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146A - 치과용 미용품 수복물 모형 및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미용품 수복물 모형 및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146A
KR20180039146A KR1020187007028A KR20187007028A KR20180039146A KR 20180039146 A KR20180039146 A KR 20180039146A KR 1020187007028 A KR1020187007028 A KR 1020187007028A KR 20187007028 A KR20187007028 A KR 20187007028A KR 20180039146 A KR20180039146 A KR 20180039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dental
model
teeth
over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561B1 (ko
Inventor
아만드 스테머
쟝-밥티스테 레네스
마이클 오하나
찰스 루이 마리 드빌
Original Assignee
리라 홀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1557643A external-priority patent/FR3039986B1/fr
Priority claimed from FR1650857A external-priority patent/FR3047165B1/fr
Application filed by 리라 홀딩 filed Critical 리라 홀딩
Publication of KR20180039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7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teeth, e.g. setting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20Repairing attrition damage, e.g. fac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30Securing inlays, onlays or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Abstract

환자의 치과용 미용 수복물의 모형을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강 내에 배치되어 환자 치열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일시적으로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수복물을 인위적으로 제시하는 치아 모형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의 파일을 형성하는 단계(E4)와, 생산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파일로부터 직접 모형을 제조하는 단계(E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미용품 수복물 모형 및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본 발명은 치과 분야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치과용 미용 수복물 모형 또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환자의 치과용 미용 수복물 또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모형을 제조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자체에도 관련된다.
환자가 하나 이상의 치아의 미용 결핍을 교정하고자 할 때, 잠재적인 치열 교정 치료를 보완하기 위해, 세라믹 베니어를 사용하여 치아 미용 회복을 수행하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베니어는 바람직한 미용 효과를 얻기 위해 치아의 가시 전면에 접착 결합에 의해 부착된다. 이러한 부착은 베니어가 접착되기 전에, 특히 과도한 두께없이, 베니어를 받아들일 준비를 하기 위해 기존의 치아, 특히 치아의 앞면을 개조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 작업은 예를 들어 치아의 이러한 가시적인 전면의 연삭을 포함하여 그 두께를 줄이고 베니어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형성하며, 따라서 영구적이고 비가 역적이다. 또한 합판의 관련 본딩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접촉면에 돌이킬 수 없는 강한 접착력을 발생시키는 강력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영구적이다. 따라서 베니어를 제거하고 미용 수복하기 전의 손상되지 않은 초기 상태로 치아를 되돌릴 수가 없다.
이러한 미용적 처리는 비싸고 돌이킬 수 없다.
본질적으로 주관적인 이러한 미용 치료를 하기 전에 환자는 가능한 한 생각할 수 있는 최종 결과를 알고 시각화해야한 후 이를 승인해야한다.
첫 번째 해결책은 원하는 결과에 최대한 가깝게 하기 위해 환자 사진을 리터칭하여 환자에게 치과 수복물의 가상 모형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환자는 쉽고 빠르며 저렴한 방법으로 복원의 최종 결과를 가상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가 이 결과를 충분히 현실감있게 이해하지는 못한다.
두 번째 해결책은 예를 들어, 다음의 단계들을 구현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임시 모형을 생산하는 것이다:
- 예를 들어 알지네이트 또는 실리콘으로, 환자의 치열과 턱의 형(impression)을 생산한다.
- 예를 들어 석고로, 치열의 3차원 초기 모델을 얻기 위해 형을 주물한다.
- 초기 석고 모델에 왁스를 추가하여 원하는대로 최종 치열의 모형을 의미하는 석고 모델 상에 왁스를 생산한다.
- 왁스의 형을 취하고 형의 후부를 천공하여 실리콘 키를 제조한다.
- 합성물을 키에 주입한 다음 키를 구강 내에 넣고 키의 후방 관통부로 입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 합성물이 경화된 후 키를 제거하여 합성물로 만든 임시 모형을 치아 위에 직접 놓을 수 있다.
- 좀 더 자연스러운 모습을 제공하기 위해 모형(또는 임시 모델)을 채색하고 버핑(buffing)할 수 있다.
복합재로 만든 모형은 원하는 모양을 직접 치아에 형성한다. 그런 다음 치료되지 않은 치아의 위에서 환자에게 도포될 수 있고, 기존의 치아는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그는 생체 내에서 일정 수준의 사실감으로 계획된 미용적 수복물을 평가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계획된 미용 치료를 수정하고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다른 임시 모형을 생산할 수 있다. 계획된 미용 치료가 환자에 의해 검증되고 미용 및 기능적 관점에서 완전히 만족스럽게 입증되면 최종 치료가 준비되고, 그 후, 자신이 모형을 이용하여 시각화 및 비준할 수 있었던 것과 동일한 미용적 결과를 얻기 위해, 환자에게 도포된다.
하나 이상의 임시 모형을 생산하는 것은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며 값 비싼 과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
상기한 견지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일 미용(smile makeover)을 수행하기 위한 보다 저렴하고 간단한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위의 단점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갖지 않는 환자 치아 수복물의 모형을 제조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환자의 치아 표면 수복물의 모형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의 치열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일시적으로 착용되도록 구강 내에 위치되도록 의도된 수복물을 인위적으로 나타내는 치아 모형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의 파일을 형성하는 단계와, 디지털 데이터 파일로부터 직접 모형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초기 미적 외관을 갖는 치열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초기 디지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초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초기 미적 외관에서 상기 치열의 적어도 부분적인 가상 표현을 실현하는 단계와,
수정된 미적 외관을 얻기 위해 치아의 가상 미적 외관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정 단계는 치아 색, 치아 형상, 치아 크기 및 치간 간격의 치수를 포함하는 군의 치아 특성 중 적어도 일부의 수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정 단계는 치아에 베니어(veneer)를 도포함으로써 나중에 행해질 수 있는 수정에 대응하는 미적 수정을 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치과용 모형은는 모형이 치아에 클리핑될 수 있도록 치아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등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환자 치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나타내는 가상 모델의 네거티브값을 고려함으로써 상기 모형이 클리핑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치아의 레벨에서 모형의 교합 형상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획득하는 하위 단계와,
전정면 및/또는 설측 상에 상기 모형의 치은 단부 중 전부 또는 일부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획득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모형은 치아의 오배치를 교정하는 기능없이 치열궁에 클리핑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모형은 후방부에 연결된 전방부를 포함하는 벽을 포함할 수 있고, 가능하다면 전방부만이 완전하다.
모형은 재활용재 및/또는 생체 적합성 재료로 생산될 수 있다.
모형은 부가 기술을 이용하여, 특히, 3D 인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모형은 재료의 제거를 수반하는 기술에 의해, 특히, 재료 블록의 기계가공 또는 레이저 또는 워터젯 절삭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발명은 환자의 치과용 미용 수복물의 모형의 제조를 위한 제어 장치에 또한 관련되며,
초기 미적 외관을 가진 환자의 치열의 적어도 일부분을 나타내는 초기 디지털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과, 상기 초기 미적 외관으로, 그리고, 상기 초기 외관에 대해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미적 외관으로 각각 환자의 치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나타내는 가상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모듈과, 앞서 기술된 환자의 치과용 미용 수복물의 모형 생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중앙 제어 및 처리 유닛(UC)을 포함한다.
