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166B1 - 관 연결 소켓 - Google Patents

관 연결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166B1
KR100927166B1 KR1020090040301A KR20090040301A KR100927166B1 KR 100927166 B1 KR100927166 B1 KR 100927166B1 KR 1020090040301 A KR1020090040301 A KR 1020090040301A KR 20090040301 A KR20090040301 A KR 20090040301A KR 100927166 B1 KR100927166 B1 KR 100927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spike
pipe
sealing 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병욱
Original Assignee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0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25Rolling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comprising a first ring being placed on a male part and a second ring in the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10-0828186호의 "관 연결 소켓"을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소켓은 어느 한 관(P1)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관(P1)에 일체화되는 소켓 본체(10)가 덮개(20)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소켓 본체(10)의 내부에 밀폐링(30), 스파이크(40), 가입링(50) 및 가동부재(60)가 순서대로 적층되고, 가동부재(60)의 경사부(61)가 덮개(20)의 경사부(21)와 밀착되고, 상기 소켓 본체(10)에 가압볼트(70)가 체결되어, 상기 가압볼트(70)가 소켓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가동부재(60)를 가압하면, 가압볼트(70)에 의해 가동부재(60)가 덮개(20)의 경사부(21)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동부재(60)가 가압링(50)을 통해 스파이크(40)를 하부로 밀게 되고, 상기 스파이크(40)가 하강하면서 소켓 본체(10)의 제 2 안착부(125)에 안착된 밀폐링(30)을 가압하여, 상기 밀폐링(30)이 압축됨으로써, 상기 밀폐링(30)이 연결관(P2)의 둘레를 실링하게 되고, 스파이크(40)에 가해지는 힘(F1)의 수평분력(F2)에 의해 스파이크(40)의 직경이 수축되어, 상기 스파이크(40)가 연결관(P2)을 그립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 연결 소켓{SOCKET FOR CONNECTING A PIPE WITH ANOTHER PIPE}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10-0828186호의 "관 연결 소켓"을 개선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 본체와 덮개의 결합구조가 개선되고, 소켓 본체에 내장되는 밀폐링의 형상 및 밀폐링이 안착되는 소켓 본체의 구조가 개선되고, 밀폐링을 가압하는 구조가 개선된 관 연결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10-0828186호(2008년 4월 30일, 등록)에 "관 연결 소켓"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관 연결 소켓은 수용실이 형성되고 이 수용실에 밀폐경사면과 걸림턱이 형성된 소켓 본체; 상기 밀폐경사면에 배치되는 밀폐링; 상기 걸림턱에 안치되는 경사링; 상기 경사링에 배치되는 조임링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실 상부의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경사부를 가진 상부 유니트와 중앙에 장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경사부와 대접하는 경사부를 가진 하부 유니트로 된 가압수단이 배치되어 소켓본체의 측벽에 나사 결합된 가압볼트의 조임에 의해 하부 유니트를 이동 시키므로써 상기 조임링과 밀폐링이 가압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관 연결소켓은 소켓 본체의 밀페경사면에 밀폐링이 배치되어, 연결관을 끼울 때, 밀폐링의 직경이 수축되면서, 밀폐링에 의해 연결관의 끼움이 간섭되고, 조임링(스파이크)의 수축이 조임링의 하강 작용보다 먼저 일어나 밀폐링이 충분히 가압력을 받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여러 개의 볼트에 의해 소켓 본체에 덮개가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켓 본체와 덮개의 결합구조를 개선하고, 소켓 본체에 내장되는 밀폐링의 형상 및 밀폐링이 안착되는 소켓 본체의 구조를 개선하고, 밀폐링을 가압하는 구조가 개선한 관 연결 소켓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소켓은 어느 한 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관에 일체화되는 소켓 본체가 덮개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소켓 본체의 내부에 밀폐링, 스파이크, 가입링 및 가동부재가 순서대로 적층되고, 가동부재의 경사부가 덮개의 경사부와 밀착되고, 상기 소켓 본체에 가압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가압볼트가 소켓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가동부재를 가압하면, 가압볼트에 의해 가동부재가 덮개의 경사부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동부재가 가압링을 통해 스파이크를 하부로 밀게 되고, 상기 스파이크가 하강하면서 소켓 본체의 제 2 안착부에 안착된 밀폐링을 가압하여, 상기 밀폐링이 압축됨으로써, 상기 밀폐링이 연결관의 둘레를 실링하게 되고, 스파이크에 가해지는 힘의 수평분력에 의해 스파이크의 직경이 수축되어, 상기 스파이크가 연결관을 그립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소켓은 상기 스파이크의 가압력이 밀폐링으로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스파이크와 밀페링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 본체는 가압부재가 내장되는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 둘레에 연결되는 소켓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부는 구멍이 형성된 바닥면의 양 측단에서 사각판 형태의 제 1 측면부 및 제 2 측면부가 수직하게 세워지고, 제 1 측면부의 일단과 제 2 측면부의 일단이 프론트 곡면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 곡면부의 중앙에 가압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벽부의 타단과 제 2 측벽부의 타단이 리어 곡면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리어 곡면부의 높이가 측면부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리어 곡면부의 상단 중앙에 결합볼트가 