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020B1 -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020B1
KR100925020B1 KR1020080066990A KR20080066990A KR100925020B1 KR 100925020 B1 KR100925020 B1 KR 100925020B1 KR 1020080066990 A KR1020080066990 A KR 1020080066990A KR 20080066990 A KR20080066990 A KR 20080066990A KR 100925020 B1 KR100925020 B1 KR 100925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lotus
liquid composition
lotus
hamcho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수
이동영
Original Assignee
신영수
이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수, 이동영 filed Critical 신영수
Priority to KR1020080066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 제조방법은, 물이 저장된 용기에 함초와 표고버섯을 투입한 후 일정기간 동안 숙성시켜 함초숙성액을 제조하는 함초숙성단계와; 물이 저장된 용기에 백련과 표고버섯을 투입한 후 일정기간 동안 숙성시켜 백련숙성액을 제조하는 백련숙성단계와; 제조된 함초숙성액과 백련숙성액을 혼합한 다음 일정 기간 동안 숙성시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을 제조하는 혼합물숙성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의 냄새 제거제 제조 방법에 비해 비교적 구하기도 싶고, 개수도 적은 원료를 이용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고, 특히, 어류나 육류의 내장 등에서 풍기는 심한 비린내에 대하여 소취 효과가 우수하며, 제조공정에 에탄올이나, 겔화제, 토르말린 등의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은, 친환경적인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함초, 백련, 표고버섯, 소취

Description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Liquid formulation and it's making method for smell clearance using salicornia herbacea and white lotus}
본 발명은 함초와 백련을 이용하여 생선 비린내, 술냄새, 담배냄새 등과 같은 각종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냄새제거용 조성물에 관련한 기술로는, 줄풀 추출물 등의 항균 활성 물질을 포함하여 무좀, 비듬, 발냄새 등을 억제하도록 한 '냄새 제거용 항균성 조성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7842호)이 공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줄풀, 프로폴리스, 질경이, 인동초에 에탄올을 가하여 추출하는 기술로, 여러 가지 재료를 필요로 하고, 각 재료를 추출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다른 기술로는, 토르말린과 허브를 이용한 '냄새 제거제 제조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1107호)이 공개되기도 하였다.
상기 기술은 정제수에 겔화제를 용해시킨 후 교반, 냉각한 후 허브 물질과 토르말린 수용액을 혼합하여 고상으로 겔화시키는 기술로, 고상의 물질로 냄새를 흡수함으로써 냄새를 제거하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술도, 여러 원료를 필요로 함은 물론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기술들은 비린내 제거 효과가 높지 못하며, 친환경적이지도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냄새 제거제 제조 방법에 비해 비교적 구하기도 싶고, 개수도 적은 원료를 이용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어류나 육류의 내장 등에서 풍기는 심한 비린내에 대하여 소취 효과가 우수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제조공정에 에탄올이나, 겔화제, 토르말린 등의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은, 친환경적인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 제조방법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이 저장된 용기에 함초와 표고버섯을 투입한 후 일정기간 동안 숙성시켜 함초숙성액을 제조하는 함초숙성단계와; 물이 저장된 용기에 백련과 표고버섯을 투입한 후 일정기간 동안 숙성시켜 백련숙성액을 제조하는 백련숙성단계와; 제조된 함초숙성액과 백련숙성액을 혼합한 다음 일정 기간 동안 숙성시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을 제조하는 혼합물숙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함초와 표고버섯은 7 ~ 13 : 1의 중량비로 용기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백련과 표고버섯은 7 ~ 13 : 1의 중량비로 용기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함초숙성단계에서 물은 함초와 표고버섯 전체 중량 대비 50 ~ 150배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백련숙성단계에서 물은 백련과 표고버섯 전체 중량 대비 50 ~ 150배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함초숙성액과 백련숙성액은 1 : 0.5 ~ 1.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전체 조성물 대비 함초 0.1 ~ 10 중량%, 백련 0.1 ~10 중량%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의 냄새 제거제 제조 방법에 비해 비교적 구하기도 싶고, 개수도 적은 원료를 이용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어류나 육류의 내장 등에서 풍기는 심한 비린내에 대하여 소취 효과가 우수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제조공정에 에탄올이나, 겔화제, 토르말린 등의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은, 친환경적인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 제조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1의 공정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함초숙성단계
함초는 명아주과의 퉁퉁마디(Salicornia herbacea L. 'S europeae L.')라고 불리며, 서해안과 남해안 바닷가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한해살이 풀을 말한다.
함초는 전체가 다육질이고 녹색인데 가을이 되면 붉은색으로 변하며, 줄기는 직립하고 마디마다 양쪽으로 퉁퉁한 가지가 갈라지기도 하며, 높이는 10~30센티미터의 크기로 자란다.
