 이T의 상태에 따라 그 치수가 결정된다.이 접착치1을 부정치열의 움푹 팬 이T에 부착한 때에, 구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하 턱뼈체 전면에 있어서 구근을 구강내로부터 압박하는 정도로 돌출량을 갖도록 형성한다.예를 들면,중절치용의 접착치1은, 도2(b)에 나타난 것처럼,그 접착치 본체2는, 이T의 근원부분 T a 에 부착한 부위의 두께는 얇고,그 중간 부위 Tb와 선단부위Tc의 두께는 두껍게 형성한다. 이 중간부위Tb의 후육부분은, 구근을 구강내로부터 밀어올리는 기능을 갖는다.
구치용의 접착치1와 마찬가지로,도3(b)에 나타난 것처럼,그 접착치 본체2는, 이T의 근원부분 T a 에 부착한 부위의 두께는 얇고,그 중간 부위 Tb와 선단부위Tc의 두께는 두껍게 형성한다. 이 중간부위Tb의 두께부분은, 구근을 구강내로부터 밀어올리는 기능을 갖는다.이 구치용의 접착치1은, 도3(c)에 흑색으로 착색한 치열이 움푹 팬 이T에, 도3(d)에 나타난 것처럼,시멘트로 부착한다.
본 발명의 접착치1은, 구근에 있어서 대협골근 및 구각거근을 압박하도록,위턱 또는 아래턱의 치열의 특정부위에 있는 이T에 부착한다. 또는, 그 치열 전체에 있는 각치T에, 두께가 서로 다른 접착치1을 각각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치열 전체에 부착한 때는,이 방향과 형상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생기가 없었던 이를 흰 이로 완성할 수 있다.
또 ,접착치1의 접착면4에,시멘트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세밀한 요철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얇고 안정된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도4는 위턱 치열과 표정근(구근)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 정면도이다.도5는 각 표정근(구근)을 나타내는 설명 측면도이다.도6은 도4에 있어서 이와 표정근과의 변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 측단면도이고,(a)는 중절치와 입술과의 위치 관계,(b)는 견치와 입술과의 위치 관계이다.도7은 도4에 있어서 표정근과의 변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 측단면도이고,(c)는 소구치와 구근의 위치 관계,(d)는 대구치와 구근의 위치 관계이다.
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가변시키기 위해, 입가의 근육을 형성하는 구륜근,구각거근,구각하제근 등의 구근을 압박하고,이 구근을 상방에 들어올리는 정도의 두께를 갖는 접착치1을 특정한 이T에 부착한다. 예를 들면, 도 6(a),(b)에 나타난 것처럼,접착치1을, 입술L의 폭을 조정하기 위해,구륜근을 들어올리는 위치에 있는,중절치 T1 와 견치 T3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중절치 T1으로부터 ,측절치 T2, 견치 T3까지 접착치1을 부착한 때는, 구륜근을 들어올리고,입가의 표정 가운데에서 입술 L 의 폭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적진L 1 이 반전하여,이른바 얇은 입술L이 두꺼워진다.
접착치1을,도7(c)에 나타난 것처럼, 입술L의 폭을 조정하면서 동시에 구각을 들기 위해,구근(구륜근)을 들어올리는 위치에 있는,소구치 T5에 부착한다. 이 구륜근은 입가를 원상으로 감싸고 있는 근육으로 ,입을 다물거나 입술을 돌출하는 근육이다.이 구륜근이 약해지면 늙은 얼굴이 된다고 말해지고 있는 표정근(구근)이다. 여기에서,본 발명의 접착치1은 이 구륜근을 들어올리는 것에 의하여,입가가 미묘한 표정을 가변하고,팽팽한 입가를 연출할 수 있다.
접착치1을, 도7(d)에 나타난 것처럼,접착치1을 대협골근을 들어올리는 위치에 있는,소구치 T와 대구치 T6에 부착한다. 이 대협골근은 협 전체를 들어올리도록,안면의 천층에 즈음한 상진비익거근,상진거근 및 소협견근과 직결되어 있다.이 대협골근은, 구각을 높게 올리고,웃는 얼굴을 만드는 근육이다. 접착치1로 이 대협골근을 밀어올리는 것에 의하여,풍려선(豊麗線)을 지워 없애고 주름을 펴고,생생한 피부로 바꿀 수 있다.
