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212B1 - 조립무대장치 - Google Patents

조립무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212B1
KR100925212B1 KR1020080042985A KR20080042985A KR100925212B1 KR 100925212 B1 KR100925212 B1 KR 100925212B1 KR 1020080042985 A KR1020080042985 A KR 1020080042985A KR 20080042985 A KR20080042985 A KR 20080042985A KR 100925212 B1 KR100925212 B1 KR 100925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stage
locking device
groove
s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교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테크닉스앤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테크닉스앤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테크닉스앤아트
Priority to KR102008004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의 다양한 공연에서 필요한 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대장치의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여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기존의 무대장치와는 달리 상하 및 좌우로 프레임을 연결하여 규모가 큰 대형 무대장치의 제작도 가능한 조립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대, 조립무대, 수직프레임, 데크, 지지대, 미세높이조절

Description

조립무대장치{Assembly St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실내외의 다양한 공연에서 필요한 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대장치의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여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기존의 무대장치와는 달리 상하 및 좌우로 프레임을 연결하여 규모가 큰 대형 무대장치의 제작도 가능한 조립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하면서 문화산업도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일부 계층만이 향유하던 문화 관련 공연을 대다수의 사람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공연 분야에 있어서, 다양한 음악 공연이나 연극, 뮤지컬, 및 각종 문화행사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공연 산업의 발전에 발맞춰 그에 따른 공연 관련 시설 및 설비들도 발전하고 있다. 특히 공연 시설의 핵심으로써 무대(stage)를 꼽을 수 있는데, 이는 공연이 펼쳐지는 가장 중요성이 큰 시설 및 공간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무대는 다양한 종류의 공연에 있어서 관객석과의 구별을 위해 만들어 놓은 공간으로써, 많은 관객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정 이상의 높이를 갖는 것이 보통이다. 특히 계단식으로 객석이 구비된 실내 공연장과 달리, 야외 공연장의 경 우에는 무대가 높지 않으면 후열에 있는 관객은 무대를 제대로 관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종래의 무대장치의 경우에는 설치 과정, 규모 및 장소 등의 여러 제약사항이 있었다. 설치 과정이 복잡하며, 이로 인해 설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특히 규모가 큰 대형무대의 설치 및 해체의 경우에는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무대의 너비 및 높이에 관해, 일정 크기 이상의 무대를 제작하는데 기술적인 어려움도 있으며, 특히 높이가 높은 무대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단순히 무대를 2층 이상 적층하여 쌓아놓는 수준에 불과한 바, 더 높은 무대가 필요한 경우 설치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무대는 상설무대가 아닌 이상, 가설무대로써 설치되게 되는데, 임시로 세운 무대인 바 견고한 무대 설치에 어려움이 있으며, 일정 이상의 인원이 무대에 올라가는 경우 가해지는 하중이 크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크다. 특히 대규모 공연의 경우, 음향 및 공연 장비가 대규모로 사용되고 조명장치도 무대장치 위에 프레임을 세우고 설치가 되기 때문에 모든 하중이 무대장치에 가해지게 된다. 음향 장비 특히 대형 앰프의 경우에는 매우 큰 하중을 유발하기 때문에, 무대가 견뎌야 하는 하중이 매우 크다. 또한, 특정 장르의 음악 공연(예를 들어 록음악)의 경우 다수의 관객이 무대에 올라가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바, 이러한 공연의 경우는 특히 더 견고하고 튼튼한 무대가 요구된다.
한편, 무대를 한 번 설계했다가 도중에 무대 디자인이 바뀌거나, 공연이 끝난 후 다른 공연을 위한 무대를 변경 제작하는 경우, 전부 해체하고 다시 재설치해 야 하므로 시간 및 비용의 불경제를 초래하였다. 또한 해체 작업도 설치 작업과 마찬가지로 각 프레임의 마디별로 클램핑 장치를 일일이 해체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디자인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무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구조물 및 부품을 따로 제작해서 사용해야 하는 것도 단점이다.
