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853B1 -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853B1
KR100933853B1 KR1020080002069A KR20080002069A KR100933853B1 KR 100933853 B1 KR100933853 B1 KR 100933853B1 KR 1020080002069 A KR1020080002069 A KR 1020080002069A KR 20080002069 A KR20080002069 A KR 20080002069A KR 100933853 B1 KR100933853 B1 KR 100933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ogging
scratch resistance
biodegradabl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233A (ko
Inventor
박병식
이상훈
박양호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2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853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8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9D1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 성형시 스크래치의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방담코팅조액의 개선을 통해 트레이 성형 시 스크래치의 발생을 줄여 우수한 방담성능을 보유할 수 있는 친환경적 생분해성 방담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 발명의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는 시트 기재로는 폴리유산(Polylactide resin) 또는 폴리유산 99.9 내지 90.0 중량부와 폴리유산을 제외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0.1 내지 10.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기재로 성형된 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방담코팅층이 0.01 내지 1g/㎡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는 폴리유산계 생분해성 방담시트로 내스크레치성을 우수하게 하는 방담코팅액이 도포되어 얻어지므로, 얻어진 시트가 충분한 유연성 및 투명성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보유하여 트레이 성형 후에도 우수한 방담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실용화에 적합한 생분해성 방담시트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생분해성, 내스크래치성, 방담성, 폴리락산, 트레이, 시트.

Description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 및 그 제조방법{Biodegradable and anti-fogging sheet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and prepar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트레이의 성형에 있어서는 성형공정 시 일반적으로 시트에 스크래치가 발생되기 쉬웠으며, 이러한 바람직하지 못한 스크래치의 발생은 성형된 트레이의 방담성능을 저하키는 요인이 되므로 트레이 성형시 스크래치의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방담코팅조액의 개선을 통해 트레이 성형 시 스크래치의 발생을 줄여 우수한 방담성능을 보유할 수 있는 친환경적 생분해성 방담시트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 플라스틱은 뛰어난 물성과 함께 값싸고 가벼운 특성으로 인하여 현대인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포장재로 전 세계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성을 갖는 합성 플라스틱은 그 장점이자 단점인 분해 가 잘 되지 않는 문제로 인하여 환경오염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따라서 최근 각국에서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으려 관심을 모으고 있다. 즉, 종래에는 합성 플라스틱 처리를 위해 매립, 소각 및 재생이라는 방법을 주로 활용해 왔으나, 이들 방법으로는 환경오염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현재에는 사용이 완료된 플라스틱이 스스로 분해가 가능하도록 만드는 소위 분해성 플라스틱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다양한 기술과 원료로부터 여러 종류의 분해성 플라스틱이 개발되어 오고 있으며, 이중 폴리유산 (이하, 'PLA'라 함)은 L-유산의 발효법 개발에 의해 대량 또한 값싸게 제조되고 있으며, 퇴비화 조건에서 분해속도가 빠르고, 곰팡이에 대한 저항성, 식품에 대한 내착취성 등 우수한 특징을 보유해 그 이용 분야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PLA는 현재 각국에서 용도에 적합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에서 식품포장용 트레이 분야에서는 트레이 표면에 서리발생을 억제하는 방담기능(Anti-fogging)이 가장 핵심기술이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시트 내부첨가법, 방담코팅법 등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상기한 시트 내부첨가법의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방담성분의 블리드아웃 현상 및 백탁발생 문제 등으로 인해 사용이 적합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코팅법을 통해 방담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PLA 방담 시트의 경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1996-004395호에서는 생분해성 코팅제인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디올로 이루어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통한 코팅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PLA의 고유특성인 투명성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으며, 일본특허 평9-221555, 미국특허 제4127682 등에서 폴리비닐알코올의 친수 성을 이용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들은 내스크래치성 및 방담지속성 등에서 장시간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 밖에 대한민국 특허 10-0722516에서는 수분산된 코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코팅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 또한 도포량에 따른 투명성 저하 및 코폴리에스테르의 식품안정성에 대한 언급이 없어 실용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기존에 식품안정성이 보장된 방담코팅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로는 사급 암모니움 염(Quaternatery ammonium salt), 알킬설페이트(Alkylsulfate), 알킬설포네이트(Alkylsulfonate), 알킬포스포네이트(Alkylphosphonate), 양성(Amphoteric) 계통이 사용되며, 이들 계면활성제에 다양한 바인더를 블렌딩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방담제의 경우 대부분 내스크래치성이 부족하여 시트에 방담코팅을 한 상태에서는 우수한 방담성을 보유하나, 트레이 성형공정 간에 발생된 스크래치 영역에서 방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PLA 방담시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므로 트레이 성형 후에도 충분한 방담기능을 보유한 생분해성 방담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져 트레이 성형 후에도 충분한 방담기능을 보유한 생분해성 방담시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우수한 방담기능을 갖는 트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는;
