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005B1 -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005B1
KR100928005B1 KR1020020020046A KR20020020046A KR100928005B1 KR 100928005 B1 KR100928005 B1 KR 100928005B1 KR 1020020020046 A KR1020020020046 A KR 1020020020046A KR 20020020046 A KR20020020046 A KR 20020020046A KR 100928005 B1 KR100928005 B1 KR 100928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sample point
horizontal
color sign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1698A (ko
Inventor
황혜전
김인철
이병욱
Original Assignee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0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005B1/ko
Publication of KR2003008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2Edging; Cont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을 개시한다. 이에 의하면, 현재 휘도/색 신호를 분리하고자 하는 샘플점에 수평 에지나 수직 에지가 있는 지 아니면 에지가 없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수평 에지가 있으면 기존 방식의 수평 필터를 이용하고, 수직 에지가 있으면 기존 방식의 수직 필터를 이용하여 색 신호 값과 휘도 신호 값을 구한다. 그런 다음, 내로우 밴드(narrow band)에서의 휘도/색 신호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재 휘도/색 신호를 분리하고자 하는 샘플점 및 그 주변의 8개 샘플점에 대하여 2차원 필터를 적용시킨다. 마지막으로, 현재 휘도/색 신호를 분리하고자 하는 샘플점에서의 구해진 휘도 신호 값과 색 신호 값을 강화시켜서 최종 값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휘도/색 신호 분리 과정에서 발생하였던 휘도 신호 값의 저하 때문에 화면의 전체적인 흐려짐 현상과, 경계선의 선명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대화면 PDP에서의 화질 열화가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Method For Separating Luminance/Color Signals In The Comb Filter}
도 1은 일반적인 PDP 패널에 적용된 휘도/색 신호 분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fsc)의 4배인 4fsc로 샘플링된 NTSC 복합 영상신호의 2차원 데이터 배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수평 에지가 있는 경우의 2차원 데이터 배열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수직 에지가 있는 경우의 2차원 데이터 배열도.
도 5는 도 2에 있어서, 내로우 라인(수평 라인)이 내로우 밴드에 걸리는 경우의 2차원 데이터 배열도.
도 6은 도 2에 있어서, 내로우 라인(수평 라인)이 내로우 밴드에 걸리는 경우의 2차원 데이터 배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본 발명은 복합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색 신호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색 신호를 제대로 분리시킴으로써 화질 열화를 억제하도록 한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교 변조형(Quadrature Modulated) 칼라 티브이 방식, 예를 들어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이나 PAL(Phase Alternating Line System) 방식은 제한적인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휘도 신호에 색 신호를 간삽(interleave)시킨다. 그래서, 수신단인 칼라 텔레비전에서 입력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색 신호를 분리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휘도/색 신호의 분리 과정은 통상적으로 콤 필터(Comb Filter)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런데, 입력 영상신호의 특성상 휘도/색 신호가 일부 주파수 대역 내에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휘도/색 신호를 제대로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 휘도/색 신호가 잘못 분리될 경우, 여러 가지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 나타난다. 그 대표적인 것이 도트 방해와 같은 크로스 루미넌스(Cross Luminance)와 무지개 무늬의 발생 및 크로스 칼라(Cross Color) 현상이다. 크로스 칼라 현상은 휘도 신호의 고역 성분이 색 신호의 일부로서 검출됨으로써 발생하는 현상이고, 크로스 루미넌스 현상은 도트 크롤(Dot Crawl)이라고 하여 색 신호의 저역 성분이 휘도 신호의 일부로서 검출됨으로써 발생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칼라 텔레비전이나 영상 기록 및 재생장치에서는 휘도/색 신호의 완전한 분리가 요구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NTSC 방식의 칼라 영상신호에서 색 신호의 위상이 매 라인, 매 프레임마다 반전되는 특성을 이용하는 라인 콤 필터와 프레임 콤 필터가 제안되었고, 개선 방식으로 2차원 영역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식과, 3차원 영역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를 움직임 정보에 적응적으로 사용하는 움직임 적응형 휘도/색 신호 분리 방식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휘도/색 신호 분리 방식이 PDP(Plasma Display Panel)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서 휘도/색 신호 분리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11), 3차원 콤 필터(13), 영상 처리 프로세서(15) 및 디인터레이싱부(17)의 4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휘도/색 신호 분리 장치(10)가 PDP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경계선 상에서 휘도/색 신호가 여전히 제대로 분리되지 않으므로 크로스 루미넌스 현상이나 크로스 칼라 현상이 계속하여 나타난다. 상기 크로스 루미넌스 현상의 예로는 경계선 상에서 나타나는 도트 크롤(Dot Crawl)이나 행잉 도트(Hanging Dot) 현상이 있다.
