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156B1 - 제본용 노트 - Google Patents

제본용 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156B1
KR100929156B1 KR1020090034088A KR20090034088A KR100929156B1 KR 100929156 B1 KR100929156 B1 KR 100929156B1 KR 1020090034088 A KR1020090034088 A KR 1020090034088A KR 20090034088 A KR20090034088 A KR 20090034088A KR 100929156 B1 KR100929156 B1 KR 100929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bookbinding
fixing means
pape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
Original Assignee
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철 filed Critical 정철
Priority to KR1020090034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10Files with adhesive strips for mounting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6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in which the fillings and covers are united by o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73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5/0086Sheet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01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B42D5/002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perforated or punched sheets having plural perforation lines, e.g. for detaching parts of th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본용 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체 제본이 수시로 가능한 제본용 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노트는 한 쌍의 표지와, 표지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고정 수단은 철부와, 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접착제가 마련되는 접착부와, 접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형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본용 노트{Note For Bookbinding}
본 발명은 제본용 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시로 자체 제본을 할 수 있는 제본용 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본(제책,製冊)은 서적이나 연구 논문, 또는 일반 문서, 낱장으로 된 서류, 인쇄물 등이 흩어지지 않게 하고, 읽기에 편하고 보관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책으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책을 제본하기 위해서는 인쇄소 또는 출판사에서 고가의 제본기를 이용하여 대량으로 책을 제본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자기만의 책을 제본하려면 상당히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 제본기를 이용하여 책을 제본하는 경우에는 한 권의 책으로 통채로 제본되므로 제본된 후에는 편집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그때 그때 수집되는 다양한 낱장의 서류 및 인쇄물 등을 보관용 책으로 제본하기 위해서는 자료가 모두 수집될 때까지 기다려야 해서 시간이 많이 들고, 그 사이 자료가 분실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낱장의 종이를 수시로 자체 제본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한 제본용 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노트는 한 쌍의 표지와, 상기 표지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철부와, 상기 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접착제가 마련되는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형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지와 상기 고정 수단은 본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지와 상기 고정 수단은 스프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수단은 투명한 비닐과 종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부착대상물의 재부착을 허용하는 접착력을 갖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부착대상물의 재부착 허용을 방지하는 접착력을 갖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접착부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상기 이형지는 상기 접착부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노트는 낱장의 서류 및 인쇄물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순차적으로 자체 제본하여 한 권의 책으로 형성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본의 완료 후에도 수시 편집이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본용 노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본용 노트(1)는 상면(2a)과 하면(2b)을 이루는 한 쌍의 표지(2)와, 한 쌍의 표지(2)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수단(10)을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 수단(10)에 의해 제본되도록 낱장의 종이로 이루어지는 인쇄물, 전단, 서류 등의 부착대상물(3)을 포함한다.
한 쌍의 표지(2)는 내측에 제본되어 지는 부착대상물(3)의 훼손이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내구성이 좋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 시트, 커버지 등을 이용한다.
고정 수단(10)은 한 쌍의 표지(2) 중심부에 본딩(B)되어 고정되며, 투명한 비닐 또는 종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수단(1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 형상이며, 일측에는 부착대상물(3)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부(12)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접착부(12)에 부착된 부착대상물(3)을 묶음으로 제본하기 위한 철부(11)가 마련된다.
철부(11)는 한 쌍의 표지(2)와 고정 수단(10)을 본딩(B)하기 위해 마련되며, 철부(11)가 마련된 복수의 고정 수단(10)을 한 쌍의 표지(2) 사이에 위치시키고 한 쌍의 표지(2) 내측 중심부와 고정 수단(10)의 철부(11)를 본딩(B)하여 한 권의 책을 형성한다.
이때, 철부(11)와 접착부(12)는 고정 수단의 재질 특성상 범위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폭과 넓이로 할 수 있다.
접착부(12)의 상면에는 접착제(13)가 부착된다.
