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595A -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595A
KR20170028595A KR1020150125402A KR20150125402A KR20170028595A KR 20170028595 A KR20170028595 A KR 20170028595A KR 1020150125402 A KR1020150125402 A KR 1020150125402A KR 20150125402 A KR20150125402 A KR 20150125402A KR 20170028595 A KR20170028595 A KR 20170028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bus
hardware module
abnormal
module
hard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제상
사공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to KR1020150125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8595A/ko
Publication of KR20170028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전관방송 장치에 모듈 형태로 구비되는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에 대한 고장 제어에 있어서,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중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하드웨어 모듈을 감시하고, 고장이 발생한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메모리 버스를 이용한 제어루틴에서 제외하여 나머지 하드웨어 모듈의 기능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A FAULT MODULE IN PUBLIC ADDRES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관방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관방송 장치(Public Address)에 모듈 형태로 구비되는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hardware module)에 대한 고장 제어에 있어서,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중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하드웨어 모듈을 감시하고, 고장이 발생한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메모리 버스(memory bus)를 이용한 제어루틴(control routine)에서 제외하여 나머지 하드웨어 모듈의 기능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관방송 장치(Public Address) 장치는 많은 사람에게 쌍방향 또는 일정한 방향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로, 역사, 백화점, 아파트, 빌딩, 관공서, 학교 등의 공공장소에서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음성정보전달 환경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관방송 장치는 기본적으로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등의 음원을 조정하여 대용량의 스피커를 구동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증폭하는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앰프부와, 앰프부로부터 조정된 음원 등의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컨텐츠를 생성하는 음원 생성부, 전관방송 장치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키패드, 조작버튼을 구비하는 입력부 등의 기능별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hardware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전관방송장치의 각 구성 하드웨어 모듈들에 대한 제어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메모리 버스(memory bus)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에는 메모리 버스가 공통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이 메모리 버스를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이 공통으로 사용함에 따라 특정 하드웨어 모듈의 고장으로 인해 메모리 버스의 사용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의 제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전관방송 장치의 특성상 대중에게 필요한 정보를 방송하는 역할에 있어서 중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하드웨어 모듈의 고장으로 인해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메모리 버스의 사용에 문제가 발생되어 전관방송 장치의 전체 하드웨어 모듈이 사용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13-0076495호(공개일자 2013년 07월 08일)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관방송 장치에 모듈 형태로 구비되는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에 대한 고장 제어에 있어서,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중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하드웨어 모듈을 감시하고, 고장이 발생한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메모리 버스를 이용한 제어루틴에서 제외시켜 나머지 하드웨어 모듈의 기능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로서, 전관방송 장치내 메모리 버스를 통해 제어되는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 임의의 하드웨어 모듈에서 상기 메모리 버스의 사용에 문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메모리 버스 검사부와, 상기 메모리 버스의 사용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상기 메모리 버스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을 검출하고,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상기 메모리 버스의 사용을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 버스 검사부는, 상기 검사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버스를 통해 상기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로 기설정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한 비정상 여부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중 검사대상으로 선정된 하나의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을 인에이블시킨 후, 나머지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디스에이블시켜 상기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에서 상기 메모리 버스의 사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 상기 메모리 버스의 제어 루틴에서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을 제외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메모리 버스의 사용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해당 하드웨어 모듈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표시부상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의 릴레이 접점을 쇼트시켜 해당 하드웨어 모듈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비콘으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방법으로서, 전관방송 장치내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의 제어에 사용되는 메모리 버스상 이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상기 메모리 버스에 대한 비정상 사용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 버스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는 하드웨어 모듈을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상기 메모리 버스의 사용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 버스상 이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 버스를 통해 상기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로 기설정된 데이터를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 버스상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상 사용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중 하나를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로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하나의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을 인에인블시키고, 나머지 하드웨 모듈은 디스에이블시키는 단계와, 상기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 상기 메모리 버스에 대한 비정상 사용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 상기 메모리 버스의 제어 루틴에서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을 제외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메모리 버스의 사용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시키는 단계이 후,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해당 하드웨어 모듈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표시부상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시키는 단계이 후,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의 릴레이 접점을 쇼트시키는 단계와, 해당 하드웨어 모듈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비콘으로 표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관방송 장치에 모듈 형태로 구비되는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에 대한 고장 제어에 있어서,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중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하드웨어 모듈을 감시하고, 고장이 발생한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메모리 버스를 이용한 제어루틴에서 제외시켜 나머지 하드웨어 모듈의 기능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관방송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모듈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관방송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 장치에서 고장 하드웨어 모듈에 대한 동작 제어 처리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전원 공급부(102), 음원 생성부(104), 앰프부(106), 표시부(108), 통신부(110), 입력부(112), 메모리 버스 검사부(114), 제어부(1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 공급부(102)는 전원 온/오프(on/off) 스위치(switch)를 포함하며, 사용자로부터 전원 온(on)이 선택되면 시스템이 동작 가능하도록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각 구성요소에 공급한다.
