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453B1 - 탄성 중공 필러를 이용한 외벽 단열용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 - Google Patents

탄성 중공 필러를 이용한 외벽 단열용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453B1
KR100926453B1 KR1020090064012A KR20090064012A KR100926453B1 KR 100926453 B1 KR100926453 B1 KR 100926453B1 KR 1020090064012 A KR1020090064012 A KR 1020090064012A KR 20090064012 A KR20090064012 A KR 20090064012A KR 100926453 B1 KR100926453 B1 KR 100926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dhesive mortar
acrylic
wall insulation
morta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균
Original Assignee
김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균 filed Critical 김동균
Priority to KR1020090064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8Macromolecular compounds porous, e.g. expanded polystyrene beads or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9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r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8Fire resistance, i.e. materials resistant to accidental fires or high tempera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 외벽에 EPS(Expanded Poly Styrene) 단열재를 사용하여 건축물 외벽에 단열 목적의 단열재 보드를 부착할 때 사용되는 탄성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EVA(Ethylene Vinyl Acetate) 공중합체 타입의 수지(Aqueous polymer dispersion based on vinyl acetate and ethylene)와 아크릴 탄성 중공 필러를 포함하는 탄성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을 제공하며, 시공현장에서 포틀랜드 시멘트와 중량비로 1:1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탄성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은 건축물의 균열이나 시멘트 접착 몰탈의 수축과 팽창에 의한 EPS 보드의 휨 발생 내지는 변형을 차단함과 동시에, 팽창에 의한 EPS 단열재의 탈락현상을 방지하고, 건축물 자체의 신축성을 발현하여 외벽 단열 시스템 시공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EPS 보드 탈락으로 인한 보수공사의 비용 절감에 이바지할 수 있다.
탄성 중공 필러, 경량 접착 몰탈

Description

탄성 중공 필러를 이용한 외벽 단열용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Light weight adhesive mortar composition for outer wall insulation using elastic hollow filler}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의 외벽에 단열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EPS(Expanded Poly Styrene) 보드(단열재)를 부착할 때 사용되는 탄성 경량 접착 몰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공중합체 에멀젼을 바인더로 사용하고 아크릴 탄성 중공 필러를 사용함으로써, 탄성과 몰탈 경량화를 유도하여 탄성이 없어서 외부 균열이나 충격에 의해 EPS 보드가 탈락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접착강도를 향상시키고 건축물 외벽과 EPS 보드와의 탄성을 부여하여 외부 충격(강풍)에 의한 하자 발생을 최소화하고, 재시공에 의한 보수공사 비용을 줄임으로써 경제적인 외벽 단열용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외벽 단열용 EPS 보드 접착 몰탈은 아크릴 에멀젼(고형분 48%)을 바인더로 사용하고, 각종 첨가제를 가미하여 통상의 접착 몰탈을 구성한다. 여기에 현장에서 중량비로 통상의 접착 몰탈과 포틀랜드 시멘트를 1:1로 혼합 사용한다. 일반 아크릴 에멀젼 바인더는 시멘트와 혼합한 후 일정 시간(약 7일)이 지나면 경 화되는데, 경화된 상태에서는 탄성이 전혀 없이 경질 타입의 시멘트 접착 몰탈 경화 상태가 되어서, 충격이나 균열에 약하여 장기적으로는 EPS 보드의 탈락 위험에 항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크릴 접착 몰탈에 시멘트를 혼합한 혼합 몰탈은 중량이 무거워져 EPS 보드이 탈락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6-124093호에는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에 있어서, 일면에 마감재들이 부착된 메쉬를 준비하는 공정, 콘크리트 외벽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공정, 단열재의 외면에 수지몰탈을 소정두께로 도포하는 공정, 및 마감석재가 부착된 메쉬의 타면을 수지몰탈면에 대하여 압착하여 수지몰탈이 마감재 간에 형성된 줄눈에 충진되도록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는 아크릴 수지 몰탈을 사용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7-65980에는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에 있어서, 이면의 단열재에 단열재와 단열재를 연결하기 위해 준비하는 공정, 단열재의 외면에 수지몰탈과 매쉬를 소정두께와 넓이로 도포하는 공정, 및 마감재가 부착된 면에 대하여 줄눈을 마감재 도포면 두께 이상으로 홈파기하여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도 아크릴 수지 몰탈을 사용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1-87827호에는 외벽 단열 마감 시스템(EIFS)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단지 일반(표준) 메쉬와 충격 보강용 메쉬를 