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205B1 - 주야 표시 시계 - Google Patents

주야 표시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205B1
KR100867205B1 KR1020070009536A KR20070009536A KR100867205B1 KR 100867205 B1 KR100867205 B1 KR 100867205B1 KR 1020070009536 A KR1020070009536 A KR 1020070009536A KR 20070009536 A KR20070009536 A KR 20070009536A KR 100867205 B1 KR100867205 B1 KR 100867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y
night
clock
time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372A (ko
Inventor
어윤형
최장성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어윤형
최장성
이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윤형, 최장성, 이재호 filed Critical 어윤형
Priority to KR1020070009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205B1/ko
Priority to PCT/KR2007/006809 priority patent/WO2008093934A1/en
Publication of KR20080071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6Clocks or watches with indicators for tides, for the phases of the moon,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30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에 남극 또는 북극이 위치하고 지구의 남반구 또는 북반구의 세계지도가 도시되어 있고 지구의 자전과 같은 방향으로 1일 1회전하는 시계의 내판과, 상기 내판과 함께 1일 1회전하며 시각을 표시하는 시지시자와, 상기 내판의 외곽 또는 상부에 위치하며 시간표시용 눈금이 있는 시계의 외판을 가지는 일종의 24시간 표현형 만국시계에 있어서, 남극 또는 북극에서 바라본 지구의 밤낮 표시가 보다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는 시계에 관한 것이다.
시계, 밤낮, 주야, 주야경계선, 만국시계, 세계지도

Description

주야 표시 시계{Timepiece displaying day of night in a geographic location}
도 1은 1월 6일부터 약 15일 간격으로 실측된 주야경계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일년을 1월 1일부터 5 균등분할한 시점의 주야경계선을 간략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시제품 시계의 외관 및 내부 등에 대한 사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
1. 내판 2. 시지시자(시침)
3. 시지시자(분침) 4. 시지시자(초침)
5. 외판 11. 구획판
M. 무브먼트
본 발명은 전 지구적 차원에서 밤-낮의 영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세계 여러 지역의 현지 시각과 주야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주야 표시 시계에 관한 것이다.
시대와 지역에 따라서 시간단위는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동양의 경우 현재와 같은 1일 24분할체제가 도입된 것은 100년 정도에 지나지 않으며, 그 이전에는 1일 12분할체제 즉, 12갑자 체제를 이용하였었다. 그러나 현재는 1일 24분할 즉, 24시간체제가 확정적으로 정착되어 있는 상태이며, 시간을 나타내는 시계는 대부분 12시간분할 1일 2회전하는 체제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날짜 체계는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의 운동상황을 그대로 반영한 태양력이다. 즉, 태양이 지구상의 특정 지역에 정남중한 때부터 다음 번 정남중 할 때까지를 1일로, 1일을 24시간으로, 1시간을 60으로 분할하여 분을 나타내며, 태양이 황도상의 특정 지점을 출발하여 다음 번 그 지점으로 돌아올 때까지를 1년으로 계산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전세계적으로 대다수의 달력은 태양력이며, 시계는 태양시 체계이다. 태양과 지구의 관계에 의해 계절이 정해지고, 밤낮이 결정된다는 측면에서 태양시 체계는 일상생활 주기와 일치하는 점이 많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시계는 12시간에 1회전하는 12-시간 체계로서, 단순히 현재시각을 알려줄 뿐 현재 태양의 위치, 고도, 밤과 낮, 별의 출몰, 계절에 따른 태양, 별, 달의 변화상 등과 같은 현실적인 자연현상을 그대로 표현하지 못하여, 인간과 자연의 고리를 차단하는 역기능을 하는 측면도 있다.