체결되는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 상단 및 정면 곡면부의 내측면 상단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관부는 어느 한 관의 일단에 연결부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관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단차지게 확관되어, 연결부와 케이싱의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부 사이에 제 1 안착부 및 제 2 안착부가 형성되며, 제 1 안착부에 완충링이 배치되고, 제 2 안착부에 밀폐링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는 상부 수평부의 중앙에 연결관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측면부의 하단에 경사부가 형성되고, 측면부의 상단과 프론트 곡면부에 슬라이딩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리어 곡면부의 하단이 소켓 본체의 리어 곡면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리어 곡면부가 소정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링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형 단면의 바디부가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부가 내주면을 이루고, 바디부의 하부에서 뾰족한 형태로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의 하단이 직선부의 하단과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파이크는 에지 클로우가 형성된 조각편과 탄성고무가 교대로 배치되어 링 형상을 이루며, 외주 경사면이 가압링의 내주 경사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부재는 사각에서 코너가 라운드 처리된 형태의 구멍이 형성되고, 정면부가 후면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측면부의 상단에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가 덮개의 경사부에 대응되며, 정면부의 중앙에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부재는 경사부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 또한 경사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재의 경사부의 단차부와 덮개의 경사부의 단턱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소켓은 조립구조가 간편하고, 소켓 본체에 덮개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소켓 본체에 연결관을 끼울 때, 밀폐링에 의해 간섭되지 않아 연결관을 완충링까지 편리하게 끼울 수 있고, 밀폐링을 충분히 가압하여 외부 요인에 의해 연결관이 뒤로 밀려나도 밀폐링에 의해 누수가 방지되고, 스파이크가 균일하게 연결관을 그립할 뿐만 아니라 연결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 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소켓은 어느 한 관(P1)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관(P1)에 일체화되는 소켓 본체(10)가 덮개(20)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소켓 본체(10)의 내부에 밀폐링(30), 스파이크(40), 가입링(50) 및 가동부재(60)가 순서대로 적층되고, 가동부재(60)의 경사부(61)가 덮개(20)의 경사부(21)와 밀착되고, 상기 소켓 본체(10)에 가압볼트(70)가 체결되어, 상기 가압볼트(70)가 소켓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가동부재(60)를 가압하면, 가압볼트(70)에 의해 가동부재(60)가 덮개(20)의 경사부(21)를 따라 화살표(69)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동부재(60)가 가압링(50)을 통해 스파이크(40)를 하부로 밀게 되고, 상기 스파이크(40)가 하강하면서 소켓 본체(10)의 제 2 안착부(125)에 안착된 밀폐링(30)을 가압하여, 상기 밀폐링(30)이 압축됨으로써, 상기 밀폐링(30)이 연결관(P2)의 둘레를 실링하게 되고, 스파이크(40)에 가해지는 힘(F1)의 수평분력(F2)에 의해 스파이크(40)의 직경이 수축되어, 상기 스파이크(40)가 연결관(P2)을 그립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소켓은 상기 스파이크(40)의 가압력이 밀폐링(30)으로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스파이크(40)와 밀폐링(30)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링(90)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배열 구조를 가지며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소켓은 가동부재(60)가 덮개(20)의 경사부(21)를 따라 화살표(69) 방향으로 이동될 때, 스파이크(40)의 하강이 스파이크(40)의 직경 수축보다 먼저 일어나, 스파이크(40)에 의해 밀폐링(30)이 충분히 가압된 후 더 이상 밀폐링(30)이 변형되지 않게 되면 가압링(50)에 의해 스파이크(40)의 직경이 수축되어, 상기 스파이크(40)가 연결관(P2)을 그립하게 됨으로써, 스파이크(40)의 그립에 의해 연결관(P2)이 뒤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밀페링(30)에 의해 연결관(P2)의 둘레가 완전하게 실링될 수 있도록, 밀폐링(30)에 충분한 가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보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열로 구성되고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소켓의 구성요소 각각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소켓 본체(10)는 가압부재(60)가 내장되는 케이싱부(110)와, 상기 케이싱부(110)의 바닥면(111)에 형성된 구멍(112) 둘레에 연결되는 소켓관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부(110)는 구멍(112)이 형성된 바닥면(111)의 양 측단에서 사각판 형태의 제 1 측면부(113) 및 제 2 측면부(114)가 수직하게 세워지고, 제 1 측면부(113)의 일단과 제 2 측면부(114)의 일단이 프론트 곡면부(115)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 곡면부(115)의 중앙에 가압볼트(70)가 체결되는 체결구멍(116)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벽부(113)의 타단과 제 2 측벽부(114)의 타단이 리어 곡면 부(11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리어 곡면부(117)의 높이(h1)가 측면부(113, 114)의 높이(h2)보다 낮으며, 상기 리어 곡면부(117)의 상단 중앙에 결합볼트(130)가 체결되는 볼트구멍(118)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113, 114)의 내측면 상단 및 정면 곡면부(115)의 내측면 상단에 가이드 홈(119)이 형성된다.
