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178B1 - 레이저 투광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투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178B1
KR100926178B1 KR1020090028515A KR20090028515A KR100926178B1 KR 100926178 B1 KR100926178 B1 KR 100926178B1 KR 1020090028515 A KR1020090028515 A KR 1020090028515A KR 20090028515 A KR20090028515 A KR 20090028515A KR 100926178 B1 KR100926178 B1 KR 100926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ive lens
lens
driving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목
Original Assignee
은강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강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은강정보통신(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5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by controlling the mutual position or the reflecting properties of the reflectors of the cavity, e.g. by controlling the cavity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4Automatically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e.g. using the back-scattered light
    • B23K26/042Automatically aligning the lase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1Lasers provided with means to change the location from which, or the direction in which, laser radiation is emit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1Mode locking; Q-switching; Other giant-pulse techniques, e.g. cavity dumping
    • H01S3/1123Q-switching
    • H01S3/113Q-switching using intracavity saturable absor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영상 감시를 위하여 촬영기기와 연동하여 필요한 촬영범위로 적외선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레이저 투광장치에 있어서, 중공케이스와; 중공케이스 내의 중심축선 상의 전방에 고정된 접안렌즈 및 후방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물렌즈를 갖는 줌 렌즈부와; 대물렌즈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렌즈구동부와; 렌즈구동부의 구동정보를 통해 대물렌즈의 현재 위치정보를 검지하는 렌즈위치 검지부와; 원격지로부터 촬영기기의 촬영범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통신부와; 촬영기기의 촬영범위에 대응되게 설정된 대물렌즈의 위치정보가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되는 저장부와;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촬영범위 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부에서 획득한 대물렌즈 위치정보와 렌즈위치 검지부에서 획득된 현재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비교/판단부와; 비교/판단부에서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렌즈구동부를 제어하여 대물렌즈의 위치를 보정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투광장치가 개시된다.
대물렌즈, 야간촬영, 레이저 빔, 빔폭, 위치정보, 모터

Description

레이저 투광장치{Light projector using laser}
본 발명은 야간 영상 감시를 위해 촬영기기와 연동하여 사용되는 레이저 투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야간 등에 영상 등을 획득하기 위하여 적외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촬영장치에는 레이저(적외선) 투광기가 함께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대부분의 적외선 투광기의 경우에는, 고정형으로서 빔 폭이 일정하고 거리가 짧아서 예를 들어, 방사거리가 150m 이하이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레이저 방식 투광기의 경우에도, 줌 가변형이 적용되고 있으나, 폐쇄회로 카메라와 연동시 카메라의 줌 및 초점과 연동하기 위하여 별도의 레이저 투광기를 수동으로 제어를 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많다.
즉, 카메라로 보고자 하는 거리의 사물이나 공간의 크기에 맞게 적외선 빔의 크기를 조절하여 최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대물렌즈의 위치 를 변경하면서 최적의 상태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원격에서 용이하게 제어 가능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레이저 투광기(실용신안등록 20-0425740)의 경우에는, 구동모터(1)의 구동에 의해서 기어궤도(2)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주행시킴으로써 렌즈고정부(4)에 지지된 대물렌즈(3)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레이저 투광기의 경우에도, 대물렌즈의 위치를 폐쇄회로 카메라와 연동시에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수동으로 구동모터를 제어해야 한다. 이에 반하여 대부분의 영상감시 시스템 등의 경우 네트워크비디오 서버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원격지에서 투광기까지 선을 포설하여 제어를 해야하므로 원격 제어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따라서 상용 제품으로 활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폐쇄회로 카메라와의 연동문제 및 원격에서의 제어문제를 해결하여 자동으로 대물렌즈의 위치를 정밀 제어하여 레이저 빔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레이저 투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이저 투광장치는, 영상 감시를 위하여 촬영기기와 연동하여 필요한 촬영범위로 적외선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레이저 투광장치에 있어서, 중공케이스와; 상기 중공케이스 내의 중심축선 상의 전방에 고정된 접안렌즈 및 후방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물렌즈를 갖는 줌 렌즈부와; 상기 대물렌즈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렌즈구동부와; 