한편, 대한민국의 경우 태양의 남중시각을 12시(대한민국은 동경 135도를 표준자오선으로 사용하므로 실제로 남중하는 시각은 12시 30분경이다.)라고 가정하면, 태양은 춘분과 추분에는 정동에서 뜨고 정서로 지며 일출 시각은 오전 6시, 일몰 시각은 오후 6시이다. 하지에는 태양은 북동쪽으로 치우쳐서 뜨고 북서쪽으로 치우쳐서 지며, 일출시각은 오전 4시 40분경이고 일몰시각은 오후 7시 20분경으로 낮시간은 춘분 또는 추분 때보다 약 2시간 40분 가량 길다. 동지에는 태양은 남동쪽으로 치우쳐서 뜨고 남서쪽으로 치우쳐서 지며, 일출시각은 오전 7시 20분이고 일몰시각은 오후 4시 40분으로 하지 때보다 낮시간은 5시간 20분 짧아지고 밤시간은 그 만큼 길어진다. 상기 일출시각과 일몰시각은 일별로 차이가 있으며 이것이 누적되어 한달이면 약 30분씩 일출이나 일몰시각이 차이가 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출시각과 일몰시각은 계절별로 바뀌게 될 수 밖에 없으며 측정자가 위치하는 위도에 따라서도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일반인에게 있어서 태양이 뜨고 지는 시각이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정보가 됨에도 상기와 같은 일출시각과 일몰시각은 TV나 신문 등의 뉴스를 보지 않으면 쉽게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시화가 확대되면서 도시의 지하화, 건물의 폐쇄화 등으로 태양을 보고 사는 사람들이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지구적 관점에서 지구와 태양의 관계(지구상의 밤과 낮)를 자연의 주기적 현상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시계가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부응하여 국내외에 다양한 종류의 자연반영 시계가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1999-22609호("일출-일몰시각과 태양의 위치를 나타내는 시계")는 시계에 조정가능한 일출몰표시각표시부를 부가하여 일출몰시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계속 변화하는 일출몰시간을 반영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미국특허 제4,551,027호("Device for Determining Time of Sunrise and Sunset")에는 12시간 체계의 시계의 중심부에 각각 3개의 내부호형 데이터부(inner arcuate data units)와 외부호형 데이터부(outer arcuate data units) 등이 표시된 보조판(an auxiliary disc)이 장착된 시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시계는 별도의 지도와 연계된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만 태양의 출몰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미국특허 제5,023,849호("Astronomic Timepiece and Disc Intended for Use Therein")에는 각각 <일출-일몰-태양의 고도>에 관한 정보가 있는, 동심원이면서 지름이 상이한 3개의 원형 띠(4 sectors)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원형 띠는 다시 각각 12개로 구획되어 <일출-일몰-태양의 고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림 또는 문자-숫자가 표시된 달판(月板; the month disc)이 장착된 태양정보 시계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시계는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태양에 관한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기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미국특허 제5,917,778호("Geographical chronological device")에는 중앙에 타원의 개구부(an oval cut-out)가 형성된 전면판(front piece)과, 네 개의 미끄럼식 끼움부(slit)가 형성된 후면판(rear piece) 사이에 상기 끼움부에 장착되는 이동형 밝은 반달(sliding light portion)과 어두운 반달(sliding dark portion)이 작동하면서 밤-낮을 표현하는 시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시계는 구조가 복잡하고 동지-추분-하지 때에만 밤-낮이 잘 표현되지만 다른 때에는 밤-낮이 직선으로만 표현되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 평5-12695호("계절 관련 지구의 낮지대를 표시하는 시계")는 중앙에 시침/분침이 설치되지 않은 지구판(122)의 좌우 양단에 가동결합수단(150)을 설치하고 탄성와이어(128) 말단을 상기 가동결합수단에 결합시키고, 제어구조체(130)를 구동시켜 탄성와이어가 아래위로 굽어졌다 펴졌다 하면서 밤낮을 표시하는 시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계는 시침/분침이 시계 중앙부에서 시작되지 않고 주변부에 장치되어 있어 낯설고 장치가 복잡하며, 탄성와이어가 가느다란 선의 형태로 되어 있어 밤-낮의 경계가 육안으로 즉시 파악하기 쉽지 않다.