상기 휘도/색 신호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은 이유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서 예를 들어, 현재 휘도 신호와 칼라 신호를 분리하고자 하는 샘플점 S5이 라인(l) 상에 있고, 상기 샘플점 S5의 샘플링 값이 N5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라인(l) 상에서 상기 샘플점 S5을 중심으로 좌, 우에 있는 샘플점 S4, S6의 샘플링 값이 각각 N4, N6이고, 상기 샘플점 S5에 이웃한 라인(l-1),(l+1) 상에 있는 샘플점 S2의 샘플링 값이 각각 N2, N8이다. 상기 라인(l-1) 상에서 상기 샘플점 S2을 중심으로 좌, 우에 있는 샘플점 S1, S3의 샘플링 값이 각각 N1, N3이다. 상기 라인(l+1) 상에서 상기 샘플점 S8을 중심으로 좌, 우에 있는 샘플점 S7, S9의 샘플링 값이 각각 N7, N9이다. 여기서, ○, ●는 해당 샘플점의 칼라 부반송파 위상으로서 서로 반전됨을 나타내고, △, ▲는 해당 샘플점의 칼라 부반송파 위상으로서 서로 반전됨을 나타낸다. 또한, ●는 Y+U를 나타내고, ○는 Y-U를 나타내고, ▲는 Y+V를 나타내고, △는 Y-V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샘플링 값 N1, N3, N5, N7, N9과 상기 샘플링 값 N2, N4, N6, N8의 위상은 서로 반전된다. 상기 샘플링 값 N1, N3, N5, N7, N9은 샘플링된 휘도 신호 값(Y)과 색 신호 값(C)의 차, 즉 Y-U를 나타내고, 상기 샘플링 값 N2, N4, N6, N8은 샘플링된 휘도 신호 값(Y)과 색 신호 값(C)의 합, 즉 Y+U을 나타낸다.