소구치 T5 군에 접착치1을 부착한 때는, 구각거근을 들어올리고,이 구각거근과 직결되어 있는 대협골근을 후상방으로 끌어올리고,협 전체를 리프트업한다.더욱이,이 구각거근에 연동하는 구각하제근도 인상되기 때문에, 턱의 선이 샤프하게 된다.대협골근에 연결된 안륜근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눈매도 돋보인다. 접착치1로 이 대협골근을 밀어올리는 것에 의하여,풍려선을 지워 없애고 주름을 펼 수 있다.구각 하제근은 구각을 아래나 경사아래로 당기는 근육이다.이 구각 하제근이 약해지면,구각으로부터 아래 턱에 걸쳐서 주름지기 쉽다.그러면, 접착치1로 이 구각하제근을 후상방으로 끌어올리고,협 전체를 리프트업할 수 있다.또,안륜근은 눈의 주위를 감쌌던 근육이고,눈을 뜨거나 닫거나 하는 근육이다.이 안륜근은 전체로 얇기 때문에,재빠른 움직임을 하여 주름이 되기 쉽지만 ,연관되어 있는 표정근의 영향에 의하여 이것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소구치 T5 군과 대구치 T6 군에 접착치1을 부착한 때는, 대협골근을 들어올리고,이 대협골근과 직결되어 있는 안면의 천층에 즈음한 상진비익거근,상진거근 및 소협견근도 들어올리는 것에 의하여,협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소 협골근은 입가를 경사로 끌어올리고,웃는 얼굴 만들기에 소중한 근육이다.뺨이 굳어지지 않고,그것에 의하여 자연스러운 웃는 얼굴로 하는 근육이다. 접착치1로 이 소협골근을 밀어올리는 것에 의하여,소협골근의 쇠퇴에 의한 뺨의 느슨해짐을 펼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치1은 반드시,위턱의 이T에만 붙일 필요는 없다. 아래턱의 특정부위의 이 T 에 붙이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입술L이 얇은 때는 상하의 적진L1이 나타나도록 상하의 이 T 에 접착치1을 붙인다.
도8은 근육의 물리 모델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표정근(구근)에는, 도시하는 것처럼,대협골근이나 소근이라고 하는 플레이트형의 근육과, 안륜근이나 구륜근이라고 하는 환상의 근육이 존재한다.환상의 근육에 관해서는,플레이트형의 근육 모델의 파라메타에 약간의 가공을 하고,이들을 세그멘트화하여 접속하고,계속된 루프를 형성하는 것으로 모델화한다.즉,골표면에 접속한 근육은, 그 중간(길이에 관한 영향 범위)에 자극,이동을 가하면 ,이 근육의 다단에 접속한 피부 표면(폭에 관한 영향 범위)에 크게 영향을 준다.이것은,피부 표면을 움직이는 근육을 가변하는 것에 의하여,그 표정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표정근(구근)의 중간(길이에 관한 영향 범위)을, 접착치1로 자극하고,이동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피부 표면(폭에 관한 영향 범위)에 크게 영향을 주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2]
도9는 복수개의 접착치를 연결한 실시예2의 6개용의 접착치를 나타내고,(a)는 정면도 ,(b)는 평면도이다.도 10은 복수개의 접착치를 연결한 실시예2의 5개용의 접착치를 나타내고,(a)는 정면도 , (b)는 평면도이다.
실시예2에서는,복수개의 접착치1을 연결했다.움푹 팬 이T가 복수개인 때는, 거기에 부착한 접착치1도 복수개 필요해진다.그러면,접착치1을,접착치 본체2의 측부에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중절치용의 접착치1은 외광을 반사시켜서 치열,즉 입가에 밝기를 부여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중절치 T1으로부터 측절치 T2,견치 T3까지 6개에 붙이도록6개의 접착치1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 연결 접착치는 투명한 수지로 되는 포켓5에 이T를 삽입하여 이용한다. 또한, 이 6개 또는5개용은 일례로 2개 이상이라면,이러한 도시예의 갯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연결한 접착치1은, 포켓5에 이T를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착에 적합하다.
