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272B1 - 스피커 부하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피커 부하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272B1
KR101717272B1 KR1020160175826A KR20160175826A KR101717272B1 KR 101717272 B1 KR101717272 B1 KR 101717272B1 KR 1020160175826 A KR1020160175826 A KR 1020160175826A KR 20160175826 A KR20160175826 A KR 20160175826A KR 101717272 B1 KR101717272 B1 KR 101717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amplifiers
speaker
speaker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헌
Original Assignee
동광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광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광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7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가변부하용량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음원 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믹서장치(10)와; 믹서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복수 개의 앰프(AMP1, AMP2, AMP3, AMP4, …)로 이루어진 증폭부(20)와; 증폭부(20)에서 증폭된 신호가 출력되는 복수 개의 스피커(S1, S2, S3, S4…)와; 복수 개의 스피커(S1, S2, S3, S4…) 중 동작될 스피커를 선택하는 스피커 선택부(30)와; 복수 개의 스피커(S1, S2, S3, S4…)와 복수 개의 앰프(AMP1, AMP2, AMP3, AMP4, …)에 각각 시험신호를 인가하는 신호발생부(40)와; 신호발생부(40)에서 인가된 시험신호에 의해 검출된 스피커의 부하 용량과 앰프의 출력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0) 및;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앰프 각각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스피커 선택부(30)에 의해 선택된 스피커의 합계 부하 용량을 만족시키도록 증폭부(20)를 이루는 복수 개의 앰프 중에서 1개 이상의 앰프를 선택하여 연결하는 앰프 선택부(60);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선택된 스피커의 전체 부하에 맞추어 최소 개수의 앰프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전기 에너지가 절약되며, 또한 방송이 중단되지 않고 원활한 방송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피커 부하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Adaptive Amp Routing System to Changing Speaker Loads}
본 발명은 앰프 라우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교 등에 설치된 전관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계속적으로 변하는 스피커의 부하에 대응하여 적절한 용량의 앰프를 자동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스피커의 부하변동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소요되는 전기 에너지를 대폭 절약할 수 있는 스피커 부하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아파트, 아파트, 교회와 같은 공동시설에는 학생들과 입주민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전관 방송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관 방송시스템은 중앙 방송실에 앰프와 송신장치 등을 설치하고, 각 교실이나 세대 등에 스피커를 설치하여 중앙방송실에서 필요한 방송을 행함으로써 각 교실이나 세대 등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필요한 정보(방송메시지)가 전달되는데, 이러한 전관 방송시스템에 대한 일반적인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송시스템을 들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관 방송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마이크, CD 플레이어, 카세트 플레이어 등과 같은 음원발생부와, 이들 음원발생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믹싱하여 전달하는 믹서와, 믹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복수 개의 앰프와, 복수 개의 앰프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청취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 개의 스피커와, 스피커를 선택하는 스피커 셀렉터 등으로 구성되며, 이때 앰프와 스피커는 신호 케이블에 의해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각각의 앰프에 연결되는 스피커의 용량은 앰프의 용량보다 클 수 없기 때문에 각각의 앰프마다 그 사용과 연결되는 스피커가 한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복수 개의 앰프 중 어느 한 개의 앰프가 고장나는 경우 고장난 앰프와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서는 방송을 할 수 없게 되며, 이 경우에는 별도의 보조 앰프에 스피커를 연결하여 방송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상기와 같은 앰프 고장시 등에 앰프와 스피커를 물리적으로 교체 또는 변경 연결하는데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공개특허공보 10-2013-006078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앰프와 복수 개의 스피커를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앰프와 스피커를 적절히 조합하여 방송하는 풀 매트릭스 방식을 이용한 다중화 방송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상기 특허문헌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송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장치들로부터 입력된 음원을 증폭시키는 파워 앰프와; 릴레이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기억하는 메인 제어부와, 파워앰프의 출력 음원을 입력받아 선택하는 입력용 릴레이와, 선택된 파워앰프의 출력 음원을 해당 선로의 스피커에 송출 또는 차단하는 출력용 릴레이를 구비하여 된 풀매트릭스 릴레이 그룹을 포함하고, 풀 매트릭스 릴레이 그룹은 릴레이들을 크로스포인트 방식으로 구성하여 파워앰프로부터 입력된 음원을 임의의 출력에 연결된 스피커로 송출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방송시스템의 구성에 의해 실제로 회선이나 장치를 변경하지 않고도 관리 컴퓨터에 의해 릴레이 그룹과 스피커 간의 오디오 결선을 작업자가 물리적으로 변경하지 않고도 쉽게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관리 컴퓨터에서 현재 복수 개의 