상기 소켓관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어느 한 관(P1)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121)가 상기 관(P1)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21)가 단차지게 확관되어, 연결부(121)와 케이싱(110)의 바닥면(111)과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부(122) 사이에 제 1 안착부(123) 및 제 2 안착부(125)가 형성되며, 제 1 안착부(123)에 완충링(80)이 배치되고, 제 2 안착부(125)에 밀폐링(30)이 안착된다.
상기 덮개(20)는 상부 수평부(22)의 중앙에 연결관(P2)이 통과하는 구멍(23)이 형성되고, 측면부(24)의 하단에 경사부(21)가 형성되고, 측면부(24)의 상단과 프론트 곡면부(25)에 슬라이딩 결합돌기(26)가 형성되고, 리어 곡면부(26)의 하단이 소켓 본체(10)의 리어 곡면부(117)와 맞닿을 수 있도록, 리어 곡면부(26)가 소정의 높이(h3)를 갖는다.
상기 리어 곡면부의 높이(h3)는 측면부(113) 높이(h2)에서 리어 곡면부(117)의 높이(h1)를 뺀 차이값과 같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덮개(20)의 슬라이딩 결합돌기(26)를 소켓 본체(10)의 가이드 홈(119)을 따라 끼우고,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와셔(135)가 끼워진 결합볼트(130)를 소켓 본체(10)의 볼트구멍(118)에 체결하면, 와셔(135)에 의해 덮개(20)가 소켓 본체(10)에 고정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밀폐링(3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형 단면의 바디부(31)가 직선부(32)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부(32)가 내주면을 이루고, 바디부(32)의 하부에서 뾰족한 형태로 돌기부(33)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33)의 하단이 직선부(32)의 하단과 접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밀폐링(30)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소켓 본체(10)의 제 2 안착부(125)에 바디부(31)가 안착되어, 돌기부(33)가 제 2 안착부(125)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지만, 연결관(P2)을 끼울 때, 연결관(P2)이 직선부(32)로 이루어진 내주면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바디부(31)가 압축되면거 연결관(P2)의 끼움작업이 간섭되지 않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요인에 의해 연결관(P2)이 수축되거나 뒤로 밀려나 밀폐링(30)이 화살표와 같이 F4의 압력을 받았을 때, 압축된 밀페링(30)의 돌기부(33)가 구조적으로 연결관(P2)의 외주면에 더 밀착됨으로써, 연결관(P2) 둘레가 돌기부(33)에 의해 실링되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파이크(40)는 에지 클로우(42)가 형성된 조각편(41)과 탄성고무(43)가 교대로 배치되어 링 형상을 이루며, 외주 경사면(44)이 가압링(50)의 내주 경사면(51)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링(50)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며, 내주 경사면(51)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압링(50)이 스파이크(40)를 가압하면, 상기 스파이크(40)가 균일하게 수축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요인에 의해 연결관(P2)이 수축되거나 뒤로 밀려날 때, 스파이크(40)가 가압링(50)에 의해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직경이 수축됨으로써, 상기 스파이크(40)가 연결관(P2)을 더 큰 힘으로 그립하게 됨으로써, 연결관(P2)이 뒤로 빠지는 것(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가동부재(60)는 사각에서 코너가 라운드 처리된 형태의 구멍(62)이 형성되고, 정면부(63)가 후면부(64)보다 높게 형성되어 측면부(65, 66)의 상단에 경사부(6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61)가 덮개(20)의 경사부(21)에 대응되며, 정면부(63)의 중앙에 안내홈(67)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소켓 본체(10)에 내장되었을 때, 가동부재(60)의 측면부(65, 66)가 소켓 본체(10)의 제 1 측벽부(113) 및 제 2 측벽부(114)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경사부(61)가 덮개(20)의 경사부(21)에 밀착된다. 그리고, 연결관(P2)이 구멍(62)을 통해 소켓 본체(10)에 끼워진 후, 가압볼트(70)에 의해 가동부재(60)가 도 1의 화살표(69)와 같이 이동될 때, 가압볼트(70)에 대해 가동부재(60)가 안내홈(67)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또한, 상기 가동부재(60)의 경사부(61)에 단차부(61a)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20)의 경사부(21)에 단턱(21a)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재(60)의 경사부(61)의 단차부(61a)와 덮개(20)의 경사부(21)의 단턱(21a)이 결합되어, 상기 가동부재(60)가 덮개(20)의 경사부(21)를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될 때, 가동부재(60)의 경사부(61)가 덮개(20)의 경사부(2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소켓을 도시한 측단면도로써, 도 1은 연결관이 끼워지고 가압볼트를 종기 전 상태이고, 도 2는 가압볼트에 의해 가동부재가 덮개의 경사부를 따라 이동되어, 밀폐링이 압축되어 연결관 둘레를 실링하고, 스파이크가 연결관을 그립한 상태이다.
