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430B1 - 끼움 결합식 배관재 - Google Patents

끼움 결합식 배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430B1
KR100688430B1 KR1020050029810A KR20050029810A KR100688430B1 KR 100688430 B1 KR100688430 B1 KR 100688430B1 KR 1020050029810 A KR1020050029810 A KR 1020050029810A KR 20050029810 A KR20050029810 A KR 20050029810A KR 100688430 B1 KR100688430 B1 KR 100688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upling
groove
fitting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7615A (ko
Inventor
신종수
Original Assignee
신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수 filed Critical 신종수
Priority to KR1020050029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430B1/ko
Publication of KR20060107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6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ionising radi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끼움 결합식 배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활용 상,하수용관이나 공업용관으로 사용되는 이중벽관 또는 삼중벽관 등의 배관재 선단 양측에 암,수 형상으로 구분되는 결합홈과 결합구가 각각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계속해서 연결되는 복수개의 배관재를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상기 결합홈과 결합구만으로 결합되도록 용이한 이음수단이 형성된 끼움 결합식 배관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배관재는 별도의 지지부재나 연결부재 없이 이음되도록 배관재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 내주면으로 타측에 형성된 결합구를 억지끼움으로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비용이 절감되는 한편, 작업자로 하여금 장착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되는 결합구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밀폐용 패킹이 형성되어 결합홈의 내주면과 압착 결합됨에 따라 배관재 관통공 내부에서 흐르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함으로써 기밀함이 높게 유지되고, 이러한 배관재는 별도부재 없이 결합됨으로써 이음매의 외관 형상이 동일관으로 처리되어 미관상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식 배관재에 관한 것이다.
배관재, 이중벽관, 삼중벽관, 패킹, 오수, 우수

Description

끼움 결합식 배관재{A inserting-type pipe}
도 1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3은 종래 배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 배관재의 다른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a ... 배관재 20 ... 전기융착연결관
21 ... 열선 30 ... 열수축시트
40 ... 스테인레스 밴드 41 ... 앵글
42 ... 보강대 43 ... 볼트
44 ... 너트 100,100a ... 배관재
110,110a ... 결합구 111,111a ... 걸림턱
112,112a ... 패킹홈 120,120a ... 결합홈
121,121a ... 걸림홈 122,122a ... 단턱
130,130a ... 관통공 140,140a ... 발포층
300 ... 패킹
본 발명은 끼움 결합식 배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활용 상,하수용관이나 공업용관으로 사용되는 이중벽관 또는 삼중벽관 등의 배관재 선단 양측에 암,수 형상으로 구분되는 결합홈과 결합구가 각각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계속해서 연결되는 복수개의 배관재를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상기 결합홈과 결합구만으로 결합되도록 용이한 이음수단이 형성된 끼움 결합식 배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재는 철금속재가 부식되는 단점을 보완하여 형성한 도금형관과 비철금속재관 및 콘크리트관으로 크게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철금속 도금형관이나 비철금속 배관재는 제조원가가 고가인데다 설치후 쉽게 부식되는 등 설비제작시 비경제적이고, 사후관리시 비효과적인 문제가 발생되었다.
