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980B1 -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980B1
KR100923980B1 KR1020070121384A KR20070121384A KR100923980B1 KR 100923980 B1 KR100923980 B1 KR 100923980B1 KR 1020070121384 A KR1020070121384 A KR 1020070121384A KR 20070121384 A KR20070121384 A KR 20070121384A KR 100923980 B1 KR100923980 B1 KR 100923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liquefied gas
tank
inner tank
por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4620A (ko
Inventor
김용철
김철만
김봉규
채정민
김영표
장상엽
이중성
고재필
홍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Priority to KR1020070121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98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4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6Closures, e.g. cap, break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0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involving reinforc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2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저온의 액화연료를 내부에 저장하는 저장조와 액화연료의 충전과 배출 및 증발가스의 배출을 위한 포트 어셈블리 사이의 결합을 착탈가능한 방식의 조립구조로 대체하여 구성함으로써, 압력용기의 제작시 저장조와 포트 어셈블리 사이의 결합을 위한 용접공정의 폐지를 통해 작업공정의 단순화 및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화연료를 저장하는 내조(10a)와, 상기 내조(10a)와 진공단열공간(10c)을 사이에 두고 외부에 배치되는 외조(10b)를 갖춘 저장조(10)와; 상기 저장조(10)를 관통하여 상기 내조(10a)를 외부와 교통시키는 접속부(12); 상기 접속부(12)에 착탈식으로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저장조(10)의 내부로 교통되는 다수의 배관을 설치하는 포트 어셈블리(14); 상기 내조(10a)의 내부에서 상기 포트 어셈블리(14)를 지지하고, 상기 내조(10a)의 내부공간을 기상의 연료만이 교통가능하게 구획하는 저장공간부(S)와 감량공간부(U)로 각각 분할하며, 상기 감량공간부(U)에 상기 포트 어셈블리(14)가 상기 접속부(12)를 통해 설치되게 하는 구획부(16); 상기 구획부(16)에 설치되어 상기 포트 어셈블리(14)를 통해 충전되는 액화연료를 상기 저장공간부(S)로 유도하는 충전 유도부(18) 및; 상기 내조(10a)와 상기 외조(10b) 사이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는 서포트부(20)를 구비한다.
Figure R1020070121384
액화연료, 압력용기, 포트 어셈블리, 접속부, 감량공간

Description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Assembling type vessel for liquefied gas}
본 발명은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조와 포트 어셈블리 사이의 결합을 착탈방식의 조립구조로 변경하여 용접공정의 폐지에 따른 작업공정의 불편함을 해소함과 더불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는 -160 ~ -100도 범위의 초저온 상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이를 저장하기 위한 압력용기는 단열 공간을 확보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종래 액화연료의 저장을 위한 압력용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저온의 액화연료를 저장하는 저장조(1)와, 상기 저장조(1)에 설치되어 액화연료의 충전(充塡)과 배출을 도모하는 포트 어셈블리(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저장조(1)는 이중구조의 압력용기로 제작되는 바, 즉 내부에 액화연료를 저장하는 내조(1a)와, 상기 내조(1a)에 대해 진공단열공간(1c)을 사이 에 두고 외부에 배치되는 외조(1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포트 어셈블리(3)는 상기 저장조(1)의 내부에 액화연료를 충전하는 액화가스충전배관(3a)과, 상기 저장조(1)의 내부에 저장된 액화연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액화가스배출배관(3b) 및, 상기 저장조(1)의 내부에 잔존하는 증발가스를 연료의 충전시 또는 안전밸브의 개방시 외부로 배출시키는 벤트배관(3c)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조(1a)는 내부에 액화연료의 과다 충전에 따른 위험을 해소하기 위한 감량공간의 형성을 위해 빈 공간을 형성하는 감량탱크(5)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감량탱크(5)는 상기 내조(1a)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공간과는 독립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아울러, 상기 저장조(1)는 상기 포트 어셈블리(3)가 설치된 부위와 반대되는 위치에 상기 내조(1a)와 상기 외조(1b) 사이에서 적정의 공간을 확보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내조(1a)와 외조(1b) 사이의 불필요한 충돌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서포트부(7)를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액화가스 저장용 초저온 용기는 상기 내조(1a)와 외조(1b) 사이에 진공단열공간(1c)을 두도록 제작하고, 이에 상기 액화가스충전배관(3a)과 액화가스배출배관(3b) 및 벤트배관(3c)을 각각 구비한 포트 어셈블리(3)를 별도의 용접공정을 통해 결합시켜야 한다.
