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489B1 - 오디오/비디오의 다원화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디오/비디오의 다원화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489B1
KR100923489B1 KR1020090017187A KR20090017187A KR100923489B1 KR 100923489 B1 KR100923489 B1 KR 100923489B1 KR 1020090017187 A KR1020090017187 A KR 1020090017187A KR 20090017187 A KR20090017187 A KR 20090017187A KR 100923489 B1 KR100923489 B1 KR 100923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ing
output
fire
broadcast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to KR102009001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수신반과 연동하고, 방송구역들 각각에 다원화 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은, 오디오발생장치들; 화재발생구역정보에 대응하여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화재수신반으로부터 화재발생구역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매크로를 포함하는 화재감지수신장치; 방송제어장치; 스피커장치; 오류가 발생한 앰프소자를 대체하기 위한 스페어앰프소자를 구비하며,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러한 오류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오류가 감지된 앰프소자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스페어앰프소자로 입력시키는 오디오앰프장치; 및 방송할 오디오신호 및 방송할 방송구역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선택된 방송구역에 대응하는 오디오앰프장치로 출력시키고 화재감지수신장치로부터 화재방송구역정보가 입력된 경우, 화재비상방송신호를 화재방송구역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앰프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전관방송시스템의 배선작업과 같은 구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추가 설치비용을 최소화하면서 비상방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관방송시스템, 다원화방송, 화재감지수신장치, 비디오매트릭스장치

Description

오디오/비디오의 다원화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Public address broadcasting system enabling A/V multi-channel broadcasting}
본 발명은 건물 및 학교 등 비상방송이 필요한 한정된 범위에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다원화방송을 구현하는 전관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관방송시스템은 일 대 다수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학교, 건물 등 비상방송이 필요한 한정된 범위인 출력지역에 구축되며, 출력지역에 복수개로 구분된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장치, 비디오장치에 방송을 수행하는 방송시스템으로서, 오디오 및 비디오 음원을 제공하는 오디오발생장치와, 화재수신반으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정보를 입력받아 출력선택장치로 연결하는 화재감지수신장치와, 전체적인 방송시스템을 제어하는 방송제어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구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오디오앰프장치로 출력하는 출력선택장치, 출력선택장치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스피커장치로 송출하는 오디오앰프장치, 비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증폭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비디오 방송을 송출하는 비디오매트릭스장치를 구비한다.
종래의 전관방송시스템은, 위에서 설명한 구성들이 서로 연동되어 동작함으로써 출력지역에 원활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관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 구성요소들은 최근 방송 및 IT기술의 급격한 발달에 비견할 때 개선할 문제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 화재감지수신장치의 경우, 화재수신반과 화재감지수신장치 사이의 배선의 복잡성 문제와 오디오앰프장치의 경우 앰프기능의 신뢰성 보장을 위해 별도의 부가 장치를 증설해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전관방송시스템은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구역 각각에서 수신되는 방송에 대한 어떠한 조정도 불가능한 문제와 출력지역이 확장되어 비디오매트릭스장치의 증설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비디오분배장치를 추가해야 하는 문제 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문제는 전관방송시스템의 구축 및 유지 작업을 어렵게 하고, 방송시스템의 구축에 따른 비용을 증가시킨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재수신반과의 배선작업을 간이하게 할 수 있는 화재감지수신장치를 고안하여 배선작업의 어려움을 덜어 줄 수 있는, 오디오 및 비디오 다원화 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적인 장치없이 자동 오류감지 및 정정 기능을 가진 오디오앰프장치를 고안하여 방송시스템의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오디오 및 비디오 다원화 방송이 가능한전관방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방송실의 출력선택장치와 연동하며 방송구역 각각에 설치가 가능한 제어장치를 고안하여 방송실에서 독점하던 기능의 일부를 출력지역 각각에서 제어할 수 있는, 오디오 및 비디오 다원화 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전관방송시스템이 구축된 출력지역이 증가하면 비디오신호의 분배를 위해 추가적으로 설치되던 비디오분배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방송시스템을 구축하는 비디오매트릭스장치를 고안함으로써 출력지역의 확장에 따른 배선, 점검 및 변경 작업의 번거러움 및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오디오 및 비디오 다원화 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특징은, 화재수신반과 연동하며, 한정된 범위인 출력지역을 복수개로 구분한 방송구역들 각각에 다원화 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은, 복수개의 오디오발생장치; 화재수신반으로부터 입력된 화재발생구역정보에 대응하여 화재비상방송을 송출할 방송구역의 위치정보인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화재수신반으로부터 상기 화재발생구역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입력된 화재발생구역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매크로를 포함하는 화재감지수신장치; 상기 오디오발생장치들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사전에 준비된 화재비상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방송제어장치; 상기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스피커장치; 외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들 각각을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는 복수개의 앰프소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앰프소자들 중 어느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오류가 발생한 앰프소자를 대체하기 위한 스페어앰프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앰프소자들 중 어느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오류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오류가 감지된 앰프소자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페어앰프소자로 입력시키는 오디오앰프장치; 및 상기 방송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와 화재비상방송신호 중 외부로 방송할 오디오신호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방송할 방송구역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선택된 방송구역에 대응하는 상기 오디오앰프장치로 출력시키는 출력선택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선택장치는, 상기 화재감지수신장치로부터 화재방송구역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화재비상방송신호를 상기 화재방송구역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앰프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앰프장치는 상기 선택출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들을 상기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앰프소자들 중 어느 하나에서 오류가 감지된 경우, 상기 스위칭부을 제어하여 상기 스페어앰프소자에 의해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대응하는 상기 스피커장치로 출력시킨다.
또한, 상기 방송제어장치는 상기 출력선택장치로 출력하는 화재비상방송신호의 종류 및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화재방송선택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화재감지수신장치로부터 화재발생신호가 전달된 경우, 상기 화재방송선택스위치를 통해 선택된 화재비상방송신호를 상기 출력선택장치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선택장치는, 상기 화재감지수신장치로부터 화재방송구역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화재방송구역정보에 대응하는 방송구역들을 제외한 방송구역들에 는, 상기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방송한다.
