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003B1 - 만국시계 - Google Patents

만국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003B1
KR100928003B1 KR1020070045957A KR20070045957A KR100928003B1 KR 100928003 B1 KR100928003 B1 KR 100928003B1 KR 1020070045957 A KR1020070045957 A KR 1020070045957A KR 20070045957 A KR20070045957 A KR 20070045957A KR 100928003 B1 KR100928003 B1 KR 100928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ity
country
clock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977A (ko
Inventor
이창환
Original Assignee
이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환 filed Critical 이창환
Priority to KR1020070045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003B1/ko
Publication of KR20080099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2Arrangements for indicating different local apparent times; Universal time 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국시계에 관한 것으로, 외주에 12각 형상을 갖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정면 중앙에 구비되고 12시간을 표시하는 시계(14), 및 상기 본체(10) 정면 외주에 장착되고 현재 시각을 알고 싶은 국가를 지면의 수평 상부에 위치하도록 돌려 고정시키기 위해 본체(10)와 동일한 12각 형상을 갖는 표시부(12)를 포함하여 세계 주요 도시의 현재 시각을 표준시를 기준으로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만국시계, 표시부, 12각, 표준시, 시각

Description

만국시계{Universal Timepie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만국시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만국시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만국시계의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만국시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만국시계 10: 본체
12: 표시부 14: 시계
15: 시침 20: 캡
(기술분야)
본 발명은 만국시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계 주요 도시의 현재 시각을 표준시를 기준으로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만국시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표준시(標準時, standard time)는 태양의 일주운동으로 시각이 만들어지므로, 각 지방의 태양시는 지방의 경도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다. 따라서 같은 나라에서도 경도에 따라 다르므로, 한 나라 안에서는 편의를 위해 특정 지방의 평균시를 전국이 공통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를 표준시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경도 15˚차이마다 1시간씩 다른 표준시를 사용한다.
대부분의 나라가 그 나라 고유의 표준시를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원래 시간은 태양의 일주운동(日周運動)을 기준, 즉 태양에 대한 지구의 자전운동을 기준으로 만들어졌는데, 이것이 태양시이다. 따라서 각 지방의 태양시는 그 지방의 경도에 따라서 조금씩 달라진다. 태양이 그 지방의 자오선(子午線)을 지나는 시각, 즉 남중하는 시각을 일남중시각(日南中時刻)이라고 하는데, 일남중시각은 같은 나라에서도 경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예를 들면 울릉도에서 태양이 남중하는 시각에 인천에서는 아직 남중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따라서 울릉도의 지방평균시와 인천의 지방평균시는 서로 다르게 된다. 그러나 한 나라에서 이와 같이 각기 다른 시각을 쓴다면 매우 불편하므로, 대개는 어떤 특정 지방의 평균시를 취하여 전국이 공통으로 쓰게 되는데, 그것을 표준시라고 한다. 물론 동서로 길이가 긴 나라에서는 여러 개의 표준시를 쓰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1879년 캐나다와 미국은 S.플레밍의 제안에 의하여 두 나라가 공통으로 5개의 표준시를 정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 5개의 표준시는 각각 서경 60˚, 75˚, 90˚, 105˚, 120˚의 지방평균시를 취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현재 동경 135˚의 지방평균시를 표준시로 채택하고 있다.
세계 각지의 표준시는 그리니치표준시(경도 0˚를 지남)와의 시차(時差)를 정수로 두는 것이 보통이지만, 한때 대한민국이 그런 것처럼 경우에 따라서는 30분의 차를 더 둘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어떤 지방의 경도가 그 이웃 지방과 15˚의 차이가 날 때마다 1시간씩 다른 표준시를 쓰게 된다. 즉, 경도가 15˚ 동쪽으로 옮겨지면 표준시는 1시간이 빨라지고, 서쪽으로 옮겨지면 1시간이 늦어진다.