접착치1의 접착치 표면부3에 도병(도시하고 있지 않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접착치 표면부3에 소정의 도병을 묘출한 접착치1 ,또는 도안을 묘출한 시트상의 것을 붙인 접착치1을, 중절치용의 접착치1 ,측절치용의 접착치1 의 1개 또는 몇 개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접착치1을 치열이 움푹 팬 이T에 붙여 ,구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하 턱뼈체 전면에 있어서 입가의 근육을, 위턱의 경우는 위 바깥쪽에 밀어올리도록 압박하고,아래턱의 경우는 아래 바깥쪽에 압박하는 것에 의하여 ,그 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부정 치열이 움푹 팬 이T가 원인인 구근에 변화를 미치고,안면의 미적균형이 깨지고 있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상하의 교합 관계에 관여하지 않고 입가의 표정을 개선할 수 있다.
다음에,입가 표정을 가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접착치1의 접착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 접착예(1) ]
금속의 관치가 눈에 띄었던 사람에는, 위턱의 치열에 접착치1을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입가의 표정이 부드럽게 보이게 된다.예를 들면,위턱의 제2 소구치의 금속의 관치 등을, 이 접착치1로 숨기는 것으로 ,생김새에 청결감이 조성되게 된다.
[ 접착예(2) ]
테트라사이클린 착색이 눈에 띄었던 사람에는, 위턱 또는 아래턱의 치열에 접착치1을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이 테트라사이클린 착색을 눈에 띄지 않게 하여 ,입가의 인상을 밝게 할 수 있다.
[ 접착예(3) ]
얼굴의 왜곡이 눈에 띄었던 사람에는, 제1,제2 소구치에 접착치1을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얼굴의 우측 또는 좌측의 어두움을 해소하여,얼굴의 왜곡이 없어지고,또한 접착치1로 이 전체가 하얗게 되고 아주 젊게 보이게 된다.
[ 접착예(4) ]
구각의 왜곡이 눈에 띄었던 사람에는, 위턱의 치열 전체에 접착치1을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구각의 왜곡이 없어지고,입가에 당기는 힘이 나오게 된다.
[ 접착예(5) ]
이른바 앞니가 눈에 띄었던 사람에는, 위턱의 중절치,측절치,제1,제2 소구치에 접착치1을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구각이 올라가고,얼굴 전체가 꽉 죄어 보이게 된다.
[ 접착예(6) ]
어두운 표정의 사람에는, 위턱의 치열 전체에 접착치1을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입가에 화려함이 조성되게 된다.
[ 접착예(7) ]
입가에 어두움이 있는 사람에는, 위턱의 치열 전체에 접착치1을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덧니를 숨기고,입가의 어두움을 지워 없앨 수 있다.
또한,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 한정하지 않고 이를 절삭하지 않고,치열이 나쁜 이에 접착치1을 부착하는 것으로,간단하면서 단시간에 치열을 변형시켜서,구강의 주위 근육을 접착치1로 압박하는 것에 의하여 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변화시킬 수 있으면,도시하는 것과 같은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접착치(1)에는 상기 접착치(1)를 부정 치열의 움푹 팬 이(T) 또는 특정한 이(T)에 부착하여 상하 턱뼈체 전면에 있어서 구륜근,구각거근,구각하제근 등의 구근을 구강내로부터 위 바깥쪽 또는 아래 바깥쪽에 압박 하는 것에 의하여 그 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치열의 움푹 팬 특정부위의 이(T)가 원인으로 구근에 변화를 미치고,안면의 미적 균형이 깨지고 있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더욱,상하의 교합 관계를 안정하게 함과 동시에,상하 입술(L)의 접촉 범위를 폭넓게 하지 않고 입가의 표정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본 발명에서는 이를 절삭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하면서 단시간에 치열을 수정하고,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변 방법으로는, 와이어와 브래킷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고,2∼3년이라는 장기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 접착치(1)를 붙여 바꾸는 것으로 ,다양한 입가의 표정을 조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치열의 전면에 부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방향과 형상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생기가 없었던 이를 흰 이로 완성할 수 있다.