앰프 중 어떤 앰프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는지를 알기 어렵고, 따라서 각각의 앰프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앰프를 하나씩 각각 선택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를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에서와 같이 앰프와 스피커를 매트릭스 구조로 연결하도록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앰프에 연결되는 스피커의 출력 용량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출력이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다양한 출력을 가지는 앰프를 설치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데, 상기 특허문헌의 방송시스템에서는 스피커의 출력용량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도록 스피커와 연결되는 앰프의 수를 단순히 증감시켜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전기에너지가 앰프에 투입되어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특허문헌의 방송시스템의 경우 더욱 다양한 범위의 출력 값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출력 값이 작으면서도 서로 동일한 출력 값을 가지는 앰프를 더욱 많이 연결하여야 하며, 이 경우 이들을 풀메트릭스 구조로 연결하기 위한 릴레이 등도 더 필요하기 때문에 방송시스템이 전체적으로 대형화되는 문제도 있다.
KR 10-417495 B1 KR 10-1247730 B1 KR 10-1080801 B1 KR 10-1069880 B1 KR 10-2013-0060781 A KR 10-2015-0133124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관 방송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각각의 앰프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앰프의 동작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방송시스템을 대형화하지 않고도 다양한 크기의 스피커 부하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소요되는 전기 에너지를 대폭 절약할 수 있는 스피커 부하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앰프 라우팅 시스템을, 복수 개의 음원 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믹서장치와; 믹서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복수 개의 앰프로 이루어진 증폭부와;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가 출력되는 복수 개의 스피커와; 복수 개의 스피커 중 동작될 스피커를 선택하는 스피커 선택부와; 복수 개의 스피커와 복수 개의 앰프에 각각 시험신호를 인가하는 신호발생부와; 신호발생부에서 인가된 시험신호에 의해 검출된 스피커의 부하 용량과 앰프의 출력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 개의 앰프 각각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스피커의 합계 부하 용량을 만족시키도록 증폭부를 이루는 복수 개의 앰프 중에서 1개 이상의 앰프를 선택하여 연결하되, 선택되는 앰프의 수가 최소가 되도록 선택하는 앰프 선택부;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신호발생부에 스피커의 최대 부하량을 구할 수 있도록 임피던스측정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커의 최대 부하량이 측정 대상 스피커에 가청 주파수를 가변적으로 인가시킨 상태에서 임피던스측정기에서의 최소 임피이던스를 측정함으로써 구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앰프 선택부에서 앰프를 선택할 때 스피커의 합계 부하 용량을 만족하는 용량의 앰프가 없거나 일부의 앰프가 고장난 경우에는 고장난 앰프를 제외하고 나머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앰프 중 저출력의 앰프를 선택하되, 선택되는 앰프의 수가 최소가 되도록 선택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앰프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앰프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원 발생기기, 앰프 및 스피커 간의 연결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연결 재구성을 위한 외부에서의 물리적 재배선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선 상에 신호발생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각의 앰프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더라도 앰프의 동작 상태 내지 고장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앰프가 고장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도 다른 앰프를 연결하여 방송할 수 있기 때문에 앰프의 고장에 따는 방송중단 사태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시스템을 대형화하지 않고도 스피커의 작동에 필요한 최소 부하 용량의 앰프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스피커 부하 용량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소요되는 전기 에너지를 대폭 절약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선택되지 않은 앰프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관 방송시스템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파워앰프와 스피커간의 풀 매트릭스 방식을 이용한 다중화 방송시스템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부하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발생부를 이용하여 스피커 회선별 부하를 검출하는 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각각의 앰프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앰프의 동작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스피커의 부하 변동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소요되는 전기 에너지를 대폭 절약할 수 있는 스피커 부하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앰프 라우팅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서장치(10), 증폭부(20), 스피커 선택부(30), 신호발생부(40), 데이터 저장부(50) 및 앰프 선택부(60)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에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마이크, CD 플레이어, 카세트 플레이어 등의 복수 개의 음원 발생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생성된 신호는 다채널 방식으로 이루어져 여러 형태의 음성 신호가 동시에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 믹서장치(10)에 입력된다.