상기 렌즈구동부의 구동정보를 통해 상기 대물렌즈의 현재 위치정보를 검지하는 렌즈위치 검지부와; 원격지로부터 상기 촬영기기의 촬영범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통신부와; 상기 촬영기기의 촬영범위에 대응되게 설정된 상기 대물렌즈의 위치정보가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촬영범위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저장부에서 획득한 대물렌즈 위치정보와 상기 렌즈위치 검지부에서 획득된 현재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비교/판단부와; 상기 비교/판단부에서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렌즈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대물렌즈의 위치를 보정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중공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나선형의 구동 가이드부를 가지는 회전원통과; 내부에 상기 대물렌즈가 지지되며, 상기 회전 원통의 내부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종동 가이드부를 가지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제어부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 가능하며, 구동정도에 따라서 상기 회전원통을 원하는 회전각으로 회전구동시키는 스텝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위치 검지부는,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수를 검지하여 대물렌즈의 위치를 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중공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나선형의 구동가이드부를 가지는 회전원통과; 내부에 상기 대물렌즈가 지지되며, 상기 회전 원통의 내부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종동 가이드부를 가지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제어부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 가능하며, 구동정도에 따라서 상기 회전원통을 원하는 회전각으로 회전구동시키는 직류모터; 및 상기 직류모터에 연결되어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위치 검지부는, 상기 엔코더로부터 상기 직류모터 회전정보를 검지하여 상기 대물렌즈의 현재 위치를 검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회전원통의 외주에는 상기 스텝모터 또는 직류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종동기어가 설치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구동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원통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종동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슬릿에 결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외측에 돌출형성되는 종동핀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투광장치에 따르면, 야간 영상촬영시에 촬영거리별로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레이저 빔폭에 해당되는 대물렌즈의 위치값을 미리 촬영거리별로 저장하여 놓은 상태에서, 원격에서 수신되는 촬영기기의 촬영정보를 근거로 하여 대물렌즈의 현재위치와 최적의 위치정보를 비교한 후, 최적의 위치에 대물렌즈가 위치하도록 자동으로 구동제어하여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고정식 또는 수동식에 비하여 24시간 원격에서 자동제어 가능하므로, 야간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야간 영상감시 카메라에 사용되는 모든 투광기에 적용 가능하므로, 야간 영상 감시에 있어서 보다 정확하고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군의 야간 경계시스템(주둔지 과학화 경계시스템, GOP 과학화 경계시스템, U-army 과학화 경계시스템 및 첨단 무인자동 타격시스템과 민수보안 감시시스템(공항, 공공관서, 주요 산업시설, 도로, 항만 등))에 적용할 경우, 그동안 전혀 감시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야간 영상 감시기능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투광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투광장치는 야간의 영상 감시를 위하여 촬영기기(10)와 연동하여 필요한 촬영범위로 적외선 조명(레이저 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레이저 투광장치는 중공케이스(20) 와, 상기 중공케이스(20) 내의 중심축선 상의 전방에 고정된 접안렌즈(31) 및 대물렌즈(33)를 갖는 줌 렌즈부(30)와, 상기 대물렌즈(33)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렌즈구동부(40)와, 상기 렌즈구동부(40)의 구동정보를 통해 대물렌즈의 위치정보를 검지하는 렌즈위치 검지부(50)와, 원격지의 원격제어센터(100)로부터 촬영기기(10)의 촬영범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통신부(60)와, 상기 촬영기기(10)의 촬영범위에 대응되는 상기 대물렌즈(33)의 위치정보가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되는 저장부(70)와, 통신부(60)로부터 전달된 촬영범위 정보를 근거로 저장부(70)에서 획득한 대물렌즈 위지정보와 렌즈위치 검지부(50)에서 획득한 대물렌즈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비교/판단부(80)와, 제어부(90)를 구비한다.
상기 중공케이스(20)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양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중공케이스(20)의 전방측에 접안렌즈(31)가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그 접안렌즈(31) 쪽으로 적외선 발광부(200)로부터 발생된 레이저광을 출력하는 광케이블(210)이 중공케이스(20)의 전방에 연결된다. 따라서 광케이블(210)의 단부에서 나오는 적외선 광은 접안렌즈(31)로 출력된다.
상기 중공케이스(20)의 전방측에는 상기 대물렌즈(33)가 상기 렌즈 구동부(4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줌 렌즈부(30)는 상기 접안렌즈(31)와 대물렌즈(33)를 구비한다. 접안렌즈(31)는 중공케이스(20)에 고정 설치되고, 대물렌즈(33)는 후술할 슬라이딩부재(43)에 지지되어 슬라이딩부재(43)와 함께 레이저광의 축 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대물렌즈(33)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서 최종 적으로 출력되는 레이저 빔의 폭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게 된다.
