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950B1 -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950B1
KR100925950B1 KR1020070125622A KR20070125622A KR100925950B1 KR 100925950 B1 KR100925950 B1 KR 100925950B1 KR 1020070125622 A KR1020070125622 A KR 1020070125622A KR 20070125622 A KR20070125622 A KR 20070125622A KR 100925950 B1 KR100925950 B1 KR 10092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pm
generation counter
ignition
engine rpm
ring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847A (ko
Inventor
정충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95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02P5/1502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 F02P5/1504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with particular means during a transient phase, e.g. acceleration, deceleration, gear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그니션의 전원 공급을 메인 릴레이에서 받는 차종에서 디젤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동 오프, 이그니션, 메인 릴레이, 점화시기, 진각, 엔진 rpm 변화율

Description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Controlling method for timing of ignition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그니션의 전원 공급을 메인 릴레이에서 받는 차종에서 디젤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그니션의 전원 공급을 이그니션 키로부터 받는 차종은 시동이 오프되면, 시동 오프와 함께 이그니션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므로 이그니션이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그니션의 전원 공급을 이그니션 키로부터 받는 차종은 시동 오프 후에 흡기 포트 내부에 남아 있는 연료가 다음 시동시에 연료 공급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촉매로 흡기 포트 내부에 남아 있는 연료가 들어가 촉매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이그니션의 전원 공급을 메인 릴레이에서 받는 차종은 시동이 오프되면, 연료 분사를 바로 중지한다. 하지만, 흡기 포트 내부에 남아있는 연료를 모두 태우기 위해 엔진 RPM이 22RPM 이하로 떨어지기 전까지 이그니션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그니션의 전원 공급을 메인 릴레이에서 받는 차종은 시동 오프 후에 흡기 포트 내부에 남아 있는 연료를 모두 태움으로써 다음 시동시에 흡기 포트 내부에 남아있는 연료가 연료 공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특히 촉매로 흡기 포트 내부에 남아 있는 연료가 들어가 촉매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하지만, 이그니션의 전원 공급을 메인 릴레이에서 받는 차종에서 흡기 포트 내부에 남아 있는 연료가 많은 경우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 오프시에도 이그니션을 수행하므로 엔진 RPM이 떨어지지 않고 오래 머무르는 현상이 생기는데, 이를 디젤링(didssling)이라 한다. 이러한 디젤링이 발생하면 시동 오프 후에 흡기 포트 내부에 남아 있는 연료를 태우기 위해 점화시기를 진각시킴으로써 상승된 엔진 토크에 의해 다음 시동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그니션의 전원 공급을 메인 릴레이에서 받는 차종에서 디젤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은 시동 오프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시동 오프 조건을 만족하면, 시동 오프 후의 엔진 rpm의 변화율을 읽어드리는 제2 단계와; 상기 엔진 rpm의 변화율이 시간에 따라 작아지는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엔진 rpm의 변화율이 시간에 따라 작아지면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증가시키고, 상기 엔진 rpm의 변화율이 시간에 따라 커지면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감소시키는 제4 단계와; 상기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누적하는 제5 단계와; 상기 누적된 디젤링 발생카운터가 냉각수온에 따라 정해지는 기준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6 단계와; 상기 누적된 디젤링 발생카운터가 상기 기준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초과하면 점화시기의 진각을 금지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은 상기 누적된 디젤링 발생카운터가 상기 기준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엔진 rpm이 엔진의 정지 rpm인 22rpm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엔진 rpm이 22rpm 미만이면, 점화시기의 진각을 금지하는 단계와; 상기 엔진 rpm이 22rpm 미만이 아니면, 상기 엔진 rpm이 22rpm 미만이 될 때까지 상기 제1 단계 내지 상기 제7 단계를 반복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은 이그니션의 전원 공급을 메인 릴레이에서 받는 차종의 시동 오프 후에, 엔진 rpm의 변화율에 따른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증가시키면서, 디젤링 발생카운터가 기준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초과하면 점화시기의 진각을 금지한다. 그리고, 디젤링 발생카운터가 기준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초과하지 않으면, 엔진이 정지할 때까지 이를 계속 수행함으로써 이그니션의 전원 공급을 메인 릴레이에서 받는 차종에 디젤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은 이그니션의 전원 공급을 메인 릴레이에서 받는 차종에 점화시기를 진각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디젤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음 시동을 지연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은 이그니션의 전원 공급을 메인 릴레이에서 받는 차종에 적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은 시동 오프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여(S12), 시동 오프 조건을 만족하면, 시동 오프 후의 엔진 rpm의 변화율을 읽어드린다(S14). 상기 S14 단계에서 읽어드린 엔진 rpm의 변화율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라 커지면 시동 오프 후에 엔진 rpm이 빠르게 떨어진다는 것으로, 흡기 포트 내부에 남아 있는 연료량이 많지 않다는 것으로 디젤링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S14 단계에서 읽어드린 엔진 rpm의 변화율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라 작아지면 시동 오프 후에 엔진 rpm이 느리게 떨어진다는 것으로, 흡기 포트 내부에 남아 있는 연료량이 많다는 것으로 디젤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은 상기 S14 단계에서 읽어드린 엔진 rpm의 변화율이 시간에 따라 작아지는가를 판단한다(S16). 상기 S16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S14 단계에서 읽어드린 엔진 rpm의 변화율이 시간에 따라 작아지면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증가시키고(S18), 상기 S14 단계에서 읽어드린 엔진 rpm의 변화율이 시간에 따라 커지면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감소시키면서(S20),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누적한다(S22). 상기 S22 단계에 누적된 디젤링 발생카운터가 냉각수온에 따라 정해지는 기준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24). 상기 S24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S22 단계에서 누 적된 디젤링 발생카운터가 기준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은 점화시기의 진각을 금지한다(S26). 그리고, 본 발명의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은 상기 S24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S22 단계에서 누적된 디젤링 발생카운터가 기준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초과하지 않으면, 엔진 rpm이 엔진의 정지 rpm인 22rpm 미만인지를 판단하여(S28), 엔진 rpm이 22rpm 미만이면, 점화시기의 진각을 금지하고(S26), 엔진 rpm이 22rpm 미만이 아니면 엔진 rpm이 22rpm 미만이 될 때까지 상기 S12 단계 내지 상기 S26 단계를 반복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은 시동 오프 조건을 만족하면(S12), 총 실린더의 수에 따른 연료가 분사되는 실린더의 수인 연료 분사 효율을 계산하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에 연료 분사 효율을 1로 고정함(S32)으로써 시동 오프시에 점화시기가 진각되는 것을 또한 방지한다. 연료 분사 효율이 1로 고정되면, 모든 실린더에 연료가 분사된다는 것으로 인식됨으로 점화시기가 진각되지 않는다.
도 1은 이그니션의 전원 공급을 메인 릴레이에서 받는 차종에서 발생하는 디젤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a 및 도 3b는 시동 오프 후에 디젤링이 발생하지 않는 엔진 rpm의 변화율 및 시동 오프 후에 디젤링이 발생하는 엔진 rpm의 변화율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디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Claims (3)