그리고 믹서장치(10)의 하류 쪽에는 증폭부(20)가 구비되며, 이러한 증폭부(20)는 믹서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본 발명의 증폭부(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앰프(AMP1, AMP2, AMP3, …)가 병렬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위와 같이 복수 개의 앰프(AMP1, AMP2, AMP3, AMP4, …)가 병렬로 설치되고, 이들 복수 개의 앰프 각각의 출력을 합한 전체 출력은 복수 개의 스피커 부하 용량을 모두 합한 전체 스피커의 부하 용량보다 높은 용량을 가지며 이에 의해 앰프 중의 일부가 고장난 경우에도 방송을 중단하지 않고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방송시스템에 복수 개의 앰프(AMP1, AMP2, AMP3, AMP4, …)를 설치할 때에는 여러 가지 용량(출력)의 앰프를 사용하면서도 가급적 저출력을 가지는 앰프를 설치하며, 이는 고출력의 앰프에 비해 저출력의 앰프가 가격이 쌀 뿐만 아니라, 저출력의 앰프를 사용하는 경우 스피커의 부하 변동에 더욱 쉽게 적응할 수 있다는데 따른 것이다.
증폭부(20)의 하류 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스피커(S1, S2, S3, S4…)가 설치되며, 증폭부(20)와 복수 개의 스피커(S1, S2, S3, S4…) 사이에는 스피커 선택부(30)가 구비됨으로써 이 스피커 선택부(30)에 의해 복수 개의 스피커(S1, S2, S3, S4…) 중 한 개 이상의 적절한 부하 용량의 스피커가 선택된 다음, 이들 선택된 스피커를 통해 믹서장치(10)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가 증폭부(20)를 거친 후 음성신호로 출력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풀 매트릭스 릴레이 방식의 방송시스템에서는 현재 복수 개의 앰프 중 어떤 앰프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는지를 알기 어렵고, 또한 필요 이상의 전기에너지가 앰프에 투입되어 소모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방송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앰프의 동작상태와 스피커의 부하 용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증폭부(20)와 스피커(S1, S2, S3, S4…)에 각각 시험신호를 인가하는 신호발생부(4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신호발생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부(20)와 스피커(S1, S2, S3, S4…)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 시에 또는 방송 전에 이들에 각각 싸인(sine)파 형상의 시험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복수 개의 앰프(AMP1, AMP2, AMP3, AMP4, …)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출력 값과 복수 개의 스피커(S1, S2, S3, …)의 부하 용량을 각각 검출한 다음, 이들 데이터를 후술하는 데이터 저장부(50)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이를 위해 신호발생부(40)와 스피커(S1, S2, S3, S4…)를 연결하는 회선 상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S1, S2, S3, S4…)의 부하 용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임피던스측정기(41)가 구비되며, 이때 스피커는 종류에 따라 임피이던스 값이 다르며, 특히 동일한 스피커인 경우에도 인가되는 주파수에 따라 임피이던스가 다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임피던스측정기(41)에서는 스피커에 가청 주파수를 가변적으로 인가시킴으로써 최소 임피이던스를 측정하여 최대 부하량을 구한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된 데이터, 즉 복수 개의 스피커 각각의 용량과 복수 개의 앰프의 각각의 출력 값은 스피커 선택부(30)를 이용하여 동작시킬 스피커를 선택할 때와, 앰프 선택부(60)가 스피커 선택부(30)에 의해 선택된 스피커의 합계 부하 용량에 대응하여 1개 이상의 앰프(AMP1, AMP2, AMP3, AMP4, …)를 선택할 때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앰프 각각의 출력 값을 이용하여 스피커 선택부(30)에 의해 선택된 스피커의 합계 부하 용량에 대응되도록 앰프 중 스피커의 부하 용량을 만족시키는 최소 용량(출력)의 앰프를 선택하여 연결시키는 앰프 선택부(60)는 사용자가 스피커 선택부(30)를 이용하여 방송에 사용될 스피커(S1, S2, S3, S4…)를 선택하면 앰프 선택부(60)에서는 먼저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된 스피커(S1, S2, S3, S4…) 별 부하 용량을 참조하여 선택된 스피커의 합계 부하 용량을 계산한 다음,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앰프(AMP1, AMP2, AMP3, AMP4, …) 각각의 출력 값을 바탕으로 앞서 계산된 스피커의 합계 부하 용량에 맞추어 이 용량을 만족시키는 최소 용량(출력)의 앰프를 선택하여 연결하며, 이때 스피커의 합계 부하 용량을 만족하는 용량의 앰프가 없거나 일부의 앰프가 고장난 경우에는 이들 앰프를 제외하고 나머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앰프 중에서 가급적 