즉, 대물렌즈(33)를 A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레이저 빔의 폭이 넓어지고, 대물렌즈(33)를 B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레이저 빔의 폭이 좁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렌즈구동부(40)는 중공케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원통(41)과, 회전원통(41) 내부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43)와, 상기 회전원통(41)을 회전구동시키는 스텝모터(45)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원통(41)은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서, 일단부가 상기 중공케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회전원통(41)에는 나선형의 구동가이드부(41a)가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가이드부(41a)는 나선형 가이스슬릿 또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원통(41)의 외주에는 상기 스텝모터(45)의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종동기어(41b)가 설치된다. 이 종동기어(41b)는 회전원통(4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품으로 마련되어 결합 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43)는 중공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더(42)에 지지되어 그 가이더(4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43)는 양단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43)는 가이더(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43a)와, 상기 구동가이드부(41a)에 연결되는 종동가이드부(43b)를 가진다. 상기 종동가이드부(43b)는 슬라이딩부재(43)의 외주에 돌출형성된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회전원통(41)이 회전되면, 상기 구동가이드부(41a)와 종동가이드부(43b)의 상대적인 캠동작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43)는 가이더(42)를 따라서 A 방향 또는 B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텝모터(45)는 제어부(90)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 제어되며, 회전수 및 회전각이 정확하게 정밀제어된다. 이러한 스텝모터(45)의 축(45a)에는 상기 종동기어(41b)에 기어 연결되는 구동기어(45b)가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기어(45b)와 종동기어(41b)의 기어비를 감안하여 스텝모터(45)의 회전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재(43)의 이동거리 즉, 대물렌즈(33)의 위치를 정밀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렌즈위치 검지부(50)는 스텝모터(45)가 정지된 상태 즉, 초기상태에서 제어부(90)로부터의 스텝모터(45)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해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근거로 하여 스텝모터(45)의 회전수를 감지하고 그 회전수를 근거로 하여 실제 대물렌즈(33)가 초기위치에서 위치 이동한 정보(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대물렌즈(33)의 초기위치에 대한 정보는 이전 단계에서의 대물렌즈(33) 위치조정시에 획득된 위치정보가 저장부(7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렌즈위치 검지부(50)는 정지상태에서 이동된 방향 및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90)로 전달하고, 제어부(90)는 전달된 획득정보에 따른 대물렌즈(33)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존에 저장부(7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재설정하여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저장부(70)에는 정지상태에서의 대물렌즈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연동되게 연결된 촬영기기(10)의 촬영범위에 따라 필요로 하는 레이저 빔폭으로 조절할 수 있는 대물렌즈의 최적위치 정보가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된다. 즉, 촬영기기(10)를 이용하여 야간에 근거리 촬영 또는 원거리 촬영모드에 따라서 레이저 빔의 폭을 확대 또는 축소시켜야 하는데, 이와 같이 촬영거리에 따라서 최적의 레이저 빔 폭을 확보할 수 있는 대물렌즈(33)의 위치정보가 촬영거리에 대응하여 룩업테이블로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70)에 저장된 대물렌즈의 최종위치 즉, 정지된 위치에서의 위치정보는 별도로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그 정지된 위치에서의 위치정보는 대물렌즈(33)의 위치조정시마다 재저장되어 업그레이드됨으로써, 대물렌즈(33)의 현재위치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교/판단부(80)는 통신부(60)를 통해 전달된 촬영기기(100)의 촬영범위에 대한 수신정보를 근거로 하여 저장부(70)에 저장된 대물렌즈(33)의 최적 위치정보와, 저장부(70)에 저장된 대물렌즈(33)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두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따라서 대물렌즈(33)를 A 방향으로 후진시켜야 할지, 아니면 B 방향으로 전진시켜야 할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통신부(60)로부터 전달된 원격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촬영기기(10)의 촬영범위에 따른 레이저 빔의 최적의 폭에 대한 정보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90)는 산출된 입력정보를 비교/판단부(80)로 전달하고, 비교/판단부(80)에서 비교/판단된 결과를 근거로 하여 렌즈 구동부(40)를 구동제어함으로써 대물렌즈(33)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즉, 제어부(90)는 레이저 빔의 폭을 줄여야 할 경우에는 필요한 거리만큼 대물렌즈(33)가 B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텝모터(45)를 정방향 구동제어한다. 반대로 제어부(90)는 레이저 빔의 폭을 넓혀 야 할 경우에는, 스텝모터(45)를 역방향 구동제어함으로써 대물렌즈(33)가 A 방향으로 필요한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레이저 빔폭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90)는 대물렌즈(33)가 정지된 상태에서의 위치정보를 렌즈위치 검지부(50)로부터 전달받아서, 저장부(70)에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현재위치정보를 삭제하여 재저장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투광장치의 작용효과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90)는 통신부(60)를 통해서 원격제어센터(100)에서 오는 카메라 즉, 촬영기기(10)의 촬영범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10).