더욱이 야외무대의 경우에는 평지가 아닌 일정한 굴곡이나 경사진 대지에 무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높낮이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수평도를 맞추기 위해 많은 노력이 소요되었다. 또한 높낮이가 잘못 맞춰진 경우에는 무대의 안전성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보완한 조립무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연결장치 없이 체결되고 잠금 장치로 고정되어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조립무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게가 가벼워 운반이 용이하면서도,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조립무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무대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조립무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확장성이 뛰어나 대형 무대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조립무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평한 대지가 아닌 곳에서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높낮이를 조절하여 무대의 편평도를 맞출 수 있는 조립무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종래의 무대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양한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본이 되는 수직 프레임, 수직 프레임 간을 연결하여 확장하도록 하는 연결핀, 잠금장치를 구비한 측면부재, 높이조절자, 데크 및 데크잠금장치로 구성된다. 이 구성 이외에 추가로 측면지지대를 더 부가하여 전체 무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무대장치를 설치 및 해체하는데 있어서, 이 구성 외에 보조적인 장치는 불필요하다. 즉 나사나 볼트, 및 클램핑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설치 및 해체가 매우 간편해지며, 별도의 부품을 운반하지 않아도 된다. 특히 수직프레임에 측면부재를 결합시키는 경우, 측면부재의 연결고리부 한 쌍을 수직프레임의 거치부에 거치하고 잠금장치를 수직프레임이 있는 방향으로 당기면 고정되어 체결된다.
한편, 측면부재의 연결고리부가 거치되는 수직프레임의 거치부는 주로 8각형 형태로 제작되어 전방위로 측면부재를 연결하여 별도의 추가 구성부품 없이 원하는 모양의 무대를 쉽게 디자인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의 상하 수직프레임 간에 연결핀을 이용하여, 높은 무대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고, 이는 수직프레임을 바둑판 형태로 세우고 측면부재를 거치하여 넓은 무대도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높이조절자를 최하단 수직프레임의 지면에 닿는 말단부에 구비하여, 높이조절나사를 이동시킴으로써 편평하지 않은 평지에서도 무대의 수평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특정한 금속재에 국한되지 않으나 주로 가볍지만 강도가 좋은 보강 알루미늄을 주로 사용하여, 큰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면서 동시에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운반 및 설치 작업이 용이하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설명 및 실시예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부분에서 도면과 함께 상술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해결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연결장치 없이 체결되고 잠금 장치로 고정되어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조립무대장치를 제작할 수 있으며, 가벼운 금속재로 제작하여 무게가 가벼워 운반이 용이하면서도,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견고성을 가진다.
또한,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무대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고, 확장성이 뛰어나 대형 무대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조립무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평평한 대지가 아닌 곳에서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높낮이를 조절하여 무대의 편평도를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부분을 의미한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무대장치의 조립무대본체(1)의 기본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조립무대본체(1)를 하나 이상 체결하여 조립무대를 제작하게 되며, 따라서 조립무대본체(1)는 조립무대의 최소단위가 된다.
상기한 종래의 무대장치의 단점을 보완한 본 발명은, 별도의 연결장치 없이 체결되고 잠금 장치로 고정되어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무대장치이며, 무게가 가벼워 운반이 용이하면서도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을 만큼 견고하고,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무대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확장성이 뛰어나 대형 무대도 손쉽게 제작할 수 있고, 평평한 대지가 아닌 곳에서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높낮이를 조절하여 무대의 편평도를 맞출 수 있다.
조립무대본체(1)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써 수직프레임(10), 측면부재(20) 및 데크(30)(도4참조)를 포함한다. 먼저 수직프레임(10)을 수직방향으로 세우고, 측면부재(20)의 측면에 하나 이상 구비된 연결고리부(26) 및 걸개(27)를 수직프레임(10)의 거치부(11)에 있는 다수의 거치부홈(12) 중 원하는 거치부홈(12)에 거치시키고, 측면부재(20)의 본판(21)에 구비된 잠금장치(23)를 잠금장치홈(24)을 따라 잠금구멍(25)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측면부재(20)가 수직프레임(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측면부재(20)의 반대편 측면도 또 다른 수직프레임(10)에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시켜 하나의 면 또는 하나의 면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0)과 측면부재(20)의 구조 및 체결방법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위와 같이 일정한 형태에 따라 무대본체(1)를 조립하여 기초가 되는 무대의 기본골격구조를 만들게 된다. 수직프레임(10)과 측면부재(20)는 금속재로 제작되며, 특정한 금속재에 특정되지 않으며 가볍고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금속재라면 사용이 가능하지만, 주로 가벼운 알루미늄 종류의 금속이 사용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프레임(10)에 대한 도면이다. 수직프레임(10)은 파이프 형태의 본체를 기초로 거치부(11), 거치부홈(12), 관통구(13) 및 나사산(14)를 구비한다. 수직프레임(10)은 조립무대본체(1)의 기둥 역할, 지지 역할을 하며, 측면부재(2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무대의 형태를 구성한다.