저출력의 앰프를 선택하면서도 앰프의 수가 최소가 되도록 선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앰프 선택부(60)에서 앰프(AMP1, AMP2, AMP3, AMP4, …)를 선택할 때에는 출력 값이 큰 고출력 앰프보다 출력 값이 작은 저출력 앰프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할당하는데, 이러한 앰프 할당 방식에 의해 부하가 부하 마진폭이 크면서 고가인 소수 개의 고출력 앰프로 집중되지 않고 고출력 앰프에 비해 부하 마진폭이 훨씬 작으면서 저가인 여러 개의 저출력 앰프로 분산되면서 증폭되고, 그 결과 음성 신호의 증폭에 소요되는 전기 에너지가 절감되며, 또한 고가의 고출력 앰프의 고장률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방송시스템의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진행 중에 청취대상이 확대되거나 또는 축소됨으로써 동작되어야 하는 스피커의 수가 바뀔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러한 스피커 수의 변경(부하 변경)에 맞추어 앰프를 선택함으로써 앰프의 출력 용량도 변경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앰프를 선택할 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스피커 부하 용량을 만족시키는 최소 용량(출력)의 앰프를 선택하며, 아울러 선택되는 앰프의 수가 최소가 되도록 하여 가동 앰프의 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앰프 선택부(60)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앰프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전원 차단은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된 제어 프로그램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앰프의 수명 연장과 시스템의 소비전력의 절감이 이루어진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앰프의 출력 용량을 측정할 때에는 신호발생부(50)에서 복수 개의 앰프(AMP1, AMP2, AMP3, AMP4, …)에 각각 시험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데, 시험신호를 인가할 때에는 방송 시간이 아닌 시간을 선택하여 인가하고, 방송 중에 앰프의 장애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때에는 앰프에 시험신호를 인가하는 대신 실제의 방송 입력 신호와 출력신호의 평균 파워 스펙트럼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앰프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신호발생부(40)에서 시험신호를 생성하여 복수 개의 앰프(AMP1, AMP2, AMP3, AMP4, …)로 인가하였을 때 이 중 일부의 앰프가 손상된 경우에는 앰프 출력 값이 검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데이터 저장부(50)에는 손상된 앰프에 대한 출력 값이 존재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앰프 선택부(60)에서 가동될 앰프를 선택할 때 출력 값이 존재하지 않는 앰프는 자동적으로 선택에서 제외되며, 그 결과 고장난 앰프쪽으로의 신호 입력이 방지되면서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그 다음 순위의 앰프가 자동적으로 선택되어 스피커에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공급함으로써 방송 출력의 부족에 의해 생기는 방송 사고가 미연에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앰프 각각의 출력 값을 이용하여 스피커 선택부(30)에 의해 선택된 스피커의 합계 부하 용량에 대응되도록 앰프 중 스피커의 부하 용량을 만족시키는 최소 용량(출력)의 앰프를 선택하여 연결시키는 앰프 선택부(60)는 사용자가 스피커 선택부(30)를 이용하여 방송에 사용될 스피커(S1, S2, S3, S4…)를 선택하면 앰프 선택부(60)에서는 먼저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된 스피커(S1, S2, S3, S4…) 별 부하 용량을 참조하여 선택된 스피커의 합계 부하 용량을 계산한 다음,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앰프(AMP1, AMP2, AMP3, AMP4, …) 각각의 출력 값을 바탕으로 앞서 계산된 스피커의 합계 부하 용량에 맞추어 이 용량을 만족시키는 최소 용량(출력)의 앰프를 선택하여 연결하되 선택되는 앰프의 수가 최소가 되도록 하며, 또한 스피커의 합계 부하 용량을 만족하는 용량의 앰프가 없거나 적절한 용량의 앰프가 고장난 경우에는 이들 앰프를 제외하고 나머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앰프 중에서 가급적 저출력의 앰프를 선택하면서도 선택되는 앰프의 수가 최소가 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피커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스피커의 합계 부하에 맞추어 최적의 앰프를 선택하면서 선택되는 앰프의 수가 최소가 되도록 선택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또한 앰프의 고장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어 앰프의 고장으로 인한 방송사고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된다.
