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406B1 -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 - Google Patents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406B1
KR100929406B1 KR1020070137954A KR20070137954A KR100929406B1 KR 100929406 B1 KR100929406 B1 KR 100929406B1 KR 1020070137954 A KR1020070137954 A KR 1020070137954A KR 20070137954 A KR20070137954 A KR 20070137954A KR 100929406 B1 KR100929406 B1 KR 100929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disconnection
cover
present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0074A (ko
Inventor
조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70137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406B1/ko
Publication of KR20090070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12Two or more separate fusible members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43Electrical contacts; Fastening fusible members to such contacts
    • H01H85/147Parallel-sid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2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s for carrying, holding, or retaining fuse, co-operating with base or fixed holder, and removable therefrom for renewing the fuse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퓨즈가 일체로 형성된 멀티퓨즈의 커버에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이에 도전체로 형성된 예비퓨즈로 슬라이딩 결속시키도록 함으로써 과전류 도통시 단선부가 단선되는 경우 도전판의 슬라이딩 체결로 강제도통되도록 하여 임시로 차량을 강제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 전원과 연결되며 외부로 돌출된 전원연결부와, 상기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과전류 도통시 단선되는 단선부와, 전원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단선부를 덮는 커버부가 형성된 멀티 퓨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내부에 단선부가 형성된 측의 일면에 도전체로 형성된 예비퓨즈가 결속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로부터 타방으로 이어지고 상기 예비퓨즈가 슬라이딩 결속되도록 내부에 단선부가 형성된 측의 일측면 및 대향하는 타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를 제공한다.
멀티퓨즈, 예비퓨즈, 가이드홈, 단선부

Description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 {MULTIFUSE OF BEING MOUNTED SPARE FUSE}
도 1은 종래의 멀티퓨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비퓨즈 장착 후의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의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00 :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 210 : 전원연결부
220 : 단선부
230 : 커버부 240 : 인입구
250 : 가이드홈 260 : 예비퓨즈
270 : 삽입공 290 : 투명창
본 발명은 멀티퓨즈의 커버에 예비퓨즈를 결속시킬수 있는 가이드홈을 구비 한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퓨즈가 일체로 형성된 멀티퓨즈의 커버에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이에 도전체로 형성된 예비퓨즈로 슬라이딩 결속시키도록 함으로써 과전류 도통시 단선부가 단선되는 경우 도전판의 슬라이딩 체결로 강제도통되도록 하여 임시로 차량을 강제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최근 성능이 고도화 됨으로써 많은 전장품이 요구되고 있다.
자동차에 채용되는 전장품은 전기적 구동을 위해 많은 배선이 연결되고 있으며, 이러한 배선이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전장품에 고장이 발생하여 전장품에 의존도가 높아진 자동차에 치명적인 결함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이러한 배선에는 퓨즈가 배열된 퓨즈박스를 거치도록 하여 과부하가 걸린 경우 퓨즈 내부에 형성된 단선부가 녹아 단선됨으로써 과부하로부터 전장품을 보호하고 있다.
이에 대한 종래 퓨즈박스는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 10-2004-0015974 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멀티퓨즈(10)는 메인 버스(12)와 서브 버스(14)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인 버스(12)와 서브버스(14)는 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서브 버스(14)에는 부하로 연결될 다양한 용량의 퓨즈(16)들이 체결되어 있다
종래의 멀티퓨즈는 버스형 퓨즈를 채택한 점이 종래 볼트체결 퓨즈와 다르 다.
또한, 메인버스(12)의 일단은 멀티퓨즈(10)의 외부에서 차량용 배터리(20)의 +단자측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일단(141)이 메인 버스(12)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서브 버스(14)에 체결된 퓨즈(16)들의 타단(142)은 차량의 추가부하(17)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퓨즈(16)들의 용량은 차량에 연결될 부하의 종류 및 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미리 설정된 용량 이상이 요구되는 부하의 경우에는 기존의 퓨즈 박스에서 처리할 수 있다.