수신된 촬영기기의 촬영범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90)는 이를 비교/판단부(80)로 전달하고, 전달된 정보를 근거로 하여 대물렌즈의 최적위치정보를 저장부(70)에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획득한다(S11).
또한, 제어부(90)는 저장부(70)로부터 대물렌즈(33)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한다(S12).
획득된 현재 위치정보는 비교/판단부(80)로 전달되고, 비교/판단부(80)에서는 획득된 대물렌즈의 현재위치 정보와, 저장부(70)로부터 획득된 대물렌즈의 최적의 위치정보를 비교한다(S13)
그리고 비교된 결과에 따라서, 대물렌즈의 현재위치정보가 최적위치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90)는 렌즈 구동부(40)를 구동제어하여 대물렌즈(33) 의 위치를 조정한다(S14).
상기 단계(S14)에서는 상기 단계(S13)에서 비교된 결과에 따라서 스텝모터(4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제어함으로써, 대물렌즈(33)를 A 방향 또는 B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레이저 빔의 폭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계(S12,S13,S14)를 반복 수행하여, 대물렌즈의 현재위치가 최적위치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렌즈구동부(40)의 정지시켜서 대물렌즈(33)의 위치를 고정한다(S15).
그리고 제어부(90)는 최적위치 정보 즉, 위치 조정되어 정지된 상태에서의 대물렌즈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전에 저장부(70)에 저장되어 있던 현재위치정보를 대신하여 새롭게 저장한다(S16).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대물렌즈(33)의 위치를 자동으로 위치 조정함으로써, 촬영기기(100)의 촬영범위에 대응하여 최적의 레이저 빔폭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야간에서 원하는 촬영범위에서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투광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스텝모터(45)를 대신하여 직류모터(47) 및 그 직류모터(47)에 연결되는 엔코더(48)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부(40')를 포함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도 5에서는 앞서 도 3에 도시된 도면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직류모터(47)는 제어부(9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인가되는 직류전원에 따라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 가능하다. 상기 직류모터(47)의 구동축(47a)에 구동기어(47b)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47b)는 종동기어(41b)에 기어 연결된다.
상기 엔코더(48)은 직류모터(47)에 연결되어 직류모터(47)의 회전정보를 획득한다. 즉, 엔코더(48)에서는 직류모터(47)의 회전수에 따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렌즈위치 검지부(50)에서는 엔코더(48)에서 전달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직류모터(47)의 회전수 및 그에 따른 대물렌즈(33)의 현재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레이저 투광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투광장치를 나타내 보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투광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투광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투광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촬영기기 20..중공케이스
30..줌 렌즈부 31..접안렌즈
33..대물렌즈 40,40'..렌즈구동부
41..회전원통 43..슬라이딩 부재
45..스텝모터 47..직류모터
48..엔코더 50..렌즈위치 검지부
60..통신부 70..저장부
80..비교/판단부 90..제어부
100..원격 제어센터

Claims (5)

  1. 영상 감시를 위하여 촬영기기와 연동하여 필요한 촬영범위로 적외선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레이저 투광장치에 있어서,
    중공케이스와;
    상기 중공케이스 내의 중심축선 상의 전방에 고정된 접안렌즈 및 후방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물렌즈를 갖는 줌 렌즈부와;
    상기 대물렌즈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렌즈구동부와;
    상기 렌즈구동부의 구동정보를 통해 상기 대물렌즈의 현재 위치정보를 검지하는 렌즈위치 검지부와;
    원격지로부터 상기 촬영기기의 촬영범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통신부와;
    상기 촬영기기의 촬영범위에 대응되게 설정된 상기 대물렌즈의 위치정보가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촬영범위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저장부에서 획득한 대물렌즈 위치정보와 상기 렌즈위치 검지부에서 획득된 현재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비교/판단부와;
    상기 비교/판단부에서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렌즈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대물렌즈의 위치를 보정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투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중공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나선형의 구동 가이드부를 가지는 회전원통과;
    내부에 상기 대물렌즈가 지지되며, 상기 회전 원통의 내부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종동 가이드부를 가지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제어부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 가능하며, 구동정도에 따라서 상기 회전원통을 원하는 회전각으로 회전구동시키는 스텝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위치 검지부는,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수를 검지하여 대물렌즈의 위치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투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중공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나선형의 구동가이드부를 가지는 회전원통과;
    내부에 상기 대물렌즈가 지지되며, 상기 회전 원통의 내부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종동 가이드부를 가지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제어부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 가능하며, 구동정도에 따라서 상기 회전원통을 원하는 회전각으로 회전구동시키는 직류모터; 및
    상기 직류모터에 연결되어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위치 검지부는, 상기 엔코더로부터 상기 직류모터 회전정보를 검지하여 상기 대물렌즈의 현재 위치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투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통의 외주에는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종동기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투광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원통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종동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슬릿에 결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외측에 돌출형성되는 종동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투광장치.