인간 욕구의 다양화, 고급화에 따라 지구-별-태양-달의 4자 관계를 자연현상 그대로 단순하게 표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위치한 시공(時空)에서 태양과의 관련성을 시각적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시계가 요청되고 있다. 즉, 시각과 태양과의 관계를 숫자개념으로서가 아닌 눈과 몸으로 감각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시계가 요청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시점의 지구상의 밤-낮을 자연스럽고 간편하게 표시하는 침형 시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계절의 순환에 따라 밤-낮의 경계선이 자연스럽게 변해갈 수 있는 침형 시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구상의 밤-낮이 표시되면서 지구상 2곳 이상 지역의 시각을 즉각 파악할 수 있는 듀얼타임 침형 시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침형시계에 디지털 시계가 접목된 복합시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에 남극 또는 북극이 위치하고 지구의 남반구 또는 북반구의 세계지도가 도시되어 있고 지구의 자전과 같은 방향으로 1일 1회전하는 시계의 내판과, 상기 내판과 함께 1일 1회전하며 시각을 표시하는 시지시자와, 상기 내판의 외곽 또는 상부에 위치하며 시간표시용 눈금이 있는 시계의 외판을 가지는 일종의 24시간 표현형 만국시계에 있어서, 남극 또는 북극에서 바라본 지구의 밤낮 표시가 보다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는 시계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시계에서, (A) 상기 내판은 투광성 내지 반투광성의 재질이며, (B) 상기 내판의 저면에 하지 및 동지의 지구 밤낮 경계선에 대응되는 두 개의 곡선형 구획판과, 하지에서 동지 사이의 시간을 임의의 수로 분할한 시점의 지구 밤낮 경계선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구획판이 형성되어 있고, (C) 상기 하지에 대응되는 구획판의 외곽에는 항시 점등되는 발광수단과, 상기 구획판들 사이의 영 역에는 시점에 따라 차등적으로 점등-소등을 반복하는 발광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D) 세팅된 연월일에 따라 상기 구획판들 사이에 설치된 발광수단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주야 표시 시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지시자는 상기 내판과 일체화될 수도 있고 분리될 수도 있으며, 형태는 통상의 침(針)형이거나 다른 임의의 표장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계는 1시간에 1회전하는 분침 또는 1시간에 1회전하는 분침과 1분에 1회전하는 초침이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시간을 나타내는 눈금과 분 및 초를 나타내는 눈금이 별도로 표시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시간을 나타내는 눈금만으로 분 및 초를 같이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판, 시지시자, 분침 또는 초침은 각각 정해진 속도로 회전운동하게 되는데, 이들 구동은 종래 널리 알려진 기계식 또는 전기식 무브먼트(구동장치) 등을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타 부분(발광수단)과의 관계에 따라 전기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해와 설명의 편의상 몇 가지 가정을 한다. 다만 실측 데이터가 반영된 도 1을 설명하는 경우에는 북반구를 대상으로 한다는 가정과 태양의 위치에 대한 가정만이 유효하다.
이론상 일년 동안 주야경계선의 중앙부는 극점을 중심으로 일년에 1회 왕복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상 일년을 360일, 한달을 30일로, 동지(실제 양력 12월 22 일 경)를 1월 1일로, 춘분(3월 21일 경)을 4월 1일로, 하지(6월 22일 경)를 7월 1일로, 추분(9월 23일 경)을 10월 1일로 단순화한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시계는 북반구가 도시된 것이다. 남반구가 도시된 시계는 북반구 시계와는 대칭적 개념이므로 추가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태양은 시계의 위쪽(상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밤낮의 경계선은 어느 시점의 것이라도 양 말단이 일치된다.
구획판은 13개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단순화와 가정은 본 발명의 시계를 명쾌하게 설명하고자 하는 의도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본질과 범위가 이에 의해 영향받거나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A)에 대한 설명 : 지구의 남반구 또는 북반구의 세계지도가 도시되어 있는 상기 내판은 하부의 발광수단에 의한 빛이 통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상기 세계지도도 적절하게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상태로 인쇄 또는 부착된다. 이들 재질은 통상의 투광성 내지 반투광성 플라스틱이 적합하겠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내판은 "남반구 또는 북반구의 세계지도가 도시되고, 1일1회전"하므로 원형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이 속한 북반구일 경우에는, 시계의 내판은 지구의 자전과 같은 방향 즉, 통상적 의미의 반시계 방향(상단부부터 왼쪽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대로 남반구일 경우에는, 시계의 내판이 통상적 의미의 시계방향(상단부 부터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B)에 대한 설명 : 일출시각과 일몰시각은 계절별로, 그리고 측정자가 위치하는 위도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 전 지구적 차원에서 보면 계절(1년 중의 시점)에 따른 밤낮의 경계 변화로 표현된다. 즉, 지구의 자전축이 23.5° 기울어진 상태로 공전하기 때문에 계절에 따른 날씨변화와 더불어 밤낮의 경계(이하 "주야경계선" 또는 단순히 "경계선"이라 함)가 주기적으로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에 2004년도의 소정의 날짜에 지구 북반구의 각 위도의 일출몰 시간을 수집하고 이를 반영하여 지구 북반구의 주야경계선을 도시하였다. 각 경계선에 해당 날짜를 표시하였다.