이 결과, 종래 액화가스 저장용 초저온 용기는 다수의 용접공정을 통해 제작됨에 따라 작업공정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내조(1a)와 외조(1b) 사이를 적 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시키는 서포트부(7)가 상기 포트 어셈블리(3)의 설치위치를 회피하여 저장조(1)의 일측부에 국한되어 구비됨에 따라 진동 등에 따른 외부 충격에 저장조(1)의 구조적 강성이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초저온의 액화연료를 내부에 저장하는 저장조와 액화연료의 충전과 배출 및 증발가스의 배출을 위한 포트 어셈블리 사이의 결합을 착탈가능한 카트리지 방식의 조립구조로 대체하여 구성함으로써, 압력용기의 제작시 저장조와 포트 어셈블리 사이의 결합을 위한 용접공정의 폐지를 통해 작업공정의 단순화 및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조내 액화연료의 과다 충전에 따른 위험을 해소하도록 감량공간의 형성을 위한 감량탱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를 통한 생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화연료를 저장하는 내조와, 상기 내조와 진공단열공간을 사이에 두고 외부에 배치되는 외조를 갖춘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를 관통하여 상기 내조를 외부와 교통시키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저장조의 내부로 교통되는 다수의 배관을 설치하는 포트 어셈블리;
상기 내조의 내부에서 상기 포트 어셈블리를 지지하고, 상기 내조의 내부공간을 기상의 연료만이 교통가능하게 구획하는 저장공간부와 감량공간부로 각각 분할하며, 상기 감량공간부에 상기 포트 어셈블리가 상기 접속부를 통해 설치되게 하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에 설치되어 상기 포트 어셈블리를 통해 충전되는 액화연료를 상기 저장공간부로 유도하는 충전 유도부 및;
상기 저장조의 양단부에서 상기 진공단열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 사이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는 서포트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는 초저온의 액화연료를 내부에 저장하는 저장조와, 저장조의 내부에 액화연료를 충전하거나 충전된 액화연료를 외부로 배출하고, 또한 저장조의 내부에 잔류하는 증발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각각의 배관들을 장착하는 포트 어셈블리 사이의 결합을 착탈가능한 카트리지 조립방식의 구조로 대체하여 구성함으로써, 압력용기의 제작시 저장조와 포트 어셈블리 사이의 결합을 위한 용접공정을 폐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압력용기의 제작에 소요되는 작업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저장조내 액화연료의 과다 충전에 따른 위험을 해소하기 위한 감량공간의 형성을 위한 감량탱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도록 하여 압력용기의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생산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조와 외조의 양단부에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단열공간의 확보를 위한 서포트부를 각각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등에 의한 압력용기의 손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배제함으로써, 압력용기에 대한 내구성의 확보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는 초저온의 액화연료를 저장하는 저장조(10)와, 상기 저장조(10)에 설치되는 접속부(12), 상기 접속부(12)에 착탈가능한 카트리지 방식으로 결합되는 포트 어셈블리(14), 상기 저장조(10)의 내부를 저장공간부(S)와 감량공간부(U;ullage tank)로 분할하는 구획부(16), 상기 포트 어셈블리(14)를 통해 충전(充塡)되는 초저온의 액화연료를 상기 저장조(10)내로 안내하는 충전 유도부(18) 및, 상기 저장조(10)의 진동시 내구성 문제의 해소를 위한 서포트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조(10)는 초저온의 액화연료를 저장하는 내조(10a)와, 상기 내조(10a)와 진공단열공간(10c)을 두고서 외부에 배치되는 외조(1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부(12)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조(10)를 관 통하여 상기 내조(10a)를 외부와 교통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 이를 위해 상기 접속부(12)는 상기 내조(10a)와 상기 외조(10b)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배관(12a)과, 상기 배관(12a)의 입구에 일체로 결합되고 다수의 체결구멍(12c)을 갖춘 플랜지(12b)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트 어셈블리(14)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12)에 착탈가능한 카트리지 방식으로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저장조(10)의 