장치는 초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초기 외관으로 치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상 표현하기 위한 모듈과, 수정된 미적 외관을 얻기 위해 치아의 가상 미적 외관을 수정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은 앞서 기술된 치아 모형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환자의 치아 미용 수복물의 모형을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에 또한 관련된다.
시스템은 촬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은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될 때, 앞서 기술된 방법의 단계들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또한 관련된다.
이를 위해, 발명은 재사용가능하게 탈착식으로 착용되도록 구성된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에 또한 관련되며, 기존 치아의 전정면 상에 중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 치아 전방면과, 지지체로 작용하는 기존 치아 중 적어도 하나에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제거가능한 부착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는 복수의 병치된 기존 치아의 전방면 상에 중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치아 전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는 치아 전방면을 지닌 전방 벽과, 특히, 교합에 최소한의 영향만 미치면서, 동일한 기존 치아의 설측면의 종료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 전방면보다 작은 표면적의 대향된 후방 벽을 포함하는, 기존 지지 치아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2개, 즉, 전방 벽 및 후방 벽은 함께 결합하여, 상기 기존 치아에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를 클리핑에 의해 부착시키도록 지지부로 작용하는 기존 치아를 그립(grip)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하우징은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기존의 치아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등각을 이룬다(conform).
상기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는 모든 방향으로 가변적인 두께를 갖고, 및/또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수 개의 전방면을 가질 수 있다.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는, 기존 치아와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된, 및/또는 상기 기존 치아에 대한 어떤 사전처리 또는 수정없이 기존 치아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지도록, 전방면을, 그리고 가능하다면, 후방면까지도 포함할 수 있다.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치아 전방벽만이 기존 치아의 표면을 완전히 덮는 것이 가능하다.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는 기존 치아의 전정면 상에 중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치아 전방면을 포함할수 있고, 동일한 기존 치아의 설측면을 덮도록 구성된 후방면을 갖지 않는다.
기존 치아의 전정면상에 중첩되도록 구성된 상기 치아 전방면은 현실의 치아 착색(real-tooth coloration)을 가지며, 및/또는 생체 적합성 재료로 생산될 수 있다.
상기 제거 가능한 부착 수단은 접착제, 클립, 고정쇠(anchorage), 및 삽입 수단(insetting mean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상기 전방면은 장식 요소, 특히 스크린 인쇄된 그래픽 묘사부 또는 전방면 전체를 덮는 적어도 하나의 착색층, 또는 형광 또는 인광성 페인트와 같은 장식용 도장(decorative paintwork)을 포함하거나, 또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가 형광 또는 인광 성분과 같은 장식 특성을 혼입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벽들은 기존의 치아를 이동시키는 어떠한 힘도 가하지 않는다.
발명은 앞서 기술된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용도에 또한 관련되며, 치열의 미적 외관을 일시적으로 수정하기 위해, 상기 용도는 재생가능하고, 또는, 치과적 치료의 미래 결과를 시각화하기 위해, 상기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는 치과적 치료없이 기존 치아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비 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치아 표면 수복물의 모형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치아 표면 수복물의 모형을 제조하는 방법의 단계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하나의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아 오버레이 장치의 후방면으로부터의 3 차원 도면을 나타낸다.
도 4a 내지도 4d는 다양한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식 요소를 갖는 치아 오버레이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환자의 치과용 미용 수복물의 모형을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한다. 이것은 예상되는 미래의 치과용 미용 복원물의 인공적인 프리젠테이션 또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모형과 같은 작업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치과 미용용 수복물"은 치열 교정없이, 즉, 치아를 움직이게하기 위해 지속적인 힘을 가하여 치아의 오배치를 교정하기 위한 처치없이, 미용적 속성의 임의의 치과적 치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치과용 미용 수복물은 하나 이상의 치아의 가시 표면에 세라믹(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으로 이루어진 베니어를 부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치과용 미용 수복물의 미용 효과는 본질적으로 관련 치아의 심미적 외양을 수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완전한 기존의 치아를 이동하거나 손상된 기존 치아의 잃은 공간을 다시 구성(예를 들어, 크라운 또는 보철물을 끼워 맞춤)하여, 가시적인 면만이 아니라, 치아에 대한 보다 심오한 조치가 수행되는 비-미용적 치과 치료와 혼동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후자의 경우에, 치과 치료는 치아가 그 자연적 기능, 특히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수행하도록하는 주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보철은 씹는 동안 높은 힘을 견뎌내는 핵심 기술 문제를 해결해야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미용 수복물에서, 관련된 기존의 치아는 이전과 같이 씹는 기능을 계속 수행하고, 단지 시각적인 외형 만이 변형된다.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치과용 미용 수복물은 치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완성하기 위해 베니어의 피팅이 보철물 추가를 보강할 수 있도록 비-미용적 치과 치료와 결합될 수 있다.
치과용 미용 수복물의 "인위적인 제시" 또는 "시뮬레이션"이 의미하는 바는, 이후에 설명될 치과 모형이 미래의 치과용 미용 수복물의 예상되는 결과를 인위적으로 재생산한다는 것이다.
"치과 모형(mockup)"또는 간단히 "모형(mockup)"은 치아 기구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이는 치아의 가시적인 표면인 미용 수복물에 관련된 치아의 전방 표면 전체를 재현하며, 실제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로 기존 치아에 적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모형은 환자의 치아의 적어도 일부에 클립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하우징 또는 공동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우징은 모형의 보이는 전방 벽 및 치열면의 적어도 반대편 벽 부분에 의해 경계 지어 지는데, 이것은 치아의 정상부 또는 측부 표면 위로 연장되는 교합 벽에 의해 연결되며, 이러한 보완적인 벽은 조합하여 클리핑 기능을 수행한다. 이 벽은 그다지 두껍지 않은 것이 바람직한다. 모형은 다른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환자의 치아 전부 또는 일부에 관련될 수 있다. 하우징에 일부 치아 또는 심지어 치아 하나 전체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모형의 유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개의 하우징이 있을 수 있다. 실물 모형의 하우징에 수용되는 기존의 치아를 "지지 치아"라고한다. 상부 또는 하부 치열 중 하나를 위한 하나의 실물 모형이 있을 수 있으며, 더 자주는 2개의 실물 모형 - 즉, 환자의 상반부 치아에 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의 하반부 치열에 대한 것 - 이 있을 수 있다.