지구가 완벽한 구체가 아니기 때문에 통상 예상되는 것과는 달리 주야경계선이 완벽한 원호를 이루지 않으며, 주야경계선의 말단이 서로 겹쳐지지도 않고, 또한 인접한 시점의 주야경계선이 서로 겹치는 경우도 나타난다. 각 주야경계선의 형태도 매년 조금씩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에서 볼 수 있듯이, 춘분/추분 때의 주야경계선은 북반구를 거의 반분하는 거의 직선형(도 1에서 제일 가운데 있는 주야경계선; 실질적으로 직선형은 아니며, 이하 이를 단순화하여 "준직선형"이라 표현함)이며, 하지 때의 주야경계선은 양 말단이 상기 준직선형 경계선의 양말단과 [거의] 일치하며 중앙이 태양의 반대방향으로 23.5° 후퇴된(즉, 중앙이 지도상의 위도 [90°-23.5°]의 태양 반대방향에 접하는) 오목 곡선형을 이루며, 동 지 때는 양 말단은 상기 준직선형 경계선의 양 말단과 일치하며 중앙이 태양 쪽으로 23.5° 전진된(즉, 중앙이 지도상의 위도 [90°-23.5°]의 태양방향에 접하는) 볼록 곡선형을 이루게 된다.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위도값"과 "주야경계선의 중앙이 볼록 또는 오목"하다는 표현은 불완전구체인 지구의 특성상 개략적 표현임은 당업자에게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밤낮 경계선에 대응되는 구획판"이란 의미는 실제 특정일의 밤낮 경계선과 완전일치하는 구획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자연현상(밤낮 경계선)에 거의 일치되도록 대응되는 구획판"이란 의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획판"은 특정 시점의 주야경계선을 나타내는 곡선/준직선과 동일한 형태로 된 일종의 띠(band)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획판은 최소한 하지, 춘/추분 및 동지 때에 대응되는 3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판은 상기 내판의 저면에 설치된다.
구획판의 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실제 특정 시점의 주야경계선은 본 발명 시계의 구획판과 대응되는 개념이다.
구획판의 최외곽 2개는 각각 하지 및 동지에 대응되며, 주야경계선이 1년 동안 상하왕복하게 된다. 따라서 매달 1일과 15일에 해당하는 구획판을 모두 장착하는 경우 구획판의 총 수는 13개가 되며 그에 대응되는 일자 및 그 때의 밤낮경계선 중앙이 접하는 위도 등을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표에서 구획판 번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붙인 것으로서 구획판의 총 수가 13개인 경우에 대한 것이다.
Figure 112007009202802-pat00001
* 구획판의 형태는 태양이 시계의 위쪽(상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 경우이다. 북반구와 남반구는 서로 반대의 형태가 된다.
구획판의 총 수는 상황에 따라 임의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 하지 및 동지의 지구 주야경계선에 대응되는 두 개의 곡선형 구획판과, 하지에서 동지 사이의 시간을 임의의 비율로 균일하게 분할한 시점의 지구 밤낮 경계선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구획판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구획판의 수가 너무 적으면 자연현상의 반영이 불충분하며, 너무 많으면 공간구조상 제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하지 및 동지의 지구 주야경계선에 대응되는 2개의 곡선형 구획판과, 춘·추분의 지구 주야경계선에 대응되는 한 개의 준직선형 구획판 및 하지에서 추분 사이, 동지에서 춘분 사이의 시간을 2 내지 6으로 분할한 시점의 지구 주야경계선에 대응되는 2개 내지 10개의 곡선형 구획판으로 구성(따라서 총 5개 내지 13개)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분할은 상기 표 1에서처럼 시간대비 균일분할일 수도 있고, 구획한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하는 공간대비 균일분할일 수도 있다. 나아가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균일분할이 아닌 임의의 불균일분할도 가능할 것이다.