또한,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은, 상기 출력선택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지역방송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역방송장치는, 상기 출력선택장치로부터 상기 출력선택장치의 기능 중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채널 또는 음량 레벨을 선택하는 기능을 제어하도록 허용하는 허용제어신호가 수신되어 제어권을 인가받은 경우, 상기 제어권을 인가받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채널 또는 음량 레벨 기능을 제어하는 지역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선택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출력선택장치는, 상기 지역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지역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한다. 여기서, 상기 지역방송장치는 외부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권을 인가받은 상태에서 상기 신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출력선택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출력선택장치는, 상기 지역방송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신호를 송신한 지역방송장치가 설치된 방송구역에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은, 복수개의 비디오발생장치; 상기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비디오발생장치들로부터 입력된 비디오신호들 중 외부로 방송할 비디오신호들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비디오신호들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비디오매트릭스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 기 출력선택장치는 상기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방송할 방송구역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방송구역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선택장치; 상기 비디오매트릭스장치는 상기 선택된 비디오신호들을 상기 출력선택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선택된 방송구역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특징은, 복수개의 출력지역에 다원화 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은, 복수개의 오디오발생장치; 복수개의 비디오발생장치; 상기 오디오발생장치들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방송제어장치; 상기 출력지역들 각각을 복수개로 구분한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스피커장치; 상기 출력지역들 각각에 복수개로 구분한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 외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들을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장치로 출력하는 다수개의 앰프소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지역들에 대응하여 복수로 마련된 오디오앰프장치들; 상기 방송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들 중 방송할 오디오신호가 선택되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지역 중 제1 출력지역에서 상기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방송할 방송구역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선택된 방송구역에 대응하는 상기 오디오앰프장치로 출력시키고, 상기 선택된 오디오신호들을 외부로 링크시키고 상기 선택된 방송구역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제1출력선택장치; 및 상기 비디오발생장치들로부터 입력된 비디오신호들 중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비디오신호들이 선택되고 상기 제1출력선택장치로부터 방송구역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선택된 비디오신호들을 상기 제1 출력지역 의 방송구역들에 설치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증폭하여 출력하고, 상기 선택된 비디오신호들을 외부로 링크시키는 제1비디오매트릭스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은, 상기 제1출력선택장치로부터 링크된 오디오신호들은 서로 직렬로 각각 링크되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지역들 중 상기 제1 출력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출력지역들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나머지 출력지역들 별로 상기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방송할 방송구역이 선택된 경우, 상기 나머지 출력지역들 별로 선택된 방송구역들에 대응하는 오디오앰프장치로 상기 링크된 오디오신호들을 출력하고, 상기 나머지 출력지역들 별로 선택된 방송구역들에 대한 정보를 각각 송신하는 제2출력선택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출력선택장치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제1비디오매트릭스장치로부터 링크된 비디오신호들은 서로 직렬로 각각 링크되고, 상기 링크된 비디오신호들을 상기 제2출력선택장치들로부터 각각 수신된 방송구역들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들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비디오매트릭스장치들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앰프장치는, 상기 앰프소자들 중 어느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오류가 발생한 앰프소자를 대체하기 위한 스페어앰프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앰프소자들 중 어느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오류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오류가 감지된 앰프소자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페어앰프소자로 입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은, 화재수신반과 연동하고, 화재가 발생한 구 역에 대한 위치정보인 화재발생구역정보에 대응하여 화재비상방송을 송출할 방송구역들에 대한 위치정보인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화재수신반으로부터 상기 화재발생구역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화재발생구역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매크로를 포함하는 화재감지수신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은, 상기 출력선택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지역방송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역방송장치는, 상기 출력선택장치로부터 상기 출력선택장치의 기능 중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채널 또는 음량 레벨을 선택하는 기능을 제어하도록 허용하는 허용제어신호가 수신되어 제어권을 인가받은 경우, 상기 제어권을 인가받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채널 또는 음량 레벨 기능을 제어하는 지역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선택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출력선택장치는, 상기 지역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지역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은 화재감지수신장치를 이용하여 화재수신반으로부터 송신되는 화재발생구역정보를 기초로 화재방송신호를 송출할 화재방송구역정보를 매크로를 이용하여 출력선택장치로 출력함으로써 화재수신반과 전관방송시스템 사이의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매크로의 변경이 가능하여 전관방송시스템이 구축되는 출력지역의 구조등의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은 종래 오디오앰프장치의 안정적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별도로 설치되었던 장치들을 하나로 통합시키고, 스페어앰프소자 등을 통합하는 것과 같은 새로운 하드웨어 구조를 적용하고, 오류의 자동 진단, 자동 정정이 가능한 새로운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적용한 오디오앰프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비상방송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은, 출력지역에 설치된 지역방송장치를 통하여 복수개의 오디오신호들을 각각 제어하거나, 오디오신호의 채널을 각 방송구역에서 선택하여 방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방송의 수신자도, 지역방송장치를 통해 자신의 방송구역에서 수신되는 오디오방송의 채널 및 음량의 레벨을 선택하거나, 자신의 방송구역에 존재하는 오디오기기의 오디오신호를 방송실의 출력선택장치로 송신하여, 자신의 방송구역으로 송출되도록 하여 출력지역에 위치하는 방송 수신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은 방송할 출력지역들이 증가하는 경우, 제1출력선택장치 및 제1비디오매트릭스장치에 제2출력선택장치 및 제2비디오매트릭스장치를 각각 직렬로 링크하여 추가하는 것에 의하여 오디오신호 및/또는 비디오신호를 송출할 출력지역들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고, 특히, 비디오 방송의 경우, 별도의 비디오분배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출력지역들을 확장함으로써 방송시스템의 구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구축 비용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이하, 도1 내지 도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2및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앰프장치의 블록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역방송장치의 블록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매트릭스장치의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관방송시스템(1)은 오디오발생장치(12), 비디오발생장치(14), 화재감지수신장치(16), 방송제어장치(18), 스피커장치(20), 디스플레이장치(22), 오디오앰프장치(24), 지역방송장치(26), 출력선택장치(28),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를 구비한다. 이 전관방송시스템(1)은 한정된 범위인 출력지역에 복수개로 구분된 구역들 각각에 대한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화재수신반(F)과 화재수신반(F)으로부터 입력된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화재비상방송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출력지역에 복수개로 구분된 방송구역들 각각에 다원화 방송이 가능하다. 각 방송구역(A1,A2,A3)에는 스피커장치(20)와. 디스플레이장치(22), 지역방송장치(26)가 설치된다.
여기서, 오디오발생장치(12)는 방송제어장치(18)에 다양한 음원을 제공하며, 다수개의 음원을 방송제어장치(18)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발생장치(12)는 튜너, CDP, 비디오플레이어 등 오디오재생장치로 마련된다. 그리고, 비디오발생 장치(14)는 사전에 기록된 비디오방송을 일정규격의 비디오신호로 출력하는 영상재생장치이거나, 영상을 촬영하여 비디오신호로 출력할수 있는 촬영장치로 마련된다.
최근에는,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AV기기가 많이 보급되어 있어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를 동시에 방송구역(A1,A2,A3)에 송출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과 같이 별도의 라인을 통해 오디오신호와 비디오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립싱크가 문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은 한정된 범위내에 구축되는 근거리용 방송시스템이며 주로 유선을 통해 신호가 전달되기 때문에, 별도의 라인을 통해 오디오신호와 비디오신호가 전송되더라도 전송 불일치에 의한 립싱크의 문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화재감지수신장치(16)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화재감지수신장치(16)는 방송실에 설치된 출력선택장치와 연동하며, 화재수신반(F)으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대한 위치정보인 '화재발생구역정보'를 입력받고, 이 입력받은 화재발생구역정보에 대응하여 화재비상방송이 송출되어야 하는 방송구역(A1,A2,A3)에 대한 위치정보인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즉각적으로 출력선택장치(28)에 전달한다. 이러한 화재방송구역정보는 건물의 구조 및 소방법에 의한 직상발화방식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화재감지수신장치(16)를 구비한 전관방송시스템(1)은 빌딩 및 학교 등의 한정된 범위인 출력지역('A')내에 구축되고, 화재수신반(F)과 연동하여 출력지역('A')내에서 복수개로 구분된 방송구역(A1,A2,A3)들 각각에 화재비상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화 재수신반(F)으로부터 전관방송시스템(1)으로 전달되는 화재 발생구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화재발생구역정보"라 정의하고, 는 화재비상방송이 송출되어야 하는 방송구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화재방송구역정보" 라고 정의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감지수신장치(16)는 입력부(161), 저장부(163), 출력부(164), 사용자입력부(165), 표시부(167), 제어부(169)를 구비한다. 여기서는, 3개의 방송구역(A1,A2,A3)을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1)는 최소한 21개의 방송구역들에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입력부(16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수신반(F)의 접점들과 각각 연결되는 입력채널(1612)을 구비한다. 화재수신반(F)의 1층접점은 입력부(161)의 1번 입력채널(1612)과 일대일로 연결된다. 2층, 3층, 4층, 5층, 6층, 7층, 8층 각각의 접점은 2번, 3번, 4번, 5번, 6번, 7번, 8번 입력채널(1612)에 각각 연결된다. 도3에서는 편의상, 3층접점과 3번 입력채널(1612)까지만의 배선을 표시하였다. 이러한 일대일 배선은 종래 물리적 배선에 의해 직상발화방식을 구현했던 것에 비해 간단하여 배선작업이 용이하며, 배선작업 후에도 관리 및 유지작업이 용이하다.