치과 모형은 구강 내에 배치되어 환자의 치열의 적어도 일부에서 일시적으로 착용되도록 고안된다. 이는 치아의 오배치를 교정하는 기능을 발휘하지 않으면서, 즉 치열 교정 기능없이, 치열에 임시로 부착되도록 설계되었다. 구강 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환자의 치아 상에서, 치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움직일 만큼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형은 최소 형태로 축소되고 치아의 가시적인 전방면에만 구성된다. 이 경우, 임의의 수단, 예를 들면 실제 치아에 접착 결합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부착은 모형이 임시 부착을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일시적이다. 사용된 접착제는 영구 접착제와 다르며, 제한된 기간 동안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며칠에서 수개월까지 걸릴 수 있다. 이러한 부착은 가역적이다. 그러므로 실물 모형은 실제로 탈착 가능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구강 내에 배치되고 환자에 의해 일시적으로 착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치아 모형을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하는 신속하고 저비용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 모형은 치과 수술에서 환자에게 적합할 수 있으며 환자는 즉시 생체 내에서 예상할 수 있는 최종 결과를 볼 수 있고, 제안된 미용 치료에 대해 계몽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구상된 치아 복원의 실물 모형을 생산하는 방법은 여기에 다음 요소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다:
- 촬상 장치(1),
- 제어 장치(2), 및
- 제조 장치 3.
제조 방법은 환자의 치열 전부 또는 일부에 관한 초기 디지털 데이터를 얻는 제 1 단계(E1)를 포함한다. 치열은 초기 미적 외관, 형태 또는 미적 외양을 가지고 있다. "미적 외관"이 의미하는 것은 환자의 치아의 형태 및/또는 미적 외양이다. 미적 외관은 예를 들어 치아의 색, 치형 및 크기, 및 치간 간격의 치수를 포함하는 다양한 미학적 특성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미적 외관에는 치아 베니어를 사용하여 은폐할 수 있는 소량의 치아 중첩도 포함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환자의 치아의 미적 외관을 정의하는 이러한 미적 특성은 치아에 부착된 베니어를 기반으로하는 치과 치료(또는 "치과적 미용 수복")로 수정될 수 있는 특성이다.
단계 E1은 촬상 서브 단계(E10)를 포함하며, 이 단계에서 촬상 장치(1)는 처음 모습의 치열의 전부 또는 일부의 디지털 이미지 IMi(i = 1, 2, ... N)를 촬영한다. 촬영된 이미지에는 치아의 특성, 특히 모양, 색, 치간 간격, 위치(특히 작은 겹침을 은폐하기 위한 위치)의 모든 속성 또는 일부 속성과 관련된 특성이 포함된다. 이러한 속성들은 관련된 치아의 미적 외관을 나타낸다. 촬상 장치(1)는 유리하게는 환자의 구강 내의 영상을 직접 찍도록 의도된 구강 내 카메라이다. 대안으로서, 환자의 치열의 전부 또는 일부의 3차원 모델이 공지된 방식으로 치열의 형으로 제조된 주물로, 사전에 제조될 수 있으며, 이어서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모델의 디지털 이미지를 찍을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IMi(i = 1, 2, ..., N)는 초기 외관에서 환자의 치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나타낸다. 이들은 송신 서브 단계 E11에서 제어 장치(2)로 송신되어 제어 장치(2)에 의해 수신된다.
치열을 디지털화하고 초기 디지털 데이터 IMi를 전송하는 단계 E1은 수신된 초기 디지털 데이터(즉, 이미지 데이터 IMi)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치열 전부 또는 일부의 가상 3D 표현의 단계 E2가 뒤 따른다. 제어 장치(2)의 한 구성 요소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IMi)를 처리하고, 초기 가상 3D 모델(MOD0)을 나타내는 DATA0로 표시된 초기 디지털 데이터 세트를 생성한다. 이 MOD0 모델은 사실상 초기 모양(특히 모양, 색, 치간 간격, 위치 등)에서 환자의 치아 전부 또는 일부를 나타냅니다. 이는 예를 들어 제어 장치(2)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가상으로 표현되어, 조작자가 가상으로 그것을 시각화하고 조작할 수 있게한다.
표현 단계 E2 다음에는(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모델링된 치열의 가상 수정의 단계 E3가 뒤 따른다. 수정 단계를 통해, 모델링된 치아의 미적 외관을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모델링된 실제 치열에 미용적인 수정을 가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수정 사항은 나중에 치과 베니어를 하나 이상의 치아에 끼워맞춤하여 나중에 이루어질 수 있는 수정 사항에 해당한다. 수정 가능한 치과적 특성은 형태학 및/또는 미학적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미적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다:
- 치아 색;
- 예를 들어 마모되었거나 부러졌거나 너무 짧거나 이러한 유형의 다른 결함을 나타내는 치아의 경우와 같이, 치아 모양 및/또는 크기(또는 치수)
- 치간 간격의 치수.
변형 단계 E3는 또한 소량의 겹침과 같은 치아의 작은 오배치를 숨길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모델링된 치아 또는 치아에 실질적으로 만들어진 수정 또는 변형은 치열의 수정된 미적 외관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한다. 이 수정된 미적 외관은 개개인의 미소를 개선하고, 아름답게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이상적인 교정 치열의 전정면을 결정한다. 따라서, 단계 E3 동안, 초기 미적 외관에 대해 수정된 미적 외관을 갖는 환자의 치열의 적어도 일부의 3 차원 가상 모델(MOD1)이 생성된다. 이 MOD1 모델은 DATA1 데이터 세트로 정의된다. 이 모델은 또한 기존의 치아를 수정하거나 치료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기존 치아에 탈착식 부착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하우징 또는 모양을 잠재적으로 설명한다.
단계(E2 및 E3)는 제어 장치(2)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에 의해 실행된다. 수정된 모양의 치아는 본 예에서, 제어 장치(2)의 사람-기계 인터페이스 수단(25)을 이용하여 조작자에 의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모델링된 치아의 조작에 의해 가상으로 획득된다. 미용 베니어를 형성할 수 있는 종래 기술의 임의의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단계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자동화될 수 있다. 이 단계의 결과는 환자의 치열 교정된 미적 외관의 가상 모델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 세트다.
이 방법은 환자의 치열에 적합한 치아 모형(gockock)(G1)을 가상적으로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 파일(F1)을 생성하고 단계(E3)에서 얻어진 수정된 외관에 따라 의도된 미용 복원을 인위적으로 재생하는 단계(E4)로 계속된다. "환자의 치열에 적합한"이라는 표현의 의미는 모형이 환자의 기존 치아 중 적어도 일부의 모양을 따르도록 설계되었다는 것이다. 모형이 클리핑(clipping) 또는 인세팅(insetting)에 의해 부착될 수 있게하는 실시예에서, 모형은 환자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치아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설계된 표면을 포함하고, 디지털 데이터는 이들 표면의 3 차원 기하학적 정의를 포함한다.
