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396B1 - 써모졸 가공에 의한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써모졸 가공에 의한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396B1
KR100932396B1 KR1020090061019A KR20090061019A KR100932396B1 KR 100932396 B1 KR100932396 B1 KR 100932396B1 KR 1020090061019 A KR1020090061019 A KR 1020090061019A KR 20090061019 A KR20090061019 A KR 20090061019A KR 100932396 B1 KR100932396 B1 KR 100932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ink
weight
thermosol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환
우견윤
김춘섭
Original Assignee
(주)티피엠켐
(주)세원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피엠켐, (주)세원미디어 filed Critical (주)티피엠켐
Priority to KR1020090061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45Nitriles
    • D06M13/348Nitriles unsaturated, e.g. acrylonitri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직 후 후가공을 하지 않은 젖은 상태의 생지를 열실린더를 통과시켜 Pre-dry한 다음, 써머졸 가공을 하여 잉크 번짐을 방지하고, 백색도를 향상시킨 다음, 내구성이 향상된 잉크흡수층의 코팅액을 도포하여 잉크젯 출력용 소재를 제조 완성한다.
써모졸, 잉크, 원단

Description

써모졸 가공에 의한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abric for ink-jet printing}
본 발명은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잉크젯 출력용 소재의 폴리에스테르 원단 제조방법은 먼저 싸이징(sizing) 가공한 원사로 제직하여 생지를 얻고, 그 생지를 호발, 정련, 표백과 같은 전처리 과정을 각각 수행한 후 염색작업을 하게 된다. 그 다음에는 텐터가공 및 코팅과 같은 가공 처리를 함으로써 잉크젯 출력용 소재를 제조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원단 제조 방법은, 싸이징, 제직, 호발, 정련, 표백, 염색, 텐터, 코팅의 7공정을 거침으로서, 원단의 제조에 시간이 오래걸릴 뿐 아니라 공정수가 많아서 불량율도 높아지고, 폐수가 다량 발생하게 되며, 생산원가 또한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싸이징을 수행하는 경우 실사원단의 경사는 싸이징가공에 의해서 호제가 입혀지며 제직 후 호발 및 정련과정을 거치지만 호발이 완전하지 않거나 잘못되었을 경우에는 경사에 점성이 있는 물질(아크릴 풀)이 일부 잔류하게 된다. 그러면 이후 염색 작업시에 점성이 있는 물질이 잔류된 경사부분에 는 더 많은 염료가 염착되어서 그 부분이 진하게 보여지게 되는 염색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써모졸(Thermosol) 가공은 건열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폴리 에스테르 섬유에 분산 염료를 염색하는 방법으로, 출원번호 10-1993-0027960호와 공개특허 10-2007-0034508호에서 잉크젯을 사용하여 원단에 도포된 잉크를 원단에 고착되도록 하는 염색방법의 한 예로서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원단에 잉크를 도포한 후 써모졸을 이용하여 고착하는 방법은 원단에 잉크가 도포되는 순간에 잉크의 번짐이 발생되므로, 인쇄 후 품질이 좋지 않으며, 이와 같은 번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잉크를 별도로 제조하여야 할 뿐 아니라 써모졸 가공과 같은 고착공정이 필요하므로 일반적인 잉크젯프린터의 잉크로 출력을 할 수 없어서 일반인이 소규모로 출력하는 용도로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인쇄 후 염료의 고착에 사용되던 써머졸 가공을 인쇄전의 원단 전처리과정에 적용하여,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에서 기존 제품에 비해 내구성, 내마모성을 월등히 향상시키고, 잉크 번짐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며, 생산단가를 낮추며 제조공정에서 나오는 공정불량의 원인을 단일공정으로 축소하여 원단의 품질을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싸이징 가공하지 않은 경사와 교락가공된 위사로 원단을 제직하는 공정과; 상기한 원단을 써모졸 방식으로 가공하여 물과 잉크번짐방지제, 증백제, 청색염료로 구성된 잉크번짐방지용 용액를 코팅하는 공정과; 용제와 폴리우레탄, 아크릴릭코폴리머, 실리카, 경화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잉크흡수제를 일면에 코팅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원단은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소수성을 띄며, 잉크번짐방지용 용액은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잉크번짐방지제 0.01~5중량부, 증백제0.03~5중량부, 청색염료 0.03~5중량부로 구성되고, 잉크흡수제는 잉크흡수제 총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우레탄수지 5~15중량%, 아크릴릭 코폴리머 20~40중량%, 실리카 5~15중량%, 경화제 0.1~5중량%, 용제 40~60중량%, 계면활성제1~20중량%, 형광증백제 0.1~5중량% 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써모졸 가공 전에 원단을 사전 건조(Pre-dry)한다.
