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711B1 -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 - Google Patents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711B1
KR101253711B1 KR1020120067912A KR20120067912A KR101253711B1 KR 101253711 B1 KR101253711 B1 KR 101253711B1 KR 1020120067912 A KR1020120067912 A KR 1020120067912A KR 20120067912 A KR20120067912 A KR 20120067912A KR 101253711 B1 KR101253711 B1 KR 101253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input
amplifiers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헌
김홍묵
Original Assignee
동광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광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광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7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에 관한 것으로, 증폭장치는 증폭기(10)와; 상기 증폭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증폭기(10)는 신호가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부(11)와; 상기 복수의 입력부(11)와 각각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복수의 앰프(12)와; 상기 복수의 앰프(12)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부(13) 및; 상기 복수의 앰프(12) 중 서로 이웃하는 앰프(12)를 연결하는 연결부(14)로 이루어져,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dB)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앰프(12) 중 어느 하나의 앰프(12)가 선택되어 입력신호를 증폭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dB)에 따라 적절한 용량의 앰프가 선택됨으로써 앰프에 과부하가 입력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Overload Preventing Amplifier for Broadcasting}
본 발명은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교, 아파트, 교회와 같은 공동시설 등에서 사용되는 공동시설용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마이크와 같은 음성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앰프의 허용용량 이내의 세기로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방송시스템 내부에 설치된 앰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와 같은 아파트, 아파트, 교회와 같은 공동시설에는 학생들과 입주민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방송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방송시스템은 중앙 방송실에 증폭기와 송신장치 등을 설치하고, 각 교실이나 세대 등에 스피커를 설치하여 중앙방송실에서 필요한 방송을 행함으로써 각 교실이나 세대 등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필요한 정보(방송메시지)가 전달된다.
이러한 방송시스템에는 입력된 음성 신호를 적당한 세기로 증폭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증폭기(이하 '앰프'라 한다)가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아날로그 앰프는 도 1에 도시된 회로도와 같이 구성되어 진공관 또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신호를 증폭시키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며, 또한 잡음으로 인해 신호가 왜곡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아날로그 앰프가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앰프가 개발되었는데, 디지털 앰프는 신호를 PWM(Pulse-Width-Modulation)방식으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다음, 이 디지털 신호를 증폭한 후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방식으로서, 이와 같이 디지털앰프는 디지털로 변환된 신호를 증폭시키기 때문에 열잡음 등에 의해 신호가 왜곡되지 않고, 전력 소모가 적으며, 소형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앰프나 아날로그 앰프는 입력신호의 강도가 세거나 과부하가 입력되는 경우 앰프가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앰프가 손상되지 않더라도 앰프의 후단에 연결되는 스피커의 최대 용량 이상으로 신호가 증폭될 경우 스피커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증폭장치가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과입력 및/또는 과부하에 의한 앰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앰프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스피커를 과부하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를,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하고; 상기 증폭기는 신호가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부와; 상기 복수의 입력부와 각각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복수의 앰프와; 상기 복수의 앰프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부 및; 상기 복수의 앰프 중 이웃하는 앰프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져,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앰프 중 어느 하나의 앰프가 선택되어 입력신호를 증폭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상기 증폭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앰프는 각각 입력신호의 세기별로 출력신호의 세기가 가변되는 형식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출력측의 출력에 맞추어 상기 앰프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증폭기가 복수의 앰프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복수의 앰프는 연결부에 의해 차례로 직렬 연결됨으로써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별로 적절한 용량의 앰프가 선택되어 입력신호를 증폭시키기 때문에 앰프에 과부하가 입력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출력신호의 세기가 가변되는 형식의 앰프가 사용됨으로써 신호가 불필요하게 증폭되지 않아 전력의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아날로그 앰프의 예를 보인 회로도,
도 2와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의 출력과 입력전압이 선택되는 예를 보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과부하에 의한 앰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증폭장치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스피커를 과부하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증폭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 앰프(12), 출력부(13) 및 연결부(14)를 포함하는 증폭기(10)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로 이루어진다.
