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176B1 -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 - Google Patents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176B1
KR100932176B1 KR1020080069807A KR20080069807A KR100932176B1 KR 100932176 B1 KR100932176 B1 KR 100932176B1 KR 1020080069807 A KR1020080069807 A KR 1020080069807A KR 20080069807 A KR20080069807 A KR 20080069807A KR 100932176 B1 KR100932176 B1 KR 100932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photoluminescent
adhesive layer
pest
pe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순
Original Assignee
박우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순 filed Critical 박우순
Priority to KR102008006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색을 개선하여 유인색 본래의 색상을 유지하며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사용되도록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해충이 포획되는 표면을 갖는 평판; 상기 표면에 소정의 면적으로 도포되어 상기 해충이 점착되도록 구비되되, 축광 물질이 혼합되는 점착층; 그리고 상기 점착층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는 보호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을 제공한다.
해충 트랩, 축광 물질

Description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noctilucence trap for capturing harmful insects}
본 발명은 해충의 포획에 사용되는 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사용되어 효율적인 해충포획용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에게 유해한 해충을 포획 또는 박멸하는 여러 가지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만, 해충의 포획 성능 및 기록이 우수함과 동시에 저비용으로 제조가 간단한 해충트랩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해충은 인간과의 이해관계에서 본 호칭이며, 인간은 풍요로운 생활과 번영을 위해서 지구상의 모든 물질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곤충과 많은 접촉이 생기므로 곤충으로 인한 피해인 충해(蟲害)는 필연적이다.
또한, 이러한 충해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직접적인 해는 흡혈성 곤충(吸血性昆蟲:벼룩, 이, 빈대, 모기 등)에 의한 것, 자교성 곤충(刺咬性昆蟲:벌, 독나방 등), 유독분비성 곤충(개미반날개 등) 등이 인체에 해가 되며, 이들 해충은 독충(毒蟲)이라고 불리는 일이 있다. 더욱이, 간접적인 해는 유용식물의 충해(나비나 나방의 유충, 진딧물 등), 생산품, 가공품의 충해(바퀴, 좀 등), 가축 등 유용동물의 충해(모기, 파리, 이 등), 또 이들에 부수하여 동시에 또 는 가끔 일어나는 가축의 전염병을 전파 또는 매개하는 해충(파리, 바퀴벌레 등), 주거의 재(材)의 해충(흰개미, 나무좀 등) 등이 있다.
더욱이, 인간은 경작, 조림, 생산물의 집적, 공업화, 도시화의 과정에서 특별한 해충이 특히 많아지는 일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해충을 포획 또는 박멸하는 것은 중요하다.
한편, 종래의 해충트랩은 일정한 형상을 갖는 평판과 그의 양측 표면에 유인되는 해충을 점착시켜 포획하도록 도포되는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을 제조 시부터 사용 전까지 보호하는 보호지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해충트랩은 해충을 유인하기 위해서 주로 황색, 청색 등의 유인색을 갖는 색소층을 상기 평판에 도포하여 구비되는데, 이러한 유인색은 주간에는 사용가능하나 야간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색소층은 그의 상면에 점착층이 도포되므로 색소층의 색상이 변질되어 본래의 색상을 나타낼 수 없었다. 더욱이, 상기 점착액을 투명층으로 도포하기도 하였지만, 이 또한 상기 점착층이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특성상 빛의 투과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색소층의 유인색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해충트랩의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색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간 및 야간에도 사용하여 효율적이며 해충을 유인하는 본래의 유인색이 유지되는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해충이 포획되는 표면을 가지며, 축광 안료로 착색되는 색소층이 형성된 평판; 상기 표면에 소정의 면적으로 도포되어 상기 해충이 점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색소층과 같은 색상을 갖도록 축광 물질이 혼합되는 점착층; 그리고 상기 점착층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는 보호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축광 물질은 알칼리토금속의 황화물들과 황화아연에 중금속이 함유된 것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평판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 함유되고 압축되는 면(綿)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평판은 상기 축광 물질의 빛을 반사시키도록 반사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의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은 점착층에 축광 물질이 포함되므로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해충이 포획될 수 있어 일회성의 해충포획용 트랩이 효율적 으로 사용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은 점착층에 축광 물질이 포함되어 해충의 종류에 따른 유인색이 본래의 색상을 유지하므로 해충이 더욱 효과적으로 유인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100)은 평판(110), 점착층(120) 그리고 보호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평판(110)는 사각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제조상의 편이성 등을 고려하여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의 형상은 특별한 제약이 따르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평판(110)은 두꺼운 종이, 플라스틱, 면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평판(110)의 재질은 조립 또는 취급시 탄력성을 갖고, 비, 눈, 바람 등의 기후조건에도 사용가능하도록 방수성과 기계적인 강도를 가지며, 일반 쓰레기로 폐기 가능하고, 특히, 후술하는 점착액이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되는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에틸렌(ethylene), 폴리스티롤(polystyrol) 그리고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종이, 면 등의 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판(110)은 그의 양 표면이 해충을 포획하는데 이용되어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상기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100)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평판(110)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홀(112)이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걸림홀(112)은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와 높이에 설치가능하도록 끈, 철사, 고리 등으로 형성된 걸림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공간이 된다. 