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048B1 - 분리형 칫솔 - Google Patents

분리형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048B1
KR100930048B1 KR1020070096426A KR20070096426A KR100930048B1 KR 100930048 B1 KR100930048 B1 KR 100930048B1 KR 1020070096426 A KR1020070096426 A KR 1020070096426A KR 20070096426 A KR20070096426 A KR 20070096426A KR 100930048 B1 KR100930048 B1 KR 100930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handle
protrusion
coupl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829A (ko
Inventor
황진상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지우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우솔루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우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6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048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58Mechanical joint or hinge made up of seve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Abstract

분리형 칫솔은 손잡이부, 브러쉬부,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 제1 회전 방지부 및 제2 회전 방지부를 포함한다. 브러쉬부는 손잡이부와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제1 및 제2 결합부는 손잡이부 및 브러쉬부 각각의 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손잡이부 및 브러쉬부를 결합 및 분리시킨다. 제1 및 제2 회전 방지부는 각각의 제1 및 제2 결합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고, 손잡이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브러쉬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칫솔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손잡이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브러쉬부가 손잡이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칫솔{SEPARABLE TOOTH BRUSH}
본 발명은 분리형 칫솔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반영구적인 손잡이부와 소모적인 브러쉬부를 분리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사용자로 하여금 식사 후 또는 각종 음식물 등을 섭취한 후에 치아의 충치 예방과 입냄새, 기타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치약을 묻혀서 양치질을 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상기 칫솔은 실질적으로, 상기 치약이 묻은 상태로 상기 치아에 접촉하는 브러쉬가 결합된 브러쉬부 및 상기 브러쉬부와 결합하고 탄력적으로 양치가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손잡이부로 나누어진다.
최근, 상기 칫솔의 장기 사용으로 인하여 교체 시, 그 비용을 최대한 절감하고자 상기 브러쉬부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분리형 칫솔이 각광을 받고 있다. 즉, 상기 분리형 칫솔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반영구적인 상기 손잡이부를 제외한, 소모성 부분인 상기 브러쉬부만 교체하면 된다.
상기 분리형 칫솔은 상기 브러쉬부와 상기 손잡이부 각각에 서로의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는 그 중 하나가 돌기 형상을 갖고, 다른 하나가 상기 돌기 형상이 후크 결합하면서 삽입되는 홈 형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관련된 선행 기술로서, 실용신안 공보 제 2001-0113203에는 상기 브러쉬 부분을 교체할 수 있는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의 치아 및 잇몸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올바른 양치질의 방법으로는 잇몸에서 치아 쪽으로 덮어 내리듯이 닦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즉, 윗니는 위에서 아래로, 아랫니는 아래에서 위로 잇몸에서부터 치아의 결을 따라서 닦아낸다. 이러한 올바른 상기 양치질을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분리형 칫솔을 반복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올바른 상기 양치질을 위해 상기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만 잡은 상태에서 상기 분리형 칫솔을 반복적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을 상기 브러쉬부에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 부재함에 따라, 상기 브러쉬부의 교체 시기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브러쉬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분리형 칫솔은 손잡이부, 브러쉬부,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 제1 회전 방지부 및 제2 회전 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는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브러쉬부 각각의 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브러쉬부를 결합 및 분리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방지부는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고, 상기 손잡이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브러쉬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방지부 중 어느 하나는 돌기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한다. 이에, 상기 돌기는 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돌기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들은 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의 결합면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형 칫솔에 따르면, 손잡이부와 브러쉬부에 이들의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 결합부 외에, 제1 및 제2 회전 방지부를 각각에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부가 고정될 때 상기 브러쉬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브러쉬부를 본래의 수명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칫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 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칫솔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리형 칫솔을 결합하여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칫솔(1000)은 손잡이부(100), 브러쉬부(200), 제1 결합부(300), 제2 결합부(400), 제1 회전 방지부(500) 및 제2 회전 방지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100)는 사용자가 양치를 할 때, 잡아쥐는 부분이다. 이에, 상기 손잡이부(10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손에 손쉽게 쥐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가늘고 긴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00)의 외면은 사용자가 쥐었을 때, 형성되는 손가락의 형상과 유사하게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00)는 사용자로 하여금 탄력적인 양치가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100)를 잡은 상태에서 자유자재로 움직일 때, 치아에 무리한 압력이 가해져서 상해를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부(100)가 부러지는 것을 어느 정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부(100)는 폴리 프로필렌(poly propylene ; PP)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 ; PET) 등의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00)는 사용자가 양치를 하는 도중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외면에 고무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무는 상기 손잡이부(100) 중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힘이 집중되어 더 쉽게 미끄러질 수 있는 손가락의 끝부분과 접하는 위치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부(200)는 상기 손잡이부(100)와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브러쉬부(200)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치아와 접촉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210) 및 상기 브러쉬(210)가 고정되면서 상기 손잡이부(100)와 결합하는 몸체(220)로 구성된다.