도2에 도시된 화재감지수신장치(16) 중 저장부(163)는, 각 입력채널(1612)을 통해 감지되는 각 화재 발생구역에 대응하여, 화재비상방송이 송출되어야 하는 화재방송구역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관방송시스템(1)이 구축되는 출력지역('A')이 복층빌딩인 경우, 저장부(163)에 저장된 화재방송구역정보는 건물의 구조 및 소방법상 직상발화방식에 의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화재방송구역정보들은 화재발생구역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입력부(165)를 통해 임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방송구역(A1,A2,A3)들의 구조 및 공간 등의 특성에 맞게 사용자입력부(165)를 통해 각 화재발생구역정보에 대응하는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조정함으로써 화재감지수신장치(16)에 의해 수행되는 매크로의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입력채널(1612)을 통해 전달된 화재발생구역정보가 1층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입력부(165)을 통해 1층에 대응하는 화재비상방송의 화재방송구역정보를 1, 2, 3, 4 및 5층으로 설정할 수 있고, 화재발생구역정보가 2층에 해당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비상방송의 화재방송구역정보를 2, 3, 4, 5 및 6층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감지수신장치(16)는 화재가 감지된 것을 알리는 화재발생신호를 방송제어장치(18)로 전달한다. 그리고, 입력부(161)를 통해 입력된 각각의 위치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화재방송구역정보들은, 룩업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부(163)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63)는, 프로그램이 가능한 EEPROM 또는 플레쉬메모리로 마련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화재감지수신장치(16) 중 출력부(164)는 화재비상방송을 송출할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전관방송시스템으로 출력한다. 전관방송시스템은 이 화재방송구역정보에 대응하여 화재비상방송을 송출한다. 도2에 도시된 사용자입력부(165)는, 각 입력채널(1612)들을 통해 감지되는 화재 발생구역에 대응하여 화재방송구역정보들을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버튼 또는 키패드와 같은 입력수단을 구비한다. 사용자입력부(165)는 사용자에 의해 버튼 또는 키패드가 작동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169)로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65)를 이용하여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직상발화방식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입력 부(161)를 통해 입력된 위치정보가 1층인 경우, 사용자입력부(165)를 통해 1층에 대응하는 화재방송구역정보를 1, 2, 3, 4 및 5층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입력부(161)의 입력채널(1612)들을 통해 전달된 각각의 화재발생구역보들에 대응하는 화재방송구역정보들이 저장부(163)에 저장된다. 이것은 전광방송시스템 및 화재수신반이 변경되어, 각 화재 발생구역에 대응하는 화재비상방송이 송출될 방송구역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입력부(165)를 통해 방송구역에 대한 위치정보들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변경이 필요한 경우 종래와 같이 물리적 배선을 일일이 다시 수행해야 하는 어려움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입력부(165)는 입력부(161)의 입력채널(1612)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도시되지 않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화재감지수신장치(16) 중 표시부(167)는 각 입력채널(1612)들에 대응하는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감지수신장치(16)의 전면 판넬에 각 입력채널(1612)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LED로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2에 도시된 화재감지수신장치(16)의 동작을 제어부(169)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69)는, 입력부(161)로부터 화재발생구역정보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화재 발생구역에 대응하는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저장부(163)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출력부(164)를 통해 전광방송시스템(1)으로 출력한다. 제어부(169)는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입력부(161)로부터 화재발생구역정보가 입력 된 경우 자동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제어부(169)가 사전에 프로그램된 매크로를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어부(169)는 사용자입력부(165)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각 화재 발생구역에 대응하는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저장부(163)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69)는 화재가 발생한 것을 방송제어장치(18)에 알리기 위해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이와 같이, 도2에 도시된 화재감지수신장치(16)는, 화재발생구역정보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69)가 사전에 프로그램된 매크로를 수행하여, 화재비상방송의 화재방송구역정보들을 자동으로 전관방송시스템으로 출력함으써, 종래의 물리적 배선을 사용하지 않고 직상발화방식의 화재비상방송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입력부(165)를 통해 화재발생구역에 대응하는 비상방송의 방송구역을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여, 화재수신반(F) 또는 전관방송시스템(1)의 변경에 대해서도 용이한 대처가 가능하다.
이하, 도1에 도시된 방송제어장치(18)에 대해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방송제어장치(18)는 오디오발생장치(12)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사전에 준비된 화재비상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화재비상신호는 사이렌신호 2종류, 다국어음성신호, 사용자가 녹음한 사용자녹음신호와 같이 여러 종류의 신호로 준비될 수 있다. 방송제어장치(18)는 이러한 화재비상신호의 종류 및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화재방송선택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화재감지수신장치(16)로부터 화재발생신호가 전달된 경우, 화재방송선택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조절된 화재비상신호를 출력선택장치(28)로 출력한다. 출력선택장치(28)는 위 에서 조절된 화재비상신호를 이용하여 화재비상방송을 각 방송구역(A1,A2,A3)들에 수행한다.