그리고, 상기 평판(11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점착액이 도포되지 않는 부분이 구비되어 사용 후 폐기 시에 사용자가 운반할 수 있는 손잡이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평판(110)에는 후술하는 점착층(120)에 의해 포획되는 상기 해충의 종류, 크기, 수를 계측 가능하도록 소정의 크기를 갖는 격자모양의 라인(1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격자는 그의 한 변이 0.5cm ~ 2cm인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형상의 모양도 가능하므로 그 크기에는 특별한 제약이 따르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라인(111)의 형성방법에도 특별한 제약이 없고 상기 평판(110)의 상면에 인쇄 등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후술하는 점착층(120)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라인(111)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평판(110)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 함유되고 압축되는 면(綿)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평판(110)은 상기 면 등의 친환경 재질을 사용하여 상기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100)이 사용 후 매립되어 자연 분해되는 자연 폐기 또는 연소 시 유독가스가 없으므로 연소시키는 연소 폐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친환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은 구김이 없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도록 압축되어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택숀면 등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상기 면 재질의 평판이 방수성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점착층이 도포될 때 상기 면 재질의 평판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100)이 비, 눈 등의 기후환경에서도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평판(110)의 표면에는 소정의 면적으로 도포되는 점착층(120)이 구비되는데, 상기 점착층(120)은 상기 해충이 점착되도록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축광 물질(121)이 혼합된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축광 물질(121)은 태양광(太陽光)이나 전등광을 조사하면 어두운 곳에서도 장시간 발광하는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서, 물질에 빛을 쪼이면 그 물질이 빛을 흡수하고, 빛을 제거 했을 때 빛을 흡수한 물질이 천천히 다시 빛을 방출하는 야광 물질과 물체에 빛을 쬔 후 빛을 제거하여도 물질 내의 전자가 들뜬상태에서 바로 바닥상태로 가지 않고, 중간에 준안정상태를 거쳐 에너지를 잃음으로써, 장시간 빛을 내는 인광을 발하는 인광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상기 축광 물질(121)은 알칼리토금속의 황화물들과 황화아연에 중금속이 함유된 것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됨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 황화아연(ZnS)+구리(Cu)+산화규소칼륨(K2SiO2)의 혼합물(녹색 발광), 황화칼슘(CaS)+비스 코스(Bi)의 혼합물(자청색 발광), 황화스트론튬칼슘(CaSrS)+비스코스(Bi)의 혼합물(청색발광), 황화아연카드늄(ZnCdS)+구리(Cu)의 혼합물(황색 발광) 중에서 상기 해충의 종류에 따라 택일하여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광 물질(121)은 상기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100)이 야간에 사용되는 점을 감안하여 10~15시간의 잔광시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축광 물질(121)은 평균 입도가 크면 발광 세기가 강하고 잔광 시간이 길기 때문에 상기 점착제와의 혼합에서 적은 무게 조성비를 갖고, 평균 입도가 작으면 발광 세기가 약하고 잔광 시간이 짧기 때문에 상기 점착제와의 혼합에서 큰 무게 조성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점착층(120)을 이루는 점착제는 아크릴(acryl)계, 고무(rubber)계 및 실리콘(silicon)계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투명 점착제이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40~45%, 에멀젼 수지 45~50%, 웨팅(wetting)제 5~6%, 레벨링(leveling)제 4~8% 중량을 갖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점착제에 상기 축광 물질(121)을 혼합한 점착층(120)이 상기 평판(110)에 도포되는데, 상기 점착층(120)은 상기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충분한 색상을 가지면서 상기 해충을 확실하게 포착할 수 있도록 적절히 혼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축광 물질(121)은 상기 평균 입도와 잔광 시간 등을 감안하여 상기 점착제와의 혼합에서 무게 조성비가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층(120)은 비, 바람, 눈 등의 기후 조건에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내수성과 건조하면 접착력이 회복되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획 되는 해충의 계측을 위한 상기 격자모양의 라인(111)을 차폐하지 않도록 투명 점착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점착층(120)은 상기 축광 물질(121)의 함량에 따라 투명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상기 점착층(120)의 투명도 선호에 따라 상기 축광 물질(121)의 함량이 선택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점착층(120)의 두께는 특별한 제한 없이 포획되는 상기 해충의 종류, 수, 사용기간, 사용장소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더욱이, 상기 점착제와 상기 축광 물질(121)을 혼합하는 방법, 장치와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는 방법, 장치에도 특별한 제한 없이 통상 사용되는 방법, 장치를 사용한다.