접착제(13)는 접착부(1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이며, 부착대상물(3)의 재부착 허용을 방지하는 접착력을 갖는 재질과, 부착대상물(3)의 재부착을 허용하는 재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착대상물(3)의 재부착을 허용하는 재질로는 점착제가 있는데, 예를 들면 포스트 잇 등이 있다.
따라서, 접착제(13)는 고정 수단(10)의 접착부(12)에 부착대상물(3)을 완전히 부착시켜 장기간 부착 상태를 유지시킬 수도 있고, 점착성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해 부착대상물(3)을 몇 번씩 땠다 붙였다 할 수도 있다.
접착제(13)는 접착부(12)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접착부(12)의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접착제(13)의 크기가 접착부(12)와 같거나 커서 접착부(12)의 외측으로 흐르거나 노출되면, 분리되어야 할 각 부착대상물(3)들이 서로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접착제(13)의 상면에는 접착제(13)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한 막 또는 이러한 막이 코팅된 이형지(14)가 부착된다.
이형지(14)는 통상 라벨지 또는 견출지와 같은 종류로, 접착제(13)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가능한 재료의 막이 도포된 것으로 한다.
이러한 이형지(14)의 예로는 비닐, 또는 박리지 상에 실리콘이 형성된 구조가 있다.
이형지(14)는 접착제(13)의 접착력을 보호하도록 일시적으로 붙여진 것으로서, 부착대상물(3)의 부착 전에는 이형지(14)가 접착부(12)를 덮은 상태로 접착제(13)의 접착력을 유지시키고, 부착대상물(3)의 부착을 위해서 이형지(14)를 접착부(12)로부터 벗겨내면 접착제(13)가 노출되고 부착대상물(3)을 부착한다.
이형지(14)에는 일정 간격으로 홈이 형성된 절취선(15)이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접착부(12)로 부터 이형지(14)를 절취시 칼이나 별도의 도구의 도움없이도 형성된 홈을 따라 직접 절취할 수 있도록 하여 이형지(14)의 절취를 용이하게 한다.
절취선(15)은 이형지(14)의 가로(길이)와 세로(폭)방향으로 형성되며, 적어 도 한 개 이상 복수 개로 형성된다.
제본용 노트(1)는 일반적인 종이 크기인 A4 용지와, 이를 절반으로 자르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A1, A2, A3 등의 A 계열 종이와, B 계열 종이, 그리고 C 계열 종이 등 다양한 크기로 형성 가능하다.
이형지(14)의 절취선(15)은 이러한 다양한 용지 크기(A,B,C 계열 용지)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위치와 개수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절취선(15) 중 제1 절취선(15a)제1 절취선(15a)제2 절취선(15b)물(3)을 접착시 절취하고, 제2 절취선(15b)제3 절취선(15c)기의 부착대상물(3)을 접착시 절취하며, 제3 절취선(15c)은 A6 용지 크기의 부착대상물(3)을 접착시 절취한다.
따라서, 부착대상물(3)의 크기에 대응되는 이형지(14)의 절취선(15)을 제거하고, 그에 의해 노출되는 접착제(13)의 부분에 부착대상물(3)을 부착한다.
이렇게, 부착대상물(3)의 크기와 대응되는 절취선(15)이 형성된 이형지(14)를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는 부착대상물(3)의 부착시 부착대상물(3)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부착대상물(3)을 제본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본용 스프링 노트(1a)는 상면(2a)과 하면(2b)을 이루는 한 쌍의 표지(2)와, 한 쌍의 표지(2) 사이에 스프링(S)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 수단(10)을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 수단(10)에 의해 제본되도록 낱장의 종이로 이루어지는 인쇄 물, 전단, 서류 등의 부착대상물(3)을 포함한다.
한 쌍의 표지(2)는 내측에 제본되어 지는 부착대상물(3)의 훼손이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내구성이 좋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 시트, 커버지 등을 이용한다.