시트 기재로는 폴리유산(Polylactide resin) 또는 폴리유산 99.9 내지 90.0 중량부와 폴리유산을 제외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0.1 내지 10.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기재로 성형된 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방담코팅층이 0.01 내지 1g/㎡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시트 기재로는 폴리유산 99.9 내지 90.0 중량부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2.0 내지 10.0중량부 또는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0.1 내지 2.0중량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폴리유산은 락트산(lactic acid)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유산의 경우 L-락트산, D-락트산 또는 L,D-락트산으로 구성되며, 수평균분자량은 10,000 이상으로, 이들 폴리유산은 단독 혹은 복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는 ROOC(CH2)n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 n은 2 내지 14의 정수임)구조를 가지는 숙신산, 글루탈산, 말론산, 옥살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아젤라산, 노난디카르복실산과 이들의 알킬 또는 아릴에스테르유도체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글리콜류는 HO-(CH2)n-OH (n은 2 이상의 정수임)구조를 가지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이나 프로필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올, 헥사메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구성되는 알킬렌글리콜이나 폴리알킬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이나 다음 일반식(1)로 표현되는 분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지방족 2가 알콜인 1,2-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펜탄디올, 1,3-펜탄디올, 1,4-펜탄디올, 1,2-헥산디올, 1,3-헥산디올, 1,4-헥산디올, 1,5-헥산디올, 1,2-옥탄디올, 1,3-옥탄디올, 1,4-옥탄디올, 1,5-옥탄디올, 1,6-옥탄디올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이 사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식 (1)
Figure 112008001426151-pat00001
상기 일반식(1)에서 R1은 C2~C8의 알킬렌기이며, R2는 C2~C8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성분으로 ROOC-Ar-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구조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 테레프탈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디페닐술폰산디카르복실산, 디페닐메탄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알킬렌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는 ROOC(CH2)n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 n은 2 내지 14의 정수임)구조를 가지는 숙신산, 글루탈산, 말론산, 옥살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아젤라산, 노난디카르복실산과 이들의 알킬 또는 아릴에스테르유도체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글리콜류는 HO-(CH2)n-OH (n은 2 이상의 정수임)구조를 가지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이나 프로필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올, 헥사메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구성되는 알킬렌글리콜이나 폴리알킬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이나 상기 일반식(1)로 표현되는 분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지방족 2가 알콜인 1,2-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펜탄디올, 1,3-펜탄디올, 1,4-펜탄디올, 1,2-헥산디올, 1,3-헥산디올, 1,4-헥산디올, 1,5-헥산디올, 1,2-옥탄디올, 1,3-옥탄디올, 1,4-옥탄디올, 1,5-옥탄디올, 1,6-옥탄디올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이 사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방담코팅층은 바람직하게는 바인더로 아크릴계수지를 사용한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방담코팅제 100 중량부에 대해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불소수지 3 ~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방담코팅액에 의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사급 암모니움 염(Quaternatery ammonium salt), 알킬설페이트(Alkylsulfate), 알킬설포네이트(Alkylsulfonate), 알킬포스포네이트(Alkylphosphonate), 양성(Amphoteric) 계통이 1종 이상 포함된 것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불소 수지는 테트라플로로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방담코팅액은 고형분이 0.1 내지 1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의 제조방법은;
폴리유산 수지(Polylactide resin) 또는 폴리유산 수지 99.9 내지 90.0 중량부와 폴리유산 수지를 제외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0.1 내지 10.0 중량부로 이루어진 수지를 용융·압출 후 슬립(slip)형 다이를 통해 토출시켜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시트의 코팅된 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는 단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방담제 100 중량부, 불소수지로 테트라플로로에틸렌 3 중량부로 물에 혼합하여 방담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방담 코팅액을 상기 코로나 방전처리된 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의 도포 처리 후, 60 내지 100 ℃ 열풍건조공정에서 10 내지 30초간 도포된 코팅액을 건조시키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수한 방담기능을 갖는 트레이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방담시트로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방담시트는 그 제조 공정에 있어서, 기타 첨가물로는 2차 가공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가소제로 에테르 에스테르계 가소제나 옥시산 에스테르계, 글리콜계 가소제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솔비톨, 글리세린(글리세롤),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methoxypolyethylene glycol), 트리-n-부틸 시트레이 트(tri-n-butyl citrate) 등이 있다. 이들 혼합물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핵제로는 탈크(Talc)를 포함한 이산화티탄, 실리카, 카올린, 탄산칼슘,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제올라이트 등의 무기입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핵제에 사용된 무기입자는 유기 윤활제와 병행하여 사용되는데 유기 윤활제로는 지방족 탄화수소계 윤활제나 지방족 아미드계 윤활제 등이 사용된다.
