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663B1 -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 - Google Patents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663B1
KR100929663B1 KR1020090005172A KR20090005172A KR100929663B1 KR 100929663 B1 KR100929663 B1 KR 100929663B1 KR 1020090005172 A KR1020090005172 A KR 1020090005172A KR 20090005172 A KR20090005172 A KR 20090005172A KR 100929663 B1 KR100929663 B1 KR 100929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acking
connection
bolt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호
Original Assignee
벽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벽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벽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벽 또는 복층벽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해 하수관의 양쪽 끝 부분에 융착 연결링을 융착하여 용접 연결하고 스톱퍼의 안쪽에서 접이협 플랜지를 이용 하수관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프로파일로 이루어지며 양쪽 끝 부분에서 플랜지의 연결돌기에 형성한 볼트공과 패킹의 연결부에 형성한 구멍을 볼트로 관통하여 너트로 조임력을 제공하여 플랜지 사이의 패킹을 고정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의 끝 부분에서 융착 용접연결하는 융착 연결부(15)를 형성하며 연결돌기(11)에서 패킹(30) 방향으로 지지돌기(13)를 형성하고 패킹(30)과 맞닿는 밀착돌기(16)를 형성한 플랜지(1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것이다.
Figure R1020090005172
플랜지, 하수관, 접이형