고정 수단(10)은 한 쌍의 표지(2) 사이에 스프링(S)으로 연결되며, 투명한 비닐 또는 종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수단(1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 형상이며, 표지(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수단(10)의 일측에는 부착대상물(3)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부(12)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접착부(12)에 부착된 부착대상물(3)을 묶음으로 제본하기 위한 철부(11)가 마련된다.
철부(11)는 한 쌍의 표지(2)와 고정 수단(10)을 스프링(S)으로 연결하기 위해 마련되며, 철부(11)의 일단부에는 복수의 홀(11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수단(10)을 한 쌍의 표지(2) 사이에 위치시키고, 철부(11)의 홀(11a)과 한 쌍의 표지(2)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일치시켜 스프링(S)으로 연결하여 제본한다.
접착부(12)의 상면에는 접착제(13)가 부착되며, 접착제(13)는 접착부(1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이며, 부착대상물(3)의 재부착 허용을 방지하는 접착력을 갖는 재질과, 부착대상물(3)의 재부착을 허용하는 재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접착제(13)는 고정 수단(10)의 접착부(12)에 부착대상물(3)을 완전히 부착시켜 장기간 부착 상태를 유지시킬 수도 있고, 점착성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해 부착대상물(3)을 몇 번씩 땠다 붙였다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접착제(13)의 상면에는 접착제(13)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한 막 또는 이러한 막이 코팅된 이형지(14)가 부착된다.
이형지(14)는 접착제(13)의 접착력을 보호하도록 일시적으로 붙여진 것으로서, 부착대상물(3)의 부착 전에는 이형지(14)가 접착부(12)를 덮은 상태로 접착제(13)의 접착력을 유지시키고, 부착대상물(3)의 부착을 위해서 이형지(14)를 접착부(12)로부터 벗겨내면 접착제(13)가 노출되고 부착대상물(3)을 부착한다.
또, 이형지(14)에는 일정 간격으로 홈이 형성된 절취선(15)이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접착부(12)로 부터 이형지(14)를 절취시 칼이나 별도의 도구의 도움없이도 형성된 홈을 따라 직접 절취할 수 있도록 하여 이형지(14)의 절취를 용이하게 한다.
절취선(15)은 이형지(14)의 가로(길이)와 세로(폭)방향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한 개 이상 복수 개로 형성되며, 이러한 절취선(15)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부착대상물(3)의 부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수단(10)의 이형지(14)에 형성된 절취선(15) 중 제일 작은 크기를 형성하는 제3 절취선(15c)에 대응되는 크기의 A6 용지 크기의 부착대상물(3a)을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13)의 나머지 부분은 노출되지 않으므로 후에 다른 크기의 부착대상물(3)을 부착시 접착 성능을 높일 수 있고, 접착제(13)가 제본을 위한 부착대상물(3) 이외의 부분에 묻지 않아 깨끗하고 깔끔한 제본을 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고정 수단(10)을 이용한 제본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서 그때 그때 제본을 할 수 있으며, 부착대상물(3)의 크기에 상관없이 제본이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본용 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본용 노트의 고정 수단에 의해 제본되는 부착대상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본용 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본용 노트의 고정 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본용 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본용 노트의 고정 수단에 의해 제본되는 부착대상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본용 노트 1a : 제본용 스프링 노트
2 : 표지 3 : 부착대상물
10 : 고정 수단 11 : 철부
12 : 접착부 13 : 접착제
14 : 이형부 15 : 절취선
B : 본딩 S : 스프링

Claims (8)

  1. 한 쌍의 표지와, 상기 표지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철부와, 상기 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접착제가 마련되는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형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수단은 투명한 비닐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와 상기 고정 수단은 본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와 상기 고정 수단은 스프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노트.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부착대상물의 재부착을 허용하는 접착력을 갖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부착대상물의 재부착 허용을 방지하는 접착력을 갖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접착부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노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는 상기 접착부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노트.
