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307B1 - 양적 표현을 갖는 강화된 관계 모델 구조 및 이를 적용한티비애니타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양적 표현을 갖는 강화된 관계 모델 구조 및 이를 적용한티비애니타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307B1
KR100931307B1 KR1020040108256A KR20040108256A KR100931307B1 KR 100931307 B1 KR100931307 B1 KR 100931307B1 KR 1020040108256 A KR1020040108256 A KR 1020040108256A KR 20040108256 A KR20040108256 A KR 20040108256A KR 100931307 B1 KR100931307 B1 KR 100931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relationship
metadata
temporal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4752A (ko
Inventor
이희경
김재곤
강정원
최진수
김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50094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03Content authoring by describing the content as an MPEG-21 Digital I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계 모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티비애니타임(TV-Anytime) 서비스에서, 양적 표현을 갖는 강화된 관계 모델 구조 및 이를 적용한 티비애니타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적 표현을 갖는 강화된 관계 모델을 적용한 티비애니타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시간상의 컴포넌트 소비순서를 기술하기 위한 양적표현을 갖는 시간 관계 메타데이터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표시상의 컴포넌트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공간적 관계 메타데이터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PDR, 스키마, 메타데이터, 관계, 양적 표현

Description

양적 표현을 갖는 강화된 관계 모델 구조 및 이를 적용한 티비애니타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Enhanced model of relation with Quantitive Representation, and TV anytime service method and system employing it}
도 1은 종래의 MPEG-21 DID의 전체 스키마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바이너리(binary) 시간 관계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엔어리(n-ary) 시간 관계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4a 내지 도 4b는 "SpatialRelation CS"의 관계를 정의하는 도면,
도 5는 양적 표현을 갖는 시간 관계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양적 표현을 갖는 공간관계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계 메타데이터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양적표현에 대한 관계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a 내지 9f는 제공된 관계 스키마에 대하여 교육 패키지 메타데이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티비애니타임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티비애니타임 서비스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관계 모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티비애니타임(TV-Anytime) 서비스에서, 양적 표현을 갖는 강화된 관계 모델 구조 및 이를 적용한 티비애니타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애니타임 페이즈 2의 메타데이터 그룹(TV-Anytime Phase 2 of Matadata Group)인 CFC에서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인 타겟팅과 동기화 서비스는 기존에 제안된 사용자 선호도 및 새로운 타입의 컨텐츠(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텍스트, HTML 등)를 사용하는 소비 환경에 적합한 개인 프로그램 서비스(Personal Program Service)와 유사한 개념의 기술이다(TV 애니타임 기고 문서 AN515, AN525 참조).
즉, 타겟팅과 동기화 서비스는 터미널(terminal), 서비스 환경, 유저 프로파일에 적합하도록 개인화된 컨텐츠 서비스(personalized content services)를 컨텐츠간의 동기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매칭(filtering)하거나 전달(delivering)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상기 타겟팅과 동기화 서비스 시나리오(Targeting & Synchronization Service Scenario)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DA, MP3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 디바이스와 연결된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가족의 각 구성원은 자신이 선호하는 다른 방식으 로 AV 프로그램을 소비한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학생인 가장 어린 여동생은 HD TV에서의 시트콤 보는 것을 좋아한다. 그리고 대학생인 큰 언니는 자신의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해서 다중 언어 오디오 스트림(multi-lingual audio stream)을 통한 PDA 에서의 시트콤 시청을 좋아한다.
이러한 사람마다의 소비 패턴 차이는 터미널, 네트워크, 유저, 컨텐츠 타입 등의 다양한 환경(조건)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터미널, 서비스 환경 및 유저 프로파일에 적합한 개인화된 컨텐츠 서비스로부터 사업을 하고자 하는 컨텐츠 및 서비스 제공자를 위해서는 타겟팅 서비스가 필수적이다.
더불어 TV-Anytime Phase 2에서는 사용자가 지금까지의 단순한 방송용 AV만이 아니라, 비디오, 오디오, 동영상, HTML, 응용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소비할 수 있도록 한다.