한편, 상기 점착층(120)의 상면에는 보호지(130)가 구비되는데, 상기 보호지(130)는 상기 점착층(120)의 제조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기 전까지 상기 점착층(120)의 손실과 점착력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보호지(130)는 주로 종이 등으로 제조되어 폐기가 용이하고,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비된다. 더욱이, 상기 점착층(120)에 접하는 상기 보호지(130)의 면은 코팅처리되고, 상기 보호지(130)는 상기 평판(110)의 상면에 상기 점착층(120)이 도포되지 않은 부분까지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점착층(120)으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평판(110)은 상기 축광 물질(121)의 빛을 반사시키도록 반사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축광 물질(121)은 주간에 축적된 빛을 야간에 발산하므로 상기 평판(110)이 반사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야간에 보다 광범위한 범위에 상기 축광 물질(121)의 빛이 도달되므로 상기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100)은 같 은 공간 범위에서 보다 적은 개수를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체는 상기 평판의 상면에 알루미늄 박막 등을 형성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체의 구성을 위해서 상기 점착층(120)은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격자모양의 라인(111)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100)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상기 평판(110)에 상기 축광 물질(121)과 같은 색상을 갖는 색소층(310)이 착색되어 상기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100)이 주간에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100)은 상기 점착층(120)이 도포되기 전에 상기 축광 물질(121)과 같은 색상을 갖는 색소층(3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점착층(120)은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색소층(310)의 구성은 상기 격자모양의 라인(111)과 함께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색소층(310)은 상기 평판(110)의 재질에 따라 색소액이 상기 평판(110)에 함유되거나 착색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색소층(310)은 상기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상기 축광 물 질(121)의 색상에 따라 황색, 청색 그리고 분홍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이 사용되는데, 상기 황색, 청색 또는 분홍색은 먼셀(Albert Henry Munsell) 표색치를 이용한 반사색으로 황색은 색상: 4Y, 명도: 7, 채도: 14이고, 청색은 색상: 3.0PB, 명도: 5.4, 채도: 10.6이며, 분홍색은 색상: 5R, 명도: 6.5, 채도: 8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색소층(310)은 상기 축광 물질(121)과 같은 색상을 갖는 축광 안료로 착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평판(110)은 종이, 면(綿) 등의 착색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평판(110)의 재질 중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에 상기 축광 물질(121)이 함유되는 것도 가능하다.
, 상기 색소층(310)은 상기 점착층(120)의 상기 축광 물질(121)과 같은 색으로 이루어지면서 주간 및 야간에도 사용될 수 있는 축광 안료가 착색됨으로써 상기 축광 물질(121)과 함께 야간에 상기 해충을 유인하는데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광 안료는 통상 사용되는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므로 그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축광 안료에서 발광 물질은 알칼리토금속의 황화물들과 황화아연에 중금속이 함유된 것들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또한, 첨가제로서 산화방지제는 구연산모노이소푸로필, 테트라아미노페닐메탄, 디살칠리덴-1, 2-푸로피렌디아민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첨가될 수 있으며, 전색제로는 저밀도폴리에치렌을 알콜에 용해시킨 용액이나 에치렌초산비닐공중합체수지(EVA)를 초산에스테르, 아세톤, 에테르 등의 유기 용제에 용해시킨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a는 종래의 해충포획용 트랩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해충포획용 트랩(10)은 상기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색의 역할을 하는 색소층(15)이 평판(11)과 점착층(12)의 사이에 구비된다.