최근에는 석유화학공업이 발달되어 개발된 합성수지관을 주로 사용하여 각 가정과 공장 등의 식수 배관인 상수도관, 오 폐수 및 우수 배관인 하수도관 뿐만 아니라 독극성이 강한 유체 등의 공업용 배관재로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플라스틱 배관재에는 폴리에틸렌과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등을 소재로 한 배관재가 상술한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관재는 대체로 사용되는 관의 직경이 매우크고 땅 속에 매설되기 때문에 내압성과 수밀성이 양호하게 제조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배관재의 단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구조의 이중벽관과 삼중벽관이 차례로 진보되며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상기 이중벽관 또는 삼중벽관 등의 배관 재는 제조시 열수축 정도의 차이로 인하여 중공부를 따라 외부 둘레면이 나선형으로 우묵하게 함몰된 홈이 형성되며, 양 단부면에는 하수관벽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가 노출되어 양 단부 테두리의 일부가 갈라진 홈의 형태로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상기 이중벽관 또는 삼중벽관은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의하여 관과 관을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사용도중 하중등의 외압에 의해 관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배관재의 연결작업은 배관재의 소재와 형상 못지 않게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는 것으로 상기 합성수지 배관재를 연결하는 종래의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융착시트(Electronic fusion sheet)에 의한 연결 방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재(10,10a)를 맞대어 수평으로 정렬시키고 접합부위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열선(21)이 내장된 전기융착연결관(20)으로 접합부위를 감고 단부를 고정시킨다. 이렇게 고정된 전기융착연결관(20)의 열선(21)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선(21)에서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에 의해 전기융착연결관(20)의 내면과 배관재 (10,10a)의 외면을 녹이면서 융착시키게 되어 맞닿은 배관재(10,10a)를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기융착시트 방식은 전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전기공급이 원할하지 못한 지역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전기융착연결관(20)이 겹쳐서 포개지는 부분에 융착력이 약해져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전기융착시트 방식은 우천시 공사가 어렵고 다수개의 배관재(10,10a)를 연결 하는 공사에서는 동시 시공이 어려워 공사기간이 길어지며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같이 소켓밴드접합 방식은 역시 배관재(10,10a)를 맞대어 수평으로 정렬시키고 접합부위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열수축시트(30)를 감고 토치램프를 이용해 열수축시트(30)의 단부를 양단이 밀려나올 정도로 가열하여 부착하게 되는데, 이렇게 가열한 후 열수축시트(30)를 스테인레스 밴드(40)로 감싸 앵글(41)을 대향하게 위치시키고 이 앵글(41)을 보강대(42)로 지지하여 볼트(43)와 너트(44)로 고정시키면 상기 배관재(10,10a)가 연결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합방식은 배관재(10)와 타 배관재(10a)를 이음하기 위해 별도로 형성되는 연결 지지부재가 반드시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한 작업공수가 2중 이상으로 소모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한편, 별도의 연결부재로 인해 배관재(10,10a)의 외주면으로 단턱이나 돌출부가 형성되는 등 미관상 매끄럽지 못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별도의 지지부재나 연결부재 없이 이음되도록 배관재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 내주면으로 타측에 형성된 결합구를 억지끼움으로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비용이 절감되는 한편, 작업자로 하여금 장착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되는 결합구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밀폐용 패킹이 형성되어 결합홈의 내주면과 압착 결합됨에 따라 배관재 관통공 내부에서 흐르는 유체 의 누수를 방지함으로써 기밀함이 높게 유지되고, 이러한 배관재는 별도부재 없이 결합됨으로써 이음매의 외관 형상이 동일관으로 처리되어 미관상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식 배관재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유로가 마련되는 배관재의 일측 선단부에 형성되되, 타 배관재의 결합홈으로 대응되게 삽입되는 한편, 삽입되는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패킹과 걸림턱이 형성된 결합구와, 상기 배관재의 타측 선단부에 형성되되, 타 배관재의 결합구가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내주면에는 걸림턱과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림된 결합구가 좌,우 유동되지 않도록 내측에 단턱이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구 외경에 끼워져 결합홈에 삽입 시 배관재의 연결 이음매를 완전 밀폐하도록 조장하는 패킹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식 배관재를 제공함에 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끼움 결합식 배관재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배관재(100)의 일측 선단부에 외주면을 절삭가공하여 형성한 결합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재(100)의 타측 선단부에는 내주면을 절삭가공하여 상기 결합구(110)가 대응되어 결합되는 결합홈(120)이 형성되는 한편, 이러한 결합구(110)와 결합홈(120)이 결합 시 내부 관통공(130)을 흐르는 유체가 이음매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결합구(110) 외주면에 패킹(300)을 형성하여 억지끼움으로써 기밀을 유지하게 되며 연결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배관재(100)의 결합구(110)에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111)이 마련되고, 상기 걸림턱(111)은 삽입되는 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타 배관재(100a)의 걸림홈(121a)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유도되는 한편, 상기 외주면에는 걸림턱(111)과 이격되는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패킹(300)이 끼워져 안착될 수 있도록 패킹홈(11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배관재(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 배관재(100a)와 용이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바, 이는 상술한 배관재(10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구(110)가 타 배관재(100a)의 결합홈(120a)으로 밀어끼워 상,호 대응되는 형상이 맞물려 체결되는 것이다.