특히,중절치( T1 )로부터 견치( T3)까지 접착치(1)를 부착한 때는,구륜근을 들어올리고,입가의 표정 가운데에서 입술(L)의 폭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적진(L1)이 반전하고,이른바 얇은 입술(L)이 두꺼워진다.
소구치( T5)군에 접착치(1)를 부착하는 때는,구각거근을 들어올리고,이 구각거근과 연동하여 있는 협골근을 후상방으로 끌어올리고,협 전체가 리프트업된다.더욱,이 구각거근에 연동하는 구각 하제근도 들어올려지기 때문에, 턱의 선이 샤프하게 된다.대협골근에 연결되는 안륜근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눈매도 올릴 수 있다.
소구치( T5)군과 대구치( T6)군에 접착치(1)를 부착한 때는, 대협골근을 들어올리고,상기 대협골근과 연동하여 있는 안면의 천층에 즈음한 상진비익거근,상진거근 및 소협견근도 들어올려지는 것에 의하여,협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은, 이를 절삭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일시적으로 접착해서 사진 촬영용에 분리 가능한 이로서 이용하는 등의 다양한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담당하는 구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하 턱뼈체 전면에 있어서 구륜근, 구각거근, 구각하제근의 근육을, 구강내로부터 압박하고,그 입가의 표정을 가변시키기 위해,부정 치열의 이(T)에 부착하는 접착치(1)에 있어서,
    사람의 이 (T)와 동일한 색채를 가지는 접착치 표면부(3)와,
    상기 구근을 압박해서 구근을 들어올리는 위치에 부착함과 동시에,이 (T)의 근원부분 (Ta)에 부착하는 부위의 두께는 얇고, 그 중간부위 (Tb)와 선단부위 (Tc)의 두께는 두껍게 형성한 접착치 본체(2)와,
    상기 접착치 본체(2)의 이면에, 각 이(T)의 표면 형상에 계합하도록 모방면을 형성한 접착면(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치.
  2. 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담당하는 구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하 턱뼈체 전면에 있어서 구륜근, 구각거근 또는 구각하제근의 특정근육을, 구강내로부터 압박하고,그 입가의 표정을 가변시키기 위해,치열의 특정한 이(T)에 부착하는 접착치(1)에 있어서,
    사람의 이(T)와 동일한 색채를 가지는 접착치 표면부(3)와,
    상기 구근을 압박해서 구근을 들어올리는 위치에 부착함과 동시에,이 (T)의 근원부분 (Ta)에 부착하는 부위의 두께는 얇고, 그 중간부위 (Tb)와 선단부위 (Tc)의 두께는 두껍게 형성한 접착치 본체(2)와,
    상기 접착치 본체(2)의 이면에, 각 이(T)의 표면 형상에 계합하도록 모방면을 형성한 접착면(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부정 치열에 있어서 이(T)에 접착치(1)를 부착한 것에 의하여, 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가변시키는 접착치를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에 있어서,
    우선,인상재를 이용하여,부정 치열에 관하여 본뜨기를 하고(S1),
    이 본뜨기를 한 인상재를 기초로 하여,특정부위의 이(T)에 부착하고 적정한 치열을 형성함과 동시에, 입가의 근육을 형성하는 구륜근, 구각거근, 구각하제근의 구근을 구강내로부터 압박해서 구근을 들어올리도록, 이 (T)의 근원부분 (Ta)에 부착하는 부위의 두께는 얇고, 그 중간부위 (Tb)와 선단부위 (Tc)의 두께는 두껍게 이루어지도록 접착치(1)를 작성하고(S5),
    이 작성한 접착치(1)를 상기 부정치열의 원인이 되는 이(T)에 시멘트로 부착하는(S6,S7)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치를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치(1)를 작성하는 때에 안면등고선을 이용하여 접착치(1)의 적정한 두께나 형상을 측정하면서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치를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12. 특정한 이(T)에 접착치(1)를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 사람의 입가의 표정을 가변시키는 접착치를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에 있어서,
    우선, 특정부위의 이(T)에 부착하여,입가의 근육을 형성하는 구륜근,구각거근,구각하제근의 구근을 압박하고,이 구근을 상방에 들어올리도록, 이(T)의 근원부분 (Ta)에 부착하는 부위의 두께는 얇고, 그 중간부위 (Tb)와 선단부위 (Tc)의 두께는 두껍게 이루어지도록 접착치(1)를 작성하며(S5),
    이 작성한 접착치(1)를,상기 특정한 구근을 압박하는 위치에 있는 이(T)에 시멘트로 부착하는(S6,S7)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치를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치(1)를,입술(L)의 폭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구륜근을 들어올리는 위치에 있고,중절치( T1 )로부터 견치( T3)까지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치를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치(1)를,입술(L)의 폭을 조정하는 동시에 구각을 들기 위해 상기 구륜근을 들어올리는 위치에 