내조(10a)로 교통되는 다수의 배관을 설치하는 바, 더욱 상세하게 상기 포트 어셈블리(14)는 상기 배관(12a)에 삽입되는 몸체부(14a)와, 상기 몸체부(14a)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12c)과 대응되는 체결구멍(14c)을 갖추면서 상기 플랜지(12b)에 볼트체결을 매개로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대응 플랜지(14b)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플랜지(12b)와 상기 대응 플랜지(14b) 사이에는 단열유지를 위한 단열재(15)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접속부(12)와 상기 포트 어셈블리(14) 사이의 효과적인 단열을 도모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포트 어셈블리(14)의 몸체부(14a)에 구비되는 다수의 배관은 상기 저장조(10)의 내부로 초저온의 액화연료를 충전시키기 위한 액화가스충전배관(14aa)과, 상기 저장조(10)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의 초저온 액화연료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액화가스배출배관(14bb) 및, 상기 저장조(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기상의 초저온 액화연료, 즉 증발가스(BOG; boiled-off gas)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벤트배관(14c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획부(16)는 상기 내조(10a)의 내부에서 상기 포트 어셈블리(14)를 관 통하여 지지하고, 상기 내조(10a)의 내부공간을 저장공간부(S)와 감량공간부(U)의 독립된 공간으로 각각 분할하도록 설치되는 판재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저장공간부(S)는 액상의 초저온 액화연료가 저장되는 하측에 위치하는 액상의 저장공간부(L)와 기상의 초저온 액화연료가 잔류되는 상측에 위치하는 기상의 저장공간부(G)로 각각 분할되는 데, 이들 사이의 경계, 즉 초저온 액화연료의 액위는 외부의 온도나 액화연료의 상태 및 저장량 등에 따라 다양한 수준으로 가변적으로 변화된다.
이 경우, 상기 구획부(16)는 상단이 상기 내조(10a)의 상측 내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저장공간부(S)중 기상의 저장공간부(G)와 상기 감량공간부(U)를 상호 교통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구획부(16)는 상기 내조(10a)의 내부에서 기상의 연료만이 상기 저장공간부(S)와 상기 감량공간부(U) 사이를 자유롭게 유동 가능한 상태로 분할한다.
부연하자면, 상기 구획부(16)는 상기 접속부(12)를 통해 상기 포트 어셈블리(14)가 삽입되어 상기 감량공간부(U)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벤트배관(14cc)의 입구(14cc')는 상기 감량공간부(U)와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저장공간부(S)중 기상의 저장공간부(G)에 존재하는 증발가스와 상기 감량공간부(U)내에 존재하는 증발가스는 각각 상기 벤트배관(14cc)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획부(16)는 상기 내조(10a)의 내부에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 기 액화가스충전배관(14aa)과 상기 액화가스배출배관(14bb)의 설치를 위한 제1,제2관통구멍(16a,16b)을 각각 형성한다. 또한, 상기 액화가스충전배관(14aa)의 출구(14aa')는 상기 제1관통구멍(16a)내에 위치하고, 상기 액화가스배출배관(14bb)은 상기 제2관통구멍(16b)을 지나 상기 저장공간부(S)의 액상의 저장공간부(L)의 바닥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1,제2관통구멍(16a,16b)과 상기 몸체부(14a)의 선단면 사이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실링재(17)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감량공간부(U)내에는 액상의 액화연료에 대한 유입은 차단되고, 기상의 액화연료 증발가스만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때, 상기 실링재(17)는 상기 액화가스충전배관(14aa)과 상기 액화가스배출배관(14bb)의 관통 설치를 위한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16)는 상기 감량공간부(U)의 용적이 상기 내조(10a)의 전체 용적에 대해 10% 이상으로 점유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상기 내조(10a)의 저장공간부(S)내에 과도한 초저온의 액화연료가 충전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충전 유도부(18)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부(16)에 설치되어 상기 포트 어셈블리(14)를 통해 충전되는 초저온의 액화연료를 상기 저장공간부(S)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충전 유도부(18)는 상기 구획부(16)에 결합되어 내부에 교통관로(18a)를 형성하는 바, 상기 교통관로(18)는 상기 액화가스충전배관(14aa)의 출구(14aa')와 연통하는 입구(18b)와 상기 저장공간부(S)와 연통하는 출구(18c)를 각각의 양단부에 형성한다.