서로 다른 형태의 이들 컨텐츠들은 각각 독립된 컨텐츠를 이룰 수도 있지만, 상호간의 시간적, 공간적, 선택적 관계를 가지면 하나의 컨텐츠를 이룰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복수 컨텐츠간의 시간적 관계를 기술하여 각 컨텐츠의 소비 시점을 기술하는 동기화 서비스는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와 동일하게, 또는 여러번의 사용에도 일관성 있게 패키지의 형태로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수적이다.
이러한 TV-애니타임의 타겟팅 및 동기화 서비스를 위한 메타데이터의 구현에 MPEG-21 DID 구조를 활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MPEG-21 DID의 전체 스키마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MPEG-21 DID의 기본 구조는 상기 TV 애니타임의 타겟팅과 동기화 서비스를 위한 패키지 메타데이터의 구현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지만, MPEG-21의 DID 요소들은 TV-애니타임 서비스에 적용하기에 너무 포괄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방법의 타겟팅과 동기화 서비스를 위한 TV-애니타임 시스템에 있어서 DID를 좀더 구체적으로 보충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의 구현이 요구된다.
즉, 패키지 및 구성요소의 식별에 대하여, 컴포넌트들의 시간적 공간적 구성 및 상호연관에 사용되는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가 구체화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특히 컴포넌트간 구성 및 동기화를 위하여 아이템/컴포넌트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티비애니타임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컴포넌트간 구성 및 동기화를 위한 관계 모델로서, 양적 표현(quantitative representation)을 갖는 관계 표현의 정밀도가 강화된 관계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적용한 티비애니타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제공장치는 컴포넌트 또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조합인 패키지를 제공하는 패키지 제공장치에 있어서, 컨텐츠간의 시간적 관계와 공간적 관계를 표시하는 관계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 생성수단 및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제공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소비장치는 컴포넌트 또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조합인 패키지를 소비하는 패키지 소비장치에 있어서, 컨텐츠간의 시간적 관계와 공간적 관계를 표시하는 관계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 수단 및 패키지 메타데이터의 관계 메타데이터를 해석하는 해석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제공방법은 컴포넌트 또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조합인 패키지를 제공하는 패키지 제공방법에 있어서, 컨텐츠간의 시간적 관계와 공간적 관계를 표시하는 관계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 생성단계 및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소비방법은 컴포넌트 또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조합인 패키지를 소비하는 패키지 소비방법에 있어서, 컨텐츠간의 시간적 관계와 공간적 관계를 표시하는 관계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및 패키지 메타데이터의 관계 메타데이터를 해석하는 해석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컴포넌트 또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조합인 패키지를 제공하고 소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간의 시간적 관계와 공간적 관계를 표시하는 관계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 생성수단과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제공수단을 포함하는 패키지 제공장치 및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 수단과 패키지 메타데이터의 관계 메타데이터를 해석하는 해석수단을 포함하는 패키지 소비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계 메타데이터는 컴포넌트 또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조합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 메타데이터에 있어서, 관계 메타데이터는 컨텐츠간의 시간적 관계와 공간적 관계를 표시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양적 표현을 갖는 강화된 관계 모델을 적용한 티비애니타임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양적 표현을 포함하는 컴포넌트 관계를 기술한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비스제공장치; 및 상기 패키지 메타데이터 내의 양적 표현을 포함하는 컴포넌트간의 관계 해석에 따라 컴포넌트를 소비하는 사용자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양적표현을 포함하는 컴포넌트 관계를 기술한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획득하여 양적 표현을 포함하는 컴포넌트간 관계를 파악하는 단계; 양적 표현을 포함하는 컴포넌트간의 관계 해석에 따라 컴포넌트를 소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상호 관계(interaction relation)"는 보다 적절한 용어로 "선택 관계(Selection Relation)"를 사용하기로 한다 . 그러므로 컴포넌트 의 상호 관계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시간, 공간 및 선택 관계의 세 개의 관계가 허용된다.
이하, 먼저 관계 메타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하고, 다음에 양적 표현을 가진 컴포넌트 관계 모델을, 그 다음에 강화된 관계 표현과 함께 정밀한 패키지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관계 메타데이터는 컴포넌트간 구성 및 동기화를 위하여 아이템/컴포넌트 간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정보이다.