잎은 마디의 위쪽에 마주나며, 비늘 조각 모양이며 꽃은 8~9월에 피며, 가지 위쪽 마디의 양쪽 비늘잎의 잎겨드랑이 홈 속에 3개씩 달려 전체적으로 이삭꽃차례를 이루고 녹색을 띠고 있다.
3개의 꽃 가운데 중앙의 것은 양쪽 것보다 크며 화피는 주머니 모양에 다육질이고 꽃이 핀 후 가장자리가 자라서 날개처럼 되어 열매를 감싸고 있다.
수술은 3개이고 화피는 밖으로 나와 있으며 암술대는 1개이고 짧으며 열매는 포과이며 납작한 난형이다.
함초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함초의 성분에 대해서, 전초에 β-시아니딘, 콜린, 베타인, 싱아산염, 탄닌질, 알칼로이드(살리코르 닌, 살리게르빈, 알칼로이드 C, D)가 들어 있고, 뿌리에도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민간에서 전초를 달여 오줌내기약, 땀내기약, 염증약으로 콩팥과 방광의 염증성 질병에 쓰거나 소화를 돕는 데에도 쓴다고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함초에는 콜린, 비테인, 다당체, 식이섬유 및 각종 미네랄이 풍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콜린은 신경세포막을 구성하는 물질인 스핑고미에린을 합성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물질로, "메모리 비타민" 이라고 불릴만큼 뇌안에서의 작용에 크게 기여, 수험생들의 학습능력을 높이고 알츠하이머병에 큰 진정작용이 있었다고 보고되고 있다.
비테인은 간에서의 독성해소와 삼투압 조절에 있어 주요한 역할을 해 지방간 치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함초에는 풍부한 아미노산과 더불어 면역기능을 높이는 다당체가 함유돼 있는데, 기존의 동충하초나 상황버섯 등의 면역증강 기능을 능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표고버섯은 항바이러스 물질인 인터페론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함초숙성단계에는 물이 저장된 용기에 함초와 표고버섯을 투입하여 일정기간 동안 숙성시켜 함초숙성액을 제조한다.
이때, 물은 가능한 지하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함초와 표고버섯은 7 ~ 13 : 1의 중량비로 용기에 투입되었을 때 최종 액상 조성물의 냄새 제거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물은 함초와 표고버섯을 합친 전체 중량 대비하여 50 ~ 150배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숙성 조건은 상온에서 1 ~ 2 개월 정도 숙성시키는 것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함초숙성단계는 용기에 함초와 표고버섯을 7 : 13 : 1의 중량비로 투입하고, 물을 함초와 표고버섯 전체 중량 대비하여 50 ~ 150 배 투입하여 1 ~ 2개월 숙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2. 백련숙성단계
백련은 수련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연(蓮)은 연꽃, 연실, 연자(蓮子), 연밥, 연륙(蓮肉), 연엽(蓮葉)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수련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연(蓮)은 연꽃, 연실, 연자(蓮子), 연밥, 연륙(蓮肉), 연엽(蓮葉)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연(蓮)은 열대 아시아 지방이 그 원산지로 보통 1미터 정도의 높이로 자라며, 7, 8월경에 홍색이나 백색등의 꽃이 피고 10월경에 열매를 맺는다. 이처럼 열매가 맺힌 상태로 베어낸 후 꽃줄기를 햇볕에 건조하여 과실(연밥)만 골라낸 다음 종이 봉지에서 건조하여 이용하기도 하며, 건조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열매의 딱딱한 과피(果皮)를 벗겨 달여 먹기도 한다.
또한, 연(蓮)은 그 뿌리에서 잎끝까지 버릴 것이 없을 정도로 거의 모든 부위가 약용 및 식용으로 쓰여진다. 통상적으로,식용으로는 통상 땅속의 비대한 뿌리와 잎자루가 많이 쓰이며, 한방과 민간에서는 지혈, 변혈, 대하증, 신장염, 진통, 해열, 신경쇠약, 요통 등의 증상에 중요한 약재로도 쓰인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연(蓮)은 크게 백련(白蓮)과 홍련(紅蓮)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도 백련(白蓮)은 홍련(紅蓮)과 달리 자라는 곳이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발하는 향기가 홍련(紅蓮)에 비해 매우 독특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백련(白蓮)은 본초강목을 포함한 다수의 고서에 백련의 잎(백련엽)은 정력을 증진시키는데 비상한 효과가 있다고 전해지며, 중국 역대의 황제 가운데에서도 연(蓮)을 이용하여 쇠약해진 원기를 되찾고 정력이 왕성하게 되었다는 구전도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백련에는 단백질, 지질, 칼슘, 인, 나트륨, 비타민, 나아신, 이소루신, 리신, 함황아미노산, 아스파르트산, 뮤신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백련의 잎과 뿌리를 모두 사용하거나 잎만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백련과 표고버섯을 물에 담가 숙성시킨 다음 함초숙성액과 혼합하여 숙성하였을 때 우수한 냄새 제거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를 위해 백련숙성단계에서는 물이 저장된 용기에 백련과 표고버섯을 투하 여 일정기간 동안 숙성시켜 백련숙성액을 제조한다.