또한, 필름으로 성형 시 용융장력의 저하시킬 목적으로 가교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수지에 첨가될 수 있는 가교제로는 유기 과산화물 화합물, 금속 착제, 에폭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이 사용된다.
이외에 용도에 따라 자외선 방지제, 항균/항취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산화방지제, 안료 등의 물질을 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는 폴리유산계 생분해성 방담시트로 내스크레치성을 우수하게 하는 방담코팅액이 도포되어 얻어지므로, 얻어진 시트가 충분한 유연성 및 투명성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보유하여 트레이 성형 후에도 우수한 방담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실용화에 적합한 생분해성 방담시트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방담시트에 대한 것으로, 사용되는 시트 기재는 폴리유산 또는 폴리유산과 폴리유산을 제외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시트이다. 폴리유산 단독으로 이루어진 시트의 경우 우수한 광학적 특성이 그대로 나타나는 형태이나, 폴리유산의 단점이 부서지기 쉬운(brittle) 특성에 따라 트레이 성형과정이나 트레이 유통과정에서 충격에 따른 깨짐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리유산의 내충격성을 강화하기 위해 폴리유산을 제외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적정량 혼합하여 시트를 압출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폴리유산을 제외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적용에 따른 시트의 내충격성향상 및 투명성 저하문제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적정 투입량으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10.0중량부 이상을 투입할 경우 시트의 투명성을 확보키 어려우며,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2.0중량부 이상을 투입할 경우 시트의 투명성을 확보키 어렵다. 반대로, 시트의 유연성을 적절히 부여키 위해서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2.0중량부 이상,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0.1중량부 이상이 투입되어야만 내충격성 향상이 이루어진다.
상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중에서 어느 것을 적용해도 무방하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유산과의 상용성이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에 비해 우수하므로 투명성측면에서 유리하며, 반면에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유연성측면에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에 비해 유리하다.
방담코팅층은 아크릴계수지, 계면활성제, 불소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담코팅층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방담 코팅층은 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며 아크릴계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한 계면활성제 100 중량부에 불소수지 3 ~ 5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크릴계수지는 아크릴을 포함한 각종 코폴리머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사급 암모니움 염(Quaternatery ammonium salt), 알킬설페이트(Alkylsulfate), 알킬설포네이트(Alkylsulfonate), 알킬포스포네이트(Alkylphosphonate), 양성(Amphoteric) 계통이 1종 이상 포함된 것으로 사용된다.
불소 수지는 시트의 내스크래치성 및 내용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폴리4불화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4불화 에틸렌, 퍼불화 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erfuo alkyl), 3불화 에틸렌, 6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Fluorinated ethylene copolymer propylene), 에틸렌, 4불화에틸렌, 공중합체 클로로 3불화에틸렌, 4불화에틸렌 공중합체 (Ethylenetetrafuoroethylene copolymer), 클로로 3불화에틸렌, 4불화에틸렌 공중합체 (Poly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폴리불화 비닐(Polyvinyli fluoride), 폴리불화 비닐리덴 (Polyvinylidene fluoride)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플로로에틸렌을 사용한다. 한편, 첨가되는 불소 수지의 양은 아크릴계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한 계면활성 제 100 중량부에대해 불소수지 3 ~ 5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만일 불소 수지의 첨가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시트의 투명성이 저하되고 방담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방담코팅은 코팅액 제조시 전체 코팅액 100중량%에 대하여 고형분의 함량이 0.1 내지 10.0 중량%가 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형분의 함량이 1.0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코팅층의 피막형성 및 대전방지 기능을 발현하기에 충분하지 못하고, 10.0 중량%를 초과하면, 필름의 투명성에 영향을 주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대전방지 코팅액에 사용되는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물을 주 매체로 하는 수성 코팅액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코팅액은 도포성의 향상, 투명성의 향상 등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정도의 적정량의 유기용매를 함유해도 좋다. 예컨데,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셀로솔브, t-부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코팅액 중에 다량의 유기용매를 함유시키면, 인라인 코팅법에 적용할 경우에 건조, 연신 및 열처리 공정에서 폭발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그 함유량은 코팅액 중에 10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중량%이하이다.