상기 관계 메타데이터에 대하여 상술하기 위하여 컴포넌트와 아이템 간의 메타데이터 관계를 먼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컴포넌트 모델은, CS(Classification schemes)를 참조하여, 시간적(temporal), 공간적(spatial) 및 상호작용(interaction)이란 용어로서 컴포넌트 간의 다양한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는 또한 패키지의 아이템에 적용된다. 다만, 상기 상호작용이란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선택관계란 용어를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단지 CS에 미리 정의된 용어들을 사용함으로써, 정의된 컴포넌트들, 아이템들 또는 컴포넌트들과 아이템들간의 '관계'는, SMIL, XMT-0와 BIFS와 같은 전체 장면 기술(scene description)이 요구되는 정확한 동기화(synchronization)를 표현(represent)하기 보다는, 어떻게 컴포넌트들, 아이템들 또는 컴포넌트들과 아이템들이 추상적인 레벨(abstract level)에서 소비될 수 있는 지 표현(represent)하는데 사용된다.
먼저, "TemporalRelation CS"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바이너리(binary) 시간 관계들이 설명되어 있고, 도 3에는 엔어리(n-ary) 시간 관계들이 설명되어 있다. 도 3의 각각의 항목은 '관계'의 이름과 수학적으로 '역(inverse) 관계'의 명칭을 식별하고, 상기 관계의 속성(property)을 기술하며, 그 사용예를 나타낸다.
다음에, "SpatialRelation CS"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b는 "SpatialRelation CS"의 관계를 정의한다.
도 4a 내지 도 4b의 각각의 항목은 관계 및 그 역관계의 명칭을 식별하고, 수학적인 관계를 정의하며, 그 부가적 속성을 기술하고, 그 사용예를 나타낸다. "south"로부터 "over" 까지의 관계들은 "SpatialRelation"에 기초한 것이다. 그리고, "equals"로부터 "separated" 까지의 관계들은 "BaseRelation"에 추가한 것들이다. 상기 SpatialCS는 "SpatialRelation CS"를 일대일로 대체할 수 있고, 부가적 필요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
<양적 용어(Quantitative Terms)를 갖는 관계 표현의 강화>
A. 양적 표현의 필요성
위에서, 관계 메타데이터를 설명했다. 상기 관계메타데이터는 컴포넌트 사이에서 대응 분류 스키마(corresponding classification schemes, CSs)를 참조함으로 써 세가지 타입(즉, 시간 관계(TemporalRelation), 공간 관계(SpatialRelation) 및 선택 관계(SelectionRelation)의 상대적 관계의 기술을 허용한다.
부연하면, TemporalRelationCS에서 특정된 시간 관계는 잘 알려진 Allen's 13 시간 관계에 근거하여 구성된다. SpatialRelationCS에서 특정된 공간 관계는 시간 관계의 공간 분석으로 간주될 수 있다. Interaction,CS에서 특정된 상호 관계는 우선순위와 같이 선택적으로 소비될 때 컴포넌트 사이의 상대적 관계의 한 세트로서 정의된다.
관계 메타데이터는 컴포넌트가 다른 컴포넌트와 어떤 상관성(correlation)을 갖는지를 기술하는 것을 허용한다. 관계를 표현하는 스키마의 디자인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는 의도된 기능을 허용하는 동안 컴팩트한 방식으로 초록 기술(abstract description)을 허용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연합된 컴포넌트가 처리되어 소비되는 때 및/또는 장소에서 얼마나 많은 컴포넌트가 관계되어야 하는지 표현할 수 있는 양적 기술이 없다.
예를들어, 두 개의 컴포넌트가 TemporalRelation의 "Precedes"와 같은 관계를 갖는다고 가정할 때 하나의 컴포넌트는 시간 상으로, 다른 것의 뒤에 위치한다. 그러나, 얼마나 많은 시간 이후에 다음 컴포넌트가 시작되어야 하는 정보가 주어져 있지 않다. 이러한 결점은 PDR에서 어플리케이션이 패키지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장면이 구성될 때, 사용자의 의도대로 정확하게 동작하기 어렵게 만든다.
위에서 고려한 바와 같이, 상기 관계들은 적은 엘리먼트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한 많은 스키마 컴팩트(schema compact)를 유지하면서 관계의 총량(amount)을 정 확하게 기술하는 양적 표현을 포함해야 한다.