음원 생성부(104)는 전관방송 장치(100)에서 방송할 안내, 알람, 음악 등의 방송신호를 생성한다.
앰프부(106)는 음원을 선택하는 셀렉터(selector)와, 고음, 저음, 이퀄라이저(equaliser) 등의 음질조정 또는 증폭을 수행하기 위한 컨트롤 장치를 포함하며, 음성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등의 방송신호에 대한 음원을 증폭하여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로 출력한다.
표시부(108)는 방송신호의 여러 가지 음향 특성을 그래프 등으로 표시시켜 방송신호의 출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110)는 유/무 통신망과 연결하여 음원 생성부(104)에서 생성되거나, 중앙 방송국 등의 외부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 등을 제어부(118)의 제어에 따라 원격지 방송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송신하거나, 인터넷 등의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입력부(112)는 전관방송 장치(100)의 다양한 동작 요청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18)로 출력한다. 위와 같은 입력부(112)는 물리적인 키패드(keypad) 대신,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필요시마다 표시부(108)상에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형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메모리 버스 검사부(114)는 전관방송 장치(100)내 메모리 버스(memory bus)를 통해 제어되는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hardware module)에 대해, 임의의 하드웨어 모듈에서 메모리 버스의 사용에 문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메모리 버스는 제어부(118)에서 앰프부(106), 표시부(108), 입력부(112), 통신부(110), 음원 생성부(104) 등 전관방송 장치(100)내 구비되는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을 제어하거나 필요한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버스로써 이러한 메모리 버스는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만약 입력부(112)에 연결된 입력버스/출력버스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이러한 문제가 입력부(112)에 연결된 메모리 버스의 사용에 문제를 야기시켜 메모리 버스에 연결된 다른 하드웨어 모듈에 대한 제어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버스 검사부(114)에서는 위와 같이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중 임의의 하드웨어 모듈에서 메모리 버스의 사용에 문제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하여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제어부(118)로 알려 적절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버스 검사부(114)는 위와 같은 검사에 있어서, 메모리 버스를 통해 하드웨어 모듈별 할당된 기설정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메모리 버스의 사용에 문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기설정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하드웨어 모듈별 기능 제어시 사용되는 특징 데이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18)는 메모리부(116)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전관방송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버스 검사부(114)를 통해 메모리 버스의 사용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메모리 버스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을 검출하고,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메모리 버스의 사용을 차단시키는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8)에서는 메모리 버스의 점검을 통해 특정 하드웨어 모듈의 문제점 발생을 검사하고, 검사결과 특정 하드웨어 모듈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해당 하드웨어 모듈을 메모리 버스에서 제외시킴으로써, 메모리 버스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나머지 하드웨어 모듈의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 위와 같은 메모리 버스와 관련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8)에서의 동작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118)는 메모리 버스 검사부(114)로부터 전관방송 장치(100)내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중 임의의 하드웨어 모듈에서 메모리 버스의 사용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폴트 체크 루틴(fault check routine)을 실행시켜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비정상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즉, 제어부(118)는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중 하나를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로 선정하고, 검사대상으로 선정된 하나의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을 인에이블(enable)시킨 후, 나머지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디스에이블(disable)시킨 상태에서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에서 메모리 버스의 사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을 검출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118)는 위와 같이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로 검사된 해당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메모리 버스의 제어 루틴에서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을 제외시키는 등의 메모리 버스 제어를 통해 메모리 버스의 사용을 차단시킴으로써, 메모리 버스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나머지 정상 하드웨어 모듈의 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8)는 위와 같이 메모리 버스의 사용을 차단시킨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해당 하드웨어 모듈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표시부(108)상에 표시시키거나, 해당 하드웨어 모듈에 할당된 릴레이(relay) 접점을 쇼트(short)시켜 해당 하드웨어 모듈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비콘(becon)으로 표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하드웨어 모듈에 이상이 발생한 것인지를 쉽지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 장치(100)에서 고장 하드웨어 모듈에 대한 동작 제어 처리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관방송 장치(100)내 메모리 버스 검사부(114)는 전관방송 장치(100)내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의 제어에 사용되는 메모리 버스상 이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200).