만일 시간대비 균일분할로 총 5개의 구획판이 적용된다면 위 표의 (1, 4, 7, 10, 13)번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를 이론적으로 도식화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N은 북극을, 원의 외곽 O은 적도를 나타낸다. 도에서 원숫자로 표시된 각각의 주야경계선의 시점과 경계선에 내접하는 위도는 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C)에 대한 설명 : 상기 구획판들은 궁극적으로 주야경계선을 본 발명의 시계 내판에 표현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밤낮의 경계는 시점(계절)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하므로 상기 각 구획판들의 사이 영역(공간)도 주기적으로 점등-소등되는 발광수단이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 상기 동지에 대응되는 구획판의 외곽에서는 발광수단이 항시 점등되며, 상기 구획판들 사이의 영역에서는 발광수단이 시점에 따라 차등적으로 점등-소등을 반복되도록 설치된다. 구획판의 총 수가 13개일 경우 각 구획판 사이의 영역이 점등-소등되는 기간은 다음 표 2와 같다. 표에서 예컨대 "영역 1-2"는 상기 표 1의 구획판 번호 1과 2 사이의 영역을 의미하며, "영역 ~1"은 1번 구획판의 외곽을, "영역 13~"는 13번 구획판의 외곽을 의미한다. 표에서 영역번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붙인 것으로서 구획판의 총 수가 13개인 경우에 대한 것이다.
Figure 112007009202802-pat00002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수단은 전기에 의해 빛을 방출할 수 있는 어떠한 것도 가능하지만, 저전력 소모용이고 내구성이 있으며 부피가 작은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LED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D)에 대한 설명 : 본 발명에 의한 시계는 일반적인 24시간형 북(남)반구 도시 시계와 동일하게 사용되는 지역 및 시간에 따라 시침 및 분침 등을 세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시계는 계절(시점)에 따른 지구상의 주야경계선이 표현되므로, 세팅된 연월일에 따라 상기 구획판들 사이에 설치된 발광수단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필요하다. 제어수단은 세팅된 연월일을 반영하여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영역의 발광수단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통상의 IC 및 부수회로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제어수단의 구성은 당업자라면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지시자는 세팅이 가능하며, 하나 또는 복수의 국가 또는 지역을 나타내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표장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지에 따라 그 곳을 상징하는 국가모양이나 국기, 국화 등을 시지시자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시각의 분은 전 세계적으로 통일되어 있으므로, 둘 이상 지역의 시각과 밤낮 현황에 관심이 있는 경우 각 지역을 상징하는 둘 이상의 표장을 시지시자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삭제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시계는 회전식 시계인데, 여기에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주야 표시 시계와 연동·제어되는 숫자표시형 디지털 시계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디지털 시계는 년/월/일/시/분(/초)이 모두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년/월/일/시/분(/초)은 주야 표시 시계와 동기화된다. 구체적인 동기화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한 시계의 제작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년/월/일은 수동으로 동기화시키고, 내판/시지시자/분침(/초침)의 구동은 소정의 센서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디지털 시계의 시/분(/초)과 동기화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계에는 달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부 및 정오를 나타내는 부분에 태양를 나타내는 표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달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부는 시계판의 적절한 곳에 임의로 위치할 수 있으며, 달의 삭망월 주기인 약 29.5일에 맞추기 위해 음력(陰曆)의 대소달에 맞추어 29일과 30일에 각각 1회전하도록 설정된다. 한편, 달의 위치는 자연현상에 따른 실제적인 위치가 있지만 음력에 따라 인식하기 합당하도록 가상적인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제 달은 본 발명에 의한 시계에서 특정의 위치에 있지만, 음력에 의한 계산에 의하면 가상적인 달은 이보다 다소 전 또는 후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달의 위치를 나타내는 경우 동시에 음력날짜를 표시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 문화권을 선택하여 사용되는 날짜체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태음력(太陰曆, 이슬람역, 회교력)을 사용하는 이슬람문화권과 동양의 음력은 그 날짜체계가 다르므로 서로 다른 날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태양과 달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개략적인 음력날짜를 유추할 수 있다. 