이러한 조건에서 상기 콤 필터(13)가 상기 샘플점 S5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를 처리할 경우, 상기 휘도/색 신호의 분리에 대한 일반적인 식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2010972094-pat00001
Figure 112002010972094-pat00002
Yh=N5-Ch=Y
Yv=N5-Cv=Y
여기서, Ch는 수평으로 있는 데이터를 분리할 때 사용되고, Cv는 수직으로 있는 데이터를 분리할 때 사용된다. 즉, Ch는 수평 필터에 해당하고, Cv는 수직 필터에 해당한다. 또한, C는 색 신호이고, Y는 휘도 신호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Ch는 색(C) 신호를 수평 위치의 샘플링 값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이고 그 결과 얻어진 색(C) 신호의 값을 Yh의 식과 같은 필터에 넣어서 휘도(Y) 신호의 값을 구한다.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Cv는 수직 역시 수직선상에 놓여있는 샘플링 값들을 이용하여 색(C) 신호와 휘도(Y) 신호의 값을 구한다. 이때, 현재 구하고자 하는 샘플점이 S5이고, 색(C) 신호는 U와 V가 있는데 샘플링 값에 따라 구해질 수 있다. 도 2에서 현재 구하고자 하는 샘플점 S5의 샘플링 값 N5이 Y-U의 형태를 가지므로 색(C) 신호의 값은 상기 U의 값에 해당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위치에서는 NTSC 칼라 영상신호의 휘도/색 신호 분리가 상기 수학식 1에서 수평필터를 사용한 경우와 같이 제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edge)에 위치한 NTSC 칼라 영상신호의 경우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로우 밴드(Narrow Band)에 걸려있는 NTSC 칼라 영상신호의 경우에서는 휘도/색 신호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언급하면, 도 3의 수평 에지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에지가 있는 샘플점 S5에 대해 상기 수학식 1의 Ch를 적용하면, 색(C) 신호가 제대로 분리된다. 하지만, 상기 수학식 1의 Cv를 적용하면, 색(C) 신호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고 다음의 수학식 2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2010972094-pat00003
또한, 도 4의 수직 에지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직 에지가 있는 샘플점 S5에 대해 상기 수학식 1의 Cv를 적용하면, 색(C) 신호가 제대로 분리된다. 하지만, 상기 수학식 1의 Ch를 적용하면, 색(C) 신호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는다.
즉, 수평 에지가 있는 부분에 있어서, Cv를 사용하여 색(C) 신호의 값을 분리할 때, 서로 다른 종류의 색(C) 신호의 값과 휘도(Y) 신호의 값이 혼합된 형태의 값이 색(C) 신호의 값으로 된다. 즉, 색(C) 신호가 전혀 분리되지 않고 오히려 여러 신호가 혼합된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언급하면, 도 3에서 현재 구하고자 하는 샘플점 S5의 샘플링 값 N5이 Y-C인 경우에 있어서, Cv를 사용할 때 샘플링 값 N8, N2이 함께 사용된다. 이때, N8은 Y+C이지만, N2는 수평 에지를 경계로 N5와 다른값을 가진 Y'-C'이므로 N5와는 서로 다른 휘도(Y) 신호와 색(C) 신호의 값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때, N2=Y'+C', N5=Y-C, N8= Y+C 라고 가정하고 상기 수학식 1의 Cv를 적용하면, 상기 수학식 2와 같은 결과가 된다. 따라서, 색(C) 신호의 값이 분리되지 않고 오히려 C-C' Y-Y'의 값이 혼합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크로스 칼라 현상을 가져온다.
마찬가지로, 내로우 라인(Narrow Line)의 경우에도 휘도(Y) 신호와 색(C) 신호의 값을 분리할 때 이들의 값이 서로 혼합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도 5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수평 라인이 내로우 밴드에 걸릴 때 색(C) 신호와 휘도(Y) 신호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다음의 수학식 3에 의해 표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Figure 112002010972094-pat00004
Yh=Y-Ch=Y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내로우 밴드에 걸릴 때 수직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색(C) 신호와 휘도(Y) 신호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다음의 수학식 4에 의해 표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Figure 112002010972094-pat00005
Figure 112002010972094-pat00006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로우 밴드가 수평 라인으로 되어 있는 경우, 수평 라인의 3개 샘플점 S4, S5, S6이 예를 들어 모두 동일한 Y의 값을 가지면, 상기 수학식 3의 Ch가 적용되었을 때, Ch가 0으로 되고, 이를 Yh의 식에 대입하면 제대로 분리된 Y의 값이 나타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 Cv를 적용하였을 때 샘플점 S2, S8의 샘플링 값 N2와 N8이 서로 동일한 Y이고, 샘플점 S5의 샘플링 값 N5만 Y'이라고 하면, 상기 수학식 4의 Cv와 Yv를 적용되었을 때, 제대로 분리되지 않은 엉뚱한 Y와 C값이 나타난다. (내로우 밴드의 경우, 흑색 라인인 경우이므로 색(C) 신 호의 값이 0으로 되어야 함).