상기 브러쉬(210)는 통상적으로, 상기 몸체(220)로부터 대부분 수직한 형상을 갖는다. 이때, 사용자의 치아의 미세한 틈새까지 상기 브러쉬(210)가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브러쉬(210)의 일부분을 상기 몸체(220)로부터 기울어지게 형 성시킬 수 있다.
상기 브러쉬(210)는 내화학성이 강하면서 위생적인 나일론(nylon)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나일론 재질은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저조하여 상기 브러쉬를 장기간 사용시, 옆으로 눕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최근에는 상기 브러쉬(210)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 부티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 butylene terephthalate ; PBT)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210)는 사용자의 잇몸에 상해를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끝은 가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러쉬(210)는 끝을 라운드지게 연마할 수 있다.
상기 몸체(220)는 상기 손잡이부(100)와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몸체(220)가 상기 손잡이부(100)와 결합할 경우, 그 형상이 일체형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미관상 좋기 때문이다.
상기 제1 결합부(300)는 상기 손잡이부(100) 중 상기 브러쉬부(200)의 몸체(220)와 접하는 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부(400)는 상기 브러쉬부(200)의 몸체(220) 중 상기 손잡이부(100)와 접하는 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300, 400)는 서로 결합하여 상기 브러쉬부(200)와 상기 손잡이부(100)를 일체화시킨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300, 400)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브러쉬부(200)가 상기 손잡이부(100)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300)는 상기 손잡이로부터 돌출된 제1 돌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310)는 상기 손잡이부(100)를 제작할 때, 일체형으로 제작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돌기(310)는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손잡이부(10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400)는 상기 제1 돌기(310)가 삽입되는 제1 홈(4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기(310)에는 제1 후크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400)는 상기 제1 홈(410)의 안쪽에 상기 제1 후크부(320)와 후크 결합하는 제2 후크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후크부(420)는 상기 제1 돌기(310)가 상기 제1 홈(410)에 삽입될 때와 분리될 때 동일한 응력이 작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등변 삼각형을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후크부(420)는 상기 제1 돌기(310)가 상기 제1 홈(410)에 삽입될 때와 분리될 때 그 동작을 용이하게 위하여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후크부(420)는 상기 몸체(220)로부터 절개되어 삽입되는 상기 제1 돌기(3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후크부(320)는 상기 제2 후크부(420)와 형상에 따라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후크부(320, 420)는 각각 서로 반대인 상기 제1 홈(410)의 안쪽과 상기 제1 돌기(3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기(310)는 일측에 제1 평탄부(330)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2 결합부(400) 중 상기 제1 홈(410)의 안쪽에는 상기 제1 평탄부(330)와 접하는 제2 평탄부(4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평탄부(330, 430)는 상기 손잡이부(100)가 회전할 때, 상기 브러쉬부(200)로 같이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 다.
상기 제1 돌기(310)와 상기 제2 결합부(400) 중 상기 제1 홈(410)의 안쪽은 그 결합을 강하게 하면서 내구성을 우수하게 위하여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300, 400)는 경우에 따라, 각각 상기 브러쉬부(200) 및 상기 손잡이부(100)에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회전 방지부(500)는 상기 제1 결합부(30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 회전 방지부(600)는 상기 제2 결합부(40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방지부(500, 600)는 서로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부(1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브러쉬부(2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 회전 방지부(600)는 상기 브러쉬부(200)로부터 돌출된 제2 돌기(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돌기(610)는 상기 브러쉬부(200)를 제작할 때,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돌기(610)는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브러쉬부(20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방지부(500)는 상기 제2 돌기(610)가 삽입되는 제2 홈(5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돌기(610)가 상기 제2 홈(510)에 삽입되어 결합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100)가 고정될 때, 상기 브러쉬부(2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 돌기(610)와 상기 제2 홈(510)의 안쪽은 그 결합을 강하게 하면서 내구성을 우수하게 위하여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방지부(500, 600)는 경우에 따라, 각각 상기 손잡이부(100) 및 상기 브러쉬부(200)에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100)와 상기 브러쉬부(200)에 이들의 결합을 위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300, 400) 외에,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방지부(500, 600)를 각각에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부(100)가 고정될 때 상기 브러쉬부(2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브러쉬부(200)를 본래의 수명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리형 칫솔 중 브러쉬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회전 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제2 회전 방지부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회전 방지부는 도 1 및 도 2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브러쉬부(200) 중 손잡이부(100)와 접합하는 부위에 형성된 제2 회전 방지부(600)의 제2 돌기(610)는 상기 손잡이부(100)가 회전하는 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돌기(610)는 상기 브러쉬부(200)에 형성된 제2 결합부(400)의 주위를 일부 감싸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1 회전 방지부(500)의 제2 홈(510)의 형상도 상기 제2 돌기(610)에 대응해서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돌기(610)는 상기 제2 결합부(400)의 주위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돌기(610)는 