이런 단계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세계의 표준시각대(標準時刻帶)이다. 표준시각대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것은 날짜변경선이다. 날짜변경선은 육지가 없는, 즉 세계에서 사람의 왕래가 가장 드문 곳을 택하여 만들어졌다. 그러므로 같은 햇빛을 받으면서도 날짜변경선의 서쪽은 동쪽보다 항상 하루가 빠르게 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표준시는 그리니치표준시보다 9시간이 빠르다.
이와 같이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세계 각 지역으로의 여행과 통신이 빈번해지고 있어 세계 각 지역의 현재 시각을 정확히 인식해야할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세계 각 지역의 현재 시각을 표시하기 위하여 해당 지역의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시계를 준비하여야 했다. 또한 통신의 발달로 인터넷 등을 통하여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실시간을 통한 세계 각 지역의 현재 시각을 참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세계 각 지역의 주요 도시를 표준시를 기준으로 쉽게 알 수 있도록 12각형을 갖는 만국시계로서, 12시간을 표시하는 시계를 중심으로 기준이 되는 지역의 도시로부터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1시간 단위로 해당하는 지역의 주요 도시를 표시하고, 표시된 주요 도시가 지면의 수평 상부에 오도록 하면 해당하는 도시의 표준시를 바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만국시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24시간을 표시하는 24각형의 만국시계를 제공함으로써 세계 각 지역 주요 도시의 표준시를 한 번에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만국시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만국시계는, 외주에 12각 형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정면 중앙에 구비되고 12시간을 표시하는 시계, 및 상기 본체 정면 외주에 장착되고 현재 시각을 알고 싶은 국가를 지면의 수평 상부에 위치하도록 돌려 고정시키기 위해 본체와 동일한 12각 형상을 갖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만국시계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만국시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만국시계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외주연이 12각, 즉 일정한 12면을 갖는 본체(10)에 동일한 12면을 갖는 표시부(12)를 구비하고, 본체(10)의 정면 중심에 12시간을 나타내는 시계(14)가 장착된 것이다.
본 발명의 본체(10)는 내부에 시계(14)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연에는 일정한 길이의 12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본체(10)는 정면에서 배면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원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만국시계(1)의 시간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각도로 경사지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체(10) 내부에는 시계(14)의 구동을 위하여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시계(14)는 본체(10)의 정면 중앙에 장착되고, 12시간, 즉 60분을 나타낼 수 있도록 60분할된 것으로, 통상적인 아날로그 형태의 시계이다. 시계(14)에는 시침(15)이 포함되고, 필요에 따라 분침과 초침도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12)는 본체(10)의 정면 외주에 구성되는 것으로, 본체(10)와 동일한 12면을 갖는다. 그리고 표시부(12)는 본체(10)의 정면 지름보다 다소 큰 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시계(14)의 외주, 예컨대 시계(14)가 표시하는 12시간 중 해당하는 시간의 중심에 지면으로부터 수평의 면이 일치되도록 한다. 더욱이 표시부(12)에는 사용자의 국가 또는 해당하는 국가의 도시이거나 표준시의 기준이 되는 도시를 정한 후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시간 간격에 해당하는 주요 도시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준이 되는 도시가 정해지면 시계 방향으로는 1시간이 증가하는 도시가 표시되도록 하고, 반시계방향으로는 1시간이 감소하는 도시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대한민국 서울을 기준시로 하였을 경우에 시계방향으로 호주의 시드니(Sydney)가 표시될 것이고, 반시계방향으로는 중국의 북경(Beijing)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해당하는 국가나 주요 도시는 표시부(12)에 정해진 것을 적용하여도 좋지만, 사용자의 원하는 국가나 주요 도시일 경우에는 국가나 도시의 이름이 표시된 스티커를 해당하는 표시부의 시간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하여도 될 것이다.