따라서, 치아 모형(G1)을 나타내는 디지털 파일(F1)은 모형의 구조 및 가능한 모형(G1)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를 정의하는 디지털 데이터 세트를 포함한다. 이는 단계 E3 동안 생성된 바와 같이 수정된 미적 외관을 갖는 환자의 치열의 전부 또는 일부의 가상 모델 MOD1에 기초하여, 즉 디지털 데이터 세트 DATA1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모형(G1)의 디지털 파일(F1)은 제조 장치(3)에 의한 치아 모형(G1)의 제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물 모형 G1은 환자의 미래 치과 미용 수복물의 모형을 구성하며, 이 수복 작업은 하나 이상의 치과 베니어를 하나 이상의 환자 치아의 가시 전면에 맞추어서 수행하도록되어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형(G1)은 서로 결합되고 지지 치아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남기는 전방부 및 후방부를 포함한다. 그것은 환자의 치열의 적어도 일부분을 구강 내에 넣고 일시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지지 치아의 모양과 일치하도록 설계되었다. 상기 전방부는 환자의 치아 중 하나 이상의 가시적인 전방 표면을 완전히 덮도록 의도된 벽을 포함한다. 이 전면 벽은 치과용 베니어를 사용하여, 특히 눈에 보이는 외부 표면의 레벨에서 미용 복원 작업의 상상 가능한 최종 결과를 인위적으로 재생산한다. 그것은 치아의 모양, 색, 크기 및 치간 간격과 관련하여 E3 단계에서 정의된 수정된 특성을 포함한다. 후방부는 지지 치열 또는 치아의 후방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덮도록 설계된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벽에는 틈새가 있는 지역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모형의 전방부분만 완성된다(즉, 모형에 수용된 지지 톱니의 전면을 완전히 덮는 것을 의미한다).
치아 상에 클립될 모형의 경우에 구현되는 단계 E4는 모형의 윤곽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몇 개의 서브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단계는 다음을 포함한다:
- 하위 단계 E41에서, 지지 치아의 레벨에서 모형의 교합 형태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는 단계 E3에서 확립된 환자의 치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나타내는 가상 모델 MOD1의 네거티브값을 구성함으로써 얻어진다;
- 모형은 입이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접촉할 경우 간섭하지 않도록 또는 최소한으로 간섭하도록, 두 개, 즉, 위턱과 아래턱, 치열 아치의 교합에 가장 잘 부합하도록 설계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악 치열 궁을 의도한 모형의 후방면은 바람직하게는 잇몸 한계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그들은 치아의 폐쇄 수준, 즉 낮은 치열의 치아가 상부 치열의 치아의 설측 표면에 안착하게되는 물질을 포함하지 않다. 이러한 교합은 개인의 기존 치열의 가상 재생산에 의해 자동으로 감지되며 상층 치열 오버레이 장치의 후면 벽 치수를 제한한다.
- 다른 하위 단계 E42에서, 전정 및/또는 언어 측의 모형 중 하나 또는 치은 단부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가 얻어진다. 제 1 접근법은 단계(E3)에서 확립된 환자의 복원 치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나타내는 가상 모델(MOD1)의 디지털 데이터를 고려하고, 치은 단부는 가상 모델에 의해 주어진 단부를 기초로 설정된다. 두 번째 방법은 이전에 특정 범주의 치아에 대한 전자 메모리에 저장된 평균 치아 높이를 수정하고 이러한 평균값에 대한 치은의 계산 및 관련 치아 유형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다. 모형의 치은 끝은 실제 치열과 실제 잇몸 사이의 실제 경계와 일치하도록 계산된다. 이 결정은 실물 모형의 눈에 보이는 앞면의 높이를 가장 잘 맞출 수 있게한다.
실시예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모형은 또한 잇몸의 일부를 재생산한다. 따라서 기존의 잇몸이나 기존의 치아를 덮을 수 있는 표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치아가 후퇴하는 잇몸에 시달리고 있을 때, 불규칙한 잇몸 라인에 의해 야기된 외관상 결점을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대안의 실시 형태는 연속적이고 예술적으로 만족스러운 잇몸 라인을 재정의하는 동시에, 모형의 최적 치은 단부를 정의하는 것을 가능하게한다.
그 다음, 방법은 G1으로 표시된 치아 모형을 제조하는 단계 E5로 이동한다. 제조는 제조 장치(3)에 의해 수행된다. 부가적인 제조 기술, 예를 들어 3D 인쇄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그것은 재료의 제거를 통한 제조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치아 모형은 예를 들어 재료 블록으로부터 기계 가공 또는 레이저 또는 워터젯 절단에 의해 제조된다. 임의의 경우에,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수지 또는 세라믹 유형의 생체 적합성 재료, 또는 심지어 금속을 사용한다.
제조 단계 E5 동안, 제조 장치(3)는 제조될 치과 모형에 대응하는 디지털 파일로부터 얻어진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이 특정 예에서, 제어 장치(2)는 제조 장치(3) 제조 제어 명령(예를 들어, 사용된 기술에 따라, 3D 인쇄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또는 기계 제어를위한 명령)을 전송한다. 대안으로서, 제어 장치(2)는 파일 F1을 제조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조 제어 명령은 제조 장치에 의해 파일(F1)로부터 직접 생성될 것이다.
치아 모형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는 생체 적합 물질 일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 즉, 사용된(그리고 거의 사용되지 않은) 실물 모형은 새로운 실물 모형을 만들기 위해 재활용될 수 있다.
실물 모형을 제작하기 위한 디지털 파일을 제작함으로써 이 모형은 환자의 치열의 실제 3D 모델을 제작하는 중간 단계없이 직접 제작할 수 있다. 그 결과, 모형은 치과 수술에서 신속하게 가공될 수 있다. 치과 의사를 한 번 방문하면 모형 치아를 조작하고 환자가 치아를 시험해 볼 수 있도록 환자의 치열을(전체 또는 일부) 나타내는 초기 데이터 DATA0을 얻을 정도로 충분할 수도 있다.
물론, 몇몇 치아 모형(G1, G2, ...)을 구성하기 위한 몇몇 디지털 파일(F1, F2, ...)은 환자가 치아 성형 회복의 몇몇 대체 형태를 시험할 수 있도록 생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본 방법은 예를 들어 스크린상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개인의 기존 치열의 가상 표현 상에 가상으로 놓인 모형을 가시화할 수 있게 하는 중간 단계 E4'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가상 표현은 3 차원이며 오퍼레이터는 얻어진 미적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장치의 전방면뿐만 아니라, 부차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뒷면까지도 시각화할 수 있다.
모형의 제조를 구동하는 장치(2)는 다음 모듈을 포함한다:
이 경우 이미지 데이터(IMi)와 같은 초기 외관을 갖는 치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나타내는 초기 디지털 데이터를 얻기 위한 모듈(20);
- 초기 미적 외양 및 초기 외모에 대해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미학적 외양으로 각각 환자의 치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나타내는 가상 모델 MOD0, MOD1을 생성하는 모듈(21);
- 환자의 치열에 적합하고 모듈(21)에 의해 생성된 초기 외형에 대해 수정된 외관에 대응하는 치아 모형(G1)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데이터 파일(F1)을 적어도 생성할 수 있는 제작 모듈(22);
- 제조 장치(3)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인터페이스(23);
- 디지털 데이터 파일 F1에 기초하여 모형(mockup) 제조 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드라이버 모듈(24);
-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수단(25);
- 중앙 제어 및 처리 장치(UC)(26).