대고 단열재판을 부착한 후에 시멘트몰탈을 도포하는 기존의 시공방법에서 탈피하여, 벽체의 하단 부분처럼 다양한 외부 충격에 많이 노출되어 부분이나 재질이 견고하지 못한 스터코 바탕면 등 취약한 부분에 충격 보강용 메쉬 대신에 메탈 라스를 부착하여 시공하는 방법과; 벽체 전면에 사용되는 일반 메쉬 및 충격 보강용 메쉬를 모두 메탈 라스로 대체하여 부착, 시공하는 외벽 단열 마감 시스템의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도 아크릴 수지 몰탈을 사용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671219호에는 퍼라이트, 질석 등으로부터 선택된 다공질 경량석 8∼10중량%, 아크릴 수지의 일종인 아크릴산메틸에스테르 중합물 42.4∼45중량%, 물 42.4∼45중량%, 증점제로서 메틸 셀룰로오스 1.0∼1.2중량%, 아크릴계 또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 된 소포제 0.5∼0.7중량%, 무기질계 단섬유 0.5∼0.7중량%이 혼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건축 판재 부착을 위한 시멘트 첨가용 접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도 아크릴 수지 몰탈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인더로서 종래의 아크릴 에멀젼 대신 EVA 공중합체 에멀젼을 사용하고, 아크릴 탄성 중공 필러를 사용하여 탄성과 경량화를 부여함으로써, 기존 아크릴 접착 몰탈에 시멘트를 혼합한 혼합 몰탈의 중량이 무거워져 EPS 보드의 탈락 원인이 되는 문제와, 딱딱한 접착 상태로 인해 건축물 외벽으로부터 EPS 보드가 외부 충격으로 탈락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외벽 단열용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히 바인더만 바꾼 것이 아니라, 접착강도 또한 종래보다 향상시키고, 전체 시공시스템의 경량화를 유도하며, 보수공사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외벽 단열용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에멀젼 및 아크릴 탄성 중공 필러를 포함하는 외벽 단열용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에멀젼 18 내지 25 중량% 및 아크릴 탄성 중공 필러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은 규사, 증점제, 증점보조제, 소포제, 분 산습윤제, 조막형성제, 동결방지제, pH조절제 및 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규사 50 내지 60 중량%, 증점제 0.4 내지 0.7 중량%, 증점보조제 0.1 내지 0.5 중량%, 소포제 0.1 내지 0.5 중량%, 분산습윤제 0.15 내지 0.5 중량%, 조막형성제 0.2 내지 0.5 중량%, 동결방지제 0.2 내지 0.5 중량%, pH조절제 0.1 내지 0.2 중량% 및 물 5 내지 15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은 보조 바인더 수지로서 아크릴 에멀젼 2 내지 5 중량%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 따르면, EVA 공중합체 에멀젼(고형분 50% 이상, Tg -7℃ 이상) 18 내지 25 중량%, 규사(SiO2)(0.05 내지 0.6 mm 입자) 50 내지 60 중량%, 아크릴 탄성 중공 필러 5 내지 10 중량%, 증점제로서 메틸 셀룰로우스(methyl cellulose) 0.4 내지 0.7 중량%, 증점보조제로서 아보셀(Arbocel, 상품명, Powder cellulose) 0.1 내지 0.5 중량%, 소포제(비실리콘 성분) 0.1 내지 0.5 중량%, 분산습윤제로서 오르탄 1288(R&H, 상품명) 0.15 내지 0.5 중량%, 조막형성제(Texanol) 0.2 내지 0.5 중량%, 동결방지제 0.2 내지 0.5 중량%, pH조절제 0.1 내지 0.2 중량%, 물(청수) 5 내지 15 중량%를 혼합한 탄성 경량 접착 몰탈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시공할 때, 혼합된 탄성 경량 접착 몰탈과 포틀랜드 시멘트를 중량비로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화가 가능한 정도의 안정성을 가지면서도 외벽 단열 보드 부착시 전체 하중을 경량화함으로써, 하중에 의한 보드 탈락 현상을 상대적으로 줄이고, 또한 조성물의 신축성이 우수하여 건축물의 외부 충격이나 강한 바람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서 유지 보수에 따른 노력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EVA 공중합체 바인더에 의한 탄성 접착 몰탈은 자체 가소성질(신축성 부여)을 가지고 있어서, 시멘트와 혼합하여 경화된 상태에서도 가소성능이 잔존하여 신축성있는 접착 몰탈층을 유지함으로써, 건축물 외벽의 충격 등에 의한 탈락현상이 현저히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재시공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피 변화가 적고 가벼워서 건축물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EVA 공중합체 에멀젼을 포함하는 탄성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로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등의 EVA 수지를 고형분으로 50% 이상 포함하는 EVA 에멀젼 18 내지 25 중량%, 역시 바인더 수지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수지를 고형분 40% 이상 포함하는 아크릴 에멀젼 2 내지 5 중량%, 및 아크릴 중공 필러(비중 0.03)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며, 또한 소포제, 분산제, 증점제, 증점보조제, 조막형성제, 동결방지제, pH조절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첨가제들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EVA수지를 포함하는 외벽 단열용 탄성 경량 접착 몰탈 조성 물은 바인더로서 신축성이 부여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충진재로서 경량화를 위해 아크릴 탄성 중공 필러(탁구공처럼 속이 비어 있음)를 사용함으로써, 신축성과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고, 내충격성, 내구성, 내강풍성 등이 우수하여 EPS 보드 탈락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를 최소화할 목적으로 개발된 탄성 경량 접착 몰탈이다.