그리고 표시부(12)에는 12시간의 시차를 갖는 나라를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12면을 갖는 표시부에 12시간의 시차가 있는 나라를 동시에 부착하여 해당하는 국가나 도시와 반대되는 국가나 도시를 표시함으로서 지구 반대편의 국가나 도시의 시각을 동시에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체(10)의 배면에는 시계(14)의 시각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부가 내장되거나 배터리의 삽입이나 분리 등을 위한 캡(20)이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시계(14)는 본체(10)의 정면으로부터 분리 및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고, 시계(14)와 표시부(12) 사이 공간에는 다양한 색상의 디자인이나 이미지가 표현될 수 있을 것이며, 시계(14)와 표시부(12) 사이에 투명한 재질의 유리나 아크릴 등이 삽입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준이 되는 국가나 도시, 예컨대 세계의 표준시인 영국의 런던(London)을 중심으로 하는 기준시로부터 1시간 간격으로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해당 국가나 도시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 중심으로 해당하는 국가나 도시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도 3A에서, 현재 표시부(12)가 지면의 수평 상부에 서울(Seoul)이 위치해 있고, 서울의 시각이 오전(또는 오후) 10시를 가리키고 있다. 즉 표시부(12)의 상부에 표시된 서울을 가리키는 시계(14)의 위치가 12시를 기준으로 하게 된다. 이때 러시아의 모스크바(Moscow)의 시각을 알고 싶다면, 도 3B와 같이 표시부(12)에 표시된 모스크바를 지면의 수평 상부에 위치하도록 만국시계(1)의 본체(10)를 돌리면, 모스크바의 현재 시각은 오전(또는 오후) 4시를 가리키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표시부(12)의 상부에 표시된 국가나 도시의 기준이 되는 표준시에서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국가나 도시의 기준이 되는 표준시로 본체(10)를 돌려놓으면 시계(14)의 시침(15)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돌려놓아진 본체(10)의 시계(14)의 시침(15)을 읽으면 해당하는 국가나 도시의 현재 시각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표시부(12)의 외측에 있는 제1표시부(12a)와 내측에 있는 제2표시부(12b)를 각각 12시간의 시차를 갖는 국가나 도시를 표시해 두면, 날짜와는 상관없이 현재 시각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만국시계(1)의 본체(10) 및 표시 부(12)를 각각 24각 형상으로 만들었을 경우에는 해당하는 국가나 도시를 24시간의 시차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서울과 12시간 시차를 갖는 도시로서 지구 경도상 서울과 반대편에 위치한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Rio de Janeiro)가 12시를 가리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서울이 오전이면 리우데자네이루는 오후가 될 것이고, 서울이 오후이면 리우데자네이루는 오전이 될 것이다. 그리고 날짜는 서울이 리우데자네이루보다 1일이 빠를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만국시계는 시계가 포함된 12각을 갖는 본체와 본체 정면에 12각을 갖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표시부에는 1시간 간격의 시차를 갖는 국가나 도시를 각각 표시해 두면,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이 되는 시각으로부터 사용자가 알고자하는 국가나 도시를 지면의 수평으로부터 상부에 만국시계의 본체를 돌려놓으면 직접 시계가 가리키는 시간을 읽어냄으로써 별도로 시차의 계산 없이 해당하는 국가나 도시의 시각을 알 수 있어 세계 각 지역으로의 여행이나 통신을 위하여 현재 시각을 알고자 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외주에 12각 형상을 갖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정면 중앙에 구비되고 12시간을 표시하는 시계(14), 및
    상기 본체(10) 정면 외주에 장착되고 현재 시각을 알고 싶은 국가를 지면의 수평 상부에 위치하도록 돌려 고정시키기 위해 본체(10)와 동일한 12각 형상을 갖는 표시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표시부(12)에는 표준시의 기준이 되는 도시를 정한 후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시간 간격에 해당하는 주요 도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표시부(12)의 상부에 표시된 국가나 도시의 기준이 되는 표준시에서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국가나 도시의 기준이 되는 표준시로 본체(10)를 돌려놓으면 시계(14)의 시침(15)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돌려놓아진 본체(10)의 시계(14)의 시침(15)을 읽으면 해당하는 국가나 도시의 현재 시각을 알 수 있도록 하거나, 표시부(12)의 외측에 있는 제1표시부(12a)와 내측에 있는 제2표시부(12b)를 각각 12시간의 시차를 갖는 국가나 도시를 표시해 두면 날짜와는 상관없이 현재 시각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국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12)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국가나 도시를 나타내는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국시계.