그리고, 도1에 도시된 스피커장치(20)는, 각 방송구역(A1,A2,A3)들 각각에 설치되어 있으며 오디오앰프장치(24)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방출한다. 도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22)는 일반적으로, 입력된 비디오신호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TV나, 모니터 등으로 마련된다. 디스플레이장치(22)는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단자 및 영상처리부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는,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가, NTSC 컴포지트 비디오신호인 경우, 디스플레이장치(22)는 컴포지트 입력단자를 구비하여야 하고, 컴포지트 비디오신호를 디코딩하여 CRT나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수 있는 영상처리부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오디오앰프장치(24)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앰프장치(24)는, 입력부(241), A/D 컨버터(242), 오디오프로세서(243), 앰프부(244), 스위칭부(245), 출력부(246), 제1표시부(247), 제2표시부(248), 제어부(249)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앰프장치(24)의 경우 입력부(241)로 입력되는 신호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이다. 도4에 도시된 입력부(241)는 다수개의 입력채널(2412)을 통해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채널(2412)은 스페어로 마련된 스페어앰프소자(2444)를 제외한 앰프소자(2442)들의 갯수에 맞추어 마련된다. 여기서, 입력부(241)는, 7개의 입력채널(2412)을 통해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A/D 컨버터(242) 로 출력한다. A/D 컨버터(242)는 입력부(241)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사전에 정해진 디지털 포맷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한다. 그러나,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신호가 디지털 오디오신호인 경우 이러한 A/D 컨버터(242)는 본 발명의 오디오앰프장치(24)에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4에 도시된 오디오앰프장치(24) 중 오디오프로세서(243)는 전술한 입력채널(2412)을 통해 입력된 각각의 오디오신호를 사전에 정의된 내부 프로세싱 절차에 의해 처리하여 앰프소자(2442)들 각각으로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오디오프로세서(243)는 입력채널(2412)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각각 PWM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모듈(2432)과, 변환모듈(2432)에 의해 변환된 PWM 신호들 각각을 제어부(249)의 제어에 의해 앰프소자(2442)들 각각에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매핑모듈(2434)을 구비한다. 변환모듈(2432)은 DC-DC 컨버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입력된 PCM 포맷의 오디오신호를 PWM 신호로 변환시킨다. 매핑모듈(2434)은 제어부(249)의 제어에 의해 오류가 감지된 앰프소자(2442)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스페어앰프소자(2444)로 입력시키거나, 오류가 감지되었던 앰프소자(2442)가 정상적으로 회복되면 스페어앰프소자(2444)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해당 앰프소자(2442)로 입력시킨다. 일반적으로 오디오프로세서(243)는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저주파수필터, 고주파수필터, 볼률조절, 믹싱 등 여러가지 오디오신호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주로 하나의 칩으로 집적화된 형태로 시판되고 있다. 앰프부(244)는 전술한 오디오프로세서(243)에 의해 출력된 각각의 오디오신호들을 증폭하여 후술하는 출력부(246)를 통해 출력한다.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앰프 부(244)는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는 앰프소자(2442)들과, 앰프소자(2442)들 중 어느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가 발생한 앰프소자(2442)를 대체하여 동작하기 위한 스페어앰프소자(2444)와 앰프소자(2442)들 각각의 오류를 감지하는 오류감지소자(2446)를 구비한다. 앰프소자(2442)들 각각은 오디오프로세서(243)로부터 입력되는 7개의 오디오신호들을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앰프소자(2442)는 일반적으로 PWM 포맷으로 변화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는 PWM 디지털 앰프소자로 마련된다. 그리고, 오류감지소자(2446)는 각 앰프소자(2442)에서 과전류, 과전압, 저전압, 과온도등이 검출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오류 신호를 제어부(249)로 출력한다. 스페어앰프소자(2444)는, 앰프소자(2442)들 중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249)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프로세서(243)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한다. 스페어앰프소자(2444)도 앰프소자(2442)와 동일한 종류로서 PWM 디지털 앰프소자로 마련된다. 스위칭부(245)는 제어부(249)의 제어에 의해 앰프부(244)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채널(2462)들에 각각 출력시킨다. 스위칭부(245)는 앰프소자(2442)들 및 스페어앰프소자(2444)의 출력단과 출력채널(2462)사이에 배선된다. 출력부(246)는 다수개의 출력채널(2462)들을 구비한다. 출력채널(2462)들은 앰프부(244)로부터 입력된 각각의 오디오신호를 스피커장치(20)로 출력한다. 제1표시부(247)는, 제어부(249)의 제어에 의해 오류가 감지된 앰프소자(2442)에 대응하는 정보를 외부로 표시한다. 여기서 제1표시부(247)는 각 앰프소자(2442)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LED 소자로 오디오앰프장치(24)의 전면판넬에 설치될 수 있다. 제2표시부(248)는, 제어부(249)의 제어에 의해 스페어앰프소 자(2444)의 동작여부를 표시한다. 여기서도, 제2표시부(248)는 LED 소자로 마련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오디오앰프장치(24) 중 제어부(249)는 오디오앰프장치(24)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49)는 앰프부(244)를 통해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출력부(246)를 통해 스피커장치(20)로 출력시킨다. 그리고 제어부(249)는 앰프부(244)의 앰프소자(2442)들 중 어느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스페어앰프소자(2444)를 이용하여 오류가 발생한 앰프소자(2442)를 대신하여 오디오신호를 증폭시키고 출력부(246)를 통해 출력시킨다.
이하, 도4에 도시된 오디오앰프장치(24)의 동작에 대해 제어부(249)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249)는 앰프부(244)의 앰프소자(2442)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모니터링은, 앰프부(244)에 내장된 오류감지소자(2446)로부터 오류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 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류감지소자(2446)는 각 앰프소자(2442)들로부터 과전류, 과전압, 저전압, 과열이 검출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오류 신호를 제어부(249)로 출력한다. 다음, 제어부(249)는, 위의 과정을 통해 앰프소자(2442)들 중 어느 하나에 오류가 발생하는 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앰프소자(2442)들 중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249)는 오류발생에 대응하여 오디오프로세서(243)의 매핑모듈(2434), 스위칭부(245), 제1표시부(247), 제2표시부(248)를 이하에서와 같이 제어한다. 즉, 제어부(249)는, 오디오프로세서(243)의 매핑모듈(2434)을 제어하여 오류가 발생한 앰프소자(2442)로 입력 되는 오디오신호를 스페어앰프소자(2444)로 입력한다. 이와 동시에 제1표시부(247)를 통해 오류가 발생한 앰프소자(2442)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제2표시부(248)를 통해 스페어앰프소자(2444)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그리고, 스위칭부(245)를 제어하여 오류가 발생한 앰프소자(2442)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대신에 스페어앰프소자(2444)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부(246)를 통해 해당 스피커장치(20)로 전달한다. 예를 들면, 도4에 도시된, 'a'가 지시하는 앰프소자(2442)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249)는 이 앰프소자(2442)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스페어앰프소자(2444)로 입력한다. 그리고, 스위칭부(245)를 제어하여 'b'가 지시하는 스위치를 절환한다. 이상 설명한 오디오앰프장치(24)는 3개가 모듈화 되어 하나의 랙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디오앰프장치(24)의 랙은 21개 출력채널을 통해 21개의 방송구역들에 설치된 스피커장치(20)로 오디오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4에 도시된 오디오앰프장치(24)는 별도로 설치 되던 오류감지장치, 스페어앰프장치,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외부 제어장치를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앰프장치(24) 하나에 집적화시킴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앰프소자(2442)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에 대응하는 처리를 보다 빠르고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5를 참조하여, 지역방송장치(26)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방송장치(26)는 송수신부(262), 사용자선택부(264), 신호입력부(266), 표시부(268), 제어부(269)를 구비한다. 이러한 지역방송장치(26)는 방송이 수신되는 방송구역(A1,A2,A3)에 설치되어 방송실에 설치된 출 력선택장치(28)와 연결되어 동작한다. 즉, 지역방송장치(26)는 출력선택장치(28)의 기능 중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채널 선택 및/또는 음량 레벨을 선택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지역방송장치(26) 중 송수신부(262)는 출력선택장치(28)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케이블은 방송실에 위치한 출력선택장치(28)와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지역방송장치(26)를 연결시킨다. 케이블은, 건물에 배선이 용이한 UTP 케이블을 사용하며, 여기서는, 전송특성 및 전송거리를 고려하여 CAT-5 형 케이블을 사용한다. 송수신부(262)는, 제어신호송수신단(2622), 전원수신단(2624), 오디오송신단(2626)을 구비한다. 