KR1020090028515A 2008-10-08 2009-04-02 레이저 투광장치 KR100926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8418 2008-10-08
KR1020080098418 2008-10-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178B1 true KR100926178B1 (ko) 2009-11-10

Family

ID=4156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515A KR100926178B1 (ko) 2008-10-08 2009-04-02 레이저 투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1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221B1 (ko) * 2016-10-04 2018-03-22 주식회사 레이닉스 레이저 투광기
KR102030686B1 (ko) * 2018-04-19 2019-11-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평행 레이저 빔 생성 자동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0222A (ja) * 1995-05-24 1996-12-03 Olympus Optical Co Ltd 変位測定装置
JPH1123952A (ja) 1997-06-30 1999-01-29 Nec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レーザ加工装置
KR20020060622A (ko) * 2001-01-11 2002-07-18 구타라기 켄 광디스크 장치, 대물렌즈 이동 제어방법
KR20080093321A (ko) * 2007-04-16 2008-10-21 삼성전기주식회사 레이저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0222A (ja) * 1995-05-24 1996-12-03 Olympus Optical Co Ltd 変位測定装置
JPH1123952A (ja) 1997-06-30 1999-01-29 Nec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レーザ加工装置
KR20020060622A (ko) * 2001-01-11 2002-07-18 구타라기 켄 광디스크 장치, 대물렌즈 이동 제어방법
KR20080093321A (ko) * 2007-04-16 2008-10-21 삼성전기주식회사 레이저가공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221B1 (ko) * 2016-10-04 2018-03-22 주식회사 레이닉스 레이저 투광기
KR102030686B1 (ko) * 2018-04-19 2019-11-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평행 레이저 빔 생성 자동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650B1 (ko) 입체 카메라용 연동 줌 장치
US8761592B2 (en) Interchangeable lens, camera, and camera system
WO2011024193A2 (en) Electronically variable field of view (fov) infrared illuminator
US7259792B2 (en) Optical system controller for video camera
US8320755B2 (en) Autofocusing zoom lens
US20170153412A1 (en)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KR100926178B1 (ko) 레이저 투광장치
JP2021033189A (ja) 制御装置、撮像装置、レン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573367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3172868A5 (ko)
KR101255534B1 (ko) 레이저 감시카메라
TWI327677B (ko)
KR101378586B1 (ko)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KR101114828B1 (ko) 줌연동 광발산각 조절이 가능한 적외선 조명장치
JP2011120186A (ja) ビデオカメラ撮像用装置
JP4692980B2 (ja) 光学装置
KR101605447B1 (ko) 감시용 카메라 장치
JPWO2021005711A5 (ko)
JP2010197897A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KR20160121958A (ko) 피사체의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팬틸트 일체형 감시카메라 시스템
KR20080033570A (ko) 카메라 촬영 범위 표시장치
JP2007034193A (ja) フォーカス端表示装置
KR200423931Y1 (ko) 감시카메라용 렌즈 구동장치
JP2000261792A (ja) 監視用テレビカメラ装置
US5983031A (en) Lens shutter camera equipped with zoom len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