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811B1 - 스쿠퍼 슬롯 및 프리 캐스팅을 포함하는 피스톤 리세스 - Google Patents

스쿠퍼 슬롯 및 프리 캐스팅을 포함하는 피스톤 리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811B1
KR100923811B1 KR1020077016531A KR20077016531A KR100923811B1 KR 100923811 B1 KR100923811 B1 KR 100923811B1 KR 1020077016531 A KR1020077016531 A KR 1020077016531A KR 20077016531 A KR20077016531 A KR 20077016531A KR 100923811 B1 KR100923811 B1 KR 100923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depression
outer diameter
recess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9616A (ko
Inventor
에머리히 오트리크츠키
프란츠 라츠키
노르베르트 리스
Original Assignee
카에스 콜벤슈미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84168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2381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카에스 콜벤슈미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카에스 콜벤슈미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99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9/00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 F16J9/08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with expansion obtained by pressure of the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 기관용 피스톤(1)에 관한 것으로써, 링 지대(4) 및 그 아래에 배치된 피스톤 샤프트(3)를 구비한 피스톤 헤드(2)를 포함하며, 피스톤 샤프트는 핀 구멍(6)의 둘레에 배치되고 피스톤(1)의 외측 직경부(13)에 대해 뒤로 후퇴한 오목면(7) 및 샤프트 면(5)을 포함하며, 피스톤(1) 동작 중에 오목면(7)의 방향에서 오일 흐름(11)을 보장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8)가 최하단 환형 홈(9)의 구역에 제공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8)가 특히 큰 응력을 받는 부분(10)의 외부에서 핀 구멍(6) 위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스쿠퍼 슬롯 및 프리 캐스팅을 포함하는 피스톤 리세스{ROTOR RECESS WITH SCUPPER SLOTS AND FREE CASTING}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기재한 특징을 포함하는 내연 기관용 피스톤에 관한 것이다.
링 벨트(ring belt) 및 그 아래에 배치된 피스톤 스커트(piston skirt)를 구비한 피스톤 헤드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용 피스톤은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스톤은 예를 들어 박스 타입 피스톤 또는 박스 디자인 타입의 피스톤으로 불린다. 피스톤 스커트의 영역에 핀 구멍이 존재하고, 피스톤의 외경부에 대해 내측으로 만입된 오목면이 핀 구멍의 주위에 형성되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또한, 최하단 링 그루브(ring groove)의 영역에서 피스톤의 링 벨트 내에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가 존재하고, 피스톤의 작동 중에 최하단 링 그루브에 모인 오일이 이 함몰부를 통해서 오목면을 통해 피스톤 스커트의 하단 모서리 쪽으로 배출되는 것도 알려져 있다. 공지된 피스톤의 경우에 이러한 함몰부는 피스톤의 작동시 특히 큰 응력을 받는, 핀 구멍 위의 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특히 큰 응력을 받는 피스톤 부분은 핀 구멍 정점 옆의 우측 및 좌측에 존재하는데, 왜냐하면 피스톤, 특히 피스톤 헤드가 그 작동 중에 핀 구멍에 배치된 핀의 주위에서 변형되기 때문이다. 특히 큰 응력을 받는 부분에 함몰부가 존재하는 경우 함몰부에 파절부가 형성되므로, 특히 현대의 높은 응력을 받는 디젤 엔진이 적용되는 경우에 피스톤 작동시 균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구성들은 JP 08 121243 A, EP-A-0 529 714, US-A-1 675 174 또는 US 2002/046593 A1에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를 특히 큰 응력을 받는 부분의 외부에서 핀 구멍의 위에 배치하여 피스톤 스커트의 스커트 면으로의 전이부에서 오목면의 거의 가장자리에 배치하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특히 큰 응력을 받는 부분은 핀 구멍의 정점으로부터 시작하여 링 벨트의 하부 모서리 쪽으로 연장된다. 이로써 한편으로는 함몰부의 기능, 즉 오일 스크레이퍼 링에 의해 최하단 링 그루브에 모인 오일을 오목면을 거쳐 아래로 배출시키는 기능이 그대로 유지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균열 형성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데, 왜냐하면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가 핀 구멍의 주위에서 오목면의 상부에 있는, 큰 응력을 받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것에 추가하여, 함몰부로부터 오목면으로의 전이부에 피스톤의 외경부에 대해 내측으로 후퇴된 융기부가 제공된다. 