코팅공정은 시트 적어도 일면 또는 양면에 제조된 방담 코팅액을 도포하여 방담코팅층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방담 코팅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메이어바(meyer bar)방식, 그라비아 방식, 스프레이(Spray) 방식 등 이 사용되며, 도포하기 전에 시트 표면에 극성기를 도입하여, 코팅층과 시트와의 접착성이나 도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코로나(corona)방전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담 코팅액의 안정성, 젖음성(wetting) 및 도포 레벨링(leveling) 향상을 위하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셀로솔브, t-부틸셀로솔브 등의 에테르류,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등의 케톤류, 디메틸에탄올아민 등의 아민류를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시트의 두께는 통상 100 내지 2000㎛,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000㎛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트는 투명하면서도 표면의 수접촉각이 20°이하를 나타내고, 스크래치 발생도 현저히 개선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여기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필요한 측정 및 평가 방법은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행하였다.
(1) 유연성;
동일조건으로 제조된 가로 5cm, 세로 5cm 시트 시편의 10개의 시료를 90℃ 이상 10번 반복하여 접어서 깨짐이 0% 내지 10%일 경우에는 ○, 50% 이하일 경우에는 △, 50% 초과일 경우에는 ⅹ로 표시하였다.
(2) 투명성;
헤이즈 측정기(AUTOMATIC DIGITAL HAZEMETER, 일본 니폰덴소쿠사 제작)에 10cm X 10cm 크기로 샘플링한 시료 1매를 수직으로 놓고, 수직으로 놓여진 시료의 직각 방향으로 400 ~ 700㎚의 파장을 갖는 빛을 투과시켜 나타난 값을 측정하였다.
이때 헤이즈(Haze) 값은 하기 수학식 1로 산출되었다.
헤이즈(%) = (1- 산란광의 량/광의 총 투과량) × 100
(3) 수접촉각;
접촉각 측정기(Kyowa Interface Science Co., Ltd.; 모델명 Dropmaster 300)를 사용하여 이온 교환수를 증류하여 얻은 정제수로 액적법(sessile drop method)에 의하여 수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서로 다른 위치에서 5회 측정 후 평균값을 취하였다.
(4) 방담성;
동일조건으로 제조된 가로 7cm, 세로 7cm 시트 시편의 방담코팅면을 50℃온도의 중탕물로 채워진 컵위에 올린다. 이후 30분간 방치하면서 시트에 서리낌 정도로 평가하며, 시트에 물방울이 없으면 ◎, 일부 물방울이 맺히면 ○, 작은 물방울이 다수 보이면 △, 시트 전면에 서리가 끼면 ⅹ 으로 평가하였다.
(5) 내스크래치성;
직경 10㎛의 강철브러쉬로 시트를 문질러 스크래치 발생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불량 또는 양호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N.W LLC사의 PLA수지 100.0kg으로 용융압출 후 슬립형 다이를 통해 토출시켜 300㎛두께의 시트를 제조하고, 코팅될 시트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여 생분해성 시트를 제조하였다. 코로나 처리된 면에 방담코팅액으로 아크릴코폴리머바인더에 양성 계통의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방담제 (다케모또오일사, ELECUT-C-031-K) 100 중량부, 불소수지로 테트라플로로에틸렌(듀퐁사, SLA-NEW) 3 중량부로 물에 혼합하여 방담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고형분의 함량은 전체 방담 코팅액에 대하여 1.5중량%를 함유하도록 하였다. 상기 방담 코팅액을 그라비아 코팅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된 생분해성시트에 도포하였다. 도포 후, 약 80 ℃ 열풍건조공정에서 약 20초간 도포된 코팅액을 건조시켜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를 통해 유연성, 투명성, 수접촉각, 방담성, 내스크래치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시트를 진공성형 및 절단을 통해 트레이를 성형하였으며 성형된 트레이의 단면을 통해 투명성과 방담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방담코팅액으로 아크릴코폴리머바인더에 양성 계통의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방담제 (다케모또오일사, ELECUT-C-031-K) 100 중량부, 불소수지로 테트라플로로에틸렌(듀퐁사, SLA-NEW) 50 중량부로 물에 혼합하여 방담 코팅액을 제조한 것을 제 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를 통해 유연성, 투명성, 수접촉각, 방담성, 내스크래치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시트를 진공성형 및 절단을 통해 트레이를 성형하였으며 성형된 트레이의 단면을 통해 투명성과 방담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방담코팅액으로 아크릴코폴리머바인더에 양성 계통의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방담제 (다케모또오일사, ELECUT-C-031-K) 100 중량부, 불소수지로 테트라플로로에틸렌(듀퐁사, SLA-NEW) 50 중량부로 물에 혼합하여 방담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고형분의 함량은 전체 방담 코팅액에 대하여 2.5중량%를 함유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를 통해 유연성, 투명성, 수접촉각, 방담성, 내스크래치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시트를 진공성형 및 절단을 통해 트레이를 성형하였으며 성형된 트레이의 단면을 통해 투명성과 방담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N.W LLC사의 PLA수지 95kg,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PBSA) 5kg으로 용융압출 후 슬립형 다이를 통해 토출시켜 300㎛두께의 시트를 제조하고, 코팅될 시트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여 생분해성 시트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를 통해 유연성, 투명성, 수접촉각, 방담성, 내스크래치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시트를 진공성형 및 절단을 통해 트레이를 성형하였으며 성형된 트레이의 단면을 통해 투명성과 방담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N.W LLC사의 PLA수지 99kg,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1kg으로 용융압출 후 슬립형 다이를 통해 토출시켜 300㎛두께의 시트를 제조하고, 코팅될 시트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여 