B. TemporalRelation의 양적표현
위의 "precedes"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TemporalRelation은 컴포넌트 사이의 갭(gap)과 오버랩(overlap)을 위한 시간의 양을 표현할 필요가 있다. 시간 구간(time duration)을 표현하는 기본적인 방식은 절대 시간(absolute time) 자체를 사용하는 것이고, 또 다른 방식은 기준 시간에 대한 절대 시간을 사용하는 것이고 그 다음에 시간축에서 상대적 위치를 표현하기 위한 미리 정의된 기본 시간을 증가하는 것이다. MPEG-7 MDS는 절대 시간에 대한 정보로, MediaDuraion과 상대적인 시간 정보로 MediaIncrDuarion을 정의한다.
도 5는 양적 표현을 갖는 시간 관계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계는 TemporalRelation이고, 이는 컴포넌트 사이의 시간 갭을 만들며, MediaDuration 또는 MediaIncrDuration을 사용하여 시간 구간의 총량을 기술하게 된다. 도 5의 예에서, 컴포넌트간 상대적인 시간의 양적관계는 3초(SIN1000F)로 정의된다.
C. SpatialRelation의 양적표현
마찬가지로, SpatialRelation은 컴포넌트 사이에 만들어지는 공간 도메인에서 갭과 오버랩을 위한 총량을 표현할 필요가 있다.
공간 총량을 표현하는 간단한 방법은 직각 좌표 시스템에서 픽셀 유닛을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5,0)은 x축에서 다른 컴포넌트에서 5 픽셀 떨어져 위치한 하나의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 절대 값은 다양한 터미널 조건에 따라 타겟팅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스케일러블(scalable) 장면 구성의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다. 예를 들어, 패키지 메타데이터가 960×540 스크린 크기를 가정하여 생성되고 갭에 대한 공간 총량이 (500,0)이라면, 그 패키지는 240×320 스크린을 갖는 PDA 에서는 적절하게 디스플레이 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절대 크기보다는 초기 스크린 크기에 근거한 상대적 크기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500,0)은 (500/960, 0/540) 또는 (0.521, 0)으로 재 표현될 수 있다. 총량을 기술하는 용어에 있어서 더 효율적인 표현으로 유리수는 (521,0)과 같이 천분율과 백분율 (52.1,0)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PDA에 있어서 공간적 갭의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즉, (240×521/1000), 320×0)=(125,0)이다.
도 6은 양적 표현을 갖는 공간관계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포넌트가 'west'의 SpatialRalation을 가지며, x축에서 두 개의 컴포넌트의 갭이 200 퍼밀(permil)인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컴포넌트가 PDA에 디스플레이된다면, 하나는 다른 컴포넌트의 48 픽셀 왼쪽에 위치된다(240×200/1000 = 48).
D. 관계 메타데이터의 정밀한 구조(Refined Structure of Relation Metadata)
도 7a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계 메타데이터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는 관계 메타데이터가 서술자(Descriptor)의 밑에 위치하는 경우, 도 7b는 관계 메타데이터가 아이템(Item) 밑에 위치하는 경우, 도 7c는 관계 메타데이터가 컴포넌트 밑에 위치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관계는 2가지 종류의 선택적인 엘리먼트, 즉, 시간간격(TemporalInterval) 과 공간간격(SpaceInterval)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간간격은 MediaDuration 또는 MediaIncrDuration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간격은 최초에 가정된 스크린에 근거하여 X/Y 축 위에 상대적 크기로 표현된다.