이를 통해 균열 형성의 위험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될 뿐 아니라, 이러한 융기부는 특히 큰 응력을 받을 수 있는 핀 구멍의 정점 측면부에 함몰부를 배치하는데 기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피스톤의 외경부에 대해 내측으로 후퇴된 면, 즉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 융기부 및 핀 구멍 주위의 오목면 전체일 수 있는 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프리 캐스팅(free casting) 및/또는 절삭 가공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내측으로 후퇴된 면을 프리 캐스팅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피스톤 또는 피스톤 블랭크의 음각 주형은 피스톤 블랭크의 주조 후에 후퇴되는 면을 형성하는 돌출된 부분을 포함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상응하는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주형을 단지 일회만 제조하면 되고, 그 후에는 매번 피스톤 블랭크를 주조할 때 내측으로 후퇴된 면을 이 주형을 통해 형성하면 된다. 이에 대해 보충 또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일정하게 유지되는 영구적 외경을 갖는 피스톤 블랭크를 주조하고, 이어서 정밀 가공시 내측으로 후퇴된 면을 절삭 가공 방법으로 제거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런 방법은 특히 피스톤의 정밀 가공시 수치제어 공작기계(CNC 머신)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내측으로 후퇴된 면을 제조할 때 피스톤 작동 중에 균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파절부를 방지하기 위해서, 피스톤 외경을 기준으로 더욱 깊게 존재하는 면의 전이부가 라운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한되는 의미를 갖지 않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하에 기술되며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의 제1 실시예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개한 부분을 2:1의 척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는 도 3의 선 A-A를 따라 절개한 부분을 1:1의 척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소위 박스 디자인 타입의 일체형 피스톤(1)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피스톤(1)은 피스톤 헤드(2)(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연소실 포함) 및 그 아래 배치된 피스톤 스커트(piston skirt)(3)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임의의 피스톤 유형에 적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관절형 피스톤에도 적용 가능).
피스톤 헤드(2)는 일반적으로 3개의 링 그루브(ring groove)를 구비한 공지된 링 벨트(ring belt)(4)를 포함하고, 피스톤 스커트(3)는 서로 정반대편에 있는 2개의 스커트 면(5)을 포함하며, 이러한 스커트 면을 통해 피스톤(1)이 내연 기관의 작동시 실린더 표면에 지지되고 그에서 안내된다. 또한 피스톤 스커트(3)는 피스톤 핀을 수용하는 하나의 핀 구멍(6)을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커넥팅 로드를 통해 피스톤(1)이 그와 결합한다. 스커트 면(5)은 피스톤(1)의 외경부에 위치하며, 피스톤(1)의 외경부에 대해 내측으로 만입된 오목면(7)이 핀 구멍(6) 주위 영역에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8)(일반적으로 4개의 함몰부)가 최하단 링 그루브(9)의 영역에 존재하며, 이러한 함몰부(8)는 스쿠퍼 슬롯(scupper slot)으로도 불린다. 핀 구멍(6) 정점의 좌측에는 피스톤(1) 작동 중에 특히 큰 응력을 받는 부분이 도면 부호 10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특히 큰 응력을 받는 부분(10)은 핀 구멍(6) 정점의 우측에도 존재한다. 함몰부(8)의 기능은, 최하단 링 그루브(9)에 배치된 오일 스크레이퍼 링에 모인 오일이 핀 구멍(6) 옆에 존재하는 오목면(7)을 거쳐 아래(도 1에 따른 도시에서)로 배출되어 화살표로 표시된 오일 흐름(11)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큰 응력을 받는 부분(10)의 옆에 함몰부(8)를 배치하는 것은 함몰부(8)의 영역에서 더 이상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영역에서는 외경부에 대해 내측으로 만입된 면으로 인해 재료의 두께가 더 적어지기 때문이며, 만약 함몰부(8)가 특히 큰 응력을 받는 부분(10)에 배치되면 균열 형성의 위험이 발생할 것이다. 도 1을 보면, 오목면(7)으로부터 스커트 면(5)으로 전이되는 전이부의 약간 상부에 함몰부(8)가 배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균열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효과적인 조치로서 함몰부(8)로부터 오목면(7)으로의 전이부에 융기부(12)가 형성되며, 구조적 형상(특히 함몰부(8)의 깊이, 융기부(12)의 크기 및 오목면(7)의 깊이)에 따라서 함몰부(8)가 가장자리 영역(핀 구멍의 정점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2가 제공되며, 여기에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이 2배의 척도로 도시된다. 본 도면에서는 함몰부(8), 최하단 링 그루브(9) 및 융기부(12)의 위치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영역들은 오목면(7)에서와 마찬가지로 도면 부호 13으로 표시된 외경부(D)에 대해 내측으로 후퇴되어 있다. 후퇴 정도는 구조적 형상 및 힘 분포에 따라 결정되며, 최하단 링 그루브(9)에 배치된 오일 스크레이퍼 링에 모인 오일이 피스톤(1)의 동작 중에 충분한 양으로 전이부, 특히 융기부(12)를 거쳐 오목면(7)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함몰부(8)의 깊이가 선택된다. 균열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융기부(12)가 더욱 크게 실시된다. 즉 함몰부(8) 또는 오목면(7)에 비해 융기부가 외경부(D)에 대해 더욱 적게 내측으로 후퇴된다. 