수직프레임(10)은 하나 이상의 거치부(11)를 포함한다. 거치부(11)는 측면부재(20)의 연결고리부(26)의 걸개(27)가 실제 거치되어 서로 체결되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부재(20)의 걸개(27)가 거치부(11)의 다수의 거치부홈(12) 중 선택된 하나의 홈(12)에 거치되어, 측면부재(20)가 양 수직프레임(10) 사이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수직프레임(10) 사이로 측면부재(20)를 손쉽게 체결할 수 있어, 간명한 설치만으로 무대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거치부(11)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수직프레임(10)과 측면부재(20)를 자유롭게 조합하여 무대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다각형 형태를 가지게 되며, 주로 6각 내지 8각형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거치부가 6각형인 경우, 실제 측면부재(20)의 걸개(27)가 거치되는 거치부홈(12) 사이는 120도의 간격을 가지므로, 실제 측면부재 사이는 60도가 된다. 반면 거치부가 8각형인 경우, 실제 측면부재 사이의 각도는 45도가 된다. 위와 같이, 다각형의 변이 증가할수록 측면부재 간의 각도가 작아진다. 상기 각도 각각의 조합에 의해 여러 모양의 무대를 디자인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거치부홈(12) 중 선택적으로 체결함으로써, 원하는 형태의 무대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프레임(10)은 수직프레임(10)의 중앙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13)를 구비하고 있다. 관통구(13)는 수직프레임(10)의 무게를 줄이는 동시에, 연결핀(15)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으로서 기능하며, 연결핀(15)을 삽입하여 수직프레임(10)을 길이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 무대 또는 높은 무대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직프레임(10)의 상하방 말단부에는 나사산(14)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핀(15)을 이용하여 수직프레임(10)을 연장할 때 나사산(14)에 맞추어 회전시켜 잠그게 된다. 연결핀(15)이 수직프레임(10) 사이를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규모가 큰 무대에서도 큰 하중을 견디고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최상층의 수직프레임(10)의 상방 말단부에 구비된 나사산(14)에는 데크잠금장치(31)가 체결된다. 실제 무대 플로어가 될 최상층의 조립무대본체(1)의 경우 상면부에 실제 공연자가 다리를 지탱하는 부분인 데크(30)를 구비하게 되는데, 무대 플로어에 돌출부나 홈이 없이 평평하게 하여 공연 등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해, 각 모서리에 위치한 수직프레임(10)의 상방 말단부의 나사산(14)에 데크잠금장치(31)를 체결한다(도5 및 도6 참조). 이로써 공연자는 무대 플로어에서 연결부의 홈, 오목부 및 돌출부에 발을 헛딛거나 걸려넘어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보다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재(2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바 대로, 측면부재(20)는 수직프레임(10) 사이를 연결하고, 전체 조립무대본체(1)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측면부재(20)는 본판(21)을 중심으로 본판(21)에 하나 이상의 잠금장치홈(24) 및 잠금장치(23)를 구비하고 있다. 본판(21)은 두께가 있는 금속판으로서 전후방면 양쪽에 적절한 개수만큼 잠금장치홈(24) 및 잠금장치(23)를 구비하고 있다. 본판(21)의 최상부에는 데크고정자(22)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판(21)의 양측단에는 잠금장치홈(24)이 뻗어서 생긴 잠금구멍(25)을 포함하고 있고, 하나 이상의 연결고리부(26) 및 걸개(27)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본판(21)은 측면부재(20)의 기초를 이루게 되며, 수직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조립된 무대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세워진 판재 형상이고, 무대의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데크고정자(22)는 본판(21)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 돌출부로써, "ㅗ" 형태이며, 본판(21) 최상부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데크고정자(22)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점 얇아지는 테이퍼 형태를 가진다.