즉, 달의 위치가 태양과 같은 정오 위치에 있을 경우, 그믐인 음력 30일이 되며, 태양과 반대 위치인 하오 위치에 있을 경우엔 보름인 음력 15일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계는 휴대용이나 탁상용 또는 벽걸이용 등 용도에 맞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판의 형상구조와 회전속도 등을 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만국시계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만국시계는 구동장치와 특정 회전비를 갖는 톱니의 조합에 의한 기계적 방식에 의해 가능할 뿐 아니라, 전기적 방식에 의해 작동되는 형태, 예를 들면 쿼쯔 방식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계의 시제품 사진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다시 한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시계의 내부, 내부의 확대, 시간표시용눈금이 있는 시계의 외판(5)이 장착된 상태, 외판(5)과 시지시자[시침(2), 분침(3), 초침(4)]가 장착된 상태, 외판(5)과 내판(1)이 장착된 상태 및 모든 구성요소가 장착된 시계의 외관 사진이다. 시제품에서 발광수단으로서 LED가 장착되었는데, 아직 필요한 전면에 장착되지는 않은 상태이며, 제어수단은 이면에 장착되어 있다. 시제품에서 무브먼트(M)가 돌출되어 있어 구획판(11)의 일부가 차단되어 있는데, 소형의 무브먼트를 적용하거나 무브먼트를 구획판보다 저면에 설치하여 구획판의 차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시제품에서 구획판은 모두 10개가 되도록 하였는데, 각 구획판(원숫자 참조)에 대응되는 주야경계선에 해당하는 날짜는 하기 표 3과 같다. 표에서 1번 및 10번 구획판을 시간의 범위로 나타낸 것은, 시제품의 상기 구획판에 대응될 수 있는 실제 날짜의 범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구획판의 경우 날짜의 범위를 생략하였다.
Figure 112007009202802-pat00003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일출과 일몰시간이 변화 하고 측정자가 위치하는 위도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야의 길이가 일정치 않으므로 세계 각지의 일출·일몰 상태를 즉석에서 파악하는 것은 종래의 시계만으로는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시계에 따르면, 세계지도 상에 일출·일몰 상태가 음영 또는 색상의 차이로 표시되어 있어, 별도의 조작없이도 특정 지역 뿐 아니라 지구적 차원에서의 주야상태와 일출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였고, 일몰까지 어느 정도 시간이 남아있는지를 한 눈에 알 수 있다.

Claims (6)

  1. 중심에 남극 또는 북극이 위치하고 지구의 남반구 또는 북반구의 세계지도가 도시되어 있고 지구의 자전과 같은 방향으로 1일 1회전하는 시계의 내판과, 상기 내판과 함께 1일 1회전하며 시각을 표시하는 시지시자와, 상기 내판의 외곽 또는 상부에 위치하며 시간표시용 눈금이 있는 시계의 외판을 가지는 시계에 있어서,
    (A) 상기 내판은 투광성 내지 반투광성의 재질이며,
    (B) 상기 내판의 저면에 하지 및 동지의 지구 밤낮 경계선에 대응되는 두 개의 곡선형 구획판과, 하지에서 동지 사이의 시간을 임의의 수로 분할한 시점의 지구 밤낮 경계선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구획판이 형성되어 있고,
    (C) 상기 동지에 대응되는 구획판의 외곽에는 항시 점등되는 발광수단이,
    상기 구획판들 사이의 영역에는 시점에 따라 차등적으로 점등-소등을 반복하는 발광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D) 세팅된 연월일에 따라 상기 구획판들 사이에 설치된 발광수단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야 표시 시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①춘·추분의 지구 밤낮 경계선에 대응되는 한 개의 구획판 및
    ②하지에서 추분 사이, 동지에서 춘분 사이의 시간을 각각 2내지 6으로 분할한 시점의 지구 밤낮 경계선에 대응되는 2개 내지 10개의 곡선형 구획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야 표시 시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지시자는 세팅이 가능하며, 하나 또는 복수의 국가 또는 지역을 나타내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표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야 표시 시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에, 1시간에 1회전하는 분침 또는 1시간에 1회전하는 분침과 1분에 1회전하는 초침이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야 표시 시계.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에,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주야 표시 시계와 연동·제어되는 숫자표시형 디지털 시계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야 표시 시계.