이와 반대의 경우,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로우 밴드가 수직 라인으로 되어 있는 경우, Ch가 적용된 경우에 유사한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수학식 2,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지가 걸린 샘플점이나 내로우 밴드에 걸려있는 샘플점에서는 휘도/색 신호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데, 이는 크로스 루미넌스와 크로스 칼라 현상을 일으킨다. 즉, 에지에 무지개색이 혼합된 현상이나 에지 상에서 서로의 색이 혼합된 현상을 일으킨다. 결국, 종래의 대화면 PDP에서는 화면의 경계선이 선명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흐려지는 화질 열화가 심각하다.
이런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에지가 걸린 부분이나 내로우 밴드에 걸린 부분에서도 휘도/색 신호의 분리를 제대로 처리할 수 있는 2차원 적응형 콤 필터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지에 걸리는 부분에서 휘도/색 신호의 분리를 제대로 이룸으로써 화질 열화를 억제시키도록 한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로우 밴드가 걸린 부분에서 휘도/색 신호의 분리를 제대로 이룸으로써 화질 열화를 억제시키도록 한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헨스먼트 팩터를 통해 휘도/색 분리하는 필터링 과정에서 손실되어진 휘도와 색 성분을 복원해주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은, 현재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고자 하는 샘플점에 수평 에지와 수직 에지가 있는 지 없는 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샘플점에 수평 에지와 수직 에지가 있는 지 없는 지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상기 샘플점에 수평 에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평 필터링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샘플점에서의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는 수평 필터링 단계, 상기 샘플점에 수직 에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직 필터링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샘플점에서의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는 수직 필터링 단계, 및 상기 샘플점에 수평 에지 및 수직 에지가 모두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샘플점과 상기 샘플점 상하좌우대각의 8개 샘플점들에 수직/수평 필터링을 실시하여 상기 샘플점에서의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는 수직/수평 필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휘도 신호와 색 신호에 인핸스먼트 요소를 추가하여 최종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결정하는 인핸스먼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수평 필터링 단계의 수직 필터링 단계는, 상기 샘플점의 수평 좌측에 있는 샘플점과 상기 수평 좌측에 있는 샘플점 상하의 샘플점인 3개의 샘플점들에 제 1 수직 필터링을 적용하고, 상기 샘플점과 상기 샘플점 상하의 샘플점인 3개의 샘플점들에 제 2 수직 필터링을 적용하고, 상기 샘플점의 수평 우측에 있는 샘플점과 상기 수평 우측에 있는 샘플점 상하의 샘플점인 3개의 샘플점들에 제 3 수직 필터링을 적용하고, 상기 수직/수평 필터링 단계의 수평 필터링 단계는, 상기 제 1 수직 필터링의 결과값, 상기 제 2 수직 필터링의 결과값, 및 상기 제 3 수직 필터링의 결과값인 3개의 결과값들에 대하여 수평 필터링을 적용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핸스먼트 단계는 상기 샘플점과 그 수평 좌측, 수평 우측의 샘플점들에서의 휘도 신호에 수평 필터링을 적용시킨 후 그 결과값을 상기 샘플점의 휘도와 합산시켜 상기 최종 휘도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 내지 도 6의 부분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가령, 현재 휘도/색 신호 분리를 하기 위한 샘플점이 S5이라고 하면, 단계(S10)에서 상기 샘플점 S5에 수평 에지나 수직 에지가 있는 지를 판단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언급하면, 상기 샘플점 S5에서의 수평 상관이 있는 경우, 즉, 다음의 수학식 5과 같이, N4와 N6의 차이에 대한 절대값이 임의의 문턱 값 Kh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이면, 수평 에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게다가, Yh2와 Yh8의 차이에 대한 절대값이 임의의 문턱 값 Kyv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이면, 상기 수평 에지가 더욱 확실하게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N4와 N6의 차 이에 대한 절대값이 Kh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N4, N6가 같은 샘플링 값을 갖고 있다. 이는 상기 N4, N6가 상기 수평 에지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선 상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08059214946-pat00024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Kh, Kyv는 문턱 값이다. Yh2, Yh8는 샘플점 S2, S8에서의 휘도 신호 값이다.