최상부의 조립무대본체(1)의 상부에 무대플로어로 쓰이는 데크(30)를 놓는 경우, 단순히 올려놓는 형태로 무대를 조립하면 무대플로어가 흔들리거나 밀려 균열이 생길 수 있어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상기 데크고정자(22)는 빈 여백없이 일정규격에 맞게 데크(30)를 끼워 맞출 수 있도록 하며, 데크고정자(22)로 인해 무대플로어가 견고해진다. 데크고정자(22)는 데크(30)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작되어야 무대플로어에 연결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고리부(26) 및 그 말단에 구비된 걸개(27)는 본판(21)의 양 측면에 구비된다. 연결고리부(26)는 "ㄱ"자 형태이며, 연결고리부(26)의 한쪽 말단은 볼트와 같은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본판(21)의 측면에 체결되어 있고, 다른쪽 말단에는 걸개(27)를 구비한다. 실제 걸개(27)가 수직프레임(10)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직프레임(10)의 거치부(11)에 구비된 거치부홈(12) 중 하나에 거치된다. 거치부홈(12)의 너비와 걸개(27)의 너비는 정확히 일치하도록 구성되며, 정상적으로 거치가 되는 경우 연직하방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는 저항성을 가지게 되어 거치부홈(12)에서 걸개(27)가 이탈되지 않으나, 반대로 연직상방 으로 힘을 가하면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이는 조립 및 해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예상치 못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무대가 해체되거나 이탈되어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고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측면부재(20)의 판면에는 앞서 언급한 데크고정자(22)와 평행한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잠금장치홈(24)과 잠금장치(23)를 구비하고 있다. 잠금장치홈(24)은 잠금장치(23)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통로이며, 본판(21)의 외면에 오목하게 파인 홈 형상이고, 홈 형상으로 파인 통로 상에 잠금장치(23)가 놓여지게 된다. 또한 본판(21)의 연결고리부(26)가 돌출된 양측면으로는 잠금장치홈(24)이 본판(21)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잠금구멍(25)이 구비되어 있다.
잠금장치(23)는 손잡이가 달린 핀 형태이며, 규격이나 재질의 제한은 없으나, 잠금장치의 손잡이는 잠금장치(23)가 잠금장치홈(24) 내에 구비될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를 쥐고 잠금장치(23)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원활히 할 수 있을 정도로 잠금장치홈(24)으로부터 충분히 돌출될 수 있는 규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로 수직프레임(10)이나 측면부재(20)와 같은 재질로 제작되지만, 보다 큰 강도를 원할 경우 다른 재질로 대체가 가능하다. 잠금장치(23)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제한이 없으나 잠금장치홈(24) 또는 본판(21)의 너비보다는 작아야 함은 자명하다.
잠금장치홈(24)은 임의의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잠금상태의 경우 잠금장치(23)가 거치부(11)의 하단면 또는 걸개(27)의 말단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다. 잠금장치홈(24) 및 잠금장치(23)는 하나의 측면부재(20)에 하나만 구비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본판(21)의 한 면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본판(21)의 다른 면(도3을 기준으로 후면)에도 동일한 구조로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잠금장치(23) 및 잠금장치홈(24)은 후술할 걸개(27) 및 거치부(11)의 위치관계를 고려하여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잠금구멍(25)은 잠금장치홈(24)의 한쪽 말단에 구비된다. 잠금구멍(25)은 잠금장치(23)가 잠금장치홈(24)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잠금상태에 둘 경우, 잠금장치(23)의 손잡이의 반대편 말단부가 잠금구멍(25)을 관통하여 거치부(11)에 접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잠금장치(23)의 손잡이가 구비된 말단부의 반대편 말단부가 뻗어있는 방향의 본판(21)측면에 잠금구멍(25)이 구비되어 있다. 즉, 본판(21)의 오른쪽 측면에 잠금구멍(25)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잠금장치홈(24)을 따라 잠금장치(23)의 손잡이를 잡고 오른쪽으로 잠금장치(23)를 이동시켜, 잠금장치(23)의 손잡이의 반대편 말단부가 잠금구멍(25)을 관통하여 잠금상태로 되고, 잠금해제상태로 둘 경우 잠금장치(23)의 손잡이를 잡고 왼쪽으로 잠금장치(23)를 이동시켜, 잠금장치(23)의 말단부가 잠금구멍(25) 안쪽 방향으로 이동되어 잠금장치홈(24) 내부로 들어가게 되며, 잠금해제된다.