증폭기(10)는 그 전단에 설치된 신호입력유닛(1)과 연결되어 신호입력유닛(1)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켜 후단에 연결된 복수의 출력유닛으로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앰프유닛(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입력유닛(1)과 연결되어 신호가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부(11)와, 복수의 입력부(11)와 각각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복수의 앰프(12)와, 복수의 앰프(12)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부(13)로 이루어진다.
입력부(11)를 통해 앰프(12)에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dB)가 앰프(12)의 용량에 비해 과다하게 크거나 앰프(12)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증폭기(10)가 손상될 우려가 있고,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앰프(12)를 앰프1(AMP1), 앰프2(AMP2), 앰프3(AMP3), … 앰프n(AMPn)과 같이 병렬로 배열하고, 각각의 앰프(12)에는 신호입력유닛(1)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11)와 출력부(13)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각각의 앰프(12)의 입력측에는 연결부(14)를 통해 서로 이웃하는 앰프(12)가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증폭기(10)의 구성에 의해, 앰프(12) 중에서 앰프1(AMP1)의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dB)가 후술하는 제어기(20)에 의해 설정된 앰프1(AMP1)의 허용 입력신호의 세기(dB)보다 작은 경우에는 이 신호는 앰프1(AMP1)에 의해 증폭되어 이와 연결된 출력부(13)를 통해 출력되고, 이와 달리 입력신호의 세기(dB)가 설정된 앰프1(AMP1)의 허용 입력신호의 세기(dB)보다 큰 경우에는 이 입력신호는 앰프1(AMP1)에 의해 증폭되지 않고, 이와 연결부(14)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 차순위 앰프2(AMP2)에 다시 입력된 다음, 앰프2(AMP2)의 설정된 허용세기(dB)보다 작은 경우에는 앰프2(AMP2)에 의해 증폭되어 이와 연결된 출력부(13)를 통해 출력되며, 이와 반대로 큰 경우에는 다시 차순위 앰프3(AMP3)에 입력되어 상기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만약, 증폭기(10)에 4개의 앰프(12)가 존재하고, 이들이 연결부(14)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 즉, 증폭기(10)가 앰프1(AMP1), 앰프2(AMP2), 앰프3(AMP3), 앰프4(AMP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앰프3(AMP3)에 입력된 신호는 앰프3(AMP3), 앰프4(AMP4), 앰프1(AMP1), 앰프2(AMP2)를 차례로 거치면서 적정 용량의 앰프(12)에 의해 증폭되어 출력되고, 그 결과 다소 큰 세기(dB)의 입력신호가 각각의 앰프(12)의 입력부(11)에 입력되더라도 상기와 같이 여러 개의 앰프(12)를 차례대로 거치면서 이러한 세기(dB)의 신호를 수용할 수 있는 앰프(12)에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앰프(12)가 과부하가 부가되지 않으며, 그 결과 증폭기(10)가 과부하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증폭기(10)를 구성하는 각각의 앰프(12)는 동일한 출력용량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되거나, 다른 출력용량을 가진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시스템에 사용되는 증폭기(10)는 일정한 출력으로 출력되는 형식의 앰프(12)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형식의 앰프(12)를 사용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선을 추종하는 앰프(12), 즉 앰프(12)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세기별로 앰프(1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세기(dB)가 가변되는 형식의 앰프(12)를 사용하며, 이러한 앰프(12)의 구성에 의해 입력신호의 세기(dB)가 작은 경우에는 저출력으로 출력하고, 입력신호의 세기(dB)가 큰 경우에는 고출력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입력신호가 작음에도 앰프(12)의 출력용량대로 증폭하는 데에 소요되는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만약 앰프(12)의 출력용량이 M이고, 이 앰프(12)와 연결된 스피커의 용량이 N인 경우 굳이 앰프(12)의 출력을 출력용량 M에 맞추어 출력하지 않고, 스피커의 용량 N에 맞추어 출력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과부하로부터 스피커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증폭기(10)에는 이러한 증폭기(10)를 구성하는 각각의 앰프(12)에 각각 연결되어 앰프를 제어하는 제어부(2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제어부(20)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로 이루어져 증폭기(10)를 구성하는 각각의 앰프(12)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증폭기(10)가 복수의 앰프(12)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복수의 앰프(12)는 연결부(14)에 의해 차례로 직렬 연결됨으로써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별로 적절한 용량의 앰프(12)가 선택되어 입력신호를 증폭시키기 때문에 앰프(12)에 과부하가 입력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출력신호의 세기(dB)가 가변되는 형식의 앰프(12)가 사용됨으로써 신호가 불필요하게 증폭되지 않아 전력의 소비를 줄일 수 있다.