특히, 상기 충전 유도부(18)는 상기 구획부(16)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공간부(S)와 독립된 별도의 유동공간인 교통관로(18a)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교통관로(18a)의 출구(18c)는 상기 저장공간부(S)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기상의 저장공간부(G)를 향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포트 어셈블리(14)의 액화가스충전배관(14aa)을 통해 상기 내조(10a)의 저장공간부(S)로 충전되는 초저온의 액화연료는 상기 저장공간부(S)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상의 저장공간부(G)를 통해 하부에 위치하는 액상의 저장공간부(L)내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저장공간부(S)내로 충전되는 초저온의 액화연료는 상기 기상의 저장공간부(G)내에 잔존하는 증발가스(BOG)의 재액화를 돕게 된다.
상기 서포트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조(10a)와 상기 외조(10b) 사이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켜 외부적 요인에 의해 상기 저장조(10)에 진동이 가해질 때 상기 내조(10a)와 상기 외조(10b) 사이에서 적정의 이격거리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서포트부(20)는 상기 저장조(10)의 양단부, 즉 상기 내조(10a)와 상기 외조(10b) 사이의 양단부에서 상기 진공단열공간(10c)으로 설치되는 데, 보다 상세하게 상기 서포트부(20)는 상기 내조(10a)의 양단부에 결합된 서포트 암(20a)과 상기 서포트 암(20a)에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기 외조(10b)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서포트 플레이트(20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는 일측에 접속부(12)를 구비한 저장조(10)와 다수의 배관을 장착한 포트 어셈블리(14)를 각각 별도로 제작한 다음, 상기 접속부(12)의 배관(12a)내에 상기 포트 어셈블리(14)의 몸체부(14a)를 삽입하고, 상기 접속부(12)의 플랜지(12b)에 단열재(15)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포트 어셈블리(14)의 대응 플랜지(14b)를 면착시킨 다음, 이들의 체결구멍(12c,14c)을 통해 볼트를 삽입시켜 너트와 체결시키면 된다.