도 3은 소켓 본체와 덮개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밀폐링을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소켓에서 외부요인에 의해 연결관이 뒤로 밀려날 때, 밀폐링과 스파이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스파이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가압링을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가동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소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써, 가동부재와 덮개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10)

  1. 어느 한 관(P1)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관(P1)에 일체화되는 소켓 본체(10)가 덮개(20)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소켓 본체(10)의 내부에 밀폐링(30), 스파이크(40), 가입링(50) 및 가동부재(60)가 순서대로 적층되고, 가동부재(60)의 경사부(61)가 덮개(20)의 경사부(21)와 밀착되고, 상기 소켓 본체(10)에 가압볼트(70)가 체결되어, 상기 가압볼트(70)가 소켓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가동부재(60)를 가압하면, 가압볼트(70)에 의해 가동부재(60)가 덮개(20)의 경사부(21)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동부재(60)가 가압링(50)을 통해 스파이크(40)를 하부로 밀게 되고, 상기 스파이크(40)가 하강하면서 소켓 본체(10)의 제 2 안착부(125)에 안착된 밀폐링(30)을 가압하여, 상기 밀폐링(30)이 압축됨으로써, 상기 밀폐링(30)이 연결관(P2)의 둘레를 실링하게 되고, 스파이크(40)에 가해지는 힘(F1)의 수평분력(F2)에 의해 스파이크(40)의 직경이 수축되어, 상기 스파이크(40)가 연결관(P2)을 그립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40)의 가압력이 밀폐링(30)으로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스파이크(40)와 밀페링(30)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링(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소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본체(10)는 가압부재(60)가 내장되는 케이싱부(110)와, 상기 케이싱부(110)의 바닥면(111)에 형성된 구멍(112) 둘레에 연결되는 소켓관부(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소켓.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110)는 구멍(112)이 형성된 바닥면(111)의 양 측단에서 사각판 형태의 제 1 측면부(113) 및 제 2 측면부(114)가 수직하게 세워지고, 제 1 측면부(113)의 일단과 제 2 측면부(114)의 일단이 프론트 곡면부(115)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 곡면부(115)의 중앙에 가압볼트(70)가 체결되는 체결구멍(116)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벽부(113)의 타단과 제 2 측벽부(114)의 타단이 리어 곡면부(11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리어 곡면부(117)의 높이(h1)가 측면부(113, 114)의 높이(h2)보다 낮으며, 상기 리어 곡면부(117)의 상단 중앙에 결합볼트(130)가 체결되는 볼트구멍(118)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113, 114)의 내측면 상단 및 정면 곡면부(115)의 내측면 상단에 가이드 홈(11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소켓.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관부(120)는 어느 한 관(P1)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121)가 상기 관(P1)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21)가 단차지게 확관되어, 연결부(121)와 케이싱(110)의 바닥면(111)과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부(122) 사이에 제 1 안착부(123) 및 제 2 안착부(125)가 형성되며, 제 1 안착부(123)에 완충링(80)이 배치되고, 제 2 안착부(125)에 밀폐링(30)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소켓.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는 상부 수평부(22)의 중앙에 연결관(P2)이 통과하는 구멍(23)이 형성되고, 측면부(24)의 하단에 경사부(21)가 형성되고, 측면부(24)의 상단과 프론트 곡면부(25)에 슬라이딩 결합돌기(26)가 형성되고, 리어 곡면부(26)의 하단이 소켓 본체(10)의 리어 곡면부(117)와 맞닿을 수 있도록, 리어 곡면부(26)가 소정의 높이(h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소켓.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링(3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형 단면의 바디부(31)가 직선 부(32)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부(32)가 내주면을 이루고, 바디부(32)의 하부에서 뾰족한 형태로 돌기부(33)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33)의 하단이 직선부(32)의 하단과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소켓.