이는 타 배관재(100a)의 결합홈(120a)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그 외주면에는 걸림홈(121a)과 대응되는 걸림턱(11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21a)에 의해 걸림된 결합구(110)가 좌,우 유동되지 않도록 타 배관재(100a)의 내부에 단턱(122a)이 형성되어 배관재(100)와 타 배관재(100a)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관재(100)의 결합구(110)에는 다수개의 패킹(300)이 외주면을 감싸며 형성되어 타 배관재(100a)의 결합홈(120a)에 삽입되어 결합됨에 있어서, 상술한 배관재(100,100a)의 연결 이음매를 완전 밀폐하도록 조장하는 역활을 하며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결합구(110)는 배관재(100)의 일측 선단 외주면을 내측으로 절삭가공하고, 상기 결합홈(120)은 배관재(100) 타측 선단 내주면을 외측으로 절삭가공하여 상기 배관재(100)를 일렬로 정열하여 결합함에 있어서, 일 배관재(100)의 결합구(110)가 타 배관재(100a)의 결합홈(120a)에 상술한 형상에 따른 암,수 결합으로 이음매가 동일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차지지 않게끔 구성된다.
이때, 관통공(130,130a)을 흐르는 유체의 누수를 막기 위해 패킹(300)이 결합구(110)의 외주면과 결합홈(120a) 내주면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패킹(300)은 통상의 고무 O-RING을 결합구(110)의 패킹홈(112,112a)에 끼워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또는 면적이 넓은 손목아대형으로 된 패킹을 결합구(110) 외주면에 끼워 사용할 수도 있으며, 아울러 결합구(110)가 삽입되는 수직 단부와 결합홈(120a)의 단턱(122a) 사이에 상기 패킹(300)을 끼워 밀폐를 조장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구조를 갖는 배관재(100)는 이중벽관이나 삼중벽관 등에도 동일하게 실현 가능한 것으로, 특히 상술한 이중벽관이나 삼중벽관의 중공부에는 지하 매설로 인한 내압성과 수밀성을 우수하게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에 합성수지재를 충진하여 발포층(140)이 형성되도록 한 뒤, 상기 결합구(110)와 결합홈(120)을 상기 이중벽관이나 삼중벽관의 양단에 각각 절삭가공하여 형성함으로써 배관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구(100)과 결합홈(200)이 형성된 배관재(100)는 상술한 이중벽관이나 삼중벽관 외에도 다층벽관, 적층관, 우오수분류식하수관, 일반평활하수관 등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이는 숙련공의 노련한 배관기술 없이도 간편하게 배관연결을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끼움 결합식 배관재는, 별도의 지지부재나 연결부재 없 이 이음되도록 배관재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 내주면으로 타측에 형성된 결합구를 억지끼움으로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비용이 절감되는 한편, 작업자로 하여금 장착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되는 결합구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밀폐용 패킹이 형성되어 결합홈의 내주면과 압착 결합됨에 따라 배관재 관통공 내부에서 흐르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함으로써 기밀함이 높게 유지되고, 이러한 배관재는 별도부재 없이 결합됨으로써 이음매의 외관 형상이 동일관으로 처리되어 미관상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끼움 결합식 배관재에 있어서,
    내측에 관통공(130)이 형성되어 유로가 마련되는 배관재(100)의 일측 선단부에 형성되되, 타 배관재(100a)의 결합홈(120a)으로 대응되게 삽입되는 한편, 삽입되는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패킹(300)과 걸림턱(111)이 형성된 결합구(110)와,
    상기 배관재(100)의 타측 선단부에 형성되되, 타 배관재(100a)의 결합구(110a)가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내주면에는 걸림턱(110a)과 대응되는 걸림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21)에 걸림된 결합구(110a)가 좌,우 유동되지 않도록 내측에 단턱(122)이 형성된 결합홈(120)과,