종래의 멀티퓨즈(10)는 차량의 보조 퓨즈 박스를 대체하도록 설계되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의 메인 퓨즈 박스를 대체할 수도 있으며, 메인 퓨즈 박스와 보조 퓨즈 박스를 통합한 일체형의 멀티퓨즈 박스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멀티퓨즈(10)는 여러 종류의 퓨즈를 하나의 퓨즈 박스에 일체화 시켜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엔진룸의 레이아웃 구성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퓨즈박스는 서지현상 및 과부하 등 일시적 이상에 의해 퓨즈가 용단되면, 멀티퓨즈에 적용되는 예비퓨즈가 없어 멀티퓨즈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퓨즈 용단으로 인해 멀티퓨즈의 교체전까지 차량을 운행할 수 없어 근거리 정비소 이동까지 레카 차량등을 이용해 이동시키는 수 밖에 없는 경제적 손 실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퓨즈의 커버부에 도전체로 형성된 예비퓨즈를 슬라이딩 결속될 수 있도록 인입구 및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멀티퓨즈의 어느 하나가 용단된 경우 이에 예비퓨즈를 결속하여 강제 운행 가능하도록 하는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부 중 단선부의 전,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단선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 형성하여 멀티퓨즈 중 용단된 퓨즈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는, 일측에 전원과 연결되며 외부로 돌출된 전원연결부와, 상기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과전류 도통시 단선되는 단선부와, 전원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단선부를 덮는 커버부가 형성된 멀티 퓨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내부에 단선부가 형성된 측의 일면에 도전체로 형성된 예비퓨즈가 결속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로부터 타방으로 이어지고 상기 예비퓨즈가 슬라이딩 결속되도록 내부에 단선부가 형성된 측의 일측면 및 대향하는 타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비퓨즈는 알미늄, 동, 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내부에 단선부가 형성된 면의 전,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투명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비퓨즈 장착 후의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200)는 전원연결부(210), 단선부(220), 커버부(230)로 형성된다.
전원연결부(210)는 일단이 전장품(미도시)의 전원과 연결되며 커버부(230)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며, 전원연결부(210)의 타단은 커버부(230) 내부에 형성된 단선부(220)와 연결된다.
전원연결부(210)는 통상의 전도체로 형성되며, 전기 전도율이 높은 동, 알루미늄, 은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선부(220)는 커버부(230)의 내부에 형성되고 전원연결부(210)와 연결되며, 내부에 과전류 차단하며, 과전류 통전시 단선부(220)의 용단으로 과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단선부(220)는 일반적인 퓨즈재료가 사용가능하며, 녹는점이 낮은 납과 주석 또는 아연과 주석의 합금을 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단선부(220)는 다수개가 나열되어 하나의 커버부(230) 내부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멀티퓨즈로 형성된다.
커버부(230)는 일측에 커버부(230)의 내부로 음각된 삽입공(270)이 형성된다.
삽입공(270)에는 알미늄, 동, 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전체로 형성되는 예비퓨즈(260)가 위치된다. 이때, 예비퓨즈(260)는 삽입공(270) 내에 수 개를 장착하여 구비할 수 있고 또는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200)가 체결되는 U/H BOX(미도시)내에 형성된 예비퓨즈 박스(미도시)에 구비하도록 하여 예비퓨즈(260)가 필요한 경우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삽입공(270)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커버부(230)와 결속되는 삽입구 커버(280)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구 커버(280)는 예비퓨즈(260)의 결속이 가능하도록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공(270)은 예비퓨즈(260)가 진입할 수 있도록 예비퓨즈(260)의 인입구(240)가 커버부(230)내의 단선부(220)와 접하는 면에 형성된다.
또한, 커버부(230)는 예비퓨즈(260)가 슬라이딩 결속되도록 내부에 단선부(220)가 형성된 측의 일측면 및 대향하는 타측면에 인입구(240)로부터 타방으로 이어지고 예비퓨즈(260)의 두께와 같은 크기로 음각된 가이드홈(250)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홈(250)은 예비퓨즈(260)의 결속시 예비퓨즈(260)와 단선부(220)의 접촉력을 높이기 위해 단선부(220)의 너비방면과 동일 방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예비퓨즈(260)의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200)로의 결속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선부(220)가 과부하로 인해 용단된 경우 전도체로 형성된 예비퓨즈(260)를 인입구(240)로부터 가이드홈(250)을 따라 밀어넣음으로써 단선부의 용단된 부분을 예비퓨즈를 통해 다시 도통시킬 수 있어 자동차의 강제운행이 가능하다.