모듈(20)은 촬상 장치(1)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인터페이스 및 촬상 장치(1)에 의해 캡쳐되고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 IMi를 포함하는 초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듈(21) 모델.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는 촬상 장치(1)를 사용하여 환자의 치열의 전체 또는 일부의 촬상에 의해 얻어진다. 모듈(20)은 단계 E11(수신시)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모델 생성 모듈(21)은,
- 초기 외관을 갖는 환자의 치열 전부 또는 일부를 나타내는 제 1의 3 차원 가상 모델 MOD0을 생성한다.
- 치아의 미적 특성(특히 모양, 색, 크기, 치간 공간)을 수정하여 수정된 모양으로 환자의 치열의 전체 또는 일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두 번째 3 차원 가상 모델 MOD1을 작성한다.
- 생성된 또는 생성되고 있는 가상 모델의 디스플레이를 장치(2)의 스크린 상에 관리한다.
생성 모듈(21)은 단계(E2 및 E3)를 구현하도록 설계된다.
생산 모듈(22)은 치아기구에 관한 디지털 파일(F1)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디지털 파일은 환자의 치열에 적합한 모형을 나타내며 초기 치열 배치와 관련하여 적어도 치열 전면에서 수정된 외관을 생성하는 치과용 미용 수복물을 재생한다. 생산 모듈(22)은 단계 E4를 구현하도록 설계된다.
연결 인터페이스(23)는 제어 장치(2)가 예를 들어 3D 프린터와 같은 모형(mockup)의 제조를 위해 외부 장치(3)에 연결되게한다.
드라이버 모듈(24)은 모듈(22)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파일에 기초하여 제조 장치(3)의 동작을 구동하도록 설계된다. 이는 치열 교정 장치의 제조를 구동하기 위해 제조 장치(3)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드라이버 모듈(24)은 생성된 디지털 파일에 기초하여 제조 단계(E5)의 실행을 직접 제어하도록 의도된다.
모듈(21, 22 및 24)은 모듈이 처리 유닛(26)에 의해 실행될 때 대응하는 방법 단계의 실행을 위한 소프트웨어 명령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인간-기계 인터페이스(25)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또는 임의의 다른 데이터 피드백 수단, 키보드 및/또는 임의의 다른 데이터 및/또는 제어 입력 수단, 및 그래픽 인터페이스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제어 장치(2)는 장치의 모든 요소(20-25)가 연결되고 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여기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2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촬상 장치(1), 제어 장치(2) 및 제조 장치(3)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의 3 개의 구성 요소(1, 2 및 3)는 여기서 분리되어있다. 촬상 장치(1)와 제조 장치(3)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에 의해 제어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촬상 장치(1) 및/또는 제조 장치(3)는 제어 장치(2)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프로그램이 처리 유닛, 이 경우에는 유닛(26)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대안의 형태의 실시예에서, 치아 모형은 다음의 단계를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알지네이트 또는 실리콘에서 환자의 치열과 턱의 형을 생산한다.
- 예를 들어 몰드로 생산 및 사용되는 형을 주물하여 치열의 3차원 모델을 예를 들어 석고로 제조한다.
- 열 성형을 사용하여 3 차원 모델로부터 치아 모형을 성형하는 단계;
- 모형 치료(착색, 버핑 또는 기타 미용 치료).
다른 실시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형은 보다 긴 시간 동안 착용하도록, 또는 심지어 영구적 또는 영구적인 미용 수복물을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치열궁에 클리핑하는 것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도록 매우 잘 수행되도록 선택된다. 모형은 제거 가능 상태로 남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형태에서, 모형은 치아 오버레이 장치가 된다. 이러한 치아 오버레이 장치는 제거 가능하게 그리고 재사용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근무 중 또는 저녁 약속 동안 웃는 얼굴을 일시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개인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또는 재사용이 가능한 치아 오버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 후 개인은, 특히 밤에, 치과용 기기를 제거할 수 있다. 재사용할 수 있고 여러 번 착용할 수 있다. 도 3은 이러한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를 예를 들어 도시한다.
"치과용 오버레이(dental overlay)" 또는 "치과 대면(dental facing)" 장치란 의미는 치아 장치 또는 기구로, 개인의 기존 치아 중 하나 이상에 전정면(즉, 입의 외부를 향하는면)을 덮도록 구성되어, 미소를 짓거나, 즉, 기존 치열의 적어도 일부분의 가시 미용 외을 개선시킬 수 있다.
장치에는 치열 교정 기능이 없으며, 특히 치아의 위치 이탈을 교정하는 기능이 없다. 치아에 힘을 가하지 않으며 치아가 움직일 수 있는 힘이 없다. 또한, 상기 치아의 사전 치료를 필요로하지 않고 기존의 치아에 맞도록 설계되었다.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는 개인의 미소, 즉 개개인이 웃을 때 보이는 얼굴의 미적 외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재사용 가능한 치아기구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기존의 치아의 전정면에 중첩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불투명 치아 전면을 포함하는, 사용이 갱신될 수 있는, 재생용 치과 기구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기존 치아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하에서 이를 지지체 또는 "지지 치아(teeth or teeth)"로서 작용하는 치아 또는 치아라고 한다. 그것은 사용자 자신이 입에 넣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 수단은 지지 치아를 수용하고 이 지지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하나 또는 유리하게 몇몇의 하우징 또는 공동을 포함한다. 이들 하우징은 지지 치아를 수용하고 이러한 지지 치아에 파지하여 클리핑되거나 치아 장치를 이들 치아에 부착하기 위해 이들 지지 치아를 이들에 삽입함으로써 간단히 부착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는 클립핑 또는 삽식 형의 제거 가능한 부착 수단을 포함한다. 지지 치아용 하우징은 이 지지 치아용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합한다. 이는 적어도 전정면의 모양과 기존 치아의 설측면의 일부와 일치한다. 이러한 치아 오버레이 장치의 후방면은 가능한 한 기존의 치아의 자연스러운 교합에 부합한다. 상부 치열궁을 위한 치아 오버레이 장치의 경우, 이 후방면은 기존 치아의 설측면의 교합 레벨에서 재료를 함유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 교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것은 전정측과는 달리 설측의 치은 한계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은 치아의 주연면의 일부분만을 따르게된다.
다시 말하면, 지지 치아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은 전방벽에 의해 그리고 설측을 향해 배향되도록 구성된 후방 벽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앞쪽 벽은 미용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보이는 앞쪽의 치아면을 지지하거나 형성한다. 후방 형태는 지지 치아의 설측면을 부분적으로만 덮을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져 있다(예: 치아의 치은 끝과 반대쪽 끝). 따라서 전방벽만 완성되어 있을 뿐, 지지 치아의 전정면 전체가 숨겨진다. 치열 오버레이 장치의 이들 2 개의 전방 및 후방 벽은 지지 치열 부의 상부 위로 연장되는 교합 벽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지지 치아를 수용하고 지지 치아에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의 전방, 후방 및 교합면은 클리핑 기능, 즉 치아를 파지하거나 치아가 그 안에 삽입되도록 허용하도록 설계되어, 치아 장치를 지지 치아에 고정시킨다. 그것이 장착될 때, 치과 장치는 그러므로 적은 양의 힘의 적용을 통해 치아를 그 안으로 삽입하는 치아를 갖는다. 따라서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다양한 면은 그들이 덮는 기존 치아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게되며, 중간 공간이없고 그 사이에 인터페이스 제품이 도입되지 않다.