10: 믹서장치 20: 증폭부
30: 스피커 선택부 40: 신호발생부
41: 임피던스측정기 50: 데이터 저장부
60: 앰프 선택부 AMP1, AMP2, AMP3, AMP4: 앰프
S1, S2, S3, S4: 스피커

Claims (5)

  1. 복수 개의 스피커와 복수 개의 앰프를 구비하여 방송하는 앰프 라우팅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 개의 음원 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믹서장치(10)와;
    상기 믹서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복수 개의 앰프(AMP1, AMP2, AMP3, AMP4, …)로 이루어진 증폭부(20)와;
    상기 증폭부(20)에서 증폭된 신호가 출력되는 복수 개의 스피커(S1, S2, S3, S4…)와;
    상기 복수 개의 스피커(S1, S2, S3, S4…) 중 동작될 스피커를 선택하는 스피커 선택부(30)와;
    상기 복수 개의 스피커(S1, S2, S3, S4…)와 복수 개의 앰프(AMP1, AMP2, AMP3, AMP4, …)에 각각 시험신호를 인가하는 신호발생부(40)와;
    상기 신호발생부(40)에서 인가된 시험신호에 의해 검출된 스피커의 부하 용량과 앰프의 출력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0)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앰프 각각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 선택부(30)에 의해 선택된 스피커의 합계 부하 용량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증폭부(20)를 이루는 복수 개의 앰프 중에서 1개 이상의 앰프를 선택하여 연결하되, 선택되는 앰프의 수가 최소가 되도록 선택하는 앰프 선택부(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가변부하용량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40)에는 상기 스피커의 최대 부하량을 구할 수 있도록 임피던스측정기(41)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가변부하용량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최대 부하량은 측정 대상 스피커에 가청 주파수를 가변적으로 인가시킨 상태에서 상기 임피던스측정기(41)에서의 최소 임피이던스를 측정함으로써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가변부하용량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앰프 선택부(60)에서 앰프를 선택할 때 상기 스피커의 합계 부하 용량을 만족하는 용량의 앰프가 없거나 일부의 앰프가 고장난 경우에는 고장난 앰프를 제외하고 나머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앰프 중 저출력의 앰프를 선택하되, 선택되는 앰프의 수가 최소가 되도록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가변부하용량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앰프 선택부(60)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앰프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가변부하용량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
KR1020160175826A 2016-12-21 2016-12-21 스피커 부하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 KR101717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826A KR101717272B1 (ko) 2016-12-21 2016-12-21 스피커 부하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826A KR101717272B1 (ko) 2016-12-21 2016-12-21 스피커 부하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272B1 true KR101717272B1 (ko) 2017-03-17

Family

ID=5850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826A KR101717272B1 (ko) 2016-12-21 2016-12-21 스피커 부하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2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336A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원캐스트 구내 방송 시스템
KR102332182B1 (ko) * 2021-05-07 2021-12-01 마이크로닉 시스템주식회사 음성출력장치 진단 및 복구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495B1 (ko) 2003-09-02 2004-02-05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스피커 및 앰프 제어구조를 갖는방송시스템
KR100972814B1 (ko) * 2009-02-23 2010-07-28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에서 대기 모드시 소비전류 저감방법 및 그 저감장치
KR20100100033A (ko) * 2009-03-05 2010-09-15 고기봉 구내방송회로의 앰프보호장치
KR101069880B1 (ko) 2011-07-07 2011-10-05 주식회사 원캐스트 방송 서비스 삼중화 시스템
KR101080801B1 (ko) 2011-07-29 2011-11-07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입체적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음향 및 영상 제어 시스템