제어신호송수신단(2622)은 출력선택장치(28)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269)로 전달하고 제어부(269)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선택장치(28)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송수신부(262)는 RS422 규격의 통신을 사용한다. CAT-5의 케이블의 경우, 4개의 선(TX(+),TX(-),RX(+),RX(-)을 사용하며, 2개의 선(TX(+),TX(-))은 송신, 2개의 선(RX(+),RX(-))은 수신을 위해 사용한다. 전관방송시스템이 구축된 출력지역의 구조 및 환경에 따라 다른 통신방식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지역방송장치(26) 중 전원수신단(2624)은 케이블의 8개의 선 중 2개의 선(+24V,GND)을 통해 출력선택장치(28)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여기서, 전원수신단(2624)을 통해 공급된 전원은 전원부(도시되지 않음)에 공급되며, 전원부(도시되지 않음)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역방송장치(26)의 각 구성요소들에 해당 전원을 제공한다. 물론, 출력선택장치(28)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원부(도시되지 않음)에 전원회로를 추가하는 것에 의해 지역방송장치(26)가 설치된 장소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오디오송신단(2626)은 케이블의 8개의 선 중 2개의 선(AUDIO(+),AUDIO(-))을 통해, 신호입력부(266)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출력선택장치(28)로 전달한다. 도6에 도시된 사용자선택부(264)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방송할 채널의 선택을 위한 채널선택부(2642), 방송의 음량을 조절하기위한 음량레벨선택부(2644)를 케이스의 전면부에 배치하고 있으며, 선택된 값에 대응하는 각각의 신호를 제어부(269)로 전달한다. 제어부(269)는 전달된 각 신호를 토대로, 방송할 채널의 선택을 위한 제어신호 및 방송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269)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지역제어신호"라 정의한다. 신호입력부(266)는, 방송구역에 위치한 CDP, MP3, PMP와 같은 미디어기기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신호입력부(266)는 사용자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마이크입력을 위한 마이크입력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오디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라인입력단자(도시되지 않음)를 케이스의 전면부에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신호입력부(266)는 제어부(269)의 제어에 의해 입력된 각각의 오디오신호를 사전에 정해진 규격의 신호로 변환하여 송수신부(262)로 전달한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지역방송장치(26) 중 표시부(268)는 채널선택부(2642)를 통해 선택되는 오디오신호의 채널정보를 표시하거나, 방송구역에 방송 중인 오디오신호의 채널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9)는 방송구역에 방송 중 인 오디오신호의 채널정보를 표시부(268)에 표시하고, 출력선택장치(28)로부터 제어권을 인가받은 경우 표시부(268)에 제어권을 인가받았음을 알리는 표시를 하고, 채널선택부(2642)를 통해 해당 방송구역에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채널을 변경한 경우 변경된 오디오신호의 채널정보를 상기 표시부(268)에 표시한다. 송수신부(262)에 의해 출력선택장치(28)로부터 허용제어신호가 수신되어 제어권이 부여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채널선택부(2642)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69)는 출력선택장치(28)가 해당 방송구역에 방송될 오디오신호의 채널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채널선택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69)는 생성된 채널선택신호를 송수신부(262)의 제어신호송수신단(2622)를 이용하여 출력선택장치(28)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262)에 의해 상기 출력선택장치(28)로부터 허용제어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음량레벨선택부(2644)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69)는 출력선택장치(28)가 해당 방송구역에 방송될 오디오신호의 음량 레벨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음향레벨선택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69)는 생성된 음향레벨선택신호를 송수신부(262)의 제어신호송수신단(2622)을 이용하여 출력선택장치(28)로 송신한다.
이하, 도5에 도시된 지역방송장치(26)의 동작을 제어부(269)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269)는, 출력선택장치(28)로부터 제어권을 인가받은 상태에서, 신호입력부(266)를 통해 오디오신호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송수신부(262)에 의하여 출력선택장치(28)로 송신한다. 오디오신호는 오디오송신단(2626)을 통하여 출력선택장치(28)로 전달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역방 송장치(26)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출력선택장치(28)는, 지역방송장치(26)로부터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해당 오디오신호를 송신한 지역방송장치(26)가 설치된 방송구역에 설치된 스피커장치를 통해 방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선택장치(28)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출력선택장치(28)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지역방송장치(26)로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출력선택장치(28)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허용제어신호"라 정의한다. 또한, 지역방송장치(26)의 외관을 건물의 벽체에 사전에 내설된 스위칭 박스와 결합이 가능한 크기 및 형태로 제작한다. 이에 의해 지역방송장치(26)를 건물 내부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스위칭 박스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스위칭 박스와 연결된 연결배관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배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5에 도시된 지역방송장치(26)는, 방송구역(A1,A2,A3)에서 방송실에 설치된 출력선택장치(28)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주고, 방송구역으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출력선택장치(28)로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연동하는 도1에 도시된 출력선택장치(28)에 대해 설명한다. 출력선택장치(28)는 화재감지수신장치(16), 방송제어장치(18), 오디오앰프장치(24), 지역방송장치(26),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과 연결되어 동작하며, 각 구성의 설명에서 이미 언급되었다. 여기서는 출력선택장치(28)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출력선택장치(28)는 방송제어장치(18)로부터 오디오신호와 화재비상방송신호 중 외부로 방송할 오디오신호가 선택되고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방송할 방송구역(A1,A2,A3)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오디오신호 또 는 화재비상방송신호를 상기 선택된 방송구역에 대응하는 오디오앰프장치(24)로 출력시킨다. 화재감지수신장치(16)로부터 화재방송구역정보가 입력된 경우, 출력선택장치(28)는 방송제어장치(18)로부터 입력된 화재비상방송신호를 화재방송구역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앰프장치(24)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재방송구역정보는, 화재발생에 대응하여 비상방송이 송출될 방송구역의 위치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출력선택장치(28)는 화재방송구역정보에 대응하는 방송구역들을 제외한 방송구역들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선택장치(28)는 지역방송장치(26)로부터 지역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지역방송장치(26)로부터 오디오신호가 수신된 경우, 이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처리하고 오디오앰프장치(24)로 증폭한 후 위의 오디오신호를 송신한 지역방송장치(26)가 설치된 방송구역에 송출한다. 또한, 출력선택장치(28)는 상기 선택된 방송구역에 대한 정보를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로 송신한다.
이하에서는, 도6을 참조하여,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에 대해 설명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는 영상입력부(301), 제어신호입력부(302), 영상출력부(303), 링크부(304), 모드선택부(305), 모니터링선택부(306), 모니터링표시부(307), 영상제어부(309)를 구비한다.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는 비디오발생장치(14)들로부터 입력된 비디오신호들 중 외부로 방송할 비디오신호들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비디오신호들을 출력선택장치(28)로부터 수신된 방송구역(A1,A2,A3)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구역(A1,A2,A3) 각각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22)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도6에 도시된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 중 영상입력부(301)는, 외부로부터 복수개의 비디오신호들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단자(3012)들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의 영상입력부(301)는 외부의 비디오플레이어, 카메라 등과 같은 비디오발생장치(14)들로부터 8채널의 비디오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최대 8개의 입력단자(3012)를 구비한다.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가 마스터모드로 설정된 경우 영상입력부(301)는 입력단자(3012)들을 통해 비디오발생장치(14)들과 직접 연결되어 비디오발생장치들로부터 비디오신호들을 입력받는다. 한편,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가 링크모드로 설정된 경우 영상입력부(301)의 입력단자(3012)들은 링크입력단자(3014)로 사용되어 다른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와 연결되며, 다른 비디오매트릭스장치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영상입력부(301)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가 링크모드로 설정된 경우, 8개의 입력단자(3012)들 중 다른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의 링크부(304)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들을 입력받기 위한 링크입력단자(3014)들을 구비한다.