잠금장치(23)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잠금장치(23)의 손잡이의 반대편 말단부는 그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되며, 손잡이의 반대편 말단의 폭은 실제 잠금장치(23)를 잠금 상태로 둘 경우 거치부(11)의 하단면에 밀착될 수 있는 너비로 구성된다. 또는 걸개(27)를 거치부홈(12)에 거치할 때, 걸개(27)가 거치부홈(12)을 관통하여 거치부홈(12) 하방으로 돌출될 경우(걸개(27)의 길이가 거치부(11)의 상하방향의 높이보다 큰 경우)에도, 손잡이의 반대편 말단의 폭은 거치부(11)의 하단면에 밀착될 수 있는 너비로 구성된다. 다만 이러한 경우 견고한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잠금상태에서의 잠금장치(23)의 길이방향의 길이가 거치부홈(12)으로부터 돌출된 걸개(27)의 말단에 적어도 닿지 않거나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유는 잠금장치(23)가 거치부(11)의 하단면에 밀착될 경우, 거치부(11)의 상단면은 이미 "ㄱ"형태의 걸개(27)에 의해서 밀착되어 고정되고, 하단면은 잠금장치(23)의 말단부에 의해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와 같이 잠금장치(23)를 잠금상태로 둠으로써, 연직상방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도 저항력을 가지며, 수직프레임(10)과 측면부재(20)는 이탈되지 않고, 잠금장치(23)를 해제상태로 이동시켜 손쉽게 무대를 해체할 수 있게 된다.
도4는 상기한 수직프레임(10)과 측면부재(20)의 체결방법에 의해서 체결된 상태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무대본체(1)의 측면도이다. 양 수직프레임(10) 사이에 측면부재(20)를 거치하고, 잠금장치(23)를 잠금상태로 둠으로써, 견고하고 가해지는 힘을 견딜 수 있도록 체결된다. 이와 같은 기본 구조를 반복적으로 체결함으로써, 전체의 무대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5는 상기한 수직프레임(10)과 측면부재(20)의 체결방법에 의해서 체결된 상태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무대본체(1)의 정면도이다. 기본적인 사각 형태의 무대를 구성하는 예시로서, 사각 형태의 네 꼭지점에 수직프레임(10)이 있고, 각기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측면부재(20)를 체결한 상태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수직프레임(10)의 거치부(11)의 형태에 따라 측면부재(20)가 이루는 각도 가 달라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8각형태의 거치부(11)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대 구성 및 디자인에 따라 다른 형태의 거치부(11)를 구비함으로써, 사각형태의 무대 이외에 다른 형태의 무대를 설치할 수 있다.
도6은 상기한 수직프레임(10)과 측면부재(20)의 체결방법에 의해서 체결된 상태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무대본체(1)로서 데크(30)를 구비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무대본체(1)의 상단에 데크(30)를 구비하여 공연자 및 스태프가 실질적으로 양다리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대로, 데크고정자(22)는 데크(30)가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데크(30)의 외곽면을 지지하고 있다. 데크(30)는 하중을 고려하여 주로 목재로 제작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볍고 일정 강도를 갖춘 금속재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목재로서는 주로 하드우드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하드우드는 변성이 없고 휘어짐이 없기 때문에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강화된 목재이므로 무대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다. 특히 야외무대의 경우 기후의 변화에 따라 예기치 않게 우천 등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분에 약한 특성을 지닌 목재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해, 방수페인팅 처리를 하여 눈 또는 비가 오는 경우에도 데크(30)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조립무대본체(1)가 사각형태인 경우, 데크(30)도 사각형태이며, 앞서 설명한 대로, 무대본체(1)가 사각형태 이외의 모양(삼각형 또는 팔각형 등)을 갖는 경우, 그에 따라 데크(30)도 변형된 형태의 모양으로 제작된다.
또한 무대플로어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최상단 수직프레임(10)의 상부의 관통구(13)에 구비된 나사산(14)에 데크잠금장치(31)를 체결한다. 데크잠금장치(31)는 데크(30)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데크(30)의 꼭지점부는 원호 형태의 체결홈(32)을 구비하고 있어서 연직하방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데크잠금장치(31)와 맞물려 데크(30)가 연직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또한 동시에 최상단 수직프레임(10)의 관통구(13)를 봉하여 무대가 전체적으로 평평해지는바 공연자가 관통구(13)로 인해 발이 빠지는 등의 방해를 받지 않게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높이조절부(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미세높이조절부(50)는 필요에 따라 최하단 조립무대본체(1)의 수직프레임(10)의 하부말단에 위치하게 되며, 무대 전체의 미세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무대 특히, 야외에 설치되거나 평평하지 않은 바닥면에 무대를 세울 경우, 무대의 편평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수직프레임(10) 만으로는 높낮이 조절이 쉽지 않으며, 무대가 기울어져서 설치되는 경우, 공연에 어려움이 있고 안전사고 등의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미세높이조절부(50)를 구비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미세높이조절부(50)는 나사산을 구비한 파이프 형태를 중심으로, 미세높이조절나사(52) 및 받침대(53)를 포함한다. 나사산을 구비한 중심기둥(51)은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일 수도 있으며, 보다 높은 강도를 갖기 위해 속이 차있는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중심기둥(51)과 수직프레임(10)의 하부말단의 관통구(13)가 결합하여 체결되며, 따라서 중심기둥(51)의 직경은 수직프레임(10)의 관통구(13)의 직경 과 일치하도록 설계된다.