생분해성 시트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를 통해 유연성, 투명성, 수접촉각, 방담성, 내스크래치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시트를 진공성형 및 절단을 통해 트레이를 성형하였으며 성형된 트레이의 단면을 통해 투명성과 방담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방담 코팅액의 제조시 불소 수지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를 통해 유연성, 투명성, 수접촉각, 방담성, 내스크래치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시트를 진공성형 및 절단을 통해 트레이를 성형하였으며 성형된 트레이의 단면을 통해 투명성과 방담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방담 코팅액으로 아크릴코폴리머바인더에 양성 계통의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방담제 (다케모또오일사, ELECUT-C-031-K) 100 중량부, 불소수지로 테트라플로로에틸렌(듀퐁사, SLA-NEW) 100 중량부로 물에 혼합하여 방담 코팅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를 통해 유연성, 투명성, 수접촉각, 방담성, 내스크래치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시트를 진공성형 및 절단을 통해 트레이를 성형하였으며 성형된 트레이의 단면을 통해 투명성과 방담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N.W LLC사의 PLA수지 85kg,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PBSA) 15kg으로 용융압출 후 슬립형 다이를 통해 토출시켜 300㎛두께의 시트를 제조하고, 코팅될 시트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여 생분해성 시트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를 통해 유연성, 투명성, 수접촉각, 방담성, 내스크래치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시트를 진공성형 및 절단을 통해 트레이를 성형하였으며 성형된 트레이의 단면을 통해 투명성과 방담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N.W LLC사의 PLA수지 95kg,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5kg으로 용융압출 후 슬립형 다이를 통해 토출시켜 300㎛두께의 시트를 제조하고, 코팅될 시트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여 생분해성 시트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를 통해 유연성, 투명성, 수접촉각, 방담성, 내스크래치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시트를 진공성형 및 절단을 통해 트레이를 성형하였으며 성형된 트레이의 단면을 통해 투명성과 방담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유연성
HAZE (%) 1.2 2.3 3.9 7.1 6.2 1.0 5.9 31.0 49.1
트레이HAZE (%) 1.2 2.1 1.0 7.2 6.1 1.1 5.9 29.8 49.9
수접촉각 (°) 10 16 12 9 10 10 29 10 9
방담성
트레이방담성
내스크래치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불량 불량

Claims (11)

  1. 시트 기재로는 폴리유산(Polylactide resin) 또는 폴리유산 99.9 내지 90.0 중량부와 폴리유산을 제외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0.1 내지 10.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기재로 성형된 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바인더로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방담코팅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소수지 3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방담코팅액으로 0.01 내지 1g/㎡의 방담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기재로는 폴리유산 99.9 내지 90.0 중량부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2.0 내지 10.0중량부 또는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0.1 내지 2.0중량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은 L-락트산, D-락트산 또는 L,D-락트산으로 구성되며, 수평균분자량이 10,000 이상인 것으로 이들 폴리유산이 단독 혹은 복합으로 사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ROOC-(CH2)n-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 n은 2 내지 14의 정수임)구조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글리콜류는 HO-(CH2)n-OH (n은 2 이상의 정수임)구조의 디올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이나 다음 일반식(1)로 표현되는 구조의 지방족 2가 알콜류로 이루어지는 군이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
    일반식 (1)
    Figure 112008001426151-pat00002
    상기 일반식(1)에서 R1은 C2~C8의 알킬렌기이며, R2는 C2~C8의 알킬기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성분으로 ROOC-Ar-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구조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지방족 성분으로 ROOC-(CH2)n-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 n은 2 내지 14의 정수임)구조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글리콜류는 HO-(CH2)n-OH (n은 2 이상의 정수임)구조의 디올 또는 폴 리알킬렌글리콜이나 다음 일반식(1)로 표현되는 구조의 지방족 2가 알콜류로 이루어지는 군이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
    일반식 (1)
    Figure 112008001426151-pat00003
    상기 일반식(1)에서 R1은 C2~C8의 알킬렌기이며, R2는 C2~C8의 알킬기임.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수지는 테트라플로로에틸렌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담코팅액은 고형분이 0.1 내지 1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
  10. 삭제
  11. 청구항 1의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로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방담 트레이.