도6에 도시된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 중 제어신호입력부(302)는, 방송제어장치(18)로부터 영상출력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영상출력제어신호를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의 영상제어부(309)로 출력한다. 영상제어부(309)는 입력된 영상출력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선택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영상출력부(303) 및 링크부(304) 각각에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신호입력부(302)를 통해 방송제어장치(18)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출력제어신호'는 영상출력부(303)가 8개의 입력채널의 비디오신호들 중 6개 채널의 비디오신호를 선택하도록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제어신호입력부(302)는 출력선택장치(28)로부터 송신되는 선택된 방송구역(A1,A2,A3)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영상제어부(309)로 출력한다. 도6에 도시된 영상출력부(303)는 영상제어부(309)로부터 입력된 선택제어신호에 의하여 8개의 입력채널의 비디오신호들 중 6개 채널의 비디오신호를 선택한다. 그리고, 영상출력부(303)는 선택된 6개 채널의 비디오신호를 영상제어부(309)의 제어에 의해 선택된 출력채널을 통해 방송구역(A1,A2,A3)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22)로 출력한다. 영상출력부(303)는 N×M의 매트릭스 구조를 갖는 비디오매트릭스(도시되지 않음)와 비디오매트릭스(도시되지 않음)의 M개의 출력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비디오앰프(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지며, 각 출력단자들은 출력채널을 통해 방송구역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22)와 연결된다. 한편, 출력채널 중의 하나는 모니터링표시부(307)와 연결되어, 모니터링선택부(306)에 의해 선택된 출력채널에 대응하는 비디오신호를 모니터링표시부(307)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부(303)의 일 실시형태는, 8×6 비디오매트릭스 4개와, 이 비디오매트릭스(도시되지 않음)들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24개의 비디오앰프(도시되지 않음)들로 이루어진다. 영상출력부(303)의 비디오앰프(도시되지 않음)들 중 21개는 출력채널로 각각 연결되며, 비디오앰프(도시되지 않음)들 중 하나는 모니터링표시부(307)로 연결된다.
도6에 도시된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 중 링크부(304)는 하나의 8×6 비디오매트릭스(도시되지 않음)와 6개의 비디오앰프(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링크부(304)는, 영상입력부(301)를 통해 입력된 비디오신호들 중에, 영상제어부(309)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제어신호에 의해 비디오신호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비디오신호들 을 증폭하여 링크출력단자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가 모드선택부(305)에 의해 마스터모드로 설정된 경우, 링크부(304)는 영상입력부(301)를 통해 입력된 8채널의 비디오신호들 중 후술하는 영상제어부(309)로부터 발생되어 출력되는 선택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된 6채널의 비디오신호들을 비디오앰프(44)로 증폭한 후 링크출력단자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가 모드선택부(305)에 의해 링크모드로 설정된 경우, 영상입력부(301)의 링크입력단자(3014)를 통해 입력된 6채널의 비디오신호들을 그대로 바이패스시키고, 비디오앰프(44)를 통해 증폭하여 6채널의 링크출력단자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도6에 도시된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 중 모드선택부(305)는 사용자에 의해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의 동작모드를 마스터모드 또는 링크모드로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소자로 마련된다. 각 선택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는 영상제어부(309)로 출력된다. 영상제어부(309)는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가 마스터모드 또는 링크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드선택부(305)는 마스터모드로 선택되어 있다. 도6에 도시된 모니터링선택부(306)는 사용자가 방송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는 출력채널의 영상을 모니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모니터링선택부(306)는 키패드 또는 화살표키와 같은 입력 수단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모니터링선택부(306)를 통해 특정 출력채널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모니터링선택부(306)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출력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제어부(309)로 전송한다. 그리고, 모니터링표시부(307)는 전술한 모니터링선택부(306)에 의해 선택된 출력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상기 영상출력부(303)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비디오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신호를 처리하여 표시한다. 모니터링표시부(307)는 본 실시예의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의 전면판넬에 설치되며, 전면판넬의 일부공간에 배치되도록 소형의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다.
이하 도6에 도시된 영상제어부(309)의 동작에 대해 영상제어부(309)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영상제어부(309)는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각 출력채널로의 영상 출력을 제어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출력채널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제어한다. 영상제어부(309)는 제어신호입력부(30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출력부(303)를 제어한다. 즉 8개의 입력채널 중 6개의 채널을 선택하고, 링크부(304)를 통해 선택된 6개의 채널 비디오신호를 링크출력단자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영상제어부(309)는 모니터링선택부(306)로부터 특정 출력채널에 대한 모니터링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출력채널로 출력되는 입력채널을 확인하고, 영상출력부(303)를 제어하여 확인된 입력채널의 비디오신호가 모니터링표시부(307)로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영상제어부(309)는, 모드선택부(305)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를 마스터모드로 동작시킬 것인지 링크모드로 동작시킬 것인지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를 마스터모드 또는 링크모드로 동작시킨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는 마스터모드로 동작 하며, 방송제어장치(18)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출력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입력단자(3012)를 통해 입력된 8개의 비디오신호들 중 6개의 비디오신호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6개의 비디오신호들을 통하여 21개 출력채널에 6원화 방송을 구현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6개의 비디오신호들 중 출력채널을 통해 송출할 하나의 비디오신호의 채널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비디오신호를, 출력선택장치(28)로부터 수신된 방송구역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구역(A1,A2,A3)들 각각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22)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1)은, 출력선택장치(28)를 통하여 복수개의 오디오신호들을 각각 제어하거나,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채널을 각 방송구역(A1,A2,A3) 별로 선택하여 방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방송의 수신자도, 지역방송장치(26)를 통해 자신의 방송구역에 방송되는 오디오신호의 채널 및 음량의 레벨을 선택하거나, 자신의 방송구역에 존재하는 오디오기기의 오디오신호를 방송실의 출력선택장치(28)로 송신하여, 자신의 방송구역에 송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1)은 화재감지수신장치(16)를 이용하여 화재수신반(F)으로부터 송신되는 화재발생구역정보를 기초로 화재방송신호를 송출할 화재방송구역정보를 매크로를 통해 출력선택장치(28)로 출력함으로써 종래 화재수신반(F)과 전관방송시스템(1)사이의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매크로의 변경이 가능하여 전관방송시스템(1)이 구축되는 출력지역의 구조등의 변경에 용이한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1)은 기존 오디오앰프장치(24)의 안정적 동 작을 보장하기 위해 별도로 설치되었던 장치들을 하나로 통합시키고, 앰프소자(2442)의 오작동시 이에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이 적용된 오디오앰프장치(24)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비상방송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7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출력선택장치(28)들 및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들을 확장하여 다수의 출력지역('A','B','C')에 다원화방송을 구현한 전관방송시스템(2)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제1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의 도6에 도시된 모드선택부(305)에 의해 마스터모드가 선택된 상태이고, 제2비디오매트릭스장치(31)는 도6에 도시된 모드선택부(305)에 의해 링크모드가 선택된 상태이다. 그리고, 도7에서는 각 출력지역('A','B','C')들에 속하는 방송구역들을 편의상 3개(A1,A2,A3)만 도시하였으나, 각 출력지역('A','B','C')들을 최소한 21개의 방송구역(A1,A2,A3)들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2)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출력지역('A')이 아닌 복수개의 출력지역('A','B','C')들에 오디오 및 비디오 방송을 송출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2)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2)은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들에 제2출력선택장치(29)와 2비디오매트 릭스장치(30)가 증가된 출력지역('A','B','C')들에 대응하여 추가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에서 출력지역('A')이 출력지역('B','C')들로 확장되는 과정에서, 기능이 부가되고 증설되는 구성인 제1출력선택장치(28), 제2출력선택장치(29), 제1비디오매트릭스장치(30), 제2비디오매트릭스장치(31)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7에 도시된 제1출력선택장치(28)는 방송제어장치(18)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들 중 방송할 오디오신호가 선택되고 복수개의 출력지역('A','B','C') 중 제1출력지역('A')에서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방송할 방송구역(A1,A2,A3)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구역(A1,A2,A3)에 대응하는 오디오앰프장치(24)로 출력시킨다. 그리고, 제1출력선택장치(28)는 선택된 오디오신호들을 제2출력선택장치(29) 중 하나로 링크시키고 선택된 방송구역에 대한 정보를 제1출력지역('A')을 담당하는 제1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로 송신한다. 제2출력선택장치(29)는 복수개의 출력지역('A','B','C') 중 제1 출력지역('A')을 제외한 나머지 출력지역('B','C')들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마련되고, 제1출력선택장치(28)로부터 링크된 오디오신호들을 서로 직렬로 각각 링크시키며, 상기 나머지 출력지역('B','C')들 별로 선택된 방송구역(B1,B2,B3,C1,C2,C3)들에 대응하는 각 오디오앰프장치(24)로 출력하고, 각각 선택된 방송구역(B1,B2,B3,C1,C2,C3)들에 대한 정보를 동일 출력지역('B','C')을 담당하는 각각의 제2비디오매트릭스장치(31)로 송신한다.