바인더 수지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수지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리전이온도(Tg)가 -7℃ 이상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고형분으로 50% 이상 포함하고, 신축성이 있는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한다.
바인더 수지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8 내지 2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를 18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부착성이 저하되어 충진재 등이 충분히 부착되지 못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탈락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2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접착력 증강은 미미한 반면 점성이 불필요하게 증가되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대적으로 수지 함량은 많고 내구성을 주는 규사는 적어지므로, 전체적인 내구성 저하 및 저장 중 층 분리현상이 발생하여 겔화 상태 후 굳어져서 품질이 저하되며, 고가의 합성수지의 과량의 사용으로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아크릴 중공 필러는 경량성과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핵심적으로 사용되는데, 특히 미세 중공체 탄성 필러로서, 재질이 아크릴 마이크로 셀로 구성되고, 모양은 중공체의 공 모양으로 가운데가 진공 상태로 비어 있어 탄성을 갖고, 입자크기는 5 내지 1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중공 필러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중공 필러를 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신축성 내지는 탄성이 떨어져서 수축현상이 발생하고 경량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반대로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부착성 저하와 내구성 저하 원인을 발생시킬 수 있고, 비용 증가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보조 바인더 수지로서 아크릴 에멀젼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을 보조 바인더 수지로 사용할 경우 시멘트 혼화성을 높여줄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으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타입의 아크릴 에멀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전이온도(Tg)가 -5 내지 -7℃인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에멀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에멀젼이 2 중량% 미만일 경우, 시멘트 혼화성과 저장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반대로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증점제는 접착 몰탈의 작업 점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주로 셀룰로오스(cellulose) 계통의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를 사용한다. 셀룰로오스는 물의 흡수능력이 뛰어나서 물을 머금은 채 팽윤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좋은 작업성을 부여한다.
증점제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4 내지 0.7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제를 1 중량% 이상 사용하면, 끈적임이 강하여 현저한 작업성 저하와 경 화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첨가제들 중에서 점성보조제(흐름방지제)로 사용하는 아보셀은 펄프 계통의 셀룰로오스 타입으로, 끈적거림은 없고 칙소성을 부여하여 시멘트 혼화시 칙소트로피(thixotropy) 능력이 뛰어나서 수지와 시멘트의 가교역활을 수행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좋은 작업성을 부여한다. 이 첨가제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 중 충진제로서 사용하는 규사(SiO2)는 내구성과 강도를 부여하는 것으로, 입자는 0.05 내지 0.6 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염분이 포함되지 않은 자연사를 체거름하되, 통상의 제품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규사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0 내지 6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들 중에서 동결방지제로는 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상용화된 동결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2 내지 0.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들 중 pH조절제는 전체 조성물의 산도(pH)를 조절하는 것으로, 수산화암모늄 등의 강염기성 물질의 염(salt)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0.2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화암모늄은 특히 암모늄염의 형태로 pH에 대한 완충역활을 한다.
