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986B1 - 냉연 스트립 통판 자동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냉연 스트립 통판 자동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986B1
KR100928986B1 KR1020020075445A KR20020075445A KR100928986B1 KR 100928986 B1 KR100928986 B1 KR 100928986B1 KR 1020020075445 A KR1020020075445 A KR 1020020075445A KR 20020075445 A KR20020075445 A KR 20020075445A KR 100928986 B1 KR100928986 B1 KR 100928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strip
frame
bas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290A (ko
Inventor
박승진
강희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5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986B1/ko
Publication of KR20040047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85Joining ends of material to continuous strip, bar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4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92Welding in the roll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연 공정에서 냉간 압연된 스트립을 소둔할 때 설비이상등으로 인하여 스트립이 끊어졌을 경우 이를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립 연결시간단축과 연결 스트립상의 이물질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냉연 스트립 통판 자동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에 설치된 바퀴(201)로 이동가능한 프레임(208)상에 베이스(204)가 설치되고 제어 스위치박스(203)와 복수의 위치센서(406-1,406-2,406-3,406-4) 및 상부 유압 프레스 프레임(202)이 설치구비된 구동부(A)와; 상기 구동부(A)의 베이스(204)상에 설치되고 모터(302)에 의해 회전 작동하는 스크류기어(309-1)와 연결된 이송부 베이스(301)와, 상기 이송부 베이스(301)상에 모터(304) 및 스크류기어(309-2)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결합설치되고 실린더(303)에 의해 구동되는 클램프(306)와 폭 감지 센서(305)가 설치된 클램프용 프레임(310)으로 구성된 이송부(B)와; 상기 구동부(A)의 프레임(202)상에 설치구비되고 각각 유압 실린더(404)에 의해 구동되어 베이스(204)상에 놓여진 연결대상 스트립에 대한 순차적인 프레스 가공 및 연결 작업을 행하는 1차~4차 프레스 펀치(401-1,401-2,401-3,401-4)들로 이루어진 프레스부(C)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 스트립 통판 자동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연 스트립 통판 자동 연결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CONNECTION OF COLD ROLLED METAL STRIP IN STRIP ANNEALING LINE}
도1은 종래의 냉연 스트립 통판 연결 작업 상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통판 자동 연결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통판 자동 연결장치의 측면도,
도4a는 본 발명의 장치중 구동부의 상세 사시도,
도4b는 본 발명의 장치중 이송부의 상세 사시도,
도4c는 본 발명의 장치중 프레스부의 상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연결완료된 스트립의 외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스트립 100-2 : 선행 스트립
100-3 : 후행 스트립 201 : 바퀴
202 : 상부 유압 프레스 프레임 203 : 제어 스위치박스
204 : 프레스 하부 고정 베이스 205 : 이송부 모터 베이스
206 : 유압 실린더 모터 베이스 207 : 구동 방향 전환레버
208 : 구동부 프레임 301 : 이송부 베이스
302 : 모터 303 : 클램프 실린더
304 : 모터 305 : 폭 감지 센서
306 : 클램프 307-1 : 이동 슬라이드부
307-2 : 이동 슬라이드부 308-1 : 폭 이동용 가이드
308-2 : 폭 이동용 가이드 홈 309-1 : 스크류기어
309-2 : 스크류기어 310 : 클램프용 프레임
401-1 : 1차 프레스 펀치 401-2 : 2차 프레스 펀치
401-3 : 3차 프레스 펀치 401-4 : 4차 프레스 펀치
404 : 프레스용 유압 실린더 406-1 : 1차 프레스 위치센서
406-2 : 2차 프레스 위치센서 406-3 : 3차 프레스 위치센서
406-4 : 4차 프레스 위치센서 407 : 완충 스프링
410-1 : 상부 전극 410-2 : 하부 전극
본 발명은 소둔을 위해 통판되는 냉연 스트립의 파단시 이를 자동적으로 용접연결시켜 주기 위한 냉연 스트립 통판 자동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 공정에서는 냉간 압연된 스트립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퍼니스에서 760~850℃로 스트립(100)에 대한 소둔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 소둔과정에서 설비의 고장등으로 인하여 고온의 상태에서 라인이 정지하게 되면 스트립이 고온의 영향으로 판의 쭈그러짐 현상이 발생되어 스트립이 끊어지게 된다.