있고,소구치( T5)군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접착치를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치(1)를,협전체를 들어올리도록,안면의 천층에 즈음한 상진비익거근,상진거근 및 소협견근과 연동하고,이러한 구근을 들어올리는 대협골근을 들어올리는 위치에 있으며,소구치( T5)군과 대구치( T6)군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치를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치(1)를,아래턱의 특정부위의 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치를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KR1020060125801A 2006-11-06 2006-12-11 접착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KR100934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99762 2006-11-06
JP2006299762A JP5224432B2 (ja) 2006-11-06 2006-11-06 貼着歯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446A Division KR20090004813A (ko) 2006-11-06 2008-11-21 접착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085A KR20080041085A (ko) 2008-05-09
KR100934643B1 true KR100934643B1 (ko) 2009-12-31

Family

ID=393601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801A KR100934643B1 (ko) 2006-11-06 2006-12-11 접착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KR1020080116446A KR20090004813A (ko) 2006-11-06 2008-11-21 접착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446A KR20090004813A (ko) 2006-11-06 2008-11-21 접착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108018A1 (ko)
JP (1) JP5224432B2 (ko)
KR (2) KR1009346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107B1 (ko) 2014-07-21 2016-02-04 배진석 스티커형 치아전면부 커버 및 패키지
KR20180039146A (ko) * 2015-08-10 2018-04-17 리라 홀딩 치과용 미용품 수복물 모형 및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81630A1 (en) * 2009-10-01 2011-04-07 Beveridge Stephen L Dental veneer system and method
JP5243649B1 (ja) * 2012-07-30 2013-07-24 絵梨 伊藤 装飾歯
CN205126455U (zh) * 2015-10-09 2016-04-06 深圳市前海安测信息技术有限公司 牙齿自动矫正器
JP6434089B1 (ja) * 2017-06-28 2018-12-05 武洋 長峯 脱着式の装飾用付け歯の製造方法
CN113317902A (zh) * 2021-07-14 2021-08-31 杭州泰利斯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全瓷美白牙套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6261A (en) 1973-12-05 1976-10-19 Faunce Frank R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badly discolored, fractured or cariously involved teeth
US5669771A (en) 1992-02-12 1997-09-23 Lee; Robert L. Dental restoration holder system
US5795150A (en) * 1997-03-03 1998-08-18 Boyd; James P. Intraoral semi-custom discluder device and method
KR200298310Y1 (ko) * 2002-08-30 2002-12-16 손기승 웃는 인상을 위한 구강 설치용 입가 근육 교정구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8713U (ko) * 1984-11-13 1986-06-10
US4580980A (en) * 1984-12-24 1986-04-08 Acquanetta Denture for reducing the cosmetic effect of facial age lines
US4789649A (en) * 1985-11-04 1988-12-06 Veb Jenaer Glaswerk Micaceous-cordierite-glass ceramic
CA1330169C (en) * 1987-05-13 1994-06-14 Asami Tanaka Metal foil for metal-porcelain dental restorations
US5782638A (en) * 1995-05-19 1998-07-21 Warren, Iii; A. Daniel Ornamental film article for dental substrate decoration and dental substrate decorated therewith
JP4653264B2 (ja) * 1996-09-03 2011-03-16 明俊 町田 高純度の金箔/プラチナ箔を封入したセラミック構造体
US6652275B2 (en) * 2001-07-27 2003-11-25 Patricia H. Byers Intra-oral article for cosmetically stretching and reconfiguring cheek skin and method for customizing same