<INTERACTIONRELATIONCS 의 재명명>
아래 표2에서 보여주는 한 세트의 관계를 정의하는 상호 관계(Interaction Relation)라는 표현은 정의된 용어의 의미(semantics)와 잘 맞지 않는다. 이 관계들은 그들이 선택적으로 소비될 때 컴포넌트 사이에서 상대적 관계들을 특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세트의 관계들을 InteractionRelation 대신에 "Selection Relation"으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용어 관계 기술
And 컴포넌트는 한번에 사용자의 경험에 제공되어야 한다(Components must be provided for user experience at one time)
Or 컴포넌트는 그들 사이에서 선택될 수 있다(Components can be chosen among them)
Optional 컴포넌트는 사용자에 의해 소비될 수 있거나 소비되지 않을 수 있다(Components can be consumed or not by user)

<양적 관계를 갖는 패키지 예>
도 8은 양적표현에 대한 관계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a 내지 9f는 제공된 관계 스키마에 대하여 교육 패키지 메타데이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러 가지 컴포넌트와 아이템은 TemporalRelation에서 "precedes"과 SpatialRelation에서 'west'와 같이 관계들을 가진다. 컴포넌트 사이의 두 관계의 값은 각각 3초와 200/1000 × 스크린 폭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티비애니타임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티비애니타임 서비스 시스템은, 각종 컨텐츠 및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컨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 장치 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각종 컨텐츠 및 패키지 메타데이터는 전송수단 200에 의해 사용자 장치 300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전송수단 200은 티비애니타임을 서비스 하기 위한, 방송망과 인터넷, 이동통신망, WLAN등이 가능하고, 사용자 장치 300은 전송수 단 200과 접속되는 TV, PC, 휴대전화, PDA, DMB 단말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 200은 '티비애니타임메인측'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장치는 '티비애니타임박스측'이란 용어 또는 클라이언트(PDR/NDR)측'으로 표현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은 시간상의 컴포넌트 소비순서를 기술하기 위한 양적표현을 갖는 시간 관계 기술수단;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표시상의 컴포넌트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공간적 관계 기술수단; 및 상기 시간관계 기술 수단 및 공간적 관계 기술수단을 이용하여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 생성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장치 300은 패키지 메타데이터 획득 수단; 회득된 패키지 메타데이터의 내의 컴포넌트간의 양적 표현을 포함하는 관계 해석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티비애니타임 서비스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은 S10단계에서, 상술한 양적표현을 포함하는 컴포넌트 관계를 기술한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양적표현을 포함하는 컴포넌트 관계를 기술한 패키지 메타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간간격(TemporalInterval) 과 공간간격(SpaceInterval)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후, 사용자 장치 300은 원하는 패키지를 획득하기 위해 S20단계에서,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획득한다. 사용자 장치 300은 패키지 메타데이 터를 획득하면, S30단계에서, 패키지 메타 데이터를 해석하여 컴포넌트 관계를 파악한다. 이후, 사용자 장치 300은 컴포넌트 또는 아이템을 관계에 맞게 소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관계의 세가지 분류, 즉 TemporalRelation, SpatialRelation 및 InteractionRelation은 타겟팅과 동기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초록 레벨에서 컴포넌트 사이에 상대적 관계를 특정하기 위하여 정의 되어왔다. 본 발명에서는 그 관계의 정밀한 스키마가 공간과 시간 관계의 총량을 양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된 관계 스키마는 패키지로부터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나 장면을 구성할 때,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PDR 어플리케이션이 정확하게 수행될수 있다. 정밀한 관계 스키마의 예는 교육 시나리오를 지원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4)

  1. 컴포넌트 또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조합인 패키지를 제공하는 패키지 제공장치에 있어서,
    컨텐츠간의 시간적 관계와 공간적 관계를 표시하는 관계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 생성수단; 및
    상기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패키지 소비장치에 제공하는 제공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시간적 관계는 상기 패키지 소비장치에서 복수의 컨텐츠가 소비되는 시간적 소비 순서를 정의하고,
    상기 공간적 관계는 상기 패키지 소비장치에서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상대적 위치를 정의하는, 패키지 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적 관계는 절대적인 시간 정보 또는 상대적인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지 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관계는 상대적인 거리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지 제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관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상대적인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지 제공장치.
  5. 컴포넌트 또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조합인 패키지를 소비하는 패키지 소비장치에 있어서,
    컨텐츠간의 시간적 관계와 공간적 관계를 표시하는 관계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 수단;
    상기 패키지 메타데이터의 상기 관계 메타데이터를 해석하는 해석수단; 및
    상기 해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시간적 관계는 상기 패키지 소비장치에서 복수의 컨텐츠가 소비되는 시간적 소비 순서를 정의하고,
    상기 공간적 관계는 상기 패키지 소비장치에서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상대적 위치를 정의하는, 패키지 소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적 관계는 절대적인 시간 정보 또는 상대적인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지 소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관계는 상대적인 거리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지 소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관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상대적인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지 소비장치.