이때, 물은 가능한 지하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백련과 표고버섯은 7 ~ 13 : 1의 중량비로 용기에 투입되었을 때 최종 액상 조성물의 냄새 제거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물은 백련과 표고버섯을 합친 전체 중량 대비하여 50 ~ 150배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숙성 조건은 상온에서 1 ~ 2 개월 정도 숙성시키는 것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백련숙성단계는 용기에 백련과 표고버섯을 7 : 13 : 1의 중량비로 투입하고, 물을 백련과 표고버섯 전체 중량 대비하여 50 ~ 150 배 투입하여 1 ~ 2개월 숙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3. 혼합물숙성단계
상기와 같이 각각 준비된 함초숙성액과 백련숙성액을 서로 혼합한 다음 일정 기간 동안 숙성시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함초숙성액과 백련숙성액은 1 : 0.5 ~ 1.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온 숙성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 ~ 4 개월 지났을 때 효과가 우수하다.
이상과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냄새 제거용 액상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대비 함초 0.1 ~ 10 중량%, 백련 0.1 ~10 중량%가 포함된 것으로써, 그 자체로 용기에 담가 사용하거나 스프레이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액상 조성물에 장미나 아로마추출물, 허브추출물을 첨가하여 향을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 제조
백련 잎과 함초, 표고버섯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두 개의 저장탱크를 준비한 후 하나의 탱크에 함초 9 kg, 표고버섯 1 kg을 투입한 후 지하수 1톤을 채운 후 2 개월 동안 상온에서 숙성시켜 함초숙성액을 제조하였다.
동시에 또다른 탱크에 백련 9 kg, 표고버섯 1 kg을 투입한 후 지하수 1톤을 채운 후 2 개월 동안 상온에서 숙성시켜 백련숙성액을 제조하였다.
항아리를 준비한 후 제조된 함초숙성액과 백련숙성액 중 각각 5 kg을 항아리에 넣은 후 3개월 동안 숙성시켜 본 발명의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냄새제거 실험1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10 대 ~ 40 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 명씩 총 40 명을 선발하여 비린내가 심한 고등어를 충분히 만지게 한 후 손에서 나는 냄새를 확인시킨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액상 조성물을 스프레이 용기에 넣은 후 손에 도포시킨 다음 세척한 후 냄새를 맞게 하였다.
비교대상으로 시중에서 판매하는 일반 비누를 준비하여 손을 씻게 한 후 냄새를 맞게 하였다.
비린내가 남아 있는 정도를 5점 평정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여 평균 값을 조사하였다.
<표 1> 냄새제거 실험1
구분 비린내 냄새
실시예1 8.8
비교예 5.4
* 관능검사 수치(0 : 냄새가 남아있음, 9 : 냄새가 사라졌음)
조사 결과 본 발명의 액상 조성물을 손에 도포한 후에 비린내가 거의 대부분 사라졌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냄새제거 실험2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10 대 ~ 40 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 명씩 총 40 명을 선발하여 차안에 돼지 내장을 충분히 만지게 한 후 손에서 나는 냄새를 확인시킨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액상 조성물을 스프레이 용기에 넣은 후 손에 도포시킨 다음 세척한 후 냄새를 맞게 하였다.
비교대상으로 시중에서 판매하는 일반 비누를 준비하여 손을 씻게 한 후 냄새를 맞게 하였다.
비린내가 남아 있는 정도를 5점 평정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여 평균 값을 조사하였다.