KR20050005976A (ko) * 2003-07-08 2005-01-15 임효범 베니어쉘판을 이용한 임시 가의치
US20060008778A1 (en) * 2004-05-20 2006-01-12 Rosenberg Cynthia S Cosmetic enhancement device
JP2006158821A (ja) * 2004-12-10 2006-06-22 Kazuyoshi Takagi 装飾歯
US7357637B2 (en) * 2005-03-25 2008-04-15 Snap On Smile Llc Dental appliance
US20080081318A1 (en) * 2006-09-29 2008-04-03 Ultradent Products, Inc. Prelayered dental appliances, kit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sistent shade match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6261A (en) 1973-12-05 1976-10-19 Faunce Frank R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badly discolored, fractured or cariously involved teeth
US3986261B1 (ko) 1973-12-05 1990-07-03 R Faunce Frank
US5669771A (en) 1992-02-12 1997-09-23 Lee; Robert L. Dental restoration holder system
US5795150A (en) * 1997-03-03 1998-08-18 Boyd; James P. Intraoral semi-custom discluder device and method
KR200298310Y1 (ko) * 2002-08-30 2002-12-16 손기승 웃는 인상을 위한 구강 설치용 입가 근육 교정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Veneers, http://www.jkdds.com/pages/patient_library/veneers.htm (2004.)*
전치부 수복시 Layering Concepts-II, GC Korea 홈페이지, http://gckorea.co.kr/column/kkchoi/030115-2.htm (2003.1.15.)*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107B1 (ko) 2014-07-21 2016-02-04 배진석 스티커형 치아전면부 커버 및 패키지
KR20180039146A (ko) * 2015-08-10 2018-04-17 리라 홀딩 치과용 미용품 수복물 모형 및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KR102658561B1 (ko) 2015-08-10 2024-04-17 리라 홀딩 치과용 미용품 수복물 모형 및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085A (ko) 2008-05-09
JP2008113851A (ja) 2008-05-22
KR20090004813A (ko) 2009-01-12
JP5224432B2 (ja) 2013-07-03
US20080108018A1 (en)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643B1 (ko) 접착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KR101676205B1 (ko) 투명교정기 제조방법
US7520747B2 (en) Dental template and method of visually demonstrating an overlay for a dental patient and setting the horizontal plane with an overlay
US4473353A (en) Method for cosmetic restoration of anterior teeth
US6079981A (en) One visit denture
KR102658561B1 (ko) 치과용 미용품 수복물 모형 및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CN111920535B (zh) 一种基于面部及口腔牙列三维扫描技术的全瓷牙制备方法
CN108618857B (zh) 一种精准仿生美学修复体的设计制作方法
CN109998707A (zh) 一种唇舌侧联合隐形矫治牙套、系统及方法
CN105012033A (zh) 全口义齿的制作方法
JP4346036B2 (ja) 化粧歯およびその製造方法
Agrawal et al. Novel registration technique to register neutral zone
CN205359664U (zh) 使用复合树脂材料在牙齿上形成贴面的模板及其形成工具
US4822279A (en) Article for cosmetic restoration of anterior teeth
US20140107408A1 (en) Device for correcting sunken cheeks
JP5187724B2 (ja) 口元表情の可変機能を有する義歯
JP2006345884A (ja) 貼着歯及びこれを用いた口元表情の可変方法
CN207462166U (zh) 一种种植牙
Chandran et al. Smile, its anatomy, types, components and cosmetics in orthodontics: a review
KR102486621B1 (ko)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치아 교정유지장치
CN115120372B (zh) 一种三维修复体形态和位置确定方法
KR20120072792A (ko) 치아 금형틀, 그를 이용한 틀니 제조방법과 그 틀니
AlHazzani et al. Smile design and porcelain laminate veneers: clinical aspects and considerations
CN210330783U (zh) 隐形矫正咬合固位器
Denehy Simplifying the Class IV lingual matri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