이 치아에 부착하는 기능을 갖지 않고 기존의 치아를 수용하거나 수납하기 만하는 특정 하우징이 있을 수 있다. 치아 오버레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치아의 전정면을 덮도록 의도된 전방면만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고, 따라서 부착 기능을 갖지 않으면서 미용 기능만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방면은 장치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측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접근법은 치아 오버레이 장치에 대해 가능한 가장 단순한 기하학적 구조를 얻을 수 있게하며, 충분한 부착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엄격한 최소값으로, 부착 하우징 수를 최소화한다.
치아 장치가 개인의 치아 N개에 영향을 미친다 고 가정해 보자. 제 1 실시예에서, 치아 오버레이 장치는 N 개의 치차를 각각 수용하는 N 개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N 개의 하우징 모두는 N 개의 지지 치아를 구성하는 N 개의 치아에 부착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유리한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N 개의 치아들 각각을 수용하기 위한 N 개의 하우징들을 포함하고, n 개의 하우징들(n은 엄격하게 N보다 낮고 바람직하게는 2보다 크다)을 포함하는 이들 N 개의 하우징들의 단지 서브셋는 n 개의 치아에 대한 부착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제 3 실시예에서, 치아 장치는 p 개의 치아(p는 엄격하게 N보다 낮고 바람직하게는 2보다 크다) 및 후방 벽에 결합되지 않은 N-p 전방 벽을 수용하기 위한 p 개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들 N-p 벽은 전방벽으로 한정되거나, 또는 교합 벽의 전부 또는 일부, 또는(2 개의 치아 사이의) 중간 측벽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지만 후 측벽은 포함하지 않는다. p 하우징은 지지 치형 부에 부착을 제공하기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적합할 수 있다.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벽은 바람직하게는 두껍지 않으며, 특히 부착 기능만을 수행하는 후방 벽이 그러하다. 잠재적인 부착 기능 외에도 미용 기능을 수행하는 전방벽은 기존의 치아의 전정면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변화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며 필요하다면 이 두께가 가능할 수 있다. 이 두께는 실제 상한없이 0.3mm 이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원하는 미용 효과는 일반적으로 0.3 내지 3 mm의 범위 내에서 변화하는 두께로 얻어 질 것이다. 기존 치아의 미용 결핍을 보완하기 위해이 두께는 다음 솔루션의 전부 또는 일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전방면의 주어진 높이(치은 한계에서 잇몸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선택됨)의 경우, 전방벽의 두께가 다양할 수 있다(즉, 높이: 왼쪽 방향); 및/또는
- 이 두께는 치은 한계에서 잇몸 반대편의 한계까지 다양할 수 있다. 및/또는
- 장치의 다양한 전면이 두께가 다를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전방벽의 두께는 하나의 동일한 전방면 및/또는 전방면들의 집합에 대해 모든 방향으로 변할 수 있다.
또한 전방벽은 불투명하다. 그들은 치아의 착색이 있다. 후방 및 교합면은 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치아의 채색을 가질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장치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개인의 모든 치아의 전부 또는 일부에 적용될 수 있다.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는 상부 또는 하부 치열 중 하나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상악 치열 및 하악 치열에 대해 하나씩 두 가지 장치를 계획할 수 있다. 우연히 상술한 모형과 같은 각각의 장치는 임의의 수의 병치된 치아 위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견치에서 다른 견치로 확장될 수 있다.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는 유리하게는 중간 평면에 대해 대칭이며, 그 오른손 부분은 왼손 부분과 대칭이다.
치과 장치는 입에 넣고 탈착식으로 그래고 재사용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치열 교정 기능 또는 다른 치과 치료없이, 치아의 오배치를 정정하는 기능을 발휘하지 않고 기존 치열에 일시적으로 착용되도록 유리하게 설계된다.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사용자 치아 위로 구강 내에 끼워맞춰지면 치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움직일만큼 충분한 힘을 가하지 못한다. 이는 사용자의 미소를 향상시키는 미용 기능이 있다. 예를 들어 직장 근무 중 또는 저녁 약속에 여러 시간 동안 문제없이 착용한 다음, 특히 밤에는, 제거할 수 있다. 재사용이 가능하며 여러 번 착용하도록 설계되었다.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 장치는 그 최소 형태로 축소되고 치아의 가시적인 전방면만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치아를 사전 대처하지 않고 기존 치아에 직접 접착하는 등 클리핑 이외의 방법으로 부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치아 오버레이 장치를 적어도 하나의 기존의 치아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수단은 영구 결합이 아니라 가역성인 접착 결합이다.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는 또한 기존의 치아 이외에 사람의 입에 있는 액세서리에 부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것은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에 대한 지대치 또는 임의의 치과 수복물 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이러한 구성 요소 상에 클립핑을 허용하는 제거 가능한 부착 수단을 포함한다. 대안 적으로, 이 탈착식 부착 수단은 이러한 구성 요소에, 특히 잇몸에 수직인 이동 방향으로, 고정을 허용할 수 있다.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는 또한 개인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아를 잃어버린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치아 오버레이 장치는 기존의 2 개의 인접한 치아 사이를 감싸고 누락된 치아에 의해 야기된 갭을 메우기 위해 손실된 치아의 부피와 유사한 체적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블록에는 자연스럽게 누락된 치아의 선택된 미적인 모양을 재현하는 앞면이 있다.