이때, 메모리 버스 검사부(114)는 전관방송 장치(100)내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에 연결된 메모리 버스를 통해 각 하드웨어 모듈 별 할당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보고, 정상적인 데이터가 응답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응답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메모리 버스를 사용하는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중 일부 또는 다수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검사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18)는 위와 같이 메모리 버스 검사부(114)를 통해 전관방송 장치(100)내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중 임의의 하드웨어 모듈에서 메모리 버스의 사용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S202), 폴트 체크 루틴(fault check routine)을 실행시켜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비정상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S204).
이때, 위와 같은 폴트 체크 루틴의 실행에 있어서, 제어부(118)는 예를 들어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중 하나를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로 선정하고, 검사대상으로 선정된 하나의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을 인에이블시킨 후, 나머지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디스에이블시킨 상태에서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에서 메모리 버스의 사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검사를 수행한다. 그런 후, 메모리 버스의 사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로 검출할 수 있다(S206).
이어, 제어부(118)는 위와 같이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로 검사된 해당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메모리 버스의 제어 루틴에서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을 제외시키는 등의 메모리 버스 제어를 통해 메모리 버스의 사용을 차단시킴으로써, 메모리 버스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나머지 정상 하드웨어 모듈의 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S208).
또한, 제어부(118)는 위와 같이 메모리 버스의 사용을 차단시킨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해당 하드웨어 모듈에 할당된 릴레이 접점을 쇼트시켜 해당 하드웨어 모듈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비콘으로 표시시키거나(S210), 표시부(108)상에 표시시킴으로써(S212) 사용자가 어떠한 하드웨어 모듈에 이상이 발생한 것인지를 쉽지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 제어부(118)는 폴트 체크 루틴의 실행을 종료하고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이외에 정상으로 검출된 나머지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메모리 버스를 통해 정상적으로 동작을 제어한다(S214).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관방송 장치에 모듈 형태로 구비되는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에 대한 고장 제어에 있어서,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중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하드웨어 모듈을 감시하고, 고장이 발생한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메모리 버스를 이용한 제어루틴에서 제외하여 나머지 하드웨어 모듈의 기능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102 : 전원 공급부 104 : 음원 생성부
106 : 앰프부 108 : 표시부
110 : 통신부 112 : 입력부
114 : 메모리 버스 검사부 116 : 메모리부
118 : 제어부

Claims (12)

  1. 전관방송 장치내 메모리 버스를 통해 제어되는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 임의의 하드웨어 모듈에서 상기 메모리 버스의 사용에 문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메모리 버스 검사부와,
    상기 메모리 버스의 사용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상기 메모리 버스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을 검출하고,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상기 메모리 버스의 사용을 차단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버스 검사부는,
    상기 검사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버스를 통해 상기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로 기설정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한 비정상 여부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중 검사대상으로 선정된 하나의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을 인에이블시킨 후, 나머지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디스에이블시켜 상기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에서 상기 메모리 버스의 사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 상기 메모리 버스의 제어 루틴에서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을 제외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메모리 버스의 사용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해당 하드웨어 모듈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표시부상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의 릴레이 접점을 쇼트시켜 해당 하드웨어 모듈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비콘으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