상기 제2 결합부(400)의 주위에서 소정 길이만큼 직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방지부(500, 600)는 상기 손잡이부(100)가 고 정될 때, 상기 브러쉬부(200)가 회전하는 것을 보다 안정적이면서 강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돌기(610)가 비교적 크게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힘에 의해 부러질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리형 칫솔 중 브러쉬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회전 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브러쉬부(250) 중 손잡이부(도 2의 100)와 접합하는 부위에 형성된 제2 회전 방지부(260)의 제2 돌기(262)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돌기(262)들은 상기 브러쉬부(250)에 형성된 제2 결합부(400)의 주위에 상기 손잡이부(도 2의 100)가 회전하는 일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들 각각은 상기 손잡이부(도 2의 1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돌기(262)들이 복수 개로 이루어짐으로써,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상기 제2 돌기(262)들 중 일부가 부러질 경우에도 상기 손잡이부(도 2의 1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브러쉬부(25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분리형 칫솔 중 브러쉬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회전 방지부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브러쉬부(700) 중 제2 회전 방지부(710)의 제2 돌기(712)가 손잡이부(750)의 제1 회전 방지부(760)의 제2 홈(762)에 삽입될 때, 그 결합면은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돌기(712)는 그 외면에 상기 브러쉬부(700)의 몸체(220)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제1 테이퍼면(71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 방지부(760) 중 상기 제2 홈(762)의 안쪽에는 상기 제1 테이퍼면(714)에 대응하는 제2 테이퍼면(764)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제2 돌기(712)가 상기 제2 홈(762)에 최초 삽입되는 끝단이 넓이보다 상기 제2 홈(762)의 입구를 보다 넓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2 돌기(712)를 상기 제2 홈(762)에 삽입하는 동작을 보다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돌기(712)가 상기 제2 홈(762)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및 제2 테이퍼면(714, 764)을 통하여 그 삽입이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돌기(712)와 상기 제2 홈(762)의 결합면에는 서로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성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돌기(712)는 상기 제2 홈(762)에 후크 결합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분리형 칫솔의 손잡이부와 브러쉬부에 제1 및 제2 회전 방지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부가 고정될 때 상기 브러쉬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브러쉬부를 본래의 수명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칫솔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리형 칫솔을 결합하여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리형 칫솔 중 브러쉬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회전 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2 회전 방지부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리형 칫솔 중 브러쉬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회전 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분리형 칫솔 중 브러쉬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회전 방지부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손잡이부 200 : 브러쉬부
300 : 제1 결합부 310 : 제1 홈
400 : 제2 결합부 410 : 제1 돌기
500 : 제1 회전 방지부 510 : 제2 홈
600 : 제2 회전 방지부 610 : 제2 돌기
1000 : 분리형 칫솔

Claims (6)

  1. 손잡이부(100);
    상기 손잡이부(100)와 탈착이 가능한 브러쉬부(200);
    상기 손잡이부(100) 및 상기 브러쉬부(200) 각각의 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100) 및 상기 브러쉬부(200)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제1 및 제2 결합부(300,400); 및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300, 40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고, 상기 손잡이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브러쉬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회전 방지부(500, 600)를 포함하는 분리형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300)는, 상기 손잡이부(100)에서 상기 브러쉬부(200)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외부 돌출이 되고, 상기 브러쉬부(200)가 올바른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가이드하고, 일측에는 상기 브러쉬부(200)가 상기 손잡이부(100)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할 때에 상기 브러쉬부(200)도 같이 회전되도록 유도하는 제 1 평탄부(330)가 결합 방향으로 형성되고, 다른 측에 상기 브러쉬부(200)가 결합 고정될 수 있는 제 1 후크부(320)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돌기(310)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400)는, 상기 브러쉬부(200)에서 상기 제 1 돌기(310)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홈(410)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1 홈의 안쪽에는, 상기 제 1 평탄부(300)와 대응되는 제 2 평탄부(430)가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부(200)가 상기 손잡이부(100)에 삽입되면서 결합될때에 상기 제 1 후크부(320)와 후크결합되는 제 2 후크부(42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 방지부 및 제2 회전 방지부(500, 600)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300, 400)와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상기 브러쉬부(200)와 상기 손잡이부(100)가 접합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부(200)가 상기 손잡이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러쉬부(200)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방지부(500, 600) 중 어느 하나는 돌기(610)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돌기(610)가 삽입되는 홈(5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칫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610)는 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칫솔.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610)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들은 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칫솔.