KR1020070009536A 2007-01-30 2007-01-30 주야 표시 시계 KR100867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536A KR100867205B1 (ko) 2007-01-30 2007-01-30 주야 표시 시계
PCT/KR2007/006809 WO2008093934A1 (en) 2007-01-30 2007-12-26 Timepiece displaying day of night in a geographic lo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536A KR100867205B1 (ko) 2007-01-30 2007-01-30 주야 표시 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372A KR20080071372A (ko) 2008-08-04
KR100867205B1 true KR100867205B1 (ko) 2008-11-06

Family

ID=3967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536A KR100867205B1 (ko) 2007-01-30 2007-01-30 주야 표시 시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67205B1 (ko)
WO (1) WO20080939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7175A2 (ko) * 2009-04-07 2010-10-14 Chung Seun Yung 만국시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2852A1 (en) * 2016-05-06 2017-11-09 Emiliano Miluzzo System and method for smartphone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 and pedestria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3686A (ja) * 1988-04-01 1989-10-09 Citizen Watch Co Ltd 世界の日照状態を表示する装置及びその時計
US5197043A (en) 1991-03-29 1993-03-23 Strader Verne A Night and day earth clock calendar
JPH05126965A (ja) * 1990-04-12 1993-05-25 Ulysse Nardin Sa 季節の関数として地球の昼地帯を表示する時計
KR19990083708A (ko) * 1999-06-16 1999-12-06 어윤형 일출-일몰시각과태양의위치를나타내는시계
KR20060108099A (ko) * 2005-04-12 2006-10-17 어윤형 밤낮이 표시되는 만국시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3686A (ja) * 1988-04-01 1989-10-09 Citizen Watch Co Ltd 世界の日照状態を表示する装置及びその時計
JPH05126965A (ja) * 1990-04-12 1993-05-25 Ulysse Nardin Sa 季節の関数として地球の昼地帯を表示する時計
US5197043A (en) 1991-03-29 1993-03-23 Strader Verne A Night and day earth clock calendar
KR19990083708A (ko) * 1999-06-16 1999-12-06 어윤형 일출-일몰시각과태양의위치를나타내는시계
KR20060108099A (ko) * 2005-04-12 2006-10-17 어윤형 밤낮이 표시되는 만국시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7175A2 (ko) * 2009-04-07 2010-10-14 Chung Seun Yung 만국시계
WO2010117175A3 (ko) * 2009-04-07 2011-02-17 Chung Seun Yung 만국시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93934A1 (en) 2008-08-07
KR20080071372A (ko) 2008-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25632C2 (ru) Хронометр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времени восхода и захода солнца
KR20060109708A (ko) 밤낮이 표시되는 만국시계
US5917778A (en) Geographical chronological device
WO2006082491A2 (en) Global timepiece for the contemporary indication of local times and dates around the globe
EP2223190B1 (en) Watch
KR100867205B1 (ko) 주야 표시 시계
KR100709308B1 (ko) 자연현상을 반영한 천체시계
US7518956B1 (en) Planisphere clock
CN106647216A (zh) 一种显示全球晨昏信息的表盘
CN106773594A (zh) 一种多城市多指针计时表盘
CN106773593A (zh) 一种带有即时月相像图的表盘
US20060291333A1 (en) Real time earth clock
JP7359956B2 (ja) 要求に応じて月を表示するデバイス
KR20190052511A (ko) 균시차를 보정한 해시계 장치 및 동작 방법
EP3537227B1 (en) Timepiece device for the display of the duration of day and night
CN2329023Y (zh) 一种球面立体世界钟
CN2273430Y (zh) 时空钟
CN2322165Y (zh) 模似地球自转的记时钟表
CN2359717Y (zh) 可增加指示功能的直接显示24时的指针式钟表
WO2000077579A1 (en) Timepiece for designating lunar date
CN2380940Y (zh) 世界钟表
JPS6029779A (ja) 時計
KR200167493Y1 (ko) 자동식 별자리판
CN2293849Y (zh) 一种世界钟
CN1375806A (zh) 日历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