Description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Fold type drain pipe for flange}
본 발명은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벽 또는 복층벽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해 하수관의 양쪽 끝 부분에 융착 연결링을 융착하여 용접 연결하고 스톱퍼의 안쪽에서 접이협 플랜지를 이용 하수관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부에 사각형이나 원형의 프로파일이 형성되거나 열십자 형태의 보강대가 형성된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하수관(20, 20a)은 주로 액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하수관은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여 지중에 매설할 수 없는 것이므로 소정의 길이로 생산과정에서 절단한 후 작업 현장으로 이동하여 다양한 연결방법을 사용하여 연결하게 된다.
하수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주로 플랜지 연결방법과, 시트를 한바퀴 감아서 전기를 공급하는 시트 융착방법 및 맞대기하여 융착에 의해 용접하는 맞대기 융착 법 등이 제안되었다.
상기의 다양한 융착방법 중 플랜지 연결방법은 하수관의 끝 부분에 플랜지를 융착하여 연결한 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플랜지 연결방법은 하수관의 외경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외측으로 더 돌출시킨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를 양쪽에서 체결하여 체결력으로 패킹에 의한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방법이다.
상기 플랜지 연결방법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플랜지의 돌출 부분에서 체결할 때 플랜지의 사이가 떨어져 있으므로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이 중심방향으로 작용하면서 플랜지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의 특성상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플랜지가 중심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체결력이 서서히 약해지게 되는 결점이 있으며, 이러한 결점으로 인하여 체결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결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성형한 하수관의 양쪽 선단에서 플랜지의 융착 연결부를 융착 용접하여 연결한 후 현장에서 플랜지에 형성한 연결돌기에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하수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랜지에 형성한 밀착돌기의 사이에 패킹을 설치하며, 패킹의 양쪽으로 플랜지에서 돌출된 지지돌기가 지지가 되어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이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로파일로 이루어지며 양쪽 끝 부분에서 플랜지의 연결돌기에 형성한 볼트공과 패킹의 연결부에 형성한 구멍을 볼트로 관통하여 너트로 조임력을 제공하여 플랜지 사이의 패킹을 고정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의 끝 부분에서 융착 용접연결하는 융착 연결부를 형성하며 연결돌기에서 패킹 방향으로 지지돌기를 형성하고 패킹과 맞닿는 밀착돌기를 형성한 플랜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성형한 하수관의 양쪽 선단에서 플랜지의 융착 연결부를 융착 용 접하여 연결한 후 지중에 매설하는 현장에서 플랜지에 형성한 연결돌기의 볼트공에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하수관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하수관의 연결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랜지에 형성한 밀착돌기의 사이에 패킹을 설치하여 플랜지에서 제공하는 조임력으로 하수관의 수밀이 유지되며, 패킹의 양쪽으로 볼트가 관통되는 부분에서 플랜지에서 돌출된 지지돌기가 위치하면서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결력이 저하되지 않고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관과 플랜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도록 하며, 플랜지에 같은 간격으로 설치한 다수의 지지핀이 패킹의 양쪽에서 맞닿도록 함으로써 체결력으로 패킹의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플랜지가 변형되지 않고 체결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체결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수관(20, 20a)은 내부에 사각형이나 원형의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원통형으로 성형하거나, 내부에 열십자 형태의 보강대를 갖는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공 한다.
상기 하수관(20, 20a)은 내부가 단일층이나 이중 또는 삼중과 같이 압출 형태로 성형하는 관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수관(20, 20a)의 양쪽 끝 부분에는 플랜지(10)가 융착 용접방법으로 일체형이 되도록 연결하는 것이며, 플랜지(10)는 한 조로 이루어져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한 조의 플랜지(10)는 하수관(20, 20a)과 같은 규격을 갖는 융착 연결부(15)가 돌출되어 있어서 융착 연결부(15)와 하수관(20, 20a)을 연결시켜야 하는 끝 부분을 가열하여 용융되도록 한 후 맞대기하여 냉각시키는 방법으로 일체형이 되도록 융착 용접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융착 연결부(15)보다 더 큰 지름을 갖도록 돌출된 플랜지(10)는 같은 간격에 연결돌기(11)를 더 돌출시키고, 연결돌기(11)에는 볼트공(12)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플랜지(10)의 한 방향에는 패킹(30)과 맞닿는 밀착돌기(16)를 돌출시키는 것이며, 융착 연결부(15)와 같은 규격으로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 쌍의 플랜지(10)의 융착 연결부(15)의 사이에는 패킹(30)이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돌기(11)에서 패킹(3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볼트공(12)의 외측으로 반원형이나 호상으로 지지돌기(13)를 형성하여 패킹(30)과 맞닿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플랜지(10)의 밀착돌기(16) 방향으로 연결돌기(11)의 사이에는 같은 간격으로 지지핀(14)이 밀착돌기(16)와 같은 높이로 설치되어 밀착돌기(16)의 사이에 패킹(30)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패킹(30)은 연결돌기(11)와 같은 위치에 연결부(31)를 형성하고 볼트공(12)과 일치하도록 구멍(32)을 형성하는 것이며, 플랜지(10)의 밀착돌기(16)사이에 설치되어 하수관(20, 20a)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플랜지(10)는 하수관(20, 20a) 방향으로 보호링(40)을 더 돌출시켜 하수관(20, 20a)의 외경을 감싸도록 할 수 있으며, 융착 연결부(15)에는 융착돌기(41)를 돌출시켜 용융이 잘 일어나서 하수관(20, 20a)과 융착 용접연결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원형이나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프로파일 또는 열십자 형태의 보강대가 형성된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나선형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원통형으로 성형하거나, 압출에 의해 단일층이나 이중 또는 삼중으로 형성한 하수관(20, 20a)을 생산과정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다.
상기 하수관(20, 20a)의 양쪽 끝 부분과 플랜지(10)의 융착 연결부(15)에는 열원을 공급하여 표면이 용융되도록 한 후 맞대기 방법으로 일체형이 되도록 융착 용접하거나, 하수관(20, 20a)의 끝 부분과 플랜지(10)의 융착 연결부(15)를 맞대기하여 만나는 부분의 외경에서 용융된 수지를 공급하여 원주방향에서 일체형으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수관(20, 20a)이 완성되면 양쪽 끝 부분에 융착 연결부(15)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수관(20, 20a)을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하수관(20, 20a)의 끝 부분에 연결한 플랜지(10)가 서로 마주 보도록 한 후 밀착돌기(16)의 사이에 패킹(30)이 위치하도록 결합한다.
상기 플랜지(10)의 연결돌기(11)에 형성한 볼트공(12)에 볼트(12)를 관통하고 패킹(30)의 연결부(31)에 형성한 구멍(32)을 관통한 후 상대편에 있는 연결돌기(11)의 볼트공(12)을 관통하여 볼트(12)가 노출되도록 한다.
노출된 볼트(12)에 너트(22)를 결합하여 체결력을 제공하면 플랜지(10)의 볼트공(12)에서 발생하는 체결력으로 하수관(20, 20a)이 패킹(30)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플랜지(10)를 통하여 발생하는 체결력으로 플랜지(10)의 밀착돌기(16) 사이에 패킹(30)이 위치하게 되므로 패킹(30)은 밀착돌기(16)에 의한 체결력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면서 하수관(20, 20a)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볼트(21)와 너트(22)를 사용한 플랜지(10)의 체결시에는 연결돌기(11)가 수지이므로 패킹(30)이 설치된 방향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으나, 지지돌기(13)가 패킹(30)의 양쪽에서 만나게 되므로 플랜지(10)의 연결돌기(11)가 체결력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돌기(11)가 패킹(30)의 연결부(31)를 양쪽에서 체결력으로 안정되게 지지하므로 패킹(30)이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플랜지(10)의 연결돌기(11)를 체결할 때 지지핀(14) 역시 체결력에 의 해 패킹(30)의 양쪽을 지지하게 되므로 플랜지(10)의 휨 또는 변형을 방지하여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플랜지(10)에 형성한 보호링(40)은 융착 연결부(15)가 하수관(20, 20a)과 융착 용접된 후 하수관(20, 20a)의 외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보호링(40)의 끝 부분에서 용융수지를 공급하여 한바퀴 감싸면서 보호링(40)이 하수관(20, 20a)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융착 연결부(15)에 형성한 융착 돌기(41)는 같은 간격으로 다수개를 형성하여 열원이 공급될 때 융착 돌기(41)가 융착 연결부(15)에 비하여 빨리 용융되어 하수관(20, 20a)과 연결부위에서 많은 용융상태가 제공되어 신속하고 안정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관의 양쪽 끝 부분에 융착 용접 연결하여 현장에서 지중에 하수관을 매설할 때 연결돌기에서 볼트와 너트가 체결력을 제공하여 플랜지 사이의 패킹을 통하여 하수관의 수밀을 유지하면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지지돌기와 지지핀을 통하여 체결력에 의해 플랜지의 변형이나 체결력의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하수관과 플랜지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플랜지에 대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하수관에 플랜지를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하수관을 플랜지로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을 복층벽 하수관에 적용한 상태의 분리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도 7에 대한 연결상태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랜지 11 : 연결돌기
12 : 볼트공 13 : 지지돌기
14 : 지지핀 15 : 융착 연결부
16 : 밀착돌기 20, 20a : 하수관
21 : 볼트 22 : 너트
30 : 패킹 31 : 연결부
32 : 구멍