이 결과, 상기 저장조(10)에 상기 포트 어셈블리(14)의 조립시 상기 접속부(12)와 상기 포트 어셈블리(14) 사이를 볼트체결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종래 상기 저장조(10)와 상기 포트 어셈블리(14) 사이의 결합을 위한 용접공정은 폐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저장조(10)의 제작에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10)의 내조(10a)내에 설치되는 상기 구획부(16)는 상기 저장공간부(S)내에서 상기 포트 어셈블리(14)의 액화가스충전배관(14aa)과 액화가스배출배관(14bb)을 각각 지지하는 기능 외에도 상기 저장공간부(S)내에서 초저온 액화연료의 과충전을 예방할 수 있는 감량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상기 내조(10a)의 내부에 감량공간의 형성을 위해 별도의 감량탱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또한, 충전 유도부(18)는 상기 구획부(16)에 결합되어 상기 액화가스충전배관(14aa)과 연통되는 교통관로(18a)를 형성하고, 특히 상기 교통관로(18a)의 출구(18c)가 상기 저장공간부(S)내에서 상부에 위치한 기상의 저장공간부(G)를 향해 배치됨에 따라, 상기 액화가스충전배관(14aa)을 통한 초저온 액화연료의 충전시 상 기 기상의 저장공간부(G)에 잔존하는 증발가스의 액화를 도울 수 있게 되므로, 증발가스의 불필요한 과다 생성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포트부(20)는 상기 내조(10a)와 상기 외조(10b) 사이의 양측 부위에 각각 설치됨에 따라, 외부의 진동에 따른 충격에도 상기 내조(10a)와 상기 외조(10b) 사이의 진공단열공간(10c)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내조(10a)와 상기 외조(10b) 사이의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저장조(10)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벤트배관(14cc)은 상기 포트 어셈블리(14)의 몸체부(14a)에 직선의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내조(10a)의 저장공간부(S)로 설치되는 레벨 게이지(도시안됨)의 배선을 외부로 유도함에 있어, 기존의 벤트배관(14cc)이 가지는 복잡한 형상에 따른 배선작업의 곤란성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력용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속부의 설치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포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구획부에 대한 포트 어셈블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가)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종래 액화가스 저장용 초저온 용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저장조 12-접속부
14-포트 어셈블리 16-구획부
18-충전 유도부 20-서포트부

Claims (11)

  1. 액화연료를 저장하는 내조(10a)와, 상기 내조(10a)와 진공단열공간(10c)을 사이에 두고 외부에 배치되는 외조(10b)를 갖춘 저장조(10)와;
    상기 저장조(10)를 관통하여 상기 내조(10a)를 외부와 교통시키는 접속부(12);
    상기 접속부(12)에 착탈식으로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저장조(10)의 내부로 교통되는 다수의 배관을 설치하는 포트 어셈블리(14);
    상기 내조(10a)의 내부에서 상기 포트 어셈블리(14)를 지지하고, 상기 내조(10a)의 내부공간을 기상의 연료만이 교통가능하게 구획하는 저장공간부(S)와 감량공간부(U)로 각각 분할하며, 상기 감량공간부(U)에 상기 포트 어셈블리(14)가 상기 접속부(12)를 통해 설치되게 하는 구획부(16);
    상기 구획부(16)에 설치되어 상기 포트 어셈블리(14)를 통해 충전되는 액화연료를 상기 저장공간부(S)로 유도하는 충전 유도부(18) 및;
    상기 저장조(10)의 양단부에서 상기 진공단열공간(10c)에 설치되고, 상기 내조(10a)와 상기 외조(10b) 사이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는 서포트부(20)를 구비하는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12)는 상기 내조(10a)와 상기 외조(10b)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배관(12a)과, 상기 배관(12a)의 입구에 일체로 결합되고 다수의 체결구 멍(12c)을 갖춘 플랜지(12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트 어셈블리(14)는 상기 배관(12a)에 삽입되는 몸체부(14a)와, 상기 몸체부(14a)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12c)과 대응되는 체결구멍(14c)을 갖추면서 상기 플랜지(12b)에 결합되는 대응 플랜지(14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2b)와 상기 대응 플랜지(14b) 사이에는 단열재(1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4a)는 상기 저장조(10)의 내부로 액화연료를 충전시키는 액화가스충전배관(14aa)과, 상기 저장조(10)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의 액화연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액화가스배출배관(14bb) 및, 상기 저장조(10)의 내부에서 기상의 액화연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벤트배관(14c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16)는 상단이 상기 내조(10a)의 상측 내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저장공간부(S)중 기상의 저장공간부(G)와 상기 감량공간부(U)를 상호 교통가능하게하고, 상기 벤트배관(14cc)의 입구(14cc')는 상기 감량공간부(U)와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16)는 상기 액화가스충전배관(14aa)과 상기 액화가스배출배관(14bb)의 설치를 위한 제1,제2관통구멍(16a,16b)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액화가스충전배관(14aa)의 출구(14aa')는 상기 제1관통구멍(16a)내에 위치하며, 상기 액화가스배출배관(14bb)은 상기 제2관통구멍(16b)을 지나 상기 저장공간부(S)의 바닥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제2관통구멍(16a,16b)과 