미세높이조절나사(52)는 중심기둥(51)의 나사산을 따라 움직이게 되며, 일반적인 형태와 마찬가지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조절나사(52)를 돌려 나사산을 따라 하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실제 수직프레임(10)의 하부말단이 미세높이조절나사(52)의 윗면에 접하게 되므로, 수직프레임(10)에 가해지는 하중이 그대로 미세높이조절나사(52)에 가해지게 되는바, 미세높이조절부(50) 전체는 특히 높은 강도의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미세높이조절나사(52)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미세높이조절나사(52)가 나사산을 따라 상방으로 조금씩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미세높이조절나사(52)의 윗면에 접해 있는 수직프레임(10)의 하부말단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직프레임(10)간의 수평 높낮이 조절을 할 수 있다. 대개 무대 전체를 완성한 상태에서 미세높이 조절은 무대 전체를 미세높이만큼 들어올려야 하는 등의 많은 노력이 가해지므로, 수평 조절은 최하단 조립무대본체(1)를 설치하고 미세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 외에 미세높이조절나사(52)를 쓰지 않고, 직접 중심기둥(51)의 나사산과 수직프레임의 하부말단 나사산(14)을 직접 맞물려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15)을 도시한 도면이다. 연결핀(15)은 조립무대본체(1)를 수직방향으로 적재하는 경우, 상하의 수직프레임(10)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미세높이조절부(50)와 마찬가지로, 상하의 수직프레임(10)에 구비된 관통구(13)의 직경과 연결핀(15)의 직경이 일치하게 되며, 연결 핀(15)의 길이방향 축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분리대의 상하에 나사홈이 구비된다.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연결핀(15)을 회전시켜 한쪽 수직프레임(10)에 체결하고, 반대쪽 말단을 다른 수직프레임(10)에 체결하여 다단의 무대본체(1)를 조립 및 설치할 수 있다.
연결핀(15)의 길이방향 축 상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분리대가 상부 수직프레임(10)과 하부 수직프레임(10)의 하중을 지탱하여 서로 상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나사홈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수직 결합이 가능해지는바, 일반 무대의 경우 구조상의 취약성 및 안전성에 대한 문제점으로 인해 2~3m 이상 높이의 무대를 설치하기 어려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는 10m 이상 높이의 무대도 제작 및 설치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무대본체(1)를 연결핀(15)을 이용하여 상하 수직방향으로 적재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연결핀(15)이 상부 수직프레임(10)과 하부 수직프레임(10)을 연결하여, 높은 무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미세높이조절부(50)를 더 구비하여, 평평하지 않은 지면 상에서도 각 수직프레임(10)의 미세높이를 조절하여 편평한 무대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추가로, 조립무대본체(1)는 필요에 따라 그 측면에 측면지지대(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조립무대본체(1)의 한 면을 기준으로 하여, 양 수직프레임(10) 상에 각각 거치부(11)가 두 개 이상 구비된 경우, 교차로 측면지지대(40)를 설치하여 무대 전체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보다 견고한 무대가 될 수 있도록 지탱하는 역할 을 한다. 즉, 측면지지대(40)의 한쪽 말단은 왼쪽 수직프레임(10)의 아래쪽 거치부(11)에 거치하고, 측면지지대(40)의 다른쪽 말단은 오른쪽 수직프레임(10)의 위쪽 거치부(11)에 거치하여, 교차로 측면지지대(40)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측면지지대(40)는 지지대본체(41)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 말단의 구조가 동일하다. 각각의 말단부에는 연결부(42)가 구비되어 있으며, 연결부(42)는 실제 거치부(11)에 거치되는 맞물림부(43) 및 맞물림잠금장치(44)를 포함한다. 맞물림부(43)는 측면부재(20)가 거치부(11)에 거치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거치부(11)에 거치되며, 다만 측면부재(20)가 거치된 거치부홈(12)과 다른 거치부홈(12)에 거치되어야 하는바, 전체적으로 측면지지대(40)의 연결부(42)는 지지대본체(41)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측면부재(20)가 거치되지 않은 거치부홈(12)에 맞물림부(43)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8각형의 거치부(11)의 경우 사방위를 기준으로, 북쪽 방향과 동쪽 방향에 각각의 측면부재(20)가 거치되어 있는 경우, 북쪽 방향에 거치된 측면부재(20)를 지탱하기 위한 측면지지대(40)는 북서쪽 방향의 거치부홈(12)에 거치된다. 마찬가지로, 동쪽 방향에 거치된 측면부재(20)를 지탱하기 위한 측면지지대(40)는 남동쪽 방향의 거치부홈(12)에 거치된다.