KR1020080002069A 2008-01-08 2008-01-08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33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069A KR100933853B1 (ko) 2008-01-08 2008-01-08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069A KR100933853B1 (ko) 2008-01-08 2008-01-08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233A KR20090076233A (ko) 2009-07-13
KR100933853B1 true KR100933853B1 (ko) 2009-12-24

Family

ID=4133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069A KR100933853B1 (ko) 2008-01-08 2008-01-08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8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3265A (ko) 2016-06-21 2017-12-29 (주)켐코정밀 자동차 내외장재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의 내스크래치성능 개선을 위한 탈크 마스터배치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US11273627B2 (en) 2017-01-11 2022-03-15 Bostik, Inc. Extrudable antifog copolyester heat seal resi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377A (ko) * 1999-05-21 2001-06-15 니시오카 요시아키 모노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91972A (ko) * 2001-06-01 2002-12-11 (주) 개마텍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코팅필름
KR20060035384A (ko) * 2004-10-22 2006-04-26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유연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377A (ko) * 1999-05-21 2001-06-15 니시오카 요시아키 모노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91972A (ko) * 2001-06-01 2002-12-11 (주) 개마텍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코팅필름
KR20060035384A (ko) * 2004-10-22 2006-04-26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유연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3265A (ko) 2016-06-21 2017-12-29 (주)켐코정밀 자동차 내외장재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의 내스크래치성능 개선을 위한 탈크 마스터배치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US11273627B2 (en) 2017-01-11 2022-03-15 Bostik, Inc. Extrudable antifog copolyester heat seal resins
US11806971B2 (en) 2017-01-11 2023-11-07 Bostik, Inc. Extrudable antifog copolyester heat seal res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233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694B1 (ko)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대전방지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DE60207611T2 (de) Thermoplastharzzusammensetzung
US9243125B2 (en) Release polycarbonate compositions
KR101093389B1 (ko) 방담성과 이형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TWI453242B (zh) 含有聚碳酸酯及新穎uv吸收劑之組成物
KR102129429B1 (ko)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압출 등급
US20070128459A1 (en)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poly(alpha-hydroxy acid) films
KR101152097B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필름 또는 시트
US9390744B2 (en) Polycarbonate composition to produce optical quality products with high quality and good processability
KR100933853B1 (ko)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방담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4896736B2 (ja) 防曇性熱可塑性樹脂物品の製造方法及びそれで製造された物品
KR100977362B1 (ko) 내열성이 우수한 방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77327B1 (ko)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방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09776B1 (ko) 열수축성 필름용 생분해성 시트
KR100952543B1 (ko) 슬립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
JPWO2017022637A1 (ja) 制電性樹脂組成物
KR100961615B1 (ko)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H1086307A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塗工フィルム
KR100551742B1 (ko) 신율과 이형성이 향상된 투명성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9263416A (ja) 透明性に優れた生分解性防曇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66367A (ko) 포장재용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6916729B2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130919B1 (ko) 우수한 내열성과 투명성을 갖는 폴리유산계 다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23148766A (ja) ポリ乳酸系フィルム、食品包装用フィルム、青果物包装用フィルム
KR20240029399A (ko) 재생칩을 사용하여 제조된 재생 pet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