<표 2> 냄새제거 실험2
구분 비린내 냄새
실시예1 8.75
비교예 4.4
* 관능검사 수치(0 : 냄새가 남아있음, 9 : 냄새가 사라졌음)
조사 결과 본 발명의 액상 조성물을 손에 도포한 후에 비린내가 거의 대부분 사라졌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이밖에도 차량 시트에 생선 찌꺼기를 묻혀 오염시킨 다음에 시트에 본 발명의 액상 조성물을 스프레이로 도포한 후 냄새를 맡는 실험, 시트에 휘발유를 묻힌 다음에 본 발명의 액상 조성물을 스프레이로 도포하는 실험, 생선 요리 섭취 후 입안에 본 발명의 액상 조성물을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입에서 나는 냄새를 확인해보는 실험, 음주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입 안에 본 발명의 액상 조성물을 스프레이로 뿌려 입에서 나는 냄새를 확인해보는 실험, 흡연 후 손에서 나는 담배 냄새를 확인해보는 실험을 해본 결과 본 발명의 액상 조성물을 도포했을 경우 10명중 9명의 사람들이 냄새를 확인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실험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액상 조성물은 냄새 제거 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그중에서도 비린내 제거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Claims (7)

  1.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에 있어서,
    물이 저장된 용기에 함초와 표고버섯을 투입한 후 일정기간 동안 숙성시켜 함초숙성액을 제조하는 함초숙성단계와;
    물이 저장된 용기에 백련과 표고버섯을 투입한 후 일정기간 동안 숙성시켜 백련숙성액을 제조하는 백련숙성단계와;
    제조된 함초숙성액과 백련숙성액을 혼합한 다음 일정 기간 동안 숙성시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을 제조하는 혼합물숙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초와 표고버섯은 7 ~ 13 : 1의 중량비로 용기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련과 표고버섯은 7 ~ 13 : 1의 중량비로 용기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함초숙성단계에서 물은 함초와 표고버섯 전체 중량 대비 50 ~ 150배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백련숙성단계에서 물은 백련과 표고버섯 전체 중량 대비 50 ~ 150배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함초숙성액과 백련숙성액은 1 : 0.5 ~ 1.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 제조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고,
    전체 조성물 대비 함초 0.1 ~ 10 중량%, 백련 0.1 ~10 중량%가 포함되어 구성된,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
KR1020080066990A 2008-07-10 2008-07-10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KR100925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990A KR100925020B1 (ko) 2008-07-10 2008-07-10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990A KR100925020B1 (ko) 2008-07-10 2008-07-10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020B1 true KR100925020B1 (ko) 2009-11-03

Family

ID=4156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990A KR100925020B1 (ko) 2008-07-10 2008-07-10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0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1658A (zh) * 2019-02-27 2019-04-16 惠州市骏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负离子甲醛净化剂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508B1 (ko) 2004-09-06 2006-09-12 배삼훈 연(蓮)을 이용한 뜸과 선향의 연소재와 입욕재 제조법
KR100865441B1 (ko) 2007-09-13 2008-10-28 배삼훈 홍련,백련을 이용한 연뜸과 연향(蓮香) 제조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508B1 (ko) 2004-09-06 2006-09-12 배삼훈 연(蓮)을 이용한 뜸과 선향의 연소재와 입욕재 제조법
KR100865441B1 (ko) 2007-09-13 2008-10-28 배삼훈 홍련,백련을 이용한 연뜸과 연향(蓮香) 제조 및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1658A (zh) * 2019-02-27 2019-04-16 惠州市骏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负离子甲醛净化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299B1 (ko) 생약숙성탕액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4322731A (zh) 美容养颜保健茶及其制作方法
KR101507820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간장소스를 제조하는 방법
KR101294762B1 (ko) 기능성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CN104388192A (zh) 用于女士烟的玫瑰型香精及其应用
CN104814895A (zh) 一种天然洗发水的配方及其制备工艺
CN104694353B (zh) 女士用保健酒及其制备方法
KR101712565B1 (ko) 증숙건해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증숙건해삼을 사용한 해삼성분이 함유된 건강식품 제조방법
JP7141767B2 (ja) Tie2活性化剤及び血管の成熟化剤、並びに飲食品
CN105769725A (zh) 一种迷迭香保湿水及其制作方法
CN105687035A (zh) 一种具有抗氧化、延缓肌肤衰老作用的复合银杏精油
KR100893622B1 (ko)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비누와 그 제조방법
CN108524356A (zh) 一种含有鹧鸪叶提取物的药物牙膏及其制备方法
CN104224603A (zh) 一种植物抗氧化爽肤水
KR100925020B1 (ko) 함초와 백련을 이용한 냄새제거용 액상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KR102041867B1 (ko) 오크라, 퀴노아, 석류, 들깨, 편백 추출 혼합물과 프로폴리스 및 합성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2046974B1 (ko) 달팽이와 한약재를 주원료로 한 비누의 제조방법
CN103816106A (zh) —种茶油珍珠护肤膏及加工方法
KR101539744B1 (ko)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 주방용 항균 세제
CN106281714A (zh) 一种特色金花茶烟用香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KR20150084252A (ko) 인삼 에센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KR100853838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감귤(柑橘) 비타 침출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27374B1 (ko) 녹용을 포함하는 건강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