본 발명은 잉크젯 출력용 원단을 제조함에 있어 제직 후 표백, 정련, 염색과 같은 후가공을 하지 않으며, 생지의 젖은 상태의 원단에 상기한 표백,정련, 염색을 한 번의 공정으로 할 수 있어서 제조시간과 비용이 대폭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써모졸 가공시에 증백제, 잉크번짐 방지제, 청색염료를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원단의 오염발생이 없고, 소수성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친수성 잉크번짐 방지제를 처리함으로서 1차적 잉크번짐을 방지하여 잉크흡수층의 잉크흡수제인 실리카의 함량이 적게 들어가도 잉크번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잉크흡수층의 도포량이 현저히 줄어드는 현상이 있다. 이것은 친수성으로 바뀌면서 친유성 물질인 잉크흡수층의 코팅액이 원단으로 깊숙이 스며들지 않고 원단 표면에 코팅되기 때문에 코팅량의 감소로 인하여 원가절감의 큰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교락가공한 위사를 사용하므로, 인쇄 후 잉크의 원단 고착율이 향상되어, 인쇄된 원단의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방법은, 경사와 교락가공된 위사로 원단을 제직하는 공정과; 상기한 원단을 물과 잉크번짐방지제, 증백제, 청색염료로 구성된 잉크번짐방지용 용액을 사용하여 써모졸 방식으로 가공하는 공정과; 용제와 폴리우레탄, 아크릴릭코폴리머, 실리카, 경화제, 오일을 포함하는 잉크흡수제를 코팅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경사는 싸이징을 하지 않고 정경을 하는데 정경 시에는 실에 윤활제를 입혀주며, 이 윤활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 정제 광유가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을 사용하면 제직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월등히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위사는 교락 가공된 것을 사용한다. 교락가공은 10~100개/m 정도 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80개/m정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교락가공이 10/m이하이거나 교락가공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직 후 원단표면이 매끈해서 잉크번짐방지용 용액의 도포량이 극소로 되기 때문에 잉크 번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쇄 후 잉크에 대한 내구성, 내마모성이 현저히 저하되게 된다. 그리고, 100개/m이상일 경우에는 원단의 표면이 지나치게 거칠어져서 인쇄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제직 후 젖은 상태인 생지를 열실린더를 통과시키거나 150~220℃ 열풍으로 건조 후 써모졸 가공을 하거나, 젖은 상태의 생지를 그대로 써모졸 가공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젖은 상태인 생지를 150~220℃ 열실린더를 통과시킨 후 이것을 써모졸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사전 건조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원단에 포함된 물기를 제거하여 써모졸 가공 시 원단에 잉크번짐방지용 용액이 골고 루 스며들도록 하여 부분적인 오염을 줄이고, 전체적으로 품질이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사전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원단에 물기가 그대로 잔존하면서 잉크번짐방지용 용액이 물기와 함께 섞이면서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게 되어 인쇄시에 부분적인 번짐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잉크젯 출력용 원단은 75~600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직된 원단에 잉크번짐방지용 용액을 써모졸 가공을 하여 코팅하는데, 상기한 잉크번짐방지용 용액은 물과 증백제, 잉크번짐방지제, 청색염료를 차례대로 첨가하여 구성한다.
상기에서 증백제는 백색을 높이기 위한 염료로서 종이나 섬유를 더욱 희게 보이도록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3~5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번짐 방지제는 양이온성의 고분자물질로서 친수성을 띄는 물질을 사용한다. 잉크번짐 방지제는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1~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증백제 단독으로는 원하는 색상을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청색계열의 청색염료를 사용하여 원하는 색상을 구현한다. 청색염료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3~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잉크번짐방지용 용액의 조성예를 살펴보면, 물 100g에 증백제 3g, 잉크번짐방지제 3g 청색염료 2g를 사용하여 혼합한다.