  9. 컴포넌트 또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조합인 패키지를 제공하는 패키지 제공방법에 있어서,
    컨텐츠간의 시간적 관계와 공간적 관계를 표시하는 관계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 생성단계; 및
    상기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패키지 소비장치에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적 관계는 상기 패키지 소비장치에서 복수의 컨텐츠가 소비되는 시간적 소비 순서를 정의하고,
    상기 공간적 관계는 상기 패키지 소비장치에서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상대적 위치를 정의하는, 패키지 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적 관계는 절대적인 시간 정보 또는 상대적인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지 제공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관계는 상대적인 거리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지 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관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상대적인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지 제공방법.
  13. 컴포넌트 또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조합인 패키지를 소비하는 패키지 소비방법에 있어서,
    컨텐츠간의 시간적 관계와 공간적 관계를 표시하는 관계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상기 패키지 메타데이터의 상기 관계 메타데이터를 해석하는 해석단계; 및
    상기 해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적 관계는 패키지 소비장치에서 복수의 컨텐츠가 소비되는 시간적 소비 순서를 정의하고,
    상기 공간적 관계는 상기 패키지 소비장치에서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상대적 위치를 정의하는, 패키지 소비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적 관계는 절대적인 시간 정보 또는 상대적인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지 소비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관계는 상대적인 거리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지 소비방법.
  1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관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상대적인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지 소비방법.
  17. 컴포넌트 또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조합인 패키지를 제공하고 소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간의 시간적 관계와 공간적 관계를 표시하는 관계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패키지 메타데이터 생성수단과 상기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패키지 소비장치에 제공수단을 포함하는 패키지 제공장치; 및
    상기 패키지 메타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 수단과 상기 패키지 메타데이터의 상기 관계 메타데이터를 해석하는 해석수단을 포함하는 패키지 소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적 관계는 상기 패키지 소비장치에서 복수의 컨텐츠가 소비되는 시간적 소비 순서를 정의하고,
    상기 공간적 관계는 상기 패키지 소비장치에서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상대적 위치를 정의하는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적 관계는 절대적인 시간 정보 또는 상대적인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관계는 상대적인 거리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관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상대적인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40108256A 2004-03-23 2004-12-17 양적 표현을 갖는 강화된 관계 모델 구조 및 이를 적용한티비애니타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931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533 2004-03-23
KR20040019533 2004-03-23
KR1020040047611 2004-06-24
KR20040047611 2004-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752A KR20050094752A (ko) 2005-09-28
KR100931307B1 true KR100931307B1 (ko) 2009-12-11

Family

ID=3719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256A KR100931307B1 (ko) 2004-03-23 2004-12-17 양적 표현을 갖는 강화된 관계 모델 구조 및 이를 적용한티비애니타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80481A1 (ko)
EP (1) EP1728178A1 (ko)
JP (1) JP2007531380A (ko)
KR (1) KR100931307B1 (ko)
WO (1) WO200509117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4900A (ja) * 2000-12-12 2002-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
KR20030022842A (ko) * 2002-10-15 2003-03-17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과방법 및 그 기록 매체
KR20030094598A (ko) * 2002-06-07 2003-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040026388A (ko) * 2002-09-24 2004-03-31 전자부품연구원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지능화된 프로그램 추천 서비스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5990B1 (en) * 1997-07-03 2002-01-01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spatial temporal-filtering for improving compressed digital video
US6233356B1 (en) * 1997-07-08 2001-05-15 At&T Corp. Generalized scalability for video coder based on video objects
US6347157B2 (en) * 1998-07-24 2002-02-12 Picsurf, Inc.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a video sequence using spatial and temporal transforms
US6564263B1 (en) * 1998-12-04 2003-05-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media content description framework
US7415662B2 (en) * 2000-01-31 2008-08-19 Adobe Systems Incorporated Digital media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s
IL136080A0 (en) * 2000-05-11 2001-05-20 Yeda Res & Dev Sequence-to-sequence alignment
JP3795772B2 (ja) * 2001-06-25 2006-07-12 株式会社ノヴァ マルチメディア情報通信サービスシステム