KR101247730B1 (ko) 2012-07-30 2013-03-26 최대종 절체기능을 갖는 복수의 앰프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KR101253711B1 (ko) * 2012-06-25 2013-04-11 동광전자 주식회사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
KR20130060781A (ko) 2011-11-30 2013-06-10 주식회사 인켈피에이 파워앰프와 스피커간의 풀 매트릭스 방식을 이용한 다중화 방송 시스템
KR20150133124A (ko) 2014-05-19 2015-11-27 주식회사 뮤솔버스 다중 입력 자동 선택 스피커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495B1 (ko) 2003-09-02 2004-02-05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스피커 및 앰프 제어구조를 갖는방송시스템
KR100972814B1 (ko) * 2009-02-23 2010-07-28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에서 대기 모드시 소비전류 저감방법 및 그 저감장치
KR20100100033A (ko) * 2009-03-05 2010-09-15 고기봉 구내방송회로의 앰프보호장치
KR101069880B1 (ko) 2011-07-07 2011-10-05 주식회사 원캐스트 방송 서비스 삼중화 시스템
KR101080801B1 (ko) 2011-07-29 2011-11-07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입체적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음향 및 영상 제어 시스템
KR20130060781A (ko) 2011-11-30 2013-06-10 주식회사 인켈피에이 파워앰프와 스피커간의 풀 매트릭스 방식을 이용한 다중화 방송 시스템
KR101253711B1 (ko) * 2012-06-25 2013-04-11 동광전자 주식회사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시설 방송용 증폭장치
KR101247730B1 (ko) 2012-07-30 2013-03-26 최대종 절체기능을 갖는 복수의 앰프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KR20150133124A (ko) 2014-05-19 2015-11-27 주식회사 뮤솔버스 다중 입력 자동 선택 스피커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336A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원캐스트 구내 방송 시스템
KR102089672B1 (ko) * 2018-01-10 2020-03-16 주식회사 원캐스트 구내 방송 시스템
KR102332182B1 (ko) * 2021-05-07 2021-12-01 마이크로닉 시스템주식회사 음성출력장치 진단 및 복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95371B (zh) 改进的寻呼系统
KR101717272B1 (ko) 스피커 부하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
US20130003990A1 (en) Electronic device and audio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47730B1 (ko) 절체기능을 갖는 복수의 앰프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US10621905B2 (en) Operational amplifier, load driving apparatus and grayscale voltage generating circuit
US20100290649A1 (en) Power supply device for a microphone
KR101835365B1 (ko) 스피커 자동점검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98516B1 (ko) 구내방송회로의 앰프보호장치
KR102089672B1 (ko) 구내 방송 시스템
CN115580807B (zh) 一种基于服务器的主备功放配置切换方法及系统
KR101248181B1 (ko)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 트랜스 내장형 d클래스 파워앰프
US8520864B2 (en) Projector and audio output method
KR102245742B1 (ko) 실시간 오디오 앰프 디텍터 기술을 이용한 무중단 음향 장치
KR101253710B1 (ko) 공동시설 방송시스템
US9281786B2 (en) Input power detecting arrangement and method
KR101619296B1 (ko) 다중 입력 자동 선택 스피커 시스템
KR20130060781A (ko) 파워앰프와 스피커간의 풀 매트릭스 방식을 이용한 다중화 방송 시스템
KR102607677B1 (ko) 교류(ac) / 직류(dc) 동시 능동 공급 및 제어가 가능한 구내 방송용 전원공급장치
KR101866278B1 (ko) 다중제어 음향시스템
KR102633023B1 (ko) 매트릭스 다원화 방송을 이용한 소비전력 제어 시스템
JP4595671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2619990B1 (ko) 개별 스피커 연결 경로 감시 기능을 갖는 전관방송 신호 분배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20170028595A (ko)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917717B1 (ko) 오디오앰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관방송시스템
KR102320850B1 (ko) 오디오 앰프의 출력 가변형 전관방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