도 2에 따른 구성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일반적으로 오목면(7)으로부터 스커트 면(5)으로의 전이부에서와 마찬가지로, 최하단 링 그루브(9) 또는 함몰부(8)로부터 융기부(12)를 거쳐 오목면(7)으로 전이되는 전이부가 라운딩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융기부(12)는 이러한 전이부에서의 균열 형성을 방지하고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재료 보강부를 형성하며, 동시에 외경부(D)에 대해 내측으로 후퇴되기 때문에 오일 흐름(11)도 보장한다. 일반적으로 함몰부(8)는 라운딩된 형태를 가지며, 예를 들어 구멍을 통해 구현되지만, 프리 캐스팅(free casting)을 통해서도 제조 가능하다. 오목면(7) 쪽으로의 충분한 오일 흐름(11)을 보장하기 위해서, 함몰부(8)로부터 오목면(7)으로의 전이부의 폭 및 융기부(12)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함몰부(8)의 반경방향 크기보다 크다. 하지만, 이러한 전이부가 함몰부(8)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폭을 갖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여기에서는 함몰부(8)가 라운딩된 형태로 실시되지 않고(예를 들어 구멍으로 구현됨), 라운딩된 모서리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여기에서도 함몰부(8)는 특히 큰 응력을 받는 부분(10)의 외부에 존재하며, 함몰부(8)로부터 오목면(7)으로의 전이부에 융기부(12)가 존재한다. 함몰부(8), 융기부(12) 및 오목면(7)의 이러한 형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프리 캐스팅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캐스팅에 의한 이러한 면의 제조 후에 이어지는 절삭 가공, 특히 정밀 가공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대한 보충적 도면으로서의 도 4에는 도 3의 선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이 1:1의 척도로 도시된다. 이 도면에서는 함몰부(8)가 최하단 링 그루브(9)의 영역에 존재할 뿐 아니라 그 위로 연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의 가능한 모든 피스톤(1) 유형에 적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재료로 이루어진 피스톤 및 특히 화물 차량의 구동에 사용되는 대형 내연 기관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내연 기관용 피스톤에 이용될 수 있다.
- 도면 부호의 설명 -
1. 피스톤
2. 피스톤 헤드
3. 피스톤 스커트
4. 링 벨트
5. 스커트 면
6. 핀 구멍
7. 오목면
8. 함몰부
9. 최하단 링 그루브
10. 특히 큰 응력을 받는 부분
11. 오일 흐름
12. 융기부
13. 외경부 D

Claims (4)

  1. 내연 기관용 피스톤(1)으로서,
    링 벨트(4) 및 그 아래에 배치된 피스톤 스커트(3)를 구비한 피스톤 헤드(2)를 포함하며, 피스톤 스커트는, 핀 구멍(6) 주위에 배치되고 피스톤(1)의 외경부(13)에 대해 내측으로 만입된 오목면(7)과, 스커트 면(5)들을 포함하며, 피스톤(1) 동작 중에 오목면(7) 쪽으로의 오일 흐름(11)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8)가 최하단 링 그루브(9)의 영역에 제공되는 피스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8)가 특히 큰 응력을 받는 부분(10)의 외부에서 핀 구멍(6) 위에 배치되며, 상기 특히 큰 응력을 받는 부분은 핀 구멍(6)의 정점으로부터 시작하여 링 벨트(4)의 하부 모서리 쪽으로 연장되며, 함몰부(8)로부터 오목면(7)으로의 전이부에는 피스톤(1)의 외경부(13)에 대해 내측으로 후퇴된 융기부(1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2. 제1항에 있어서,
    피스톤(1)의 외경부(13)에 대해 내측으로 후퇴된 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리 캐스팅으로 제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스톤(1)의 외경부(13)에 대해 내측으로 후퇴된 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삭 가공을 통해 제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4. 삭제
KR1020077016531A 2004-12-22 2005-11-29 스쿠퍼 슬롯 및 프리 캐스팅을 포함하는 피스톤 리세스 KR100923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61777.5 2004-12-22
DE102004061777A DE102004061777A1 (de) 2004-12-22 2004-12-22 Kolbenfenster mit Scupperslots und Freigu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616A KR20070099616A (ko) 2007-10-09
KR100923811B1 true KR100923811B1 (ko) 2009-10-27

Family

ID=35841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531A KR100923811B1 (ko) 2004-12-22 2005-11-29 스쿠퍼 슬롯 및 프리 캐스팅을 포함하는 피스톤 리세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30828B2 (ko)
EP (1) EP1828586B1 (ko)
JP (1) JP2008524502A (ko)
KR (1) KR100923811B1 (ko)
CN (1) CN101111670B (ko)
AT (1) ATE495357T1 (ko)
BR (1) BRPI0519257A2 (ko)
DE (2) DE102004061777A1 (ko)
WO (1) WO20060722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45465A1 (de) * 2007-09-24 2009-04-02 Federal-Mogul Nürnberg GmbH Kolben mit Ölversorgungsrinne für Nabenbohrungen
DE102007051711A1 (de) * 2007-10-30 2009-05-07 Ks Kolbenschmidt Gmbh Funktionsoptimierte Gestaltung von Kolben-Ringfeldbereichen