또한, 커버부(230)는 내측에 단선부(220)가 형성된 측면의 전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투명창(290)을 형성한다.
투명창(290)은 모든 투명소재의 적용이 가능하나 원가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창(290)을 형성함으로써 단선부(220) 용단여부를 시각으로 즉시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의 구성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는 멀티퓨즈의 커버부에 도전체로 형성된 예비퓨즈를 슬라이딩 결속될 수 있도록 인입구 및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멀티퓨즈의 어느 하나가 용단된 경우 이에 예비퓨즈를 결속하도록 함으로써 강제 운행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부 중 단선부의 전,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단선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이 형성되어 멀티퓨즈 중 용단된 퓨즈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빠르고 정확하게 예비퓨즈를 결속해야 할 부분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측에 전원과 연결되며 외부로 돌출된 전원연결부와, 상기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과전류 도통시 단선되는 단선부와, 전원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단선부를 덮는 커버부가 형성된 멀티 퓨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내부에 단선부가 형성된 측의 일면에 도전체로 형성된 예비퓨즈가 결속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로부터 타방으로 이어지고 상기 예비퓨즈가 슬라이딩 결속되도록 내부에 단선부가 형성된 측의 일측면 및 대향하는 타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퓨즈는
    알미늄, 동, 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내부에 단선부가 형성된 면의 전,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투명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
KR1020070137954A 2007-12-26 2007-12-26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 KR100929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954A KR100929406B1 (ko) 2007-12-26 2007-12-26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954A KR100929406B1 (ko) 2007-12-26 2007-12-26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074A KR20090070074A (ko) 2009-07-01
KR100929406B1 true KR100929406B1 (ko) 2009-12-03

Family

ID=4132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954A KR100929406B1 (ko) 2007-12-26 2007-12-26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470B1 (ko) 2008-07-10 2011-01-06 주식회사 경신 멀티퓨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401A (ko) * 1996-12-23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용 예비휴즈 수납장치
KR100333907B1 (ko) 1999-06-11 2002-04-24 황창선 자동차용 복합형 기능박스
KR20030041259A (ko) * 2001-11-19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휴즈박스
JP2007179978A (ja) 2005-12-28 2007-07-12 Yazaki Corp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401A (ko) * 1996-12-23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용 예비휴즈 수납장치
KR100333907B1 (ko) 1999-06-11 2002-04-24 황창선 자동차용 복합형 기능박스
KR20030041259A (ko) * 2001-11-19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휴즈박스
JP2007179978A (ja) 2005-12-28 2007-07-12 Yazaki Corp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470B1 (ko) 2008-07-10 2011-01-06 주식회사 경신 멀티퓨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074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7907B2 (en) Battery pack and electric apparatus using battery pack
KR101461300B1 (ko) 퓨즈 유닛
US6830482B2 (en) Fusible link and method of producing said fusible link
EP2124239A1 (en) Multiple fuse device for vehicle
US9607798B2 (en) Fuse unit
US9236724B2 (en) Busbar unit
US20140211379A1 (en) Two sided 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
US9685294B2 (en) Fuse
DE102021106560A1 (de) Batteriepack
JP2005190735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CN108231616B (zh) 电压检测构造和电压检测模块
CN105992855B (zh) 用于机动车的侧门锁
EP3041024A1 (en) Direct-battery-mount fusible link
US6317312B1 (en) Power-supply breaker apparatus
KR100929406B1 (ko) 예비퓨즈 장착 멀티퓨즈
CN101305498B (zh) 开关设备
KR20150041035A (ko) 퓨즈 유닛
EP3673507B1 (de) Energiespeicheranordnung und fahrzeug mit energiespeicheranordnung
CN104241040A (zh) 用于断路器端子组件的导体引导部件
DE10017513B4 (de) Elektrisches Steuergerät
JP5159749B2 (ja) 半導体スイッチング装置
DE19940588B4 (de) Lüfter
WO2010063526A2 (de) Elektrowerkzeug mit einem gleichstrommotor und leistungselektronik
DE102008058137A1 (de) Elektrohandwerkzeug
DE102016008871B4 (de) Elektrischer Verbindungskasten und Verfahren zum Anordnen elektrischer Komponen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