EP1491038A2 (en) * 2001-12-26 2004-12-29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A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space or time resolution in video
FR2835386B1 (fr) * 2002-01-31 2004-05-28 Daniel Lecomte Dispositif pour la diffusion securisee, l'acces conditionnel, la visualisation controlee, la copie privee et la gestion des droits de contenus audiovisuels de type mpeg-4
KR20040090389A (ko) * 2002-03-05 2004-10-2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Mpeg-21 ipmp 실행방법
FR2840495B1 (fr) * 2002-05-29 2004-07-30 Canon Kk Procede et dispositif de selection d'une methode de transcodage parmi un ensemble de methodes de transcodage
KR20040032260A (ko) * 2002-10-08 2004-04-17 전자부품연구원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서비스방법
FR2851397B1 (fr) * 2003-02-14 2005-05-13 Canon Europa Nv Procede et dispositif d'analyse de sequences video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CA2461118C (en) * 2003-03-15 2013-01-08 Oculus Info Inc.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connected temporal and spatial information as an integrated visual representation on a user interface
KR100493896B1 (ko) * 2003-04-18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콘텐트 메타데이터 변환 방법 및 장치, 그리고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DE602005007653D1 (de) * 2004-04-12 2008-08-07 Ind Academic Coop Verfahren, Vorrichtungen und Speichermedien zur Bereitstellung von Multimedia-Diensten unter Berücksichtung der Endeinrichtungsfähigkeiten
US20060044307A1 (en) * 2004-08-24 2006-03-02 Kyuman Song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representing project metrics on 3-dimensional building mode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4900A (ja) * 2000-12-12 2002-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
KR20030094598A (ko) * 2002-06-07 2003-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040026388A (ko) * 2002-09-24 2004-03-31 전자부품연구원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지능화된 프로그램 추천 서비스방법
KR20030022842A (ko) * 2002-10-15 2003-03-17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과방법 및 그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28178A1 (en) 2006-12-06
KR20050094752A (ko) 2005-09-28
US20070180481A1 (en) 2007-08-02
JP2007531380A (ja) 2007-11-01
WO2005091171A1 (en)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239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media recommendations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ncept matching and latent semantic analysis
JP7019669B2 (ja) 静的ナレッジグラフおよび時間的ナレッジグラフに基づいて用語の曖昧性を除去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esar et al. Leveraging user impact: an architecture for secondary screens usage in interactive television
CA2540264C (en) Package metadata and targeting/synchron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07507155A5 (ko)
Cesar et al. An architecture for non-intrusive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
US9990115B1 (en)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dditional content
KR101687377B1 (ko) 영상자료에 대한 광고 영상 제작방법, 이를 이용한 제작 시스템 및 제작된 영상데이터에 대한 상영방법
KR100931307B1 (ko) 양적 표현을 갖는 강화된 관계 모델 구조 및 이를 적용한티비애니타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501134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Van Assche et al. Multi-channel publishing of interactive multimedia presentations
Dominguez et al. A methodology for user interface adaptation of multi-device broadcast-broadband services
Vargas-Arcila et al. Study and comparison of metadata schemas for the description of multimedia resources
Badii et al. Accessibility-by-design: a framework for delivery-context-aware personalised media content re-purposing
KR20120077816A (ko) 사용자 시청상황 정보를 적용한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Horozov et al. " Third screen" social bookmarking for TV
KR20130065758A (ko) 스케일러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저작 장치 및 방법
Nixon How open data can enhance interactive television
KR101841164B1 (ko) 스케일러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저작 장치 및 방법
Marks Customise your favourite TV show
Alves et al. CollaboraTVware: a context-aware infrastructure with support for collaborative participation in an interactive digital TV environment
Lee An Effective Architecture Of Advanced TV Set-Top And Interactive Services Using TV-Anytime Metadata
Jaewon et al. A Framework for Providing Dynamic Context-Aware User Interface of the Secondary Devices using the SmartTV in Home Network Environment
Borgotallo et al. Personalized semantic news: Combining semantics and television
Seeliger et al. An approach for a cross-platform utilization of interactive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