  7. 전관방송 장치내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의 제어에 사용되는 메모리 버스상 이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상기 메모리 버스에 대한 비정상 사용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 버스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는 하드웨어 모듈을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상기 메모리 버스의 사용을 차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장 모듈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버스상 이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 버스를 통해 상기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로 기설정된 데이터를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 버스상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검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모듈 제어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사용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 중 하나를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로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하나의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을 인에인블시키고, 나머지 하드웨 모듈은 디스에이블시키는 단계와,
    상기 검사대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 상기 메모리 버스에 대한 비정상 사용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모듈 제어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 상기 메모리 버스의 제어 루틴에서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을 제외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메모리 버스의 사용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모듈 제어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시키는 단계이 후,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해당 하드웨어 모듈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표시부상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모듈 제어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시키는 단계이 후,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상기 비정상 하드웨어 모듈의 릴레이 접점을 쇼트시키는 단계와,
    해당 하드웨어 모듈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비콘으로 표시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모듈 제어방법.










KR1020150125402A 2015-09-04 2015-09-04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70028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402A KR20170028595A (ko) 2015-09-04 2015-09-04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402A KR20170028595A (ko) 2015-09-04 2015-09-04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595A true KR20170028595A (ko) 2017-03-14

Family

ID=5845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402A KR20170028595A (ko) 2015-09-04 2015-09-04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85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825B1 (ko) * 2018-10-31 2019-04-05 최성국 스피커 자가 진단제어 스마트 방송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6495A (ko) 2011-12-28 2013-07-08 김중현 음향 공간을 시각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는 지향성 스피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6495A (ko) 2011-12-28 2013-07-08 김중현 음향 공간을 시각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는 지향성 스피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문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825B1 (ko) * 2018-10-31 2019-04-05 최성국 스피커 자가 진단제어 스마트 방송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193B1 (ko) 다원화방송시스템의 앰프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US9929944B2 (en) Redundancy device unit and method for determining fault in industrial control system, industrial control system and industrial system comprising redundancy device unit
WO2006095804A1 (ja) 放送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故障検査方法
KR101821173B1 (ko) 오디오 디텍트를 통한 스마트 방송 시스템
KR101835365B1 (ko) 스피커 자동점검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8595A (ko) 전관방송 장치의 고장 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
JP2021502041A (ja) 充電装置のテスト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8157283A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17272B1 (ko) 스피커 부하 적응형 앰프 라우팅 시스템
KR101866278B1 (ko) 다중제어 음향시스템
KR101633681B1 (ko) 전관방송 시스템의 스피커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245742B1 (ko) 실시간 오디오 앰프 디텍터 기술을 이용한 무중단 음향 장치
KR101284058B1 (ko) Pll 회로를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
CN103576008A (zh) 可通过声音指示硬件故障的电子装置及方法
KR102089672B1 (ko) 구내 방송 시스템
CN112637751A (zh) 一种语音模块测试电路、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20137855A (ko) 멀티 드롭 통신 회로의 데이터 라인 이상 감지회로
JP2020150467A (ja) 情報端末、インターホン玄関子機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20150431A (ja) 情報端末、インターホン玄関子機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2047076B1 (ko)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
JP6548012B2 (ja) 受信機
KR20090041505A (ko) 방송 계통 감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667766B1 (ko) 전관 방송 채널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19990B1 (ko) 개별 스피커 연결 경로 감시 기능을 갖는 전관방송 신호 분배 시스템 및 운영 방법
JP3870957B2 (ja) 無停電電源装置の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