DE102011012685A1 (de) * 2011-03-01 2012-09-06 Mahle International Gmbh Kolbe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DE102011119525A1 (de) * 2011-11-26 2013-05-29 Mahle International Gmbh Kolbe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DE102015006354A1 (de) * 2015-05-19 2016-11-24 Mahle International Gmbh Kolbe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DE102018211361B4 (de) * 2018-07-10 2020-03-05 Federal-Mogul Nürnberg GmbH Kolbe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GB2590701B (en) * 2019-12-27 2022-06-22 Caterpillar Motoren Gmbh & Co Pist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1243A (ja) * 1994-10-26 1996-05-14 Nippon Soken Inc 内燃機関用のピストン
JPH09112342A (ja) * 1995-10-19 1997-04-28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ピスト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75174A (en) 1925-08-28 1928-06-26 Stephen D Hartog Piston
US3805677A (en) * 1972-03-01 1974-04-23 Trw Inc Two-piece oil-cooled piston with thermal expansion control
US4428330A (en) * 1982-09-08 1984-01-31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Pist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172626A (en) 1991-08-22 1992-12-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Stabilized piston skirt having varying peaks and concave surfaces
WO2002033291A1 (en) * 2000-10-18 2002-04-25 Federal-Mogul Corporation Multi-axially forged piston
US6973723B2 (en) * 2003-01-08 2005-12-13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Piston formed by powder metallurgical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1243A (ja) * 1994-10-26 1996-05-14 Nippon Soken Inc 内燃機関用のピストン
JPH09112342A (ja) * 1995-10-19 1997-04-28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ピスト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02330A1 (en) 2008-08-28
DE502005010863D1 (de) 2011-02-24
EP1828586B1 (de) 2011-01-12
CN101111670B (zh) 2011-03-16
EP1828586A1 (de) 2007-09-05
WO2006072293A1 (de) 2006-07-13
CN101111670A (zh) 2008-01-23
ATE495357T1 (de) 2011-01-15
US7730828B2 (en) 2010-06-08
KR20070099616A (ko) 2007-10-09
JP2008524502A (ja) 2008-07-10
DE102004061777A1 (de) 2006-08-17
BRPI0519257A2 (pt) 2009-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811B1 (ko) 스쿠퍼 슬롯 및 프리 캐스팅을 포함하는 피스톤 리세스
JP6653733B2 (ja) カウンターボアのデザインを有するスチール製ピストン
US7406941B2 (en) One piece cast steel monobloc piston
AU2006286828B2 (en) Piston comprising a circumferential radial recess located below an annular groove
US7971566B2 (en) Pist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US8683913B2 (en) Pist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318681B1 (en) Piston skirt with friction reducing oil recess and oil reservoir
US8601994B2 (en) Pist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388763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light metal alloy engine block and cast iron cylinder liners
KR100762527B1 (ko) 직접 분사식 디젤 엔진용 냉각 채널 피스톤
US20110100317A1 (en) Weight balanc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piston
US6470792B1 (en) Combined compression and oil scraper piston ring
JP4700615B2 (ja) 内燃機関用の一体的なピストンを製作するための方法
US7331276B2 (en) Piston for a two-cycle engine
KR101059055B1 (ko) 내연 기관용 피스톤
EP0785352A1 (en) A cylinder head for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258811A (zh) 多气缸内燃机的气缸
JP2564623B2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
US11566581B2 (en) Steel piston with optimized design
CN114135414A (zh) 具有在气缸内壁上的用于刮除油炭的元件的内燃机
KR101313400B1 (ko) 피스톤용 주조품 및 그것을 기계 가공한 피스톤
KR20170110290A (ko) 내연기관용 피스톤헤드
GB2246833A (en) Pistons for engines or motors
JPH09236045A (ja) 内燃機関用ピストンのピストン本体構造
JPS63140849A (ja) レ−ザ−焼入れシリンダライ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