도7에 도시된 제1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는 비디오발생장치(14)들로부터 입력된 비디오신호들 중 방송제어장치(18)의 영상선택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방송할 비디오신호들을 선택한다. 그리고, 제1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는 제1출력선택장치(28)로부터 방송할 방송구역들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고 영상선택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된 비디오신호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비디오신호을 제1출력선택장치(28)로부터 수신된 방송구역들의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구역(A1,A2,A3)들에 송출한다. 그리고, 제1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는 영상선택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된 비디오신호들을 제2비디오매트릭스장치(31) 중의 하나로 링크시킨다. 제2비디오매트릭스장치(31)는 제2출력선택장치(29)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개로 마련되고, 제1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로부터 링크된 비디오신호들을 서로 직렬로 각각 링크시키고, 링크된 비디오신호들을 각각 대응하는 제2출력선택장치(29)로부터 수신된 방송구역들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구역(B1,B2,B3,C1,C2,C3)들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22)들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전술한 제1 및 제2비디오매트릭스장치(30,31)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2)에서 도6에 도시된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와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다. 제1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는 도6에 도시된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를 마스터모드로 설정한 것이고, 제2비디오매트릭스장치(31)는 도6에 도시된 비디오매트릭스장치(30)를 링크모드로 설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2)은 방송할 출력지역('A','B','C')들이 증가하는 경우, 제1출력선택장치(28) 및 제1비디오매트릭스 장치(30)에 제2출력선택장치(29) 및 제2비디오매트릭스장치(31)를 각각 직렬로 링크하여 추가하는 것에 의하여 오디오신호 및/또는 비디오신호를 송출할 출력지역('A','B','C')들을 용이하게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비디오 방송의 경우, 별도의 비디오분배기를 설치하지 않고 제1 및 제2비디오매트릭스장치(30,31)를 서로 직렬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출력지역('A','B','C')들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은, 건물 및 학교 등 비상방송이 필요한 한정된 범위에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다원화방송을 구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앰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역방송장치의 블록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매트릭스장치의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전관방송시스템 12 : 오디오발생장치
14 : 비디오발생장치 16 : 화재감지수신장치
18 : 방송제어장치 20 : 스피커장치
22 : 디스플레이장치 24 : 오디오앰프장치
26 : 지역방송장치 28 : 출력선택장치
30 : 비디오매트릭스장치 32 : 영상제어부

Claims (12)

  1. 화재수신반과 연동하고, 한정된 범위인 출력지역을 복수개로 구분한 방송구역들 각각에 다원화 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의 오디오발생장치;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대한 위치정보인 화재발생구역정보에 대응하여 화재비상방송을 송출할 방송구역들에 대한 위치정보인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화재수신반으로부터 상기 화재발생구역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화재발생구역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매크로를 포함하는 화재감지수신장치;
    상기 오디오발생장치들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사전에 준비된 화재비상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방송제어장치;
    상기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스피커장치;
    외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들 각각을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는 복수개의 앰프소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앰프소자들 중 어느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오류가 발생한 앰프소자를 대체하기 위한 스페어앰프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앰프소자들 중 어느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오류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오류가 감지된 앰프소자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페어앰프소자로 입력시키는 오디오앰프장치; 및
    상기 방송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와 화재비상방송신호 중 외부로 방송할 오디오신호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방송할 방송구역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선택된 방송구역에 대응하는 상기 오디오앰프장치로 출력시키는 출력선택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선택장치는, 상기 화재감지수신장치로부터 화재방송구역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화재비상방송신호를 상기 화재방송구역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앰프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앰프장치는 상기 출력선택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들을 상기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앰프소자들 중 어느 하나에서 오류가 감지된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페어앰프소자에 의해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대응하는 스피커장치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어장치는 상기 출력선택장치로 출력하는 화재비상방송신호의 종류 및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화재방송선택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화재감지수신장치로부터 화재발생신호가 전달된 경우, 상기 화재방송선택스위치를 통해 선택된 화재비상방송신호를 상기 출력선택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시스 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선택장치는, 상기 화재감지수신장치로부터 화재방송구역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화재방송구역정보에 대응하는 방송구역들을 제외한 방송구역들에 는, 상기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은, 상기 출력선택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지역방송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역방송장치는, 상기 출력선택장치로부터 상기 출력선택장치의 기능 중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채널 또는 음량 레벨을 선택하는 기능을 제어하도록 허용하는 허용제어신호가 수신되어 제어권을 인가받은 경우, 상기 제어권을 인가받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채널 또는 음량 레벨 기능을 제어하는 지역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선택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출력선택장치는, 상기 지역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지역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방송장치는 외부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부를 더 구 비하고, 상기 제어권을 인가받은 상태에서 상기 신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출력선택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출력선택장치는, 상기 지역방송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신호를 송신한 지역방송장치가 설치된 방송구역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은,
    복수개의 비디오발생장치;
    상기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비디오발생장치들로부터 입력된 비디오신호들 중 외부로 방송할 비디오신호들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비디오신호들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비디오매트릭스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선택장치는 상기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방송할 방송구역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방송구역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선택장치;
    상기 비디오매트릭스장치는 상기 선택된 비디오신호들을 상기 출력선택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선택된 방송구역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구역 각각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시스템.