상기 샘플점 S5에서의 수직 상관이 있는 경우, 즉, 상기 수학식 6과 같이, N2와 N8의 차이에 대한 절대값이 Kv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이면, 수직 에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게다가, Yv4와 Yv6의 차이에 대한 절대값이 임의의 문턱값 Kyh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이면, 상기 수직 에지가 더욱 확실하게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igure 112008059214946-pat00025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Kv, Kyv는 문턱값이다.
반면에, 그 외의 모든 경우에는 상기 수평 에지 및 수직 에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수평 에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20)에서 종래와 동일하게 상기 수학식 1의 Ch와 같이 수평 필터링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샘플점 S5에서의 휘도/색 신호를 제대로 분리시킬 수가 있다.
상기 수직 에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30)에서 종래와 동일하게 상기 수학식 1의 Cv와 같이 수직 필터링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샘플점 S5에서의 휘도/색 신호를 제대로 분리시킬 수가 있다.
상기 수평 에지나 수직 에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본 발명은 내로우 밴드 부분에서 일반적인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이 적절하지 못하다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단계(S40)에서 현재 휘도/색 신호를 분리하고자 하는 샘플점 S5 및 그 주변 8개 샘플점의 샘플링 값에 대해 다음의 수학식 7과 같은 2차원 콤 필터를 추가로 적용시킨다. 따라서, 상기 샘플점 S5에서 더욱 양호한 휘도/색 신호 값을 필터링시킬 수가 있다.
Figure 112008059214946-pat00026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Chv는 N4, N5, N6 값을 사용하는 대신에 Cv4,Cv5,Cv6의 값을 사용하여 수평 필터링한 색 신호 값이다. Cv4는 N4를 중심으로 그 상, 하의 N1, N7을 수직 필터링한 색 신호 값이고, Cv5는 N5를 중심으로 그 상, 하의 N2, N8을 수직 필터링한 색 신호 값이고, Cv6는 N6을 중심으로 N3, N9을 수직 필터링한 색 신호 값이다.
즉, 단계(S40)에서 상기 샘플점 S5의 휘도/색 신호 분리는 먼저, Cv4,Cv5, Cv6의 값을 구한 다음 Chv의 값을 구하여야 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언급하면, 현재 휘도/색 신호 분리를 위한 샘플점 S5에 이웃한 샘플점 S4과 그 수직선 상의 상, 하 샘플점 S1, S7의 샘플링 값 N1, N4, N7을 수직 필터링하여 Cv4의 값을 구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샘플점 S5과 그 수직선 상의 상, 하 샘플점 S2, S8의 샘플링 값 N2, N5, N8을 수직 필터링하여 Cv5의 값을 구한다. 또한, 상기 샘플점 S5에 이웃한 샘플점 S6과 그 수직선 상의 상, 하 샘플점 S3, S9의 샘플링 값 N3, N6, N9을 수직 필터링하여 Cv6의 값을 구한다. 그런 다음, 상기 Cv4, Cv5, Cv6의 값을 수평 필터링하여 Chv의 값을 구한다. 따라서, 상기 샘플점 S5에서 휘도/색 신호 분리가 종래에 비하여 더욱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C'를 분리해내야 하는 C 값이라고 할 때, Cv4,Cv5,Cv6을 C'+α, C'-α, C'+α와 같이 순수한 C 값에 α 값이 혼합되어 있다고 했을 경우, 이 경우 Chv를 적용하면, C' 값을 분리할 수가 있다. 또한, 이를 내로우 밴드에 적용했을 때에도 제대로 분리할 수가 있다.