이런 현상이 발생되면 작업자는 판의 쭈그러진 부위를 제거후 스트립 선행재와 스트립 후행재간의 연결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스트립 연결시 작업자는 용접기로 선, 후행재를 열십자형태로 홈을 파서 연결작업을 하게 되는 바, 용접기 사용으로 인한 시간지연과 용접기의 스트립 직접가열로 인하여 스트립 표면에 이물질이 발생되고 이 이물질이 노내 여러개소의 롤에 전사되어 스트립 표면 결함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연 공정에서 스트립 통판 연결 작업시 자동화 연결 방법으로 스트립 통판 연결개소에 이동이 가능한 이동 베이스를 사용함과 동시에 유압실린더로 작동되는 프레스 가공법을 사용하여 통판 스트립을 연결함으로써 스트립 연결 시간을 단축하고 이물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립 통판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냉연 스트립 통판 자동 연결장치는 크게 구동부(A)와 프레스부(C) 및 이송부(B)로 구성된다.
먼저, 본 스트립 통판 자동 연결장치의 구동부(A)를 살펴 보면, 도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부 프레임(208) 아래에 4개의 스틸 바퀴(201)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 프레임(208)위에 프레스 하부 고정 베이스(204)가 설치되며, 구동부 측면에는 제어 스위치박스(203)가 있고, 정면에는 방향 전환레버(207)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 프레임(208)의 도면상 우측 상단에는 상부 유압 프레스 프레임(202)이 설치된다.
다음, 이송부(B)는 이송부 베이스(301)를 포함하는데, 이 이송부 베어스(301)는 상기 구동부(A)의 프레스 하부 고정 베이스(204)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 베이스(301)에는 기어 홈이 형성되어 있어 이에 스크류 기어(309-1)가 결합설치되며, 상기 스크류 기어(309-1)는 모터(302)에 연결작동된다.
이송부 베이스(301) 하단에는 이동 슬라이드부(307-1,307-2)가 만들어져 있고 그 사이에는 프레스 하부 고정 베이스(204)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이송부 베이스(301)에는 폭 이동 슬라이드 가이드 홈(308-2)이 형성되며, 클램프용 프레임(310)에 가공된 가이드(308-1)가 상기 가이드 홈(308-2)에 맞물리게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용 프레임(310)의 안쪽에는 폭 감지 센서(305)가 부착설치되고, 상단에는 클램프 실린더(303)가 설치되어 하부 클램프(306)와 연결되고, 이 클램프용 프레임(310) 일측은 모터(304)에 연결작동되는 스크류 기어(309-2)와 연결된다.
프레스부(C)는 프레스용 유압실린더(404)들에 1차~4차 프레스 펀치(401-1,401-2,401-3,401-4)가 각각 연결구성되고, 각 프레스 펀치 중간 볼트상에는 완충을 위한 스프링(407)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부 프레스의 4차 프레스 펀치(401-4)부에는 상부 전극(410-1)이 설치되며, 프레스 하부 고정 베이스(204)에는 고정된 하부 전극(410-2)이 설치 구성되어진다.
설비고장등으로 통판중의 스트립(100)이 파단되면 작업자는 구동장치의 제어 스위치 박스(203)상의 스위치를 작동시키고 구동방향 전환레버(207)를 이용하여 장치를 스트립 연결작업이 필요한 개소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이송부 베이스(301)상에 선, 후행 스트립(100-2,100-3)을 올려 놓는다.