  8. 복수개의 출력지역에 다원화 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의 오디오발생장치;
    복수개의 비디오발생장치;
    상기 오디오발생장치들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방송제어장치;
    상기 출력지역들 각각을 복수개로 구분한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스피커장치;
    상기 출력지역들 각각에 복수개로 구분한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
    외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들을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장치로 출력하는 다수개의 앰프소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지역들에 대응하여 복수로 마련된 오디오앰프장치들;
    상기 방송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들 중 방송할 오디오신호가 선택되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지역 중 제1 출력지역에서 상기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방송할 방송구역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선택된 방송구역에 대응하는 상기 오디오앰프장치로 출력시키고, 상기 선택된 오디오신호들을 외부로 링크시키고 상기 선택된 방송구역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제1출력선택장치; 및
    상기 비디오발생장치들로부터 입력된 비디오신호들 중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비디오신호들이 선택되고 상기 제1출력선택장치로부터 방송구역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선택된 비디오신호들을 상기 제1 출력지역의 방송구역들에 설치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증폭하여 출력하고, 상기 선택된 비디오신호들을 외부로 링크시키는 제1비디오매트릭스장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은,
    상기 제1출력선택장치로부터 링크된 오디오신호들은 서로 직렬로 각각 링크되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지역들 중 상기 제1 출력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출력지역들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나머지 출력지역들 별로 상기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방송할 방송구역이 선택된 경우, 상기 나머지 출력지역들 별로 선택된 방송구역들에 대응하는 오디오앰프장치로 상기 링크된 오디오신호들을 출력하고, 상기 나머지 출력지역들 별로 선택된 방송구역들에 대한 정보를 각각 송신하는 제2출력선택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출력선택장치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제1비디오매트릭스장치로부터 링크된 비디오신호들은 서로 직렬로 각각 링크되고, 상기 링크된 비디오신호들을 상기 제2출력선택장치들로부터 각각 수신된 방송구역들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들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비디오매트릭스장치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시스템.
  10.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앰프장치는, 상기 앰프소자들 중 어느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오류가 발생한 앰프소자를 대체하기 위한 스페어앰프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앰프소자들 중 어느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오류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오류가 감지된 앰프소자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페어앰프소자로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시스템.
  11.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은,
    화재수신반과 연동하고,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대한 위치정보인 화재발생구역정보에 대응하여 화재비상방송을 송출할 방송구역들에 대한 위치정보인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화재수신반으로부터 상기 화재발생구역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화재발생구역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화재방송구역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매크로를 포함하는 화재감지수신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시스템.
  12.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은, 상기 출력선택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지역방송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역방송장치는, 상기 출력선택장치로부터 상기 출력선택장치의 기능 중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채널 또는 음량 레벨을 선택하는 기능을 제어하도록 허용 하는 허용제어신호가 수신되어 제어권을 인가받은 경우, 상기 제어권을 인가받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채널 또는 음량 레벨 기능을 제어하는 지역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선택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출력선택장치는, 상기 지역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지역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시스템.
KR1020090017187A 2009-02-27 2009-02-27 오디오/비디오의 다원화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 KR100923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187A KR100923489B1 (ko) 2009-02-27 2009-02-27 오디오/비디오의 다원화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187A KR100923489B1 (ko) 2009-02-27 2009-02-27 오디오/비디오의 다원화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489B1 true KR100923489B1 (ko) 2009-10-27

Family

ID=41562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187A KR100923489B1 (ko) 2009-02-27 2009-02-27 오디오/비디오의 다원화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48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821B1 (ko) 2011-07-20 2012-01-05 강준희 전관 방송 제어 시스템
KR101253711B1 (ko) * 2012-06-25 2013-04-11 동광전자 주식회사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
KR101253710B1 (ko) * 2012-06-25 2013-04-11 동광전자 주식회사 공동시설 방송시스템
KR101588446B1 (ko) 2015-04-22 2016-01-26 주식회사 올인원 코리아 원격 방송이 가능한 비상방송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058862B1 (ko) 2019-04-04 2019-12-24 주식회사 엘앤비기술 재난발생시 다원화 음원을 제공하는 방송장치
JP2021026732A (ja) * 2019-08-09 2021-02-22 Toa株式会社 構内放送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278793B1 (ko) * 2020-10-29 2021-07-20 마이크로닉 시스템주식회사 다중 비상방송용 프로그램 컨트롤러를 구비한 다중 재난경보 방송시스템
KR102286616B1 (ko) 2020-12-17 2021-08-05 새서울정보통신 주식회사 홀 센서를 이용한 전관방송용 오디오 앰프부 및 스피커 선로의 모니터링 장치
KR102447707B1 (ko) * 2022-02-04 2022-09-29 동광전자 주식회사 실시간으로 오디오앰프의 입력 및 출력을 모니터링하는 오디오앰프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405A (ko) * 2006-06-19 2006-07-24 이승철 일체형 방송감시장치
KR20080009371A (ko) * 2006-07-24 2008-01-29 주식회사 우리별텔레콤 원격 제어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 및 시설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405A (ko) * 2006-06-19 2006-07-24 이승철 일체형 방송감시장치
KR20080009371A (ko) * 2006-07-24 2008-01-29 주식회사 우리별텔레콤 원격 제어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 및 시설관리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821B1 (ko) 2011-07-20 2012-01-05 강준희 전관 방송 제어 시스템
KR101253711B1 (ko) * 2012-06-25 2013-04-11 동광전자 주식회사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
KR101253710B1 (ko) * 2012-06-25 2013-04-11 동광전자 주식회사 공동시설 방송시스템
KR101588446B1 (ko) 2015-04-22 2016-01-26 주식회사 올인원 코리아 원격 방송이 가능한 비상방송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058862B1 (ko) 2019-04-04 2019-12-24 주식회사 엘앤비기술 재난발생시 다원화 음원을 제공하는 방송장치
JP2021026732A (ja) * 2019-08-09 2021-02-22 Toa株式会社 構内放送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294941B2 (ja) 2019-08-09 2023-06-20 Toa株式会社 構内放送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278793B1 (ko) * 2020-10-29 2021-07-20 마이크로닉 시스템주식회사 다중 비상방송용 프로그램 컨트롤러를 구비한 다중 재난경보 방송시스템
KR102286616B1 (ko) 2020-12-17 2021-08-05 새서울정보통신 주식회사 홀 센서를 이용한 전관방송용 오디오 앰프부 및 스피커 선로의 모니터링 장치
KR102447707B1 (ko) * 2022-02-04 2022-09-29 동광전자 주식회사 실시간으로 오디오앰프의 입력 및 출력을 모니터링하는 오디오앰프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489B1 (ko) 오디오/비디오의 다원화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
KR100756366B1 (ko) 디지털 다원화 전관방송 제어장치
WO2012067436A2 (ko) 디지털 매트릭스 앰프를 이용한 다원화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2530451A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のオーディオコンポーネンツの簡略化された相互接続および制御のための方法と装置
KR100923487B1 (ko) 화재감지수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관방송시스템
KR102384480B1 (ko) 비상방송 기능을 가진 오디오 매트릭스
JP2006304219A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420163B1 (ko) 모듈형 전관방송 제어장치
KR100417495B1 (ko)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스피커 및 앰프 제어구조를 갖는방송시스템
KR101605661B1 (ko)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
KR101080801B1 (ko) 입체적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음향 및 영상 제어 시스템
KR101017681B1 (ko)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KR100923488B1 (ko) 지역방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관방송시스템
KR100917713B1 (ko) 비디오매트릭스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전관방송시스템
KR101879287B1 (ko)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917717B1 (ko) 오디오앰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관방송시스템
KR20110138584A (ko) 전관 방송 장치
KR100418698B1 (ko) 스피커의 개별제어 방법
KR100925967B1 (ko) 재난 방송용 복합 교환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2432369B1 (ko) 비상방송제어 시스템
EP2845397A1 (en) Wireless mobile telephony public address system
KR102679630B1 (ko) 원격 스피커 제어시스템의 비상방송장치
KR101253710B1 (ko) 공동시설 방송시스템
KR102049464B1 (ko) 에너지 절약형 방송장치
KR200350113Y1 (ko) 통합방송시스템의 자동감지 디지털 중앙방송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