본 발명의 치아 오버레이 장치는 개개인의 치열의 미적 외관을 일시적으로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의 사용은 재생 가능하다. 또한 개인을 위해 구상된 치과 치료의 미래 결과를 시각화할 수 있도록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개인은 몇 시간 또는 심지어 하루 종일 치과 용기구를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치과에서 계획된 미용 수복 작업의 결과에 대한 최적의 이해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 오버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전방면은 도 4A-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면 전체를 덮는 장식 칼라층(예를 들어, 청색/백색/적색 층) 또는 여러개의 병치 칼라층 또는 전방면에 스크린인쇄된 그림 또는 다른 그래픽 표현(예를 들어, 미키 마우스 헤드, 깃발, 다이아몬드)와 같은 장식 요소를 지닌다. 이 장식은 형광 또는 인광 효과를 형성하는 것과 같이 특정 도료로 얻을 수 있다. 대안으로서, 장식 효과는 예를 들어 형광 또는 인광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자체의 재료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특징들은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모형(mockup)에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치과용 미용 수복물의 실물 크기 모형의 제조에 대해 전술한 방법과 유사하게, 사용자를 위를 위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31)

  1. 탈착가능하게 착용하도록 구성된 환자의 치과용 미용 수복물의 모형 및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를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강 내에 배치되어 기존 치열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일시적으로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치과용 미용 수복물의 모형 또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의 파일을 형성하는 단계(E4)와, 생산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파일로부터 직접 모형 또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E5)를 포함하는,
    모형 생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초기 미적 외관을 갖는 치열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초기 디지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E1)와,
    초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초기 미적 외관에서 상기 치열의 적어도 부분적인 가상 표현을 실현하는 단계(E2)와,
    수정된 미적 외관을 얻기 위해 치아의 가상 미적 외관을 수정하는 단계(E3)를 포함하는
    모형 생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단계(E3)는 치아 색, 치아 형상, 치아 크기 및 치간 간격의 치수를 포함하는 군의 치아 특성 중 적어도 일부의 수정을 포함하는, 모형 생산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단계(E3)는 치아에 베니어(veneer)를 가함으로써 나중에 행해질 수 있는 수정에 대응하는 미적 수정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모형 생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과용 모형 또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E5)는 모형이 기존 치아에 클리핑될 수 있도록 기존 치아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등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의 형성을 포함하는, 모형 생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 또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가 클리핑될 수 있는, 지지부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존 치아에서 상기 상기 모형 또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교합 형상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E41)와,
    전정면 또는 설측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상기 모형 또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치은 단부 중 전부 또는 일부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E42), 및/또는,
    상기 모형 또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가 교합에 최소한의 영향만 미치도록 개인의 기존 치열의 교합을 결정하고 기하학적 한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사람-기계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모형 또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가상 3차원 표현을 실현하는 단계(E4')를 포함하는
    모형 생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 또는 치아 오버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E5)는 잇몸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는 기존 잇몸을 덮도록 구성된 표면을 형성하는
    모형 생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 또는 치아 오버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E5)는 치아의 오배치 교정 기능없이 치아에 클리핑되도록 구성되는 모형 또는 치아 오버레이 장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형 생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 또는 치아 오버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E5)는 후방부에 연결된 전방부를 포함하는 벽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전방부만이 완전한
    모형 생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 또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E5)는 재생 가능 재료와 생체 적합성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모형 생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 또는 치아 오버레이 장치는, 특히 3차원 인쇄에 의한, 재료의 첨가를 수반하는 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모형 생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 또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는, 특히 재료 블록 기계가공 또는 레이저 또는 워터제트 절삭에 의해, 물질의 제거를 수반하는 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모형 생산 방법.
  13. 환자의 치과용 미용 수복물의 모형 또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제조를 위한 제어 장치(2)에 있어서,
    초기 미적 외관을 가진 환자의 치열의 적어도 일부분을 나타내는 초기 디지털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20)과, 상기 초기 미적 외관으로, 그리고, 상기 초기 외관에 대해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미적 외관으로 각각 환자의 치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나타내는 가상 모델(MOD0, MOD1)을 생성하기 위한 모듈(21)과,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환자의 치과용 미용 수복물의 모형 또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생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중앙 제어 및 처리 유닛(UC)(26)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초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초기 외관으로 치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상 표현하기 위한 모듈(21)과, 수정된 미적 외관을 얻기 위해 치아의 가상 미적 외관을 수정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15. 제 13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아 모형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3) 및 제어 장치(2)를 포함하는, 환자의 치아 미용 수복물의 모형 또는 치아 오버레이 장치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촬상 장치(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시스템.
  17.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8. 재사용가능하게 탈착식으로 착용되도록 구성된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에 있어서,
    기존 치아의 전정면 상에 중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 치아 전방면과, 지지체로 작용하는 기존 치아 중 적어도 하나에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제거가능한 부착을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복수의 병치된 기존 치아의 전방면 상에 중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치아 전방면을 포함하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치아 전방면을 지닌 전방 벽과, 특히, 교합에 최소한의 영향만 미치면서, 동일한 기존 치아의 설측면의 종료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 전방면보다 작은 표면적의 대향된 후방 벽을 포함하는, 기존 지지 치아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벽, 즉, 전방 벽 및 후방 벽은 함께 결합하여, 상기 기존 치아에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를 클리핑에 의해 부착시키도록 지지부로 작용하는 기존 치아를 그립하도록 설계된,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21. 제 18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기존의 치아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등각을 이루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방향으로 가변적인 두께를 갖고, 및/또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수 개의 전방면을 갖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23.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존 치아와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된, 및/또는 상기 기존 치아에 대한 어떤 사전처리 또는 수정없이 기존 치아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지도록, 전방면 및 가능하다면 후방면을 포함하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24. 제 18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잇몸을 모방하는 부분을 가지며,
    그 중 일부는 기존의 잇몸 또는 기존의 치아를 덮도록 구성된 표면을 형성하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25. 제 18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치아 전방 벽만이 기존의 치아의 표면을 완전히 덮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26. 제 18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존 치아의 치아 전정면 상에 중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치아 전방면을 포함하며, 동일한 기존 치아의 설측면을 덮도록 구성된 후방면을 갖지 않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27. 제 18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존 치아의 전정면상에 중첩되도록 구성된 상기 치아 전방면은 현실의 치아 착색을 가지며, 및/또는 생체 적합성 재료로 제조되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28. 제 18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가능한 부착 수단은 접착제, 클립, 고정쇠, 및 삽입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29. 제 18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상기 전방면은 장식 요소, 특히 스크린 인쇄된 그래픽 묘사부 또는 전방면 전체를 덮는 적어도 하나의 착색 층, 또는 형광 또는 인광성 페인트와 같은 장식용 도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가 형광 또는 인광 성분과 같은 장식 특성을 혼입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30. 제 18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들은 기존의 치아를 이동시키는 어떠한 힘도 가하지 않는,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31. 제 18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의 용도에 있어서,
    치열의 미적 외관을 일시적으로 수정하기 위해, 상기 용도는 재생가능하고, 또는,
    치과적 치료의 미래 결과를 시각화하기 위해, 상기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는 치과적 치료없이 기존 치아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용도.