첨가제들 중에서 조막형성제로는 텍사놀(Texanol)과 같은 상용화된 가소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2 내지 0.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포제로는 비실리콘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습윤제로는 오르탄 1288(R&H, 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5 내지 0.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은 청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탄성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물질명 배합량
EVA 공중합체 에멀젼(고형분 50%) 20 kg
MMA 타입의 아크릴 에멀젼(고형분 48%) 3 kg
아크릴 성분의 탄성 중공 필러(입경 5~10㎛) 8 kg
규사(순도 99.5 이상, 입경 0.05~0.6mm) 55 kg
증점제(HPMC) 0.5 kg
증점보조제(아보셀) 0.2 kg
분산습윤제(오르탄 1288) 0.2 kg
소포제(비실리콘 성분) 0.2 kg
조막형성제(텍사놀) 0.3 kg
동결방지제(에틸렌글리콜) 0.3 kg
pH조절제(수산화암모늄) 0.1 kg
물(청수) 12.2 kg
합계 100.0kg
[비교예]
상용화된 기존 제품들 중 외벽 단열용 접착 몰탈(아크릴 접착 몰탈)
[시험예]
실시예에서 제조한 탄성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 및 상용화된 아크릴 접착 몰탈의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단위(상온 기준) 실시예 비교예 기준치
부피변화율 % 2 8 100
부착강도(*표준양생) N/㎟ 1.6 1.3 1.1 이상
충격저항성 Joule 4.0~6.0 0.5~1.0
크랙저항성 90도 벤딩 크랙 없음 크랙 있음
수축성 변화 없음 갈라짐
수분흡수율 0.1 0.2 0.2 이하
단위부피당 무게 액상 100 ㎖ 컵 198 g 285 g 100 ㎖
칙소트로피 액상 100 ㎖ 5 cm 유지 2 cm 유지 형태 유지
*표준양생: 온도 20±3℃, 습도 65±5%, 14일 양생
표 2에서 객관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품화가 가능한 정도로 높은 부착강도, 충격 저항성, 크랙 저항성, 양호한 수축성, 신축성, 경량성, 칙소성 등이 우수한 외벽 단열용 탄성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에멀젼 18 내지 25 중량%, 아크릴 탄성 중공 필러 5 내지 10 중량%, 규사 50 내지 60 중량%, 증점제 0.4 내지 0.7 중량%, 증점보조제 0.1 내지 0.5 중량%, 소포제 0.1 내지 0.5 중량%, 분산습윤제 0.15 내지 0.5 중량%, 조막형성제 0.2 내지 0.5 중량%, 동결방지제 0.2 내지 0.5 중량%, pH조절제 0.1 내지 0.2 중량% 및 물 5 내지 15 중량%을 포함하는 외벽 단열용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아크릴 에멀젼 2 내지 5 중량%을 추가로 포함하는 외벽 단열용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
KR1020090064012A 2009-07-14 2009-07-14 탄성 중공 필러를 이용한 외벽 단열용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 KR100926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012A KR100926453B1 (ko) 2009-07-14 2009-07-14 탄성 중공 필러를 이용한 외벽 단열용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012A KR100926453B1 (ko) 2009-07-14 2009-07-14 탄성 중공 필러를 이용한 외벽 단열용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453B1 true KR100926453B1 (ko) 2009-11-13

Family

ID=4156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012A KR100926453B1 (ko) 2009-07-14 2009-07-14 탄성 중공 필러를 이용한 외벽 단열용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45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404B1 (ko) 2010-08-24 2013-05-16 주식회사 쌍 곰 이질재 접합부위 메꿈용 경량 퍼티
KR101331466B1 (ko) * 2011-03-21 2013-11-21 주식회사 정우소재 Alc용 접착제 조성물
KR101462885B1 (ko) * 2014-08-17 2014-11-19 주식회사 삼조매직 통기성을 갖는 건축물 외벽 단열용 실리콘 접착 몰탈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외단열 시공방법
KR101586170B1 (ko) * 2015-07-15 2016-01-19 (주)혜암 건축물의 외단열에 적용되는 초경량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시공방법
CN105271926A (zh) * 2015-10-29 2016-01-27 江门市蓬江区慧邦涂料有限公司 一种3d艺术漆及其制备方法
CN109574598A (zh) * 2019-01-29 2019-04-05 山东承坤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耐久型建筑材料的制备工艺
KR20200107504A (ko) * 2019-03-08 2020-09-16 주식회사 에버월앤씨피에스 외벽단열용 접착 몰탈 조성물
KR102344666B1 (ko) * 2021-03-25 2021-12-29 주식회사 정우인터내셔날 단열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건축용 퍼티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7703A (ja) * 1994-03-29 1995-10-17 Asahi Bisou:Kk コンクリート、モルタル用防水強化混和剤