맞물림부(43)는 "ㄷ"형태이며, 맞물림부(43)를 거치부(11)의 거치부홈(12)에 맞물리도록 한 상태에서, 맞물림잠금장치(44)를 맞물림부(43)의 상면, 거치부홈(12), 맞물림부(43)의 하면 순서로 관통함으로써, 측면지지대(40)가 거치부(11)에 고정되게 된다.
기재된 한쪽 측면 외에도, 필요에 따라 네 측면 모두 측면지지대(40)를 이용하여 보강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무대본체(1)를 다수 연결하여 실제 무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상에서는 단층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앞선 도8에서와 같이 여러 층을 연결하여 높은 무대를 제작할 수도 있으며, 종래의 무대에서는 안전성의 문제로 인해 2~3m 안팎의 높이에 따른 제약이 있었으나, 다수의 측면부재(20)와 측면지지대(40) 및 수직프레임 간의 연결핀(15)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안정성이 뛰어나고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10m 높이 이상의 무대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10)의 거치부(11)에 따라 원하는 형태의 무대를 만들 수 있도록 거치부홈(12)에 측면부재(20)를 체결하여 손쉽게 무대를 넓게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수정 및 보완될 수 있고, 동일성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만들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무대장치의 조립무대본체(1)의 기본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프레임(10)에 대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재(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상기한 수직프레임(10)과 측면부재(20)의 체결방법에 의해서 체결된 상태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무대본체(1)의 측면도이다.
도5는 상기한 수직프레임(10)과 측면부재(20)의 체결방법에 의해서 체결된 상태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무대본체(1)의 정면도이다.
도6은 상기한 수직프레임(10)과 측면부재(20)의 체결방법에 의해서 체결된 상태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무대본체(1)로서 데크(30)를 구비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높이조절부(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15)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무대본체(1)를 연결핀(15)을 이용하여 상하 수직방향으로 적재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무대본체(1)를 다수 연결하여 실제 무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6)

  1. 세워진 판재 형태의 본판(21)과,
    상기 본판(21)의 최상부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데크고정자(22)와,
    상기 본판(21)의 판면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판(21)의 좌우로 오목하게 파인 홈 형상의 잠금장치홈(24)과,
    상기 잠금장치홈(24)이 상기 본판(21)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잠금구멍(25)과,
    상기 잠금장치홈(2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잠금구멍(25)을 통해 상기 본판(21)의 측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일부분이 돌출될 수 있는 잠금장치(23)와,
    상기 본판(2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서, "ㄱ"자 형상이며 상기 본판(21)의 하부를 향해 구부러진 형태의 걸개(27)를 구비하는 연결고리부(26)를 포함하는 측면부재(20); 및
    내부에 통공부(13)를 구비한 기둥 형상이고, 상기 걸개(27)와 맞물리는 홈 형상의 복수의 거치부홈(12)을 구비하는 거치부(11)를 포함하여 상기 측면부재(20)의 좌우 양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측면부재(20)를 지지하는 수직프레임(10);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10)은 구비된 거치부홈(12)의 개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측면부재(20)와 체결될 수 있고, 복수의 수직프레임(10)과 측면부재(20)가 체결되어 세워진 형태의 다각기둥을 형성하고, 상기 다각기둥의 상부를 덮는 판재 형상의 데크(30)로 상부가 덮힌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무대본체(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부(13)의 내측면에 나사산(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무대본체(1).