KR1020187007028A 2015-08-10 2016-07-25 치과용 미용품 수복물 모형 및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KR102658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7643A FR3039986B1 (fr) 2015-08-10 2015-08-10 Maquette pour restauration dentaire esthetique
FR1557643 2015-08-10
FR1650857 2016-02-03
FR1650857A FR3047165B1 (fr) 2016-02-03 2016-02-03 Dispositif de parure dentaire amovible
PCT/EP2016/067636 WO2017025304A1 (fr) 2015-08-10 2016-07-25 Maquette pour restauration dentaire esthétique, dispositif de parure denta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146A true KR20180039146A (ko) 2018-04-17
KR102658561B1 KR102658561B1 (ko) 2024-04-17

Family

ID=56550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028A KR102658561B1 (ko) 2015-08-10 2016-07-25 치과용 미용품 수복물 모형 및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344384B2 (ko)
EP (1) EP3334371B1 (ko)
JP (1) JP7016316B2 (ko)
KR (1) KR102658561B1 (ko)
CN (1) CN109874292B (ko)
BR (1) BR112018002815B1 (ko)
CA (1) CA2995300A1 (ko)
IL (1) IL257457B (ko)
WO (1) WO20170253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098B1 (ko) * 2018-11-19 2019-11-04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보철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5837B (zh) * 2017-12-13 2021-04-06 深圳牙领科技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和终端
US11786346B2 (en) 2019-01-11 2023-10-17 Trion Concepts, Inc. Bone-mounted dental arch veneer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and utilizing the same
CA3153719A1 (en) 2019-09-16 2021-03-25 Align Technology, Inc. Durable ornamental indicia carrier
US20210322134A1 (en) * 2020-04-17 2021-10-21 Shiny Smile Veneers Llc Customized dental veneers
CN112386344B (zh) * 2020-10-15 2022-10-21 儒蓉(成都)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弹性贴面桥及其制备方法
DE112021005149T5 (de) * 2020-10-27 2023-07-27 Canon Kabushiki Kaisha Zahnersatzherstellungssystem, zahnersatzherstellungsverfahren, zahnersatzfarbgebungsverfahren, zahnersatzfarbgebungssystem und programm
KR102582709B1 (ko) * 2021-01-26 2023-09-26 주식회사 메디트 삼차원 구강 모델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0859A1 (en) * 1999-11-30 2002-10-17 Orametrix, Inc. Three-dimensional occlusal and interproximal contact detection and display using virtual tooth models
JP2005304904A (ja) * 2004-04-23 2005-11-04 Olympus Corp 歯列矯正具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7357637B2 (en) * 2005-03-25 2008-04-15 Snap On Smile Llc Dental appliance
KR100934643B1 (ko) * 2006-11-06 2009-12-31 유지 미와 접착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US20110033815A1 (en) * 2005-04-01 2011-02-10 Mary Sue Stonisch Method of Using a Demonstration Dental Template with Digital Representation for Modeling Dental Restorations
US20140069441A1 (en) * 2012-02-17 2014-03-13 Allen J. Moses Mouthpiece f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US8807999B2 (en) * 2007-10-12 2014-08-19 Align Technology, Inc. Prosthodontic and orthodontic apparatus and methods
JP2015512676A (ja) * 2012-02-27 2015-04-30 ベイ マテリアル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Bay Materials, LLC 歯科用製品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7398U (ko) * 1973-07-27 1975-04-18
US4015332A (en) * 1975-09-23 1977-04-05 Manne John E Crown form and method
FR2536654B1 (fr) 1982-11-30 1987-01-09 Duret Francois Procede de realisation d'une prothese dentaire
US5324198A (en) 1992-06-12 1994-06-28 Hazen Anthony P Denture covering existing teeth and gums
US7520747B2 (en) * 2005-04-01 2009-04-21 Mary Sue Stonisch Dental template and method of visually demonstrating an overlay for a dental patient and setting the horizontal plane with an overlay
US20080003541A1 (en) * 2006-06-28 2008-01-03 Leslie-Martin Laurel R Decorative dental overlay
US20070264614A1 (en) * 2006-05-15 2007-11-15 Kim Yong H Playaz Dental Grillz
US20070059667A1 (en) * 2006-07-03 2007-03-15 Lim Dong Y Accessory set for the teeth the fitting of which to the teeth is easy and convenient
JP2008054989A (ja) 2006-08-31 2008-03-13 Kazumi Tanaka 歯列カバー
WO2009006303A2 (en) * 2007-06-29 2009-01-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ideo-assisted margin marking for dental models
US8926327B2 (en) 2007-11-07 2015-01-06 Global Dental Impression Trays, Inc. Dental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EP2632386B1 (en) * 2010-10-29 2019-05-08 3Shape A/S Designing a virtual preparation and a virtual gingival
US20130095446A1 (en) 2011-10-12 2013-04-18 Ormco Corporation Direct Manufacture of Orthodontic Aligner Appliance
JP5921947B2 (ja) 2012-04-27 2016-05-24 株式会社DentalBank 遺体用義歯
TWM453482U (zh) * 2012-05-09 2013-05-21 Tai-Wu Lin 裝設於可撤性假牙之彈力夾以及所組成之活動式假牙
CN202859366U (zh) 2012-10-12 2013-04-10 金英花 牙齿美容装饰贴壳
CN104116569A (zh) 2013-04-12 2014-10-29 张文淳 牙假体的计算机制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0859A1 (en) * 1999-11-30 2002-10-17 Orametrix, Inc. Three-dimensional occlusal and interproximal contact detection and display using virtual tooth models
JP2005304904A (ja) * 2004-04-23 2005-11-04 Olympus Corp 歯列矯正具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7357637B2 (en) * 2005-03-25 2008-04-15 Snap On Smile Llc Dental appliance
US20110033815A1 (en) * 2005-04-01 2011-02-10 Mary Sue Stonisch Method of Using a Demonstration Dental Template with Digital Representation for Modeling Dental Restorations
KR100934643B1 (ko) * 2006-11-06 2009-12-31 유지 미와 접착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가 표정의 가변 방법
US8807999B2 (en) * 2007-10-12 2014-08-19 Align Technology, Inc. Prosthodontic and orthodontic apparatus and methods
US20140069441A1 (en) * 2012-02-17 2014-03-13 Allen J. Moses Mouthpiece f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JP2015512676A (ja) * 2012-02-27 2015-04-30 ベイ マテリアル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Bay Materials, LLC 歯科用製品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098B1 (ko) * 2018-11-19 2019-11-04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보철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4371A1 (fr) 2018-06-20
JP2018529487A (ja) 2018-10-11
JP7016316B2 (ja) 2022-02-04
IL257457B (en) 2021-04-29
WO2017025304A1 (fr) 2017-02-16
US20180243051A1 (en) 2018-08-30
EP3334371B1 (fr) 2020-08-05
BR112018002815B1 (pt) 2020-11-24
CN109874292B (zh) 2022-04-29
IL257457A (en) 2018-04-30
CA2995300A1 (fr) 2017-02-16
KR102658561B1 (ko) 2024-04-17
US11344384B2 (en) 2022-05-31
CN109874292A (zh)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8561B1 (ko) 치과용 미용품 수복물 모형 및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US112982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dentures
AU2018335549B2 (en) Dental restoration molds
US97440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dentures
US8753114B2 (en)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and related kit
US8043092B2 (en) Demonstration dental template and matching temporary overlay
US8366445B2 (en)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and related kit
US201801167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implant orientation directly from a dental impression
US8376745B2 (en) Method of using a demonstration dental template with digital representation for modeling dental restorations
CN112118804B (zh) 用于构造牙科构件的方法
CN108024847B (zh) 功能易适数字全口义齿的制作方法和设备
EP2604218A1 (en) Mold and method for making a customized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of making the mold
WO2016142407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den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