    상기 결합구(110) 외주면에 끼워져 타 배관재(100a)의 결합홈(120a)에 삽입 시 배관재(100,100a)의 연결 이음매를 완전 밀폐하도록 조장하는 패킹(30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식 배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110)의 걸림턱(111)은 외주면을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111)은 삽입되는 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걸림홈(121a)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유도되는 한편, 상기 외주면에는 걸림턱(111)과 이격되는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패킹(300)이 끼워져 안착될 수 있도록 패킹홈(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식 배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110)는 배관재(100)의 일측 선단 외주면을 내측으로 절삭가공하고, 결합홈(120)은 배관재(100) 타측 선단 내주면을 외측으로 절삭가공하여 배관재(100)와 타 배관재(100a)가 연결 결합시 상기 결합구(110)와 결합홈(120a)가 상술한 절삭가공에 의해 암,수 결합됨으로써 이음매가 동일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식 배관재.
KR1020050029810A 2005-04-11 2005-04-11 끼움 결합식 배관재 KR100688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810A KR100688430B1 (ko) 2005-04-11 2005-04-11 끼움 결합식 배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810A KR100688430B1 (ko) 2005-04-11 2005-04-11 끼움 결합식 배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615A KR20060107615A (ko) 2006-10-16
KR100688430B1 true KR100688430B1 (ko) 2007-03-08

Family

ID=3762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810A KR100688430B1 (ko) 2005-04-11 2005-04-11 끼움 결합식 배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8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338B1 (ko) * 2012-08-31 2014-07-31 장기운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338B1 (ko) * 2012-08-31 2014-07-31 장기운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615A (ko) 200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1403B2 (en) Interlocked restraint for a plastic pipe joining system
KR101011018B1 (ko) 밀림방지와 삽입 후 분리 방지 패킹용 상하수도관
RU2709896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деталь для многослой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и узел, полученный таким способом
KR101324938B1 (ko) 플랜지형 비용접 이음관
KR200441980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
KR200399453Y1 (ko) 신축편수관 연결장치
KR100688430B1 (ko) 끼움 결합식 배관재
KR100982715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 편수관 연결구조
KR200399517Y1 (ko) 임플란트 방식 배관재
CN203686450U (zh) 一种钢带增强聚乙烯螺旋波纹管所用的承插接头
KR200423520Y1 (ko) 배관재 연결구
KR200483288Y1 (ko) 배관 연결장치
JP2007278440A (ja) 合成樹脂管継手
KR200416911Y1 (ko) 배관재 연결구
JP7049280B2 (ja) 可撓性継手管
CN210336936U (zh) 一种塑料管道接合辅助装置
KR20070084774A (ko) 배관재 연결구
CN220706650U (zh) 钢塑转换接头
KR101113813B1 (ko) 매설 연결용 하수관의 연결방법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KR20090035979A (ko) 관이음용 조인트
JP6862481B2 (ja) 可撓性継手管
KR200337783Y1 (ko) 배관재의 결합장치
KR100786669B1 (ko) 내압성이 뛰어난 배관용 파이프부속 및 그 전기융착방법
KR100540211B1 (ko) 요철관을 이용한 연결용 이중벽 하수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