1: 신호입력유닛 10: 증폭기
11: 입력부 12: 앰프
13: 출력부 14: 연결부
20: 제어부

Claims (3)

  1. 방송시스템의 신호입력유닛(1)과 연결되어 상기 신호입력유닛(1)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시켜 후단에 연결된 복수의 출력유닛으로 출력하는 증폭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폭장치는 증폭기(10)와; 상기 증폭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증폭기(10)는 신호가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부(11)와;
    상기 복수의 입력부(11)와 각각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복수의 앰프1(AMP1), 앰프2(AMP2), 앰프3(AMP3), … 앰프n(AMPn)와;
    상기 복수의 앰프1(AMP1), 앰프2(AMP2), 앰프3(AMP3), … 앰프n(AMPn)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부(13) 및;
    상기 복수의 앰프1(AMP1), 앰프2(AMP2), 앰프3(AMP3), … 앰프n(AMPn) 중 서로 이웃하는 앰프1(AMP1), 앰프2(AMP2), 앰프3(AMP3), … 앰프n(AMPn)를 연결하는 연결부(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앰프1(AMP1)의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dB)가 설정된 앰프1(AMP1)의 허용 입력신호의 세기(dB)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앰프1(AMP1)에서 증폭되어 상기 출력부(13)를 통해 출력되고, 입력신호의 세기(dB)가 설정된 앰프1(AMP1)의 허용 입력신호의 세기(dB)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앰프1(AMP1)에 의해 증폭되지 않고, 상기 연결부(14)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 차순위 앰프2(AMP2)에 다시 입력되며, 상기 앰프2(AMP2)의 설정된 허용세기(dB)보다 작은 경우에는 앰프2(AMP2)에 의해 증폭되어 상기 출력부(13)를 통해 출력되고, 상기 앰프2(AMP2)의 설정된 허용세기(dB)보다 큰 경우에는 다시 순차적으로 차순위 앰프에 입력되어 입력신호를 증폭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증폭기(10)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앰프1(AMP1), 앰프2(AMP2), 앰프3(AMP3), … 앰프n(AMPn)는 각각 입력신호의 세기별로 출력신호의 세기가 가변되는 형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출력측의 출력에 맞추어 상기 앰프1(AMP1), 앰프2(AMP2), 앰프3(AMP3), … 앰프n(AMPn) 각각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
KR1020120067912A 2012-06-25 2012-06-25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 KR101253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912A KR101253711B1 (ko) 2012-06-25 2012-06-25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912A KR101253711B1 (ko) 2012-06-25 2012-06-25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711B1 true KR101253711B1 (ko) 2013-04-11

Family

ID=48442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912A KR101253711B1 (ko) 2012-06-25 2012-06-25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272B1 (ko) * 2016-12-21 2017-03-17 동광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부하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840Y1 (ko) * 1986-11-12 1990-07-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피이커 자동 선택회로
KR100402958B1 (ko) * 2000-11-30 2003-10-30 한신전자산업 (주) 무정지 2중화 구내방송 시스템
JP2006157409A (ja) * 2004-11-29 2006-06-15 Sharp Corp オーディオ増幅装置
KR20080079735A (ko) * 2007-02-28 2008-09-0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이득 증폭기
KR100889478B1 (ko) * 2007-11-23 2009-03-19 정원섭 다중 음상을 갖는 음향 장치