  1. 시동 오프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시동 오프 조건을 만족하면, 시동 오프 후의 엔진 rpm의 변화율을 읽어드리는 제2 단계와;
    상기 엔진 rpm의 변화율이 시간에 따라 작아지는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엔진 rpm의 변화율이 시간에 따라 작아지면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증가시키고, 상기 엔진 rpm의 변화율이 시간에 따라 커지면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감소시키는 제4 단계와;
    상기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누적하는 제5 단계와;
    상기 누적된 디젤링 발생카운터가 냉각수온에 따라 정해지는 기준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6 단계와;
    상기 누적된 디젤링 발생카운터가 상기 기준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초과하면 점화시기의 진각을 금지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적된 디젤링 발생카운터가 상기 기준 디젤링 발생카운터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엔진 rpm이 엔진의 정지 rpm인 22rpm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엔진 rpm이 22rpm 미만이면, 점화시기의 진각을 금지하는 단계와;
    상기 엔진 rpm이 22rpm 미만이 아니면, 상기 엔진 rpm이 22rpm 미만이 될 때까지 상기 제1 단계 내지 상기 제7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
  3. 삭제
KR1020070125622A 2007-12-05 2007-12-05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 KR100925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622A KR100925950B1 (ko) 2007-12-05 2007-12-05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622A KR100925950B1 (ko) 2007-12-05 2007-12-05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847A KR20090058847A (ko) 2009-06-10
KR100925950B1 true KR100925950B1 (ko) 2009-11-09

Family

ID=4098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622A KR100925950B1 (ko) 2007-12-05 2007-12-05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9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179A (ko)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동 꺼짐 지연 방지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807A (ko) * 1996-12-20 1998-09-15 박병재 엔진 상태를 고려한 점화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20417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자동차의 점화시기 보정장치 및 방법
JP2002054469A (ja) 2000-08-11 2002-02-20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の停止制御装置
KR20050117980A (ko) * 2004-06-12 2005-1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점화시기 보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807A (ko) * 1996-12-20 1998-09-15 박병재 엔진 상태를 고려한 점화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20417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자동차의 점화시기 보정장치 및 방법
JP2002054469A (ja) 2000-08-11 2002-02-20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の停止制御装置
KR20050117980A (ko) * 2004-06-12 2005-1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점화시기 보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179A (ko)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동 꺼짐 지연 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847A (ko)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2818B2 (ja) 内燃機関の点火制御システム
JP4670771B2 (ja) 燃料噴射制御装置
JP2005233127A (ja) 内燃機関の燃料圧制御装置
JP2008151095A (ja) 燃料噴射制御装置
KR100925950B1 (ko) 차량의 점화시기 제어방법
JP2009103017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6304090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装置
JP2008291816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338292B2 (ja) 内燃機関油圧制御装置
JP2008280914A (ja) 内燃機関の制御システム
RU262978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температурной системы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обработки (ats)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и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JP7145018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4485389B2 (ja) ディーゼル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US10711671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the particulate combustion during the regeneration of a particulate filter of a diesel engine
JP2009180209A (ja) 内燃機関の燃料ポンプ制御装置
JP2005155462A (ja)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
JP2010084601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始動制御方法
US11655771B2 (e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9052572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及び内燃機関の制御システム
JP4609566B2 (ja) 内燃機関の点火制御システム
JP2019094876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375800B2 (ja) 内燃機関の加熱制御装置
JP5512299B2 (ja) エンジン
JP4656222B2 (ja) 内燃機関の点火制御システム
JP2009168759A (ja) 排出ガスセンサのヒ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