  5. 삭제
  6. 삭제
KR1020070096426A 2007-09-21 2007-09-21 분리형 칫솔 KR100930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426A KR100930048B1 (ko) 2007-09-21 2007-09-21 분리형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426A KR100930048B1 (ko) 2007-09-21 2007-09-21 분리형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829A KR20090030829A (ko) 2009-03-25
KR100930048B1 true KR100930048B1 (ko) 2009-12-08

Family

ID=4069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426A KR100930048B1 (ko) 2007-09-21 2007-09-21 분리형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641Y1 (ko) * 2013-03-08 2013-04-29 김창호 결합력이 향상된 분리형 칫솔
EP3501333B1 (en) 2017-12-20 2020-06-24 The Gillette Company LLC Oral care implement
EP3501335B1 (en) 2017-12-20 2020-06-17 The Gillette Company LLC Oral care implement
EP3501334B1 (en) 2017-12-20 2020-06-24 The Gillette Company LLC Oral care implement
EP3501336A1 (en) 2017-12-20 2019-06-26 The Gillette Company LLC Oral care implement
EP3524093A1 (en) 2018-02-09 2019-08-14 The Gillette Company LLC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al care implement
EP3524092A1 (en) 2018-02-09 2019-08-14 The Gillette Company LLC Connector for a manual oral care implement
US11388985B2 (en) 2018-02-09 2022-07-19 The Gillette Company Llc Connector for a manual oral care implement
EP3524091A1 (en) 2018-02-09 2019-08-14 The Gillette Company LLC Manual oral care implement
US11400627B2 (en) 2018-02-09 2022-08-02 The Gillette Company Llc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al care implement
US11659922B2 (en) 2018-09-03 2023-05-30 The Gillette Company, LLC. Head for an oral-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EP3616561B1 (en) 2018-09-03 2022-09-28 The Gillette Company LLC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EP3714732A1 (en) 2019-03-29 2020-09-30 The Gillette Company LLC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oral care implement
EP3818904A1 (en) 2019-11-06 2021-05-12 The Gillette Company LLC Handl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personal care impl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0534U (ko) * 1985-11-27 1987-06-10
KR20020047505A (ko) * 2000-12-13 2002-06-22 성재갑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0534U (ko) * 1985-11-27 1987-06-10
KR20020047505A (ko) * 2000-12-13 2002-06-22 성재갑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829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048B1 (ko) 분리형 칫솔
KR102401908B1 (ko) 전동 칫솔용 리필품
KR102401906B1 (ko) 전동 칫솔
US10022208B2 (en) Replacement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of utilizing the same
US20180250104A1 (en) Tool for removal of extraneous foreign material from a tubular space by one or more of brushing, scrubbing, scraping, or wiping
US10869742B2 (en) Coupling mechanism for electric toothbrush
US20100050358A1 (en) Interdental brush
US10470558B2 (en) Toothbrush with moved elements
CN108289726B (zh) 能调节张力的牙线棒
JP6499615B2 (ja) 歯間ブラシ
KR20100043124A (ko) 쌍둥이 칫솔
KR20140000309U (ko) 칫솔
KR200465802Y1 (ko) 양면 칫솔
WO2018109681A1 (en) Multi-purpose interdental brush
KR200292879Y1 (ko) 각도조절기능이 구비된 치간칫솔
JP5785819B2 (ja) 歯ブラシ
US20130185882A1 (en) Head For An Oral Hygiene Device
KR101780003B1 (ko) 절곡칫솔모가 구비되는 칫솔
KR20210111087A (ko) 칫솔모의 착탈식 칫솔
KR200472006Y1 (ko) 치간 칫솔
KR200374531Y1 (ko) 칫솔
KR200467822Y1 (ko) 복수의 브러시를 구비하는 치간 칫솔
KR20090106182A (ko) 칫솔
KR100974437B1 (ko) 교환날짜 표시부가 구비된 칫솔
JP6576882B2 (ja) 歯間ブラシ及び歯間ブラシ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