상기 수직/수평 필터링이 완료되고 나면, 단계(S50)에서 상기 휘도 신호 값 Y5와 색 신호 값 C5을 강화(enhancement)시켜준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샘플점 4, 5, 6의 필터링후 구해진 휘도 신호 값 Y4, Y5, Y6을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8과 같이 수평 필터링시킴으로써 수평 강화요소(enhancement factor)인 Ah의 값을 구한다. 또한, 상기 Cv4, Cv5,Cv6의 값을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8과 같이 수직 필터링시킴으로써 수직 강화요소인 Av의 값을 구한다.
Figure 112008059214946-pat00027
삭제
그런 다음, 상기 Ah의 값에 상기 Y5의 값을 더해주고 그 결과 값을 상기 샘플점 S5에서의 최종 휘도 신호 값 Y5으로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Av의 값에 상기 C5의 값을 더해주고 그 결과 값을 상기 샘플점 S5에서의 최종 색 신호 값 C5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합 영상신호가 휘도 신호와 색 신호로 분리될 때 손실된 부분의 휘도 신호 값을 구하여 상기 Y5의 값에 추가시킴으로써 상기 Y5의 값을 강화시켜줄 수가 있다. 그 결과, 기존의 휘도/색 신호 분리 과정에서 발생하였던 휘도 신호 값의 저하 때문에 화면의 전체적인 흐려짐(blur) 현상과, 경계선의 선명 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제거될 수 있다. 더욱이, 대화면 PDP에서의 화질 열화가 개선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은 현재 휘도/색 신호를 분리하고자 하는 샘플점에 수평 에지나 수직 에지가 있는 지 아니면 에지가 없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수평 에지가 있으면 기존 방식의 수평 필터를 이용하고, 수직 에지가 있으면 수직 필터를 이용하여 색 신호 값과 휘도 신호 값을 구한다. 수평 수직 에지의 경향에 따라 필터를 다르게 사용한다. 또한 수직/ 수평 에지가 아닌 지점에서의 경우 내로우 밴드에서의 휘도/색 신호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재 휘도/색 신호를 분리하고자 하는 샘플점 및 그 주변의 8개 샘플점에 대하여 2차원 필터를 적용시킨다. 마지막으로, 현재 휘도/색 신호를 분리하고자 하는 샘플점에서의 구해진 휘도 신호 값과 색 신호 값을 강화시켜서 최종 값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휘도/색 신호 분리 과정에서 발생하였던 휘도 신호 값의 저하 때문에 화면의 전체적인 흐려짐 현상과, 경계선의 선명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대화면 PDP에서의 화질 열화가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시된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도 가능함은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Claims (6)

  1. 현재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고자 하는 샘플점에 수평 에지와 수직 에지가 있는 지 없는 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샘플점에 수평 에지와 수직 에지가 있는 지 없는 지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상기 샘플점에 수평 에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평 필터링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샘플점에서의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는 수평 필터링 단계, 상기 샘플점에 수직 에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직 필터링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샘플점에서의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는 수직 필터링 단계, 및 상기 샘플점에 수평 에지 및 수직 에지가 모두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샘플점과 상기 샘플점 상하좌우대각의 8개 샘플점들에 수직/수평 필터링을 실시하여 상기 샘플점에서의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는 수직/수평 필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휘도 신호와 색 신호에 인핸스먼트 요소를 추가하여 최종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결정하는 인핸스먼트 단계를 포함하는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수평 필터링 단계의 수직 필터링 단계는,
    상기 샘플점의 수평 좌측에 있는 샘플점과 상기 수평 좌측에 있는 샘플점 상하의 샘플점인 3개의 샘플점들에 제 1 수직 필터링을 적용하고, 상기 샘플점과 상기 샘플점 상하의 샘플점인 3개의 샘플점들에 제 2 수직 필터링을 적용하고, 상기 샘플점의 수평 우측에 있는 샘플점과 상기 수평 우측에 있는 샘플점 상하의 샘플점인 3개의 샘플점들에 제 3 수직 필터링을 적용하고,
    상기 수직/수평 필터링 단계의 수평 필터링 단계는, 상기 제 1 수직 필터링의 결과값, 상기 제 2 수직 필터링의 결과값, 및 상기 제 3 수직 필터링의 결과값인 3개의 결과값들에 대하여 수평 필터링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핸스먼트 단계는, 상기 샘플점과 그 수평 좌측, 수평 우측의 샘플점들에서의 휘도 신호에 수평 필터링을 적용시킨 후 그 결과값을 상기 샘플점의 휘도와 합산시켜 상기 최종 휘도 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
  6. 삭제