선,후행 스트립(100-2,100-3)의 안착이 완료되면 폭 이동용 모터(304)가 작동되어 이 모터(304)에 연결된 스크류 기어(309-2)에 의해 클램프 프레임(310)이 그 안쪽에 설치된 폭 감지 센서(305)에 스트립이 감지될 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센서(305)에 스트립 감지가 완료되면 클램프 실린더(303)가 작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클램프 실린더에 연결된 클램프(306)가 하강하여 스트립(100-2,100-3)이 클램핑되어진다. 이와 같이 스트립(100-2,100-3)의 클램핑이 완료되면 모터(302)로 작동되는 스크류 기어(309-1)에 의해 이송부 베이스(301)가 1차 위치센서(406-1)까지 이동이 이루어지며, 이동이 완료되면 프레스용 유압 실린더(404)가 작동 시작되어 먼저 이 유압실린더에 연결된 1차 프레스 펀치(401-1)가 1차 프레스부(402-1)까지 하강하여 선,후행 스트립(100-2,100-3)을 열십자형태로 뚫은 후 하강을 멈추고 다시 상승되면서 1차 프레스 작업이 완료된다. 펀칭된 열십자형태의 스크랩은 하부 스크랩 배출구(401-5)로 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1차 프레스 작업이 완료되면 모터(302)가 다시 작동하게 되어 2차 위치센서(406-2)까지 스트립 이동이 되며, 스트립 이동이 완료되면 모터(302)는 작동을 멈추게 된다.
이 상태에서 2차 프레스 펀치(401-2)가 2차 프레스부(402-2)까지 하강작동되 어 선,후행 스트립(100-2,100-3)이 단조된 스트립으로 변형되어진 후 2차 프레스 펀치(401-2)의 원위치 상승이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2차 단조 프레스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이송부 베이스(301) 상의 선,후행 스트립(100-2,100-3)은 모터(302)에 연결된 스크류 기어(309-1)의 작동에 의해 3차 단접 위치센서(406-3)까지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동이 완료되면 3차 단접 프레스 펀치(401-3)가 그에 상응하는 하부 프레스부(402-3)까지 하강하여 단접 스트립 형태로 스트립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위와 같은 3차 단접 프레스 작업이 완료되면 스트립은 4차 용접 위치센서(406-4)까지 이동이 완료되어 멈추게 된 후 전류가 통전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용접을 위한 4차 프레스 펀치(401-4)가 하강하게 되는 동시에 동 펀치상의 상부 전극(410-1)에 전류가 통전되며, 이 상부 전극(410-1)과 하부 전극(410-2) 사이에서 스트립에 대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용접이 완료되면 프레스 펀치(401-4)가 다시 상승되고 클램프 실린더(303)에 연결된 클램프(306)가 상승하며 모터(304)에 의해 클램프용 프레임(310)이 홈 포지션 위치로 복귀하면 모든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도5는 위와 같은 프레스 작업들을 거쳐 연결완료된 스트립의 외관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작용에 의해 스트립 통판 연결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도중 스트립 표면에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 한 억제할 수 있으므로 냉연강판의 품질 및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하부에 설치된 바퀴(201)로 이동가능한 구동부 프레임(208)과, 상기 구동부 프레임(208)상에 설치된 프레스 하부 고정 베이스(204)와, 상기 구동부 프레임(208) 측면에 부착된 복수의 위치센서(406-1,406-2,406-3,406-4)와, 상기 구동부 프레임(208)의 일측에 설치된 상부 유압 프레스 프레임(202)으로 이루어진 구동부(A)와;
    상기 구동부 프레임(208)상에 설치된 스크류기어(309-1)와, 상기 프레스 하부 고정 베이스(204)상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기어(309-1)와 연결된 이송부 베이스(301)와, 상기 이송부 베이스(301) 상부 일측에 설치된 스크류기어(309-2)와, 상기 스크류기어(309-2)에 결합되고 폭 감지 센서(305)가 부착된 클램프용 프레임(310)과, 상기 클램프용 프레임(310)의 내측에 위치하여 클램프 실린더(303)에 의해 구동되는 클램프(306)로 이루어져 이송부 베이스(301)를 프레스부(C)로 이동시키는 이송부(B)와;
    상기 상부 유압 프레스 프레임(202)에 설치되고, 각각 유압 실린더(404)에 의해 구동되어 프레스 하부 고정 베이스(204)상에 놓여진 선,후행 스트립(100-2,100-3)을 펀칭하는 1차 프레스 펀치(401-1), 상기 펀칭된 스트립을 단조하는 2차 프레스 펀치(401-2), 상기 단조된 스트립을 단접하는 3차 프레스 펀치(401-3), 상기 단접된 스트립을 용접하는 4차 프레스 펀치(401-4)로 이루어진 프레스부(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 스트립 통판 자동 연결장치.