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40)는 에지 클로우(42)가 형성된 조각편(41)과 탄성고무(43)가 교대로 배치되어 링 형상을 이루며, 외주 경사면(44)이 가압링(50)의 내주 경사면(51)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소켓.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60)는 사각에서 코너가 라운드 처리된 형태의 구멍(62)이 형성되고, 정면부(63)가 후면부(64)보다 높게 형성되어 측면부(65, 66)의 상단에 경사부(6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61)가 덮개(20)의 경사부(21)에 대응되며, 정면부(63)의 중앙에 안내홈(6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소켓.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60)는 경사부(61)에 단차부(61a)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20) 는 경사부(21)에 단턱(21a)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재(60)의 경사부(61)의 단차부(61a)와 덮개(20)의 경사부(21)의 단턱(21a)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소켓.
KR1020090040301A 2009-05-08 2009-05-08 관 연결 소켓 KR100927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301A KR100927166B1 (ko) 2009-05-08 2009-05-08 관 연결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301A KR100927166B1 (ko) 2009-05-08 2009-05-08 관 연결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166B1 true KR100927166B1 (ko) 2009-11-18

Family

ID=4160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301A KR100927166B1 (ko) 2009-05-08 2009-05-08 관 연결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1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656B1 (ko) 2009-12-11 2010-03-09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 소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574U (ja) * 1993-03-16 1994-09-30 株式会社栗本鐵工所 鋳鉄管のメカニカル継手
JP2004162855A (ja) 2002-11-15 2004-06-10 Kubota Corp 管継手の押輪および管継手
KR100828186B1 (ko) 2007-12-05 2008-05-07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 소켓
KR20090041747A (ko) * 2007-10-24 2009-04-29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 소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574U (ja) * 1993-03-16 1994-09-30 株式会社栗本鐵工所 鋳鉄管のメカニカル継手
JP2004162855A (ja) 2002-11-15 2004-06-10 Kubota Corp 管継手の押輪および管継手
KR20090041747A (ko) * 2007-10-24 2009-04-29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 소켓
KR100828186B1 (ko) 2007-12-05 2008-05-07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 소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656B1 (ko) 2009-12-11 2010-03-09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02745A1 (ja) シール材および押輪および継手および弁
US9601863B2 (en) Device connector with reinforcing ribs
US20120098250A1 (en) Pipe joint structure
KR100946657B1 (ko) 관 연결 소켓
KR100908009B1 (ko) 관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100927166B1 (ko) 관 연결 소켓
KR100939038B1 (ko)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KR101135107B1 (ko)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KR100958544B1 (ko)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102130793B1 (ko) 수도꼭지 연결구
KR100983864B1 (ko)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
US8809701B2 (en) Connecting device for electrical junction boxes
KR20120079683A (ko) 파이프 연결구
KR100980244B1 (ko) 원터치식 관이탈방지용 연결 소켓
KR100973180B1 (ko)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20180024978A (ko) 맨홀의 방수용 속뚜껑
KR100946656B1 (ko) 관 연결 소켓
KR101570962B1 (ko) 방수맨홀 구조
KR20090008533A (ko) 파이프 연결관과 그 제조방법
KR20100046356A (ko)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
KR101178315B1 (ko) 연약지반 배수용 비대칭 나선형관 연결을 위한 연결구
KR100949512B1 (ko)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KR101008711B1 (ko) 관연결용 신축이탈방지압륜 어셈블리
KR100979140B1 (ko) 압륜 어셈블리용 가압링
KR100764873B1 (ko) 연결관의 결합이 용이한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