  3. 삭제
  4. 외주에 24각 형상을 갖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정면 중앙에 구비되고 24시간을 표시하는 시계(14), 및
    상기 본체(10) 정면 외주에 장착되고 현재 시각을 알고 싶은 국가를 지면의 수평 상부에 위치하도록 돌려 고정시키기 위해 본체(10)와 동일한 24각 형상을 갖는 표시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표시부(12)에는 표준시의 기준이 되는 도시를 정한 후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시간 간격에 해당하는 주요 도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표시부(12)의 상부에 표시된 국가나 도시의 기준이 되는 표준시에서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국가나 도시의 기준이 되는 표준시로 본체(10)를 돌려놓으면 시계(14)의 시침(15)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돌려놓아진 본체(10)의 시계(14)의 시침(15)을 읽으면 해당하는 국가나 도시의 현재 시각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국시계.
KR1020070045957A 2007-05-11 2007-05-11 만국시계 KR100928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957A KR100928003B1 (ko) 2007-05-11 2007-05-11 만국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957A KR100928003B1 (ko) 2007-05-11 2007-05-11 만국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977A KR20080099977A (ko) 2008-11-14
KR100928003B1 true KR100928003B1 (ko) 2009-11-24

Family

ID=4028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957A KR100928003B1 (ko) 2007-05-11 2007-05-11 만국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0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588A (ko) * 1988-05-10 1989-12-16 마틴 비에티.다니엘 파라테 소형탁상시계
KR100301767B1 (ko) * 1999-05-19 2001-09-22 어윤형 경도 측정가능한 만국 시계
KR200338270Y1 (ko) * 1997-04-21 2004-05-07 정선영 만국시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588A (ko) * 1988-05-10 1989-12-16 마틴 비에티.다니엘 파라테 소형탁상시계
KR200338270Y1 (ko) * 1997-04-21 2004-05-07 정선영 만국시계
KR100301767B1 (ko) * 1999-05-19 2001-09-22 어윤형 경도 측정가능한 만국 시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977A (ko) 200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0090C2 (ru) Часы с функцией отображения восхода или заката в любом месте мира
KR20060109708A (ko) 밤낮이 표시되는 만국시계
Davis GIS for web developers
AU4654599A (en) Timepiece from which sunrise and sunset time can be determined
EP1412701A2 (fr) Systeme de mesure et de localisation utilisant les bases trois et neuf et applications correspondantes
US6947351B1 (en) Watch equipped with means for determining a location longitude
KR100928003B1 (ko) 만국시계
FR3070509B1 (fr) Equipement electronique d’horlogerie indiquant l’heure et l’azimut du soleil au moyen d’une unique aiguille indicatrice
CN1149450C (zh) 可测定经纬度的通用时钟
US6134186A (en) Multi-area clock or watch
US7518956B1 (en) Planisphere clock
KR200253522Y1 (ko) 세계시계기능을갖춘지구본
KR100867205B1 (ko) 주야 표시 시계
US20190079455A1 (en) Astronomical horological device
CH693599A5 (fr) Pièce d'horlogerie comportant une représentation d'un hémisphère terrestre.
WO2023105365A1 (fr) Affichage d'une pièce d'horlogerie comportant un module à affichage multiple
KR101489592B1 (ko) 회전량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계
JP2001290418A (ja) 地球儀
EP2923243B1 (fr) Montre-bracelet ou montre de poche destinée à indiquer des informations astrales
JPH08335030A (ja) 太陽の経路と地方時を含む日の出日の入り位置推測器
CN106773593A (zh) 一种带有即时月相像图的表盘
KR19990068434A (ko) 경도측정가능한만국시계
KR100332195B1 (ko) 시계
Lee et al. The Astronomical Instrument, So-Gahui Invented During King Sejong Period
KR890008544Y1 (ko) 세계시 겸용 시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