KR1020020075445A 2002-11-29 2002-11-29 냉연 스트립 통판 자동 연결장치 KR100928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445A KR100928986B1 (ko) 2002-11-29 2002-11-29 냉연 스트립 통판 자동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445A KR100928986B1 (ko) 2002-11-29 2002-11-29 냉연 스트립 통판 자동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290A KR20040047290A (ko) 2004-06-05
KR100928986B1 true KR100928986B1 (ko) 2009-11-26

Family

ID=37342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445A KR100928986B1 (ko) 2002-11-29 2002-11-29 냉연 스트립 통판 자동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9002A (zh) * 2020-08-07 2020-12-11 张家港扬子江冷轧板有限公司 一种连接带头的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6930U (ko) * 1980-02-28 1981-09-26
KR19980015035U (ko) * 1996-09-05 1998-06-25 김종진 스티칭에 의한 강판 자동 연결장치
KR19990012900U (ko) * 1997-09-18 1999-04-15 이구택 스티쳐형 자동 강판접합장치
KR20020051251A (ko) * 2000-12-22 2002-06-28 이구택 냉연 철판의 자동접합장치
KR20030092432A (ko) * 2002-05-29 2003-12-06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엔드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6930U (ko) * 1980-02-28 1981-09-26
KR19980015035U (ko) * 1996-09-05 1998-06-25 김종진 스티칭에 의한 강판 자동 연결장치
KR19990012900U (ko) * 1997-09-18 1999-04-15 이구택 스티쳐형 자동 강판접합장치
KR20020051251A (ko) * 2000-12-22 2002-06-28 이구택 냉연 철판의 자동접합장치
KR20030092432A (ko) * 2002-05-29 2003-12-06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엔드부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290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3495895U (zh) 一种工业制造用圆片冲压成型设备
KR100928986B1 (ko) 냉연 스트립 통판 자동 연결장치
US4205567A (en) Apparatus for safety operating presses and the like
GB2086786A (en) Apparatus for flanging the edges of holes in workpieces on a piercing press
JP3671083B2 (ja) パンチプレス機の金型追従確認方法
KR101666964B1 (ko) 이젝터가 구비된 마찰교반용접용 지그
JP2000033436A (ja) 鋼帯の位置検出用孔の孔あけ方法および装置
CN206764302U (zh) 一种卷帘门轴冲孔卷管加工系统
CN204657958U (zh) 一种金属板材加工生产线
CN214866458U (zh) 一种自动化高精度机床钣金结构
JPH0839365A (ja) スリーブ圧入装置
JP3743933B2 (ja) 熱交換器のフレア拡管装置
CN212683100U (zh) 一种装配式双钢板剪力墙自动化生产线
JP2018094626A (ja) パイロット金型を備えたパイプ材の穴明け加工用の金型装置及びその金型装置を用いたパイプ材の穴明加工装置。
KR102183488B1 (ko) 백게이지 위치를 가변하는 밴딩머신
JP3696660B2 (ja) パンチプレス
CN103264287B (zh) 一种自动送料、攻牙以及切料装置
KR200205999Y1 (ko) 스티칭에 의한 강판 자동 연결장치
KR19990018724U (ko) 스트립의 형상측정용 샘플 이송장치
CN211588149U (zh) 一种机器人自动双层冲压工作站
KR100792565B1 (ko) 프레스용 플랜지 및 캠 피어싱의 간섭회피 구조
JPH0732929B2 (ja) 多連装連続歪矯正装置
US2204858A (en) Butt welding machine
CN113477788B (zh) 冲裁高压检测一体机
JPH05490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