KR100917717B1 (ko) * 2009-02-27 2009-09-21 주식회사 인터엠 오디오앰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관방송시스템
KR100923489B1 (ko) * 2009-02-27 2009-10-27 주식회사 인터엠 오디오/비디오의 다원화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
KR100987254B1 (ko) * 2010-03-19 2010-10-12 (주)합동전자산업 퍼블릭 어드레스 시스템
KR101080534B1 (ko) * 2010-12-14 2011-11-04 강형권 병렬 연결형 하이 임피던스 pa 앰프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840Y1 (ko) * 1986-11-12 1990-07-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피이커 자동 선택회로
KR100402958B1 (ko) * 2000-11-30 2003-10-30 한신전자산업 (주) 무정지 2중화 구내방송 시스템
JP2006157409A (ja) * 2004-11-29 2006-06-15 Sharp Corp オーディオ増幅装置
KR20080079735A (ko) * 2007-02-28 2008-09-0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이득 증폭기
KR100889478B1 (ko) * 2007-11-23 2009-03-19 정원섭 다중 음상을 갖는 음향 장치
KR100917717B1 (ko) * 2009-02-27 2009-09-21 주식회사 인터엠 오디오앰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관방송시스템
KR100923489B1 (ko) * 2009-02-27 2009-10-27 주식회사 인터엠 오디오/비디오의 다원화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
KR100987254B1 (ko) * 2010-03-19 2010-10-12 (주)합동전자산업 퍼블릭 어드레스 시스템
KR101080534B1 (ko) * 2010-12-14 2011-11-04 강형권 병렬 연결형 하이 임피던스 pa 앰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272B1 (ko) * 2016-12-21 2017-03-17 동광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부하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97006A1 (en) Signal distribution system cascadable agc device and method
KR20110068439A (ko) 결합셀 도허티 전력 증폭 장치 및 방법
MY124544A (en) Efficient parallel-stage power amplifier
EP2002558A4 (en) HIGHLY EFFICIENT INVERTER FOR PROVIDING A CIRCUIT REINFORCEMENT VOLTAGE
CN110326215A (zh) 放大器和前置电路的偏移校准
EP1667331A4 (en) AMPLIFIER CIRCUIT AND REINFORCEMENT PROCESS
JP2018504032A5 (ko)
GB2575934A (en) Calibration for amplifier with configurable final output stage
MY134155A (en) Digital power amplifier
KR101253711B1 (ko)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
TW200627791A (en) Power amplifier circuit and method thereof
GB2575397A (en) Fully-differential current digital-to-analog converter
JP2010045481A5 (ko)
CN103402157A (zh) 音频电路及消除pop噪声的方法
EP2190114B1 (en) Local broadcasting system
TW200740111A (en) Low distortion class-D amplifier and audio system thereof
EP2755322B1 (en) An audio amplifier
KR101248181B1 (ko)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 트랜스 내장형 d클래스 파워앰프
CN107172537B (zh) 一种信号放大电路及功放设备
JP2012104991A (ja) マイクロホンおよびマイクロホン装置
KR102112253B1 (ko) 전원 증폭기와 음향 증폭기가 일체화된 고효율 음향 증폭 장치
US20170310280A1 (en) Single signal-variant power supply for a plurality of amplifiers
US9305699B2 (en) Transformer driver circuit with IC protection circuitry
KR101253710B1 (ko) 공동시설 방송시스템
KR20200087396A (ko) 방송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