Claims (4)

  1. 프로파일로 이루어지며 양쪽 끝 부분에서 플랜지(10)의 연결돌기(11)에 형성한 지지돌기(13)의 내부에 볼트공(12)과 패킹(30)의 연결부(31)에 형성한 구멍(32)을 볼트(21)로 관통하여 너트(22)로 조임력을 제공하여 플랜지(10) 사이의 패킹(30)을 고정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하수관(20, 20a)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20, 20a)의 끝 부분에서 융착 연결부(15)를 형성하여 융착 용접연결하며, 상기 연결돌기(11)에서 패킹(30) 방향으로 형성한 지지돌기(13)의 안쪽으로 패킹(30)과 맞닿는 밀착돌기(16)를 형성한 플랜지(1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연결형 하수관.
  2. 제 1항에 있어서,
    플랜지(10)는 패킹(30) 방향으로 지지돌기(13)의 사이에 같은 간격으로 패킹(30)에 맞닿아 양쪽에서 패킹(20)을 눌러 고정하는 지지핀(14)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연결형 하수관.
  3. 삭제
  4. 삭제
KR1020090005172A 2009-01-21 2009-01-21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 KR100929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172A KR100929663B1 (ko) 2009-01-21 2009-01-21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172A KR100929663B1 (ko) 2009-01-21 2009-01-21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9663B1 true KR100929663B1 (ko) 2009-12-03

Family

ID=4168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172A KR100929663B1 (ko) 2009-01-21 2009-01-21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6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657Y1 (ko) * 2001-07-24 2001-11-22 이권발 균등안전대가 형성된 접이형 플랜지를 이용한 파이프의연결구조
KR20030041938A (ko) * 2003-05-12 2003-05-27 백충원 플랜지가 부착된 고밀도 폴리에틸렌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9274A (ko) * 2002-04-03 2003-10-10 조삼태 소직경부가 형성된 이음관용 플랜지
KR200359265Y1 (ko) * 2004-05-25 2004-08-16 주식회사 에스피 파이프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657Y1 (ko) * 2001-07-24 2001-11-22 이권발 균등안전대가 형성된 접이형 플랜지를 이용한 파이프의연결구조
KR20030079274A (ko) * 2002-04-03 2003-10-10 조삼태 소직경부가 형성된 이음관용 플랜지
KR20030041938A (ko) * 2003-05-12 2003-05-27 백충원 플랜지가 부착된 고밀도 폴리에틸렌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359265Y1 (ko) * 2004-05-25 2004-08-16 주식회사 에스피 파이프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7502A1 (en) Electrofusion fitting
US20080001394A1 (en) Electrofusion saddle wye
KR102028180B1 (ko) 파이프 구조체
US8372229B2 (en) Method for coupling corrugated pipe segments
CN101223022B (zh) 电焊套筒组件和利用电焊套筒组件来产生管道连接的方法
KR200399453Y1 (ko) 신축편수관 연결장치
KR100929663B1 (ko)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
KR20150090550A (ko) 연결용 유닛이 구비된 파형강관
KR100921992B1 (ko)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
JP7365176B2 (ja) 継手
KR101111166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수도관
US20030214131A1 (en) Coupling-equipped pip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RU2616723C2 (ru)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KR100743207B1 (ko) 플랜지 일체형 접속용 합성수지관
KR20090092590A (ko) 이음관의 이탈방지용 전기융착식 연결장치
KR100572017B1 (ko) 수축망과 가교시트를 이용한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5947A (ko)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255291B2 (ja) 分岐管継手、この分岐管継手の製造方法
KR20090035979A (ko) 관이음용 조인트
KR100688430B1 (ko) 끼움 결합식 배관재
KR200380676Y1 (ko) 가스관 연결장치
KR20080001062U (ko) 관연결부 일체형 고강도관의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100540211B1 (ko) 요철관을 이용한 연결용 이중벽 하수관
KR100433812B1 (ko) 합성수지관 융착용 분할형 연결관
KR101044931B1 (ko) 수밀용 열수추관 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