  3. 제2항에 있어서,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 형태이고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하단부 내측면의 상기 통공부(13)에 삽입되는 중심기둥(51)과,
    상기 중심기둥(51)의 상기 통공부(13)에 삽입되지 않는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중심기둥(51)을 지탱하는 판재형상의 받침대(53)와,
    상기 중심기둥(51)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하단부와 맞닿아 상기 수직프레임(10)을 지탱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하단부와 상기 받침대(53) 사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미세높이조절나사(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무대본체(1).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무대본체(1)를 상하로 적층할 경우, 위쪽의 수직프레임(10)의 하부 내측면의 통공부(13)와 아래쪽의 수직프레임(10)의 상부 내측면의 통공부(13)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상부 내측면의 통공부(13) 및 상기 하부 내측면의 통공부(13)에 끼워지는 부분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나사산(14)과 맞물리도록 체결되어 복수의 상기 조립무대본체(1)가 상하로 체결되도록 하는 연결핀(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무대본체(1).
  5.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상기 수직프레임(10)의 거치부홈(12)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고리 형상의 맞물림부(43)가 양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0) 및 상기 측면부재(2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둥형상의 지지대본체(41)와,
    상기 맞물림부(43)의 상면, 거치부홈(12), 맞물림부(43)의 하면 순서로 연통되어 있는 홈을 관통하여 상기 거치부홈(12)과 상기 맞물림부(43)의 체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맞물림잠금장치(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무대본체(1).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상기 거치부(11)는 8각형이고, 상기 다각기둥이 직사각 또는 정사각기둥이 되도록 4개의 측면부재(20) 중 인접한 측면부재 사이의 결합각이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무대본체(1).
KR1020080042985A 2008-05-08 2008-05-08 조립무대장치 KR100925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985A KR100925212B1 (ko) 2008-05-08 2008-05-08 조립무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985A KR100925212B1 (ko) 2008-05-08 2008-05-08 조립무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212B1 true KR100925212B1 (ko) 2009-11-06

Family

ID=4156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985A KR100925212B1 (ko) 2008-05-08 2008-05-08 조립무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2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385Y1 (ko) * 2009-12-31 2012-03-23 재성정밀주식회사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17330A1 (fr) 1990-04-27 1991-11-14 Naka Corporation Dispositif de support pour panneaux de revetement de sol
JPH0667709U (ja) * 1993-02-26 1994-09-22 株式会社越智工業所 ステージ等組立用の骨組
JPH108749A (ja) 1996-06-19 1998-01-13 Sogo Rentaru Kk ステージ構造体
KR20020086165A (ko) * 2001-05-11 2002-11-18 주식회사 서정프로퍼 투명한 바닥을 구비한 무대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17330A1 (fr) 1990-04-27 1991-11-14 Naka Corporation Dispositif de support pour panneaux de revetement de sol
JPH0667709U (ja) * 1993-02-26 1994-09-22 株式会社越智工業所 ステージ等組立用の骨組
JPH108749A (ja) 1996-06-19 1998-01-13 Sogo Rentaru Kk ステージ構造体
KR20020086165A (ko) * 2001-05-11 2002-11-18 주식회사 서정프로퍼 투명한 바닥을 구비한 무대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385Y1 (ko) * 2009-12-31 2012-03-23 재성정밀주식회사 롤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3452B1 (en) Railing support post
US8898999B1 (en) Restraint system for elevated surface tiles
US6643982B1 (en) Light weight, hollow structural support column
US200700065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modular building
US9826834B2 (en) Cabinet foot and cabinet foot system
US9113724B1 (en) System for creating decorative arches and columns
KR100925212B1 (ko) 조립무대장치
JP2018131841A (ja) 組立式ステージおよびジャッキ機構
KR200413198Y1 (ko) 조립식 무대용 프레임부재
KR20110009362U (ko)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셔
JP4721913B2 (ja) 木造建築用アンカーパ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木造建築構造
JP5552556B1 (ja) 支柱の立設装置及びフレーム構造体
JP2002047662A (ja) 可搬柱状基礎体及びその設置方法
JP6998681B2 (ja) 段床支持脚及びこれを用いた段床構造の施工方法
JP2021085318A (ja) 仮設物支持ウエイト
JP6175667B1 (ja) 段床支持脚及びこれを用いた段床構造
JP2010229654A (ja) 組立用階段
GB2594035A (en) Demountable stairs
KR20080004895U (ko) 조립식 무대장치
JP7363854B2 (ja) 建築物の壁、建築物、建築物の施工方法、および、建築物の壁の施工方法
JP2017137717A (ja) 床構造体の幕板取付構造及び床構造体の施工方法
JP3159951U (ja) 組立て式展示ブースに用いるパネル部品セット
KR200329513Y1 (ko) 매설용 앵커볼트 고정구
CN112031512B (zh) 组合屋支架结构
RU44709U1 (ru) Сборная металлоконструкция фальшпо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