한편, 상기한 써모졸 가공 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품믹서(10)와 패딩(Padding조)(20)와 맹글롤러(30) 및 텐터(40)로 구성되어 교반기를 구비한 약품믹서(10)에서 교반된 잉크번짐방지용 용액이 공급라인을 통하여 패딩조(20)로 공급되고, 패딩조(20)의 잉크번짐방지용 용액에 생지 원단(50)을 침지하여 원단에 잉크번짐방지용 용액이 코팅되도록 한 후, 원단을 맹글롤러(30)를 거쳐서 탈수하고 텐터(40)를 거쳐서 건조한다.
상기에서 맹글 롤러의 압력은 0.5~5kg.f/㎠의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이것은 원단의 두께나 종류에 의해서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텐터의 온도는 150~220℃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150℃이하로 하게 되면 염착이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염색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220℃가 넘게 되면 원단 수축이 많이 이루지고 광택이나 원단 밀도가 높아져 잉크흡수층을 코팅 시에 원하는 만큼의 도포가 되지 않아 잉크번짐이나 내구성,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한편, 상기한 써모졸 가공에서 잉크번짐방지용 용액은 회수장치에 의해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폐수를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써모졸 가공을 거친 원단의 표면에 잉크흡수제를 1회 혹은 2회 코팅한다.
상기한 잉크흡수제는 폴리우레탄수지, 아크릴릭 코폴리머, 메탄올(용제), 실리카, 경화제, 오일류가 포함된 것으로, 원단 상에 1회 또는 2회 코팅하여 잉크젯 출력용 원단을 제조하게 된다.
여기서 폴리우레탄수지는 고형분 20~50%, 점도 50,000~200,000cps의 친수성이 강한 에테르계 폴리올을 사용하고, 아크릴릭 코폴리머는 EAM(에틸아크릴레이트모노머)와 MMA(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BAM(부틸아크릴레이트모노머)의 co-polymer이며 고형분은 20~40%, 점도는 3,000~20,000cps인 것을 사용한다.
실리카는 침강성 실리카를 사용하며 입자크기는 2~10㎛의 것을 사용하고 흡유량은 200~400㎖/g의 것을 사용한다.
경화제로는 멜라민계,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금속촉매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오일류에는 미네랄오일, 지방산오일, 광유, 파라핀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오일류는 2회 도포시 1회에는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는데, 이는 코팅 표면으로 오일이 마이그레이션(Migration)되기 때문에 발색성을 향상시키고, 잉크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탄올은 점도 조절 및 건조속도 조절용 용제로 사용된다.
이러한 잉크흡수층의 구체적인 제조 예는 폴리우레탄수지 10중량%, 아크릴릭 코폴리머 29중량%, 실리카 10중량%, 경화제 1중량%, 오일류 2중량%, 용제 48중량%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사전 건조 및 텐터를 통과하는 시간은 10초에서 5분정도 소요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출력용 원단(실시예)과 교락 가공하지 않은 위사를 사용하는 종래의 잉크젯 출력용 원단(비교예)에 잉크젯프린터로 칼라인쇄하여, 잉크번짐을 비교하고, 양 원단을 동일한 횟수로 마찰시켜 잉크의 탈락정도를 비교하였다.
도 2에서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원단(실시예)는 잉크번짐이 발생하지 않는데 비하여 종래의 원단(비교예)는 잉크번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도 3의 보라색 가운데 희게 잉크가 탈락된 부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가 실시예에 비하여 잉크의 탈락정도가 심하여, 본원의 원단이 종래의 원단에 비하여 내구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써모졸 가공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교락가공한 위사를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원단과 무교락 위사를 사용한 종래의 원단의 잉크번짐정도를 비교한 사진.
도 3은 교락가공한 위사를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원단과 무교락 위사를 사용한 종래의 원단의 마찰에 의한 잉크 탈락 정도를 비교한 사진.

Claims (3)

  1.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싸이징 가공하지 않은 경사와 교락가공된 위사로 원단을 제직하는 공정과;
    상기한 원단에 물과 잉크번짐방지제, 증백제, 청색염료로 구성된 친수성 잉크번짐방지용 용액을 써모졸 방식으로 가공하는 공정과;
    용제와 폴리우레탄, 아크릴릭코폴리머, 실리카, 경화제, 오일을 포함하는 잉크흡수제를 상기한 잉크번짐방지용 용액이 처리된 표면에 코팅하는 공정;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졸 가공에 의한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잉크번짐방지용 용액은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잉크번짐방지제 0.01~5중량부, 증백제0.03~5중량부, 청색염료 0.03~5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졸 가공에 의한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잉크흡수제는 잉크흡수제 총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우레탄수지 5~15중량%, 아크릴릭 코폴리머 20~40중량%, 실리카 5~15중량%, 경화제 0.1~5중량%, 용제 40~60중량%, 오일 1~10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졸 가공에 의한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방법.