반면, 본 발명의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100)은 상기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색의 역할을 하는 축광 물질(121)이 점착층(120)에 함유되어 외부에 더욱 많이 광을 발산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점착층(12,120)은 반투명물질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므로, 도 4a와 같이 점착층(12) 내부에 색소층(15)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색소층(15)의 색이 점착층(12)을 투과하면서 많이 소진된다. 반면에, 도 4b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소정두께로 도포되는 점착층(120)의 외곽에도 축광물질(121)이 분포되며, 이러한 축광물질(121)에서 발산되는 광은 야간에 더욱 많은 해충을 유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100)은 상기 유인색의 역할을 하는 상기 축광 물질(121)이 본래의 색상을 유지하며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상기 해충이 더욱 효과적으로 유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100)은 축광 물질이 포함되어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사용가능하므로 일회성으로 사용될 경우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형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을 나타낸 측면도.
도 4a는 종래의 해충포획용 트랩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본 발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 11, 110: 평판
111: 라인 112: 걸림홀
12, 120: 점착층 121: 축광 물질
130: 보호지 15, 310: 색소층

Claims (5)

  1. 해충이 포획되는 표면을 가지며, 축광 안료로 착색되는 색소층이 형성된 평판;
    상기 표면에 소정의 면적으로 도포되어 상기 해충이 점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색소층과 같은 색상을 갖도록 축광 물질이 혼합되는 점착층; 그리고
    상기 점착층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는 보호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 물질은 알칼리토금속의 황화물들과 황화아연에 중금속이 함유된 것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 함유되고 압축되는 면(綿)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은 상기 축광 물질의 빛을 반사시키도록 반사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
KR1020080069807A 2008-07-18 2008-07-18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 KR100932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807A KR100932176B1 (ko) 2008-07-18 2008-07-18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807A KR100932176B1 (ko) 2008-07-18 2008-07-18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176B1 true KR100932176B1 (ko) 2009-12-16

Family

ID=4168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807A KR100932176B1 (ko) 2008-07-18 2008-07-18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1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37092A1 (en) * 2014-09-09 2021-05-13 Hohto Shoji Co., Ltd. Insect trapping unit and insect trap
WO2023040497A1 (zh) * 2021-09-14 2023-03-23 深圳卫捕士科技有限公司 一种镜面粘虫纸和粘虫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453A (ja) * 2000-03-16 2001-09-25 Earth Chem Corp Ltd 害虫誘引器
JP2004261106A (ja) * 2003-03-03 2004-09-24 Shimada Shoji Kk 飛翔昆虫捕獲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453A (ja) * 2000-03-16 2001-09-25 Earth Chem Corp Ltd 害虫誘引器
JP2004261106A (ja) * 2003-03-03 2004-09-24 Shimada Shoji Kk 飛翔昆虫捕獲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37092A1 (en) * 2014-09-09 2021-05-13 Hohto Shoji Co., Ltd. Insect trapping unit and insect trap
WO2023040497A1 (zh) * 2021-09-14 2023-03-23 深圳卫捕士科技有限公司 一种镜面粘虫纸和粘虫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8290B2 (en) Luminous insect trap
KR101804563B1 (ko) 지퍼백이 구비된 끈끈이 해충 트랩
WO2008096352A3 (en) Methods and devices for attracting and trapping insects
KR100856377B1 (ko) 해충유인 포획장치
KR100932176B1 (ko) 해충포획용 축광 트랩
JP6712031B2 (ja) 虫捕集装置及び虫捕集方法
KR200447935Y1 (ko) 해충포획용 트랩
GB2545631A (en) Pest trap
ATE254395T1 (de) Fluginsekten-fanggerät
US20180000060A1 (en) Insect Killing Device
JPH0847361A (ja) クロバネキノコバエ類(Sciaridae)の誘引捕獲方法及びこの方法で使用する誘引捕虫器
KR20190121524A (ko) 해충 포획장치
CN201821802U (zh) 一种发光型诱虫用胶带
PL236604B1 (pl) Pułapka do monitorowania obecności owadów
JP3184729U (ja) 害虫捕獲装置
KR102261025B1 (ko) 엘이디 램프를 포함하는 포충기
KR100959909B1 (ko) 수용성 축광 점착 스프레이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JP7109073B2 (ja) 捕虫装置及び当該捕虫装置を用いた捕虫方法
JP2017143826A (ja) カメムシ捕虫装置及びカメムシ捕虫方法
JP3589114B2 (ja) 殺虫装置
CN215012886U (zh) 昆虫诱集灯
JP3736793B2 (ja) 発光ダイオード(led)を用いた陸棲節足動物捕獲装置
CN204949213U (zh) 一种自发光式地面杀虫装置
KR101009576B1 (ko) 수목용 포충 롤트랩
KR20170010154A (ko) 야광 끈끈이 트랩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