KR1020020020046A 2002-04-12 2002-04-12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 KR100928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046A KR100928005B1 (ko) 2002-04-12 2002-04-12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046A KR100928005B1 (ko) 2002-04-12 2002-04-12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698A KR20030081698A (ko) 2003-10-22
KR100928005B1 true KR100928005B1 (ko) 2009-11-24

Family

ID=3237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046A KR100928005B1 (ko) 2002-04-12 2002-04-12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983B1 (ko) * 2005-12-29 2007-03-26 엠텍비젼 주식회사 지퍼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9393A (ja) * 1989-02-20 1990-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輝度信号色信号分離装置
JPH0716253A (ja) * 1993-06-30 1995-01-20 Nidek Co Ltd 光治療装置
JPH07336722A (ja) * 1994-06-14 1995-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輝度信号色信号分離フィルタ
KR0144730B1 (ko) * 1988-09-06 1998-07-15 오오가 노리오 휘도 및 색도신호 분리장치
KR0157480B1 (ko) * 1994-06-18 1998-11-16 김광호 화상처리에서 에지방향에 적응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방법 및 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730B1 (ko) * 1988-09-06 1998-07-15 오오가 노리오 휘도 및 색도신호 분리장치
JPH02219393A (ja) * 1989-02-20 1990-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輝度信号色信号分離装置
JPH0716253A (ja) * 1993-06-30 1995-01-20 Nidek Co Ltd 光治療装置
JPH07336722A (ja) * 1994-06-14 1995-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輝度信号色信号分離フィルタ
KR0157480B1 (ko) * 1994-06-18 1998-11-16 김광호 화상처리에서 에지방향에 적응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방법 및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698A (ko)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5186A (en) Motion adaptive luminance signal and color signal separating filter
JP2544982B2 (ja) 映像信号用デコ―ダ
EP1758371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5305120A (en) Television cross color suppression and chrominance noise reduction
KR960016853B1 (ko) 영상 신호 처리 장치
EP1924097A1 (en) Motion and scene change detection using color components
US7869650B2 (en)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a chrominance signal
JP5173135B2 (ja) 適応的y/c分離のためのデジタル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EP0549174B1 (en) Adaptive chrominance filtering control
US7605870B2 (en)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based adaptive temporal and spatial Y/C separation
US7663702B2 (en)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temporal and spatial Y/C separation in multiple directions
US4951129A (en) Digital prefiltering of encoded video signals
EP0487186B1 (en) Motion signal detecting circuit
KR100928005B1 (ko) 콤 필터에서의 휘도/색 신호 분리 방법
JP2003069859A (ja) 動きに適応した動画像処理
US732740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video comb filtering with dynamic chroma bandwidth control
KR930008182B1 (ko) 동신호 검출회로
JP3663613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702846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S6153915B2 (ko)
JP2557511B2 (ja) テレビジョン表示画面の動き検出回路
KR100215095B1 (ko) 수평상관 관계를 이용한 y/c 분리회로
Itoga et al. NTSC Y/C separation and enhancement technique with two dimensional adaptive features
JP3600678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方法及び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装置
JPH08256356A (ja) Y/c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