KR1020090061019A 2009-07-06 2009-07-06 써모졸 가공에 의한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방법 KR100932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019A KR100932396B1 (ko) 2009-07-06 2009-07-06 써모졸 가공에 의한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019A KR100932396B1 (ko) 2009-07-06 2009-07-06 써모졸 가공에 의한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396B1 true KR100932396B1 (ko) 2009-12-17

Family

ID=41684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019A KR100932396B1 (ko) 2009-07-06 2009-07-06 써모졸 가공에 의한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3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616B1 (ko) * 2010-07-09 2011-03-09 (주)에스엠 수세 가공 및 써모졸 가공에 의한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6835706A (zh) * 2017-01-16 2017-06-13 广东德美高新材料有限公司 一种涤纶织物喷墨印花十字绣的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934B1 (ko) 2001-02-24 2004-01-24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카티온화제를 함유한 잉크젯 날염용 면섬유 전처리제 및그 처리방법
KR100499931B1 (ko) 2002-08-14 2005-07-05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잉크젯 날염용 실크섬유의 전처리제 및 그 처리방법
KR100794908B1 (ko) 2006-08-12 2008-01-14 이경환 잉크젯 출력용 원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934B1 (ko) 2001-02-24 2004-01-24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카티온화제를 함유한 잉크젯 날염용 면섬유 전처리제 및그 처리방법
KR100499931B1 (ko) 2002-08-14 2005-07-05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잉크젯 날염용 실크섬유의 전처리제 및 그 처리방법
KR100794908B1 (ko) 2006-08-12 2008-01-14 이경환 잉크젯 출력용 원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616B1 (ko) * 2010-07-09 2011-03-09 (주)에스엠 수세 가공 및 써모졸 가공에 의한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6835706A (zh) * 2017-01-16 2017-06-13 广东德美高新材料有限公司 一种涤纶织物喷墨印花十字绣的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9575B1 (ko) 젖은 직물 웹의 전사 무늬 날염방법과 이 방법에 사용하는 무늬 전사체 웹
CN104005239B (zh) 牛仔混纺经纱的涂料靛蓝立体套色固色免退浆浆染工艺
CN107503197A (zh) 一种白墨预处理液及其制备方法、直喷数码印花工艺
JP4880008B2 (ja) 天然皮革用乾式転写紙及び転写捺染法
CN106835747A (zh) 一种颜色可控的无水数码染色纱及其生产方法
KR100932396B1 (ko) 써모졸 가공에 의한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방법
JP2018003229A (ja) 編み物の染色仕上げ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所定の色を有する生地、アッパー生地
KR101020616B1 (ko) 수세 가공 및 써모졸 가공에 의한 잉크젯 출력용 원단의 제조 장치 및 방법
JP2018020519A (ja) 印刷済媒体製造方法、印刷済媒体製造装置およびインク
KR101179066B1 (ko) 프린터 인쇄 및 붓글씨 쓰기가 가능한 기록용 원단 제조방법 및 그 기록용 원단
CN106835418A (zh) 一种喷墨染色与浆纱连续进行的牛仔纱线及其生产方法
CN108625206B (zh) 布料的印花工艺
AU2016383517B9 (en) Process for obtaining a cloth with high performances for digital printing and relative cloth
JP2010031442A (ja) 繊維処理剤および染色繊維の製造方法
TW200301330A (en) Method for textile printing, pre-treating fluid for textile printing and fiber sheet for textile printing
CN114945721A (zh) 在彩色合成织物上印刷的方法
KR100992374B1 (ko) 전사인쇄용 재생 가능한 현수막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253038B1 (ko) 열승화 인쇄용의 치밀 조직 현수막 원단 제조방법과 그 장치
JP6644048B2 (ja) 捺染印刷用転写紙および捺染方法
JP2009215686A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の後処理液および布帛の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
EP3377693B1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a cellulosic substrate and method for colouring the cellulosic substrate
CN104452339A (zh) 一种颜料喷墨印花织物的生产方法
CN109554871A (zh) 一种全棉高密度面料的盐缩起泡工艺
JP6085715B2 (ja) 自動車用の捺染繊維を製造する方法
KR101937967B1 (ko) 잉크젯 출력용 원단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