KR100528133B1 (ko) * 2003-08-11 2005-11-15 주식회사 일진씨피에스 단열접착제 또는 바탕바름재로 사용되는 건축용자재
EP1634936A2 (en) 2004-09-13 2006-03-15 Ricoh Company, Ltd. Heat-sensitive adhesive material
JP2007308663A (ja) 2006-05-22 2007-11-29 Inter Decom:Kk 装飾建材用塗材及び該装飾建材用塗材を用いた装飾建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7703A (ja) * 1994-03-29 1995-10-17 Asahi Bisou:Kk コンクリート、モルタル用防水強化混和剤
KR100528133B1 (ko) * 2003-08-11 2005-11-15 주식회사 일진씨피에스 단열접착제 또는 바탕바름재로 사용되는 건축용자재
EP1634936A2 (en) 2004-09-13 2006-03-15 Ricoh Company, Ltd. Heat-sensitive adhesive material
JP2007308663A (ja) 2006-05-22 2007-11-29 Inter Decom:Kk 装飾建材用塗材及び該装飾建材用塗材を用いた装飾建材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404B1 (ko) 2010-08-24 2013-05-16 주식회사 쌍 곰 이질재 접합부위 메꿈용 경량 퍼티
KR101331466B1 (ko) * 2011-03-21 2013-11-21 주식회사 정우소재 Alc용 접착제 조성물
KR101462885B1 (ko) * 2014-08-17 2014-11-19 주식회사 삼조매직 통기성을 갖는 건축물 외벽 단열용 실리콘 접착 몰탈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외단열 시공방법
KR101586170B1 (ko) * 2015-07-15 2016-01-19 (주)혜암 건축물의 외단열에 적용되는 초경량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시공방법
CN105271926A (zh) * 2015-10-29 2016-01-27 江门市蓬江区慧邦涂料有限公司 一种3d艺术漆及其制备方法
CN109574598A (zh) * 2019-01-29 2019-04-05 山东承坤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耐久型建筑材料的制备工艺
KR20200107504A (ko) * 2019-03-08 2020-09-16 주식회사 에버월앤씨피에스 외벽단열용 접착 몰탈 조성물
KR102181565B1 (ko) * 2019-03-08 2020-11-23 주식회사 에버월앤씨피에스 외벽단열용 하이접착 몰탈 조성물
KR102344666B1 (ko) * 2021-03-25 2021-12-29 주식회사 정우인터내셔날 단열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건축용 퍼티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453B1 (ko) 탄성 중공 필러를 이용한 외벽 단열용 경량 접착 몰탈 조성물
JP4787187B2 (ja) 急硬補修モルタル及びそれを用いた補修方法
KR100943308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셀프레벨링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CN104108917A (zh) 一种低碱度瓷砖胶
KR100878552B1 (ko) 칼슘설포 알루미네이트 광물을 이용한 공동주택 바닥용고유동 모르타르 조성물
CN104844117A (zh) 一种轻质柔性内聚破坏瓷砖粘结剂
CN105060803A (zh) 一种具有防潮隔热功能的水泥基粘结剂
JP2013095615A (ja) 高耐久仕上材
KR20140034276A (ko) 외단열 마감 시스템 (eifs) 모르타르에서의 개선된 고온 성능을 위한 셀룰로스 에테르 화합물
KR101170307B1 (ko) 탄성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타일접착제
EP2524960A2 (en) Admixture composition for a tile cement mortar and a tile cement mortar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0904841B1 (ko) 탄성 및 접착력이 뛰어난 타일용 줄눈제
KR102362253B1 (ko) 타일 압착용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 방법
KR101031981B1 (ko) 자기충전성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공법
KR101190243B1 (ko) 건축 조형물 제조용 건조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몰탈 조성물과 충전 콘크리트 조성물, 그리고 건축 조형물 제조방법
KR101805894B1 (ko) 타일용 시멘트 첨가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타일용 접착제 및 타일 시공 방법
KR20180063712A (ko)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접착제
JP5164201B2 (ja) 低温用軽量モルタル
KR101859113B1 (ko) 기능성 방통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통 모르타르 시공방법
KR101331550B1 (ko) 탄성을 부여한 폴리머계 타일접착용 시멘트
JP6158851B2 (ja) 内装用もしくは外装用の造形用モルタル
JP3683201B2 (ja) 低収縮軽量モルタル、及び低収縮軽量モルタルを用いた下地調整工法
KR101833548B1 (ko) 계면접착성이 향상된 경량용 단열 석고 모르타르 조성물
KR100573726B1 (ko) 고기능성 결로 저감용 마감 모르타르 조성물
KR101010341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속경형 셀프레벨링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