KR1020090034088A 2009-04-20 2009-04-20 제본용 노트 KR100929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088A KR100929156B1 (ko) 2009-04-20 2009-04-20 제본용 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088A KR100929156B1 (ko) 2009-04-20 2009-04-20 제본용 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9156B1 true KR100929156B1 (ko) 2009-12-01

Family

ID=4168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088A KR100929156B1 (ko) 2009-04-20 2009-04-20 제본용 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15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0238A1 (en) * 2010-01-19 2011-07-28 Sang-Mok Lee Inside leaflet of book
KR101511940B1 (ko) 2014-08-05 2015-04-14 황재성 재활용 친환경 노트
KR101511941B1 (ko) 2014-08-05 2015-04-14 황재성 재활용 친환경 노트
KR101511942B1 (ko) 2014-08-05 2015-04-14 황재성 재활용 친환경 노트
KR101511944B1 (ko) 2014-08-05 2015-04-14 황재성 재활용 친환경 노트
KR101511938B1 (ko) 2014-08-05 2015-04-14 황재성 재활용 친환경 노트
WO2016127112A1 (en) * 2015-02-06 2016-08-11 Ec Design, Llc Clips and methods of us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1760U (ja) 1982-11-05 1984-05-16 後藤 芳央 フアイリング台紙
JPS6193271U (ko) * 1984-11-26 1986-06-16
JPS61100561U (ko) * 1984-12-10 1986-06-27
JPS63176659U (ko) 1987-05-01 1988-11-16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1760U (ja) 1982-11-05 1984-05-16 後藤 芳央 フアイリング台紙
JPS6193271U (ko) * 1984-11-26 1986-06-16
JPS61100561U (ko) * 1984-12-10 1986-06-27
JPS63176659U (ko) 1987-05-01 1988-11-16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0238A1 (en) * 2010-01-19 2011-07-28 Sang-Mok Lee Inside leaflet of book
US8820792B2 (en) 2010-01-19 2014-09-02 Sang-Mok Lee Inside leaflet of book
KR101511940B1 (ko) 2014-08-05 2015-04-14 황재성 재활용 친환경 노트
KR101511941B1 (ko) 2014-08-05 2015-04-14 황재성 재활용 친환경 노트
KR101511942B1 (ko) 2014-08-05 2015-04-14 황재성 재활용 친환경 노트
KR101511944B1 (ko) 2014-08-05 2015-04-14 황재성 재활용 친환경 노트
KR101511938B1 (ko) 2014-08-05 2015-04-14 황재성 재활용 친환경 노트
WO2016127112A1 (en) * 2015-02-06 2016-08-11 Ec Design, Llc Clips and methods of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156B1 (ko) 제본용 노트
JP7044959B2 (ja) ファイル
US20100207375A1 (en) Book product and pages for the same
JP2008023901A (ja) 書類・冊子類の取付補助具
JP3185861U (ja) 日記帳
KR101779333B1 (ko) 책자
CN101318424B (zh) 一种文件造册夹
KR200280201Y1 (ko) 문서의 제본 구조
JP3059237U (ja) コーム形バインダのためのカバー体
JP6417469B1 (ja) 冊子作製綴具
KR100898101B1 (ko) 쉽게 펼쳐지는 책
KR100997876B1 (ko) 라벨지
JP2016049740A (ja) 冊子体
CA2542314A1 (en) Adhesive bracelets
JP3166828U (ja) 本文のいずれかが取り換え可能な本
JP3181750U (ja) 緩衝空間のある冊子
JP2004010112A (ja) 封筒カバーおよび封筒綴じ具
JP3069680U (ja) 新聞とじ具
KR200447050Y1 (ko) 커버제작장치
JP3144863U (ja) 綴じ込み補助装置
JP2024004421A (ja) ファイル・バインダーのとじ具に合わせ、文書や用紙を貼り付けて整理ができる取り付け台
KR200382542Y1 (ko) 노래방곡목집
JP2005014407A (ja) 簡易製本用ハードカバー
US20130313815A1 (en) Scrapbook Having Transparent Photo Sleeves
KR20110076171A (ko) 라벨 보호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서류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