상기 몸체부(14a)의 선단면 사이에는 실링재(1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16)는 상기 감량공간부(U)의 용적이 상기 내조(10a)의 전체 용적에 대해 10% 이상으로 점유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충전 유도부(18)는 상기 구획부(16)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저장공간부(S)와 독립된 교통관로(18a)를 형성하고, 상기 교통관로(18)는 상기 액화가스충전배관(14aa)의 출구(14aa')와 연통하는 입구(18b)와 상기 저장공간부(S)와 연통하는 출구(18c)를 각각의 양단부에 형성하며, 상기 출구(18c)는 상기 저장공간부(S)의 상부에 위치한 기상의 저장공간부(G)를 향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20)는 상기 내조(10a)에 결합된 서포트 암(20a)과 상기 서포트 암(20a)에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기 외조(10b)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서포트 플레이트(2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KR1020070121384A 2007-11-27 2007-11-27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KR100923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384A KR100923980B1 (ko) 2007-11-27 2007-11-27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384A KR100923980B1 (ko) 2007-11-27 2007-11-27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620A KR20090054620A (ko) 2009-06-01
KR100923980B1 true KR100923980B1 (ko) 2009-10-28

Family

ID=4098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384A KR100923980B1 (ko) 2007-11-27 2007-11-27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9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593Y1 (ko) * 2010-04-01 2012-04-04 (주)한비 라인결합부에 어댑터가 적용된 천연가스 저장용 초저온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3800A (ja) * 1990-01-12 1991-09-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シリンダー
US5477690A (en) * 1993-03-30 1995-12-26 Process Systems International, Inc. Liquid cryogenic storage tank system
US20050028536A1 (en) 2002-04-02 2005-02-10 Noble Stephen Duncan Storage tank for cryogenic liquids
KR100774612B1 (ko) * 2007-01-12 2007-11-1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복합재 탱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3800A (ja) * 1990-01-12 1991-09-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シリンダー
US5477690A (en) * 1993-03-30 1995-12-26 Process Systems International, Inc. Liquid cryogenic storage tank system
US20050028536A1 (en) 2002-04-02 2005-02-10 Noble Stephen Duncan Storage tank for cryogenic liquids
KR100774612B1 (ko) * 2007-01-12 2007-11-1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복합재 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620A (ko) 200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6538B1 (en) Storage tank for liquefied materials and ship comprising same
CA2957401C (en) Pump tower of liquefied gas storage tank
JP6298894B2 (ja) 流体貯蔵タンク
KR101345806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0923980B1 (ko) 조립식 액화가스 저장용기
KR20160061096A (ko) 액체저장탱크
KR102129514B1 (ko) 쌍동형 탱크
US9718555B2 (en) Bladder-free fuel tank
KR100973174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lng 저장탱크
KR20230018293A (ko) 탱크 배열체
KR101125103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125106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164084B1 (ko) 저장탱크의 2열 배치 구조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101125104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40053546A (ko)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
KR101125105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290793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707179B1 (ko) 다중형 가스 저장용기
JP7379211B2 (ja) 燃料タンク、及び船舶
CN112534175B (zh) 用于向和/或从液化气储罐供应和/或排放流体的装置
GB2398115A (en) Cryogenic storage tank
KR101599292B1 (ko) 저장탱크의 선적 및 하역장치, 그리고 상기 선적 및 하역장치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101433100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KR101756783B1 (ko) 병렬 배치형 액화가스 저장탱크
CN116892681A (zh) 用于将至少一